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김수향 ( Kim Soo-hy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안전교육의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114명과 예비유아교사 114명으로 총 228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4일부터 6월26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은 총 16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중 유아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3개로 소방안전, 자연재해안전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미디어안전, 질병안전, 도구사용안전은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6개로 그 중에서 교통안전, 소방안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약물오용남용예방안전, 환경오염안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안전교육의 하위내용에 대한 개념형성은 유아교사는 성폭력아동학대예방안전, 소방안전 순으로, 예비유아교사는 소방안전, 성폭력아동학대예방안전 순으로 체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수준은 유아교사평균 1.40, 예비유아교사는 평균 1.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개념수준의 분포는 1.00.3.36사이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안전교육의 개념에 대한 각 범주에 대한 개념형성은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집단 내 유아안전교육의 개념 수준의 차이는 유아교사는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안전교육 강의를 이수한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안전 전문성에 요구에 부합하는 교사들의 개인차를 반영한 교육과 제도마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levels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whic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using a concept ma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4 in-service teachers and 114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4 to June 26, 2015. The results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16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in-service teachers chose fire and natural disaster safety the most. However, media, disease, and tool safety were not chosen. In the case of pre-service teachers`` all super ordinate concepts were chosen. Traffic and fire safety were chosen the most. Safety in terms of prevention of drug misus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as chosen with low frequency. Second, In the subcategories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safety in the terms of prevention of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followed by fire safety was important.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fire safety followed by safety in terms of prevention of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was important. Third, the average of the concept level for the in-service teachers`` 1.40, and 1.43. for pre-service teachers. The average for both groups was nearly the same. All the subjects were within the range of 1.00.3.36 for the level of the concept. This value means that the teachers had a lack of th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urth, in the case of the in-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was caused by the teachers`` academic ability and career. However,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safety education courses for young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develop safet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KCI우수등재

        어린이집 입학상담의 지금-여기(here and now)

        김수향(Soo Hyang Kim),권은주(Eun Joo Kwon),정경화(Kyung Hwa Chung),이영림(Young Rim Lee)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principal of a child-care center and parents accept different episodes and experiences in admission counselling and their use of metaphorical expressions about this, and to illuminate the current state of play by examining the requirements of parents in selecting a child-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10 principals of privat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Gyeongsangbuk province of Korea, and the research materials for episodes and metapho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means of in-depth and telephone interviews during an application period. In terms of the overall climate of the admission counselling, as shown in the various episod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n increase of parents`` demands occurred through a primarily consumer-centered environment, and the sudden increase in a fathers`` participation, the inside circumstances of admission counselling in progress throughout the year, the non-existence of respect and credibility and the continuity of conflicts and were all observed to co-exist. In terms of the emotional meaning of counselling via metaphors, the following emotions could be inferred; hopelessness, anger, lethargy, stress, fear and eagerness. It is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better illuminat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climates of here and now admission counselling.

      • KCI등재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 Soo Hyang Kim ),이승하 ( Seung Ha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경북 P시에 소재한 G유치원 만 5세 유아 35명을 대상으로 생태그림책 5권을 활용하여 철학놀이 프로그램을 5개월(3월 1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허윤정(2001)이 번안한 것을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하위요인 자연친화적 태도의 동식물에 대한 애호와 관심,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환경보전태도의 자연보호와 자원절약 태도에 효과적인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의 각 놀이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탐정놀이에서는 ‘다른 대상의 입장이 되어 보기’ 사고기술을 활용하여 유아들은 동물에 대한 애호와 사랑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상상놀이에서는 동물과 사물을 비교하고, 관계를 파악하는 사고기술을 활용하여 동물이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고, 사물을 비교하거나 새로운 관점의 사고기술로 자연보호와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을 표현하였다. 탐구놀이에서는 동물들의 특징을 서로 비교하거나, 관계를 파악하고, 사물에 대한 개념 형성을 통해 동물애호와 관심이 나타났다. 배려놀이에서 유아들은 동물을 애호하기 위해 동물들이 이용하는 사물에 대한 개념형성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았다. 토론놀이에서는 토론주제에 대한 철학적 개념형성의 사고기술이 요구되었고, 구성놀이에서는 동물의 애호와 관심은 동물의 특징을 서로 비교하는 사고기술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친화적태도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Philosophy-play program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Thirty-five 5 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Gyungsangbuk-d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rogram consisted of 5 ecology picture books and applied to the children from March 10 to July 18 2014.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CATES-PV was u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increased young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affection to animals and plants, and life respect for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nature protection and resource saving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changes of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friendly attitudes are shown. In detection play, by utilizing the thinking technique of ‘being others`` position’ children expressed love and affection to animals. In imagination play, by comparing animals with objects, the ways for animals living comfortably arose. In enquiring play, affection and interest were shown. In caring play, the concept-formation of things was prerequisite to learn about animals. In discussion play, philosophical concept-formation was required. In composition play, the interest and affection to animals were shown by comparing the animals’ characteristic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hilosophy-play program for young children is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 KCI등재

        5·16 군사정권기 ‘중농 정책’ 다시 보기 - 농어촌 고리채 정리법과 농산물 가격유지법을 중심으로

        김수향(Kim Soo Hyang)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Vol.- No.135

        This thesis deals with the agricultural policy of the 5·16 military government, which advocated the agricultural first policy. The “military government” implemented Anti Usury Act and Agricultural Product Price Maintenance Act. Those policies has already discussed since the 1950s. In the actual implementation process, each policy produced side effects. Financial crisis in rural areas exacerbated and farmers’ losses were not conserved.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did not come up with an active alternative to the food supply and demand problem that would come along with the decrease in rice harvest. In result the food crisis intensified in 1963. Agricultural policy of the 5·16 military government was not a policy planned in the long-term view to reform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Korean agriculture or the overall food supply and demand system. But rather a measure to address the immediate problems. Therefore, it was not possible to improve farm household income or change the structure itself to sacrifice agriculture just by touching the usury and price maintenance. This is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the military regime’s “Agricultural First Policy”.

      • KCI등재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가 나타내는 언어적 상호작용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김수향 ( Soo Hyang Kim ),한민경 ( Min Kyung Han ),이은진 ( Eun Ji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나타내는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과 언어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인식하는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U대학교 유아교육전공 3학년 재학생 39명이며 자료수집 및 분석은 2009년 9월 6일부터 2010년 3월 12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이야기나누기 활동계획안, 이야기나누기 활동 녹화 및 전사자료, 반성적 저널, 그리고 실습 전, 후 시행한 인터뷰 자료이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은 ``명칭 나열식, 설명 위주, 유아의 반응에 대한 고려의 부재, 불필요한 언어의 반복적 사용, 지식 전달에 대한 강박``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는 ``연령에 적합한 내용 범위에 대한 고려, 활동주제의 초점을 유지하는 수업진행, 유아의 반응에 대한 융통성 있는 대처`` 등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perceived difficulties of child-teacher verbal interaction during circle time used by in a sample of 39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Data collecting insisted of analysis of child-teacher verbal interaction during circle time, interview, and reflective journals. The results revealed that during circle tim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ften used low-closed leveling instrument questioning such as explaining or ordering rather than high-opened leveling questioning which can scaffold the children`s thinking or problem solving And,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developing objectives and contents for effective story telling activities which fit to children`s level of development and interests and leading the story-telling activities based on planned direction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teacher educators need to develop the systematic training program which is pur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o children in during circle time.

      • KCI등재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 Soo Hyang Kim ),한민경 ( Min Kyung Han ),이은진 ( Eun Ji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실습의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의 재학중인 4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요구를 토대로 연구자 3인이 구성하였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정서적 지원, 교육신념, 교수능력의 3가지이며 구성원은 실습지도교수, 실습지도교사, 수퍼바이저로 이루어진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크게 교육실습 전, 교육실습, 교육실습 후의 3단계로 이루어지며 총 12주차로 이루어진다. 협력적 멘토링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의 정도를 측정하고 사전, 사후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을 사전·사후 비교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의 수준을 질적으로 높여주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실습 수행, 교육신념,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협력적 멘토링 교육실습 프로그램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for supervsing the ealr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mentoring program by measuring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belief, anxiety·conflict on internship,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as they went through this developed mentoring program. The fourty-o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participated and they were mentored by supervisor and mentors for twelve weeks in a course of internship. Teachers` Belief, anxiety·conflict on student teaching, and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from the research of Kang(2000), Shin(2004), and Chio(2007).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By the end of mentoring program,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ducational belie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ir anxiety·conflict on internshi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lso, their overall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안전지식, 안전통제가 안전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Kim, Soo Hyang),안은희(An, Aun He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안전지식, 안전통제가 안전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P, K, Y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10일에서 10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안전지식, 안전통제, 안전수행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수행은 결혼상태, 근무경력, 안전교육 도움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지식, 안전통제와 안전수행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유아교사의 안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지식과 안전통제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0%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안전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전지식과 안전통제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tudy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effects of safety knowledge and safety control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afety performance.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October 10th and 30th, 2014 by surveying 18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ild day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located in P, K, & Y city. Measures were subjects’ safety knowledge, safety control, and safety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When the category of safety performance was analyzed by general features, marital status, educational career, and degree of assistance of safety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afety performance correlated positively with safety knowledge and safety control. Factors affe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safety performance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afety knowledge and safety control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60.0%.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increase early childhood teachers’ safety performance, their safety knowledge and safety control have to be enhanced.

      • KCI등재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보육교사의 영유아 놀이의미 읽기 작성능력과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Kim, Soo-H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보육교사의 영유아 놀이의미 읽기 작성능력과 반성적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들이 작성한 영유아 놀이의미 읽기 기록에 대해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을 총 9회(2020년 11월9일~2021년1월15일)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보육교사의 영유아 놀이의미 읽기 작성능력 및 하위요인 놀이의 교육과정 연계성, 놀이의미 읽기, 놀이지원 계획, 문맥에 적합한 글쓰기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은 반성적 사고 수준 및 하위항목 오류 인식, 생각의 변화, 질문제기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영유아 놀이의미 읽기 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으로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feedback strategy based on the self-assessment rubric affects the childcare teachers’ ability to read and write meaning of young children’s play and reflective thinking. To this end, the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rote a feedback strategy based on the self-diagnosis rubric for the reading and observational records of the meaning of children’s play, a total of nine times from November 9, 2020 to January 15, 2021. All the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observation record of reading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 play and reflective thinking evaluatio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eedback strategy based on the self-assessment rubri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care teachers’ ability to read and write the meaning of children’s play. In other words, in reading the meaning of children‘s play,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rriculum connection, play observation, reading the meaning of play, plan for supporting children’s play, and writing appropriate for the context.. Also, it was found that the feedback strategy based on the self-assessment rubric ha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sub-items of reflective thinking, error recognition, change of thinking, and questioning were all improved. Based on these, it was suggested that a feedback strategy based on the self-assessment rubric could be an effective teacher education method for reading and writing the meaning of children’s play for childcare teachers in light of the importance of reading the meaning of children’s play in daycare centers.

      • KCI등재

        표준보육과정 생활주제에 기초한 요리활동 과정이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 Soo Hyang Kim ),진선량 ( Seon Ryang Ji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보육과정 생활주제에 기초한 요리활동 과정이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경북 G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0명을 대상으로 "Piaget식 수학 개념 발달 검사"를 통해 집단을 임의로 10명씩 두 집단(실험·통제)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8주간 1주일에 2회씩 총16회 요리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자유놀이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수학개념 형성과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16회의 요리활동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질적 분석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리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개념의 하위요인에 분류, 서열, 수, 공간, 측정개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요리활동 과정 속에서 만 2세 영아들은 수학적 기회를 가졌다. 따라서 표준보육과정의 생활주제에 기초한 요리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발달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on mathematical concep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two year old toddlers at S Nursery located in G City, Gyeongbuk. The test tool, "Piaget style mathematical concept development test tool" that was based on the task used by Piaget to measure mathematical concept was used in this study. Using the matching, that is the method of grouping and assigning, the subjects were separated two groups(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ten member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cooking activities twice per week for eight weeks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free spontaneous play. Also, to assess the process of forming toddlers` mathematical concepts, video that recorded cooking activities for 16 sessions was analyzed, and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results of two groups,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cooking activities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mathematical concept of children, as well as on improving the sub-factors of categorization, rank, number, space and measurement. Second, in the process of cooking activities, toddlers` mathematical concepts were improved.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in cooking activities is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e the mathematical concept for todd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