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전환기 지식인의 방황과 신념 모색, <남염부주지>

        김수연 ( Soo Youn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3 No.-

        김시습은 한국의 대표적 지식인이다. 그가 살았던 조선 초기는 다양한 교설(敎說)이 난무하며 팽팽하게 그 세(勢)를 겨루던 시대였다. 신라와 고려를 거치는 1,500년 이상, 사회의 보편이념으로 자리 잡았던 불교가 새 왕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건재함을 과시하였고, 13세기 말과 14세기에 신흥사대부의 약진과 더불어 새로운 사상으로 부각되고 마침내 새 왕조의 공식적 지지를 받은 유교 또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천 년에 걸쳐 기층문화 속에 유전(流傳)해 온 민간도교의 힘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렇듯 다양한 이념들이 다투어 서로의 입장을 옹호하는 가운데, 오히려 사회의 보편이념은 부재하게 되는 사상의 춘추전국시대가 된 것이다. 이러한 보편이념의 부재에 대한 자각이 지식인 김시습을 혼란에 빠뜨렸고 방황하게 하였다. 김시습의 <남염부주지>는 이념 간 갈등과 보편이념의 부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 소설은 난무하는 이념들의 주장과 갈등에 의해 사회적으로 소외된 지식인의 고뇌를 담고 있다. 수많은 종교와 학설이 소리 높여 자신의 입장을 내세우고, 모두가 나름의 논리로 사람들을 혹하게 하지만 그들 중 어느 하나도 개인에게 확고한 신념을 제공하지 못한다. 오히려 그들은 다른 입장과 갈등하고 상대를 타자화하는 과정에서 개인을 소외시킬 뿐이다. 이에 대해 김시습은 서로 다른 권역(圈域) 사이에 ``경계역``을 설정하고 ``유(遊)``의 방식으로 경계를 넘놀 것을 제안한다. 작가는 쟁론적 이념들의 영역,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인물을 자신의 문학적 자아로 설정하고 그로 하여금 ``경계역``에서 ``넘놀며(遊)`` 독한 회의(懷疑)를 충분히 들어주고 답을 제시해주는 또 다른 자아를 만나게 한다. 지식인 스스로 신념의 부재와 나약한 실체를 정직하게 인정하고 나서야 비로소 바른 이념을 모색할 수 있는 대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신념도 없이 주류적 의론에 얹혀 제 목소리인양 큰 소리 내는 위선적 지식인이 판치는 세상을 향해 김시습은 ``소통을 통한 이념 모색`` 그 자체가 의미 있음을 말하고 있다. 그렇기에 박생의 죽음은 좌절이나 실패가 아니다. 그의 죽음은 정직한 사람만이 계승할 수 있다는 염왕의 지위를 잇는 것이며, 염왕의 선위는 그가 신념부재를 인정하고 회의에 대해 소통하려는 정직한 지식인임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믿고 따를 수 있는 보편이념은 부재하고, 난무하는 의론들과 갈등하는 이념들 사이에 개인이 소외되는 현상은 21세기 문명갈등과 무관하지 않다. 그렇기에, 김시습이 제안하는 전망은 현재의 우리, 특히 지식인이라 자처하는 이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가 될 것이다. Kim-Siseop is a Korean representative intellectual.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he spent was an age various doctrines continued to swirl and competed for their power with well matched in strength. Buddhism, established as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society for more than 1,500 years from Silla to Goryeo, was still maintaining its prosperity despite the pressure of the new dynasty. Confucianism, emerged as a new idea with advance of the newly-rising nobility in the end of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nd supported officially by the new dynasty, also was making its position secur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folk Taoism which had spread into basic culture for thousands of years was the thing in no way negligible, A variety of ideas were safeguarding their own positions, however, it led to the Period of Spring & Autumn Warring States in ideas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society was absent. Consciousness on such absence of the universal ideology made an intellectual Kim-Siseop fall into confusion and wander about. <Nam-Yumboozoo Zi> by Kim-Siseop raises a question about conflict among ideologies and absence of the universal ideology. This novel deals with anguish of an intellectual alienated socially by the voice and conflict of the swirling ideas. Many religions and doctrines strongly stand on their places and mislead people with their own logic, neither of them give an individual a firm belief. Rather,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alienate individuals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someone otherness. So, Kim-Siseop sets a ``Borderline`` among different regions, and suggests ``strolling`` in the border. The author sets a character as a stranger who can`t belong to nowhere in the areas of the controversial ideas and makes him encounter alter ego who listens to his severe skepticism carefully and gives an answer while strolling in the ``Borderline``. When an intellectual himself recognizes the absence of faith and substance of weakness honestly, finally a dialogue is possible to grope for a right ideology. To the world ridden by hypocritical intellectuals who are talking big as if it were his real voice without a belief depending on mainstream arguments, Kim-Siseop tells us ``Groping for an ideology through communication`` itself is a meaningful one. So, the death of Park Saeng is neither frustration nor failure. Because his death succeeds to the status of the king of the underworld, which only honest man can inherit. The reason he can be the king of the underworld is that he is an honest intellectual to recognize absence of faith, trying to have mutual understanding about doubt. The phenomenon, a reliable universal idea is absent and individual is alienated in the swirling arguments and conflicting idea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21st century`s conflict of civilizations. Therefore, an outlook Kim-Siseop suggests will be a meaningful message for us where we are, especially for ones who look upon themselves as intellectuals.

      • KCI등재

        Synechocystis sp. PCC 6803의 에너지 대사 결함 돌연변이 균주에서의 Poly(3-hydroxybutyrate) 축적량 증진

        김수연,최강국,박연일,박영목,양영기,이영하,Kim Soo-Youn,Choi Gang Guk,Park Youn Il,Park Young Mok,Yang Young Ki,Rhee Young Ha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남세균인 Synechocystis sp. PCC 6803 (Syn6803)을 대상으로 transposable element Tn5를 이용하여 획득된 1,200여 돌연변이주로부터 모균주에 비하여 PHB 축적량이 크게 증진된 균주를 선별하고, Tn5 삽입에 의해 결함을 나타낸 유전자를 확인함으로써 Syn6803에서의 PHB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세포내 생리학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모균주인 야생형 균주의 경우 질소원이 제한된 $BG11_0$ 배지에서의 PHB 생합성량이 건체량의 $4\%$ (w/w) 수준인데 반하여, $10-34\%$의 생합성량을 보이는 25개의 돌연변이 균주를 얻을 수 있었다. Inverse PCR을 이용하여, 선별된 돌연변이 균주내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아직까지 그 기능이 규명되지 않은 유전자가 대부분이었으나,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O-succinylbenzoic-CoA ligase 또는 photosystem II PsbT protein과 같이 광합성과 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4 균주와 histidine kinase가 결여된 1균주가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를 대상으로pulse-amplitude modulated fluorometer를 이용하여 세포내 $NAD(P)H/NAD(P)^+$비를 측정한 결과, 에너지 대사 흐름의 차단에 의해 세포내의 $NAD(P)HNAD(P)^+$비가 모균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잉여의 전자로 포화된 세포, 즉 NAD(P)H에 의해 환원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세포의 경우 PHB 축적 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실은 인위적으로 광합성과 호흡 관련 유전자가 제거되어 $NAD(P)H/NAD(P)^+$비가 높아진 것으로 알려진 다수의 Syn6803 돌연변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PHB 생합성량을 조사한 결과로부터 재확인되었다. Photoautotrophic bacteria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ate) (PHB) since they can address the critical problem of substrate costs. In this study, we isolated 25 Tn5-inserted mutants of the Synechocystis sp. PCC 6803 which showed enhanced PHB accumulation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After 5-days cultivation under nitrogen-limited mixotrophic conditions, the intracellular levels of PHB content in these mutants reached up to $10-30\%$ of dry cell weight (DCW) comparable to $4\%$ of DCW in the wild-type strain. Using the method of inverse PCR, the affected genes of the mutants were mapped on the completely known genome sequence of Synechocystis sp. PCC 6803. As a result, the increased PHB accumulation in 5 mutants were found to be resulted from defects of genes coding for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O-succinylbenzoic-CoA ligase, photosystem II PsbT protein or histidine kinase, which are involved in photosystem in thylakoid inner membrane of the cell. The values of $NAD(P)H/NAD(P)^+$ ratio in the cells of these mutant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wild-type strain as measured by using pulse-amplitude modulated fluorometer, suggesting that PHB synthesis could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cellular NAD(P)H which is a limiting substrate for NADPH-dependent acetoacetyl-CoA reductase. From these results, it is likely that NAD(P)H would be a limiting factor for PHB synthesis in Synechocystis sp. PCC 6803.

      • KCI등재후보

        <만복사저포기>의 `입산채약`과 비극성 재론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0 No.-

        본고는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한 『금오신화』의 주제의식과 미감을 비극성으로 보던 기존 독법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만복사저포기> 결말의 핵심을 `부지소종`으로 보고 그 의미를 소망을 이룰 수 없는 현실에 대한 저항이나 좌절로 읽어내는 것이 서사적 맥락에서 일관된 해석인가를 재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서사의 축을 `양생과 여인의 관계`에 두고 작품을 해석하였다. 두 인물의 관계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볼 때 이 작품은 정체를 알아가는 과정 즉 마음을 열어가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서로에 대한 최상의 신뢰를 획득하는 순간 두 사람 간 생사를 초월한 관계가 완성된다. 두 인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작품을 읽으면 이 작품의 주제는 `지극한 사랑으로 죽은 사람을 살리는 이야기`가 된다. 즉 양생이 죽은 여인을 환생하게 하는 이야기인 것이다. 중간에 나타나는 인물의 `주저함`이나 `의구심`은 상대방이 이계 존재인가를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정체를 알아가는 단계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당연한 호기심이다. 양생의 지극한 정성과 배려에 여인은 자신의 본모습을 드러내고 자신의 천도제를 주재하도록 한다. 또한 양생은 치성을 드려 여인의 환생을 기원한다. 양생의 치성으로 환생한 여인은 다시 양생에게 깨끗한 업 즉 선업을 닦으라 하고 양생은 그 말에 따라 `입산채약`한다. `입산채약`은 선업을 닦는 행위로, 생을 소중하게 여기는 삶의 방식 및 치유행위와 관련이 있다. 이것은 육체와 정신의 상처를 치유하는 삶에 대한 소망을 나타낸다. 작품 결말의 핵심은 `부지소종`이 아닌 `입산채약`에 있으며 그것은 궁극적으로 현실의 윤회를 벗어나 선업을 닦는 행위가 된다. 양생이 여인의 생을 구제하고 다시 여인이 양생의 생을 구제하는 치유자-피치유자의 관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돌고돌며 치유자가 되고 피치유자가 되는 윤회 속에서 지속된다. 작품은 진실된 관계의 형성, 상대의 입장에 대한 진심어린 공감, 상처를 치유해주고자 하는 마음, 그리고 그러한 치유관계의 윤회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야 하는 삶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is started from suggestions for existing way of understanding that the theme of 「Geumosinhwa」and its aesthetic point of view is tragedy. Especially, this study is going to reconsider the consistency about the previous interpretation that the main theme of the ending is `not knowing the last of life`, and that means the resistance or frustration of hopeless reality. So, the central axis of reading is to be the relationship of Yangsaeng and women. If we see the story as a relation-formation process, it unfolds around knowing one`s true colors, that is, the process of opening one`s mind. The moment they acquire the extreme trust with each other, the relationship free from life and death of the two is completed. When we read this story focused on the relation of the two, the theme will be `bringing one back from the dead by the utmost love`. So, it is the story goes that a dead woman is reincarnated by Yangsaeng. Character`s hesitation or suspicion that occur in the middle is a natural curiosity regarding the partner during the introduction process not the question about identity. Yangsaeng`s devotion and consideration helped her show herself in true colors, and conduct a rites to return herself to heaven. Also, Yangsaeng devotedly prayed for her reincarnation. The woman reincarnated by his devotion, advises him to cultivate pure karma, or good deed, and to her advice, Yangsaeng does `Mountaineering gathering-herbs`. `Mountaineering gathering-herbs` is the cultivation of good deed, and it is related to the way of respecting one`s life and healing. It signifies the wish of healing the wounds of body and mind. The main theme of the end of the story is not `not knowing the last of life` but `Mountaineering gathering-herbs`, and that eventually is the cultivation of good deed, beyond samsara in real life. Yangsaeng saves her life, and she saves his life again. This healer-patient relationship is not fixed, both healing and treated round and round. It is samsara of relationship. This story presents the formation of cordial relationship, heartful empathy for other`s situation, the will of wound healing, and the desirable picture of life through samsara of healing.

      • KCI등재후보

        <이생규장전>의 욕망과 치유적 독법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18 No.-

        고전의 치유적 기능을 확인하는 작업은 고전이 현대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고는 <이생규장전>을 대상으로 고전작품이 어떻게 현대인의 마음을 어루만져줄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생규장전>은 보편적 인간 삶의 서사로 읽을 수 있다. 이는 <이생규장전>을 세계의 횡포에 대한 저항과 투쟁의 맥락에서 읽었던 기존의 독법을 벗어난 관점이다. 인간의 삶 즉 인생서사의 관점에서 작품을 읽을 경우 <이생규장전>은 평범한 인간이 성장하고 성숙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10대 남녀의 만남과 사랑에서부터 시작하여 결혼과 이별 그리고 죽음이 그것이다. <이생규장전>을 인생서사로 볼 경우, 작품에 등장하는 고난은 미성숙한 청소년이 성숙한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삶의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인간의 죽음까지 아우른다. 인생서사는 인물의 삶과 독자의 삶을 연결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독서과정에서 자신이 겪었거나 혹은 앞으로 겪을 문제들을 연상하게 한다. 작중 상황과 인물에 대한 동일시가 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독자는 인물이 장애를 겪을 때마다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들에 몰입하고, 평소 인지하지 못했던 자신의 욕망을 확인하게 된다. 작품과 삶이 자연스럽게 동일시되면, 작품에 드러나는 욕망뿐 아니라 그것을 가로막는 고난 또한 독자의 것이 된다. 이때 독자는 인물이 겪는 고난과 좌절을 함께 경험한다. 그런데 <이생규장전>은 고난과 좌절 후에 반드시 극복과 기쁨을 경험하게 한다. 이별과 만남 혹은 현실과 환상의 반복구조는 고난의 크기만큼 극복의 기쁨도 커지고 인물의 성숙도도 깊어지는 균형지향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작품에 비극의 서사뿐 아니라 그것을 극복하려는 희망의 서사가 함께 존재함을 의미한다. 치유적 독법은 <이생규장전>의 반복구조가 고난과 좌절의 확대만을 말하고 있지 않는다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인지시키는 독법이다. 고난의 극복을 반복적으로 학습한 독자는 불행한 결말에서 오히려 스스로 희망적 대안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생규장전>은 심리적으로 불편한 현대 독자들이 작품을 통해 고난과 좌절에 대한 자생적 치유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현대인의 마음을 위로하는 데 의미 있는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다. Works of confirming the healing power of classics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modern readers. This study provides affirmation through < Yisaenggyujangjeon > how classics comfort the wounded heart of modern people. < Yisaenggyujangjeon > can be read as the description of human life. This is the view of being extrinsic to the existing way of reading of < Yisaenggyujangjeon > as resistance or a struggle against the tyranny of the world. If we reads < Yisaenggyujangjeon > with the view of human life, that is to say the description of human life, it shows a growth process of ordinary human beings. Those are teen meeting and romance, marriage, parting, and passing. If we see a < Yisaenggyujangjeon > as a description of life, we can understand the hardships in the work are problems that an immature teenager can experience to be a grown-up person. It encompasses human death. The description of life makes the life of characters and the life of readers connected, so through this reading, it reminds readers of the problems they are facing or they will have. Situations and characters in the work are identified with readers themselves flexibly. Readers were immersed in various emotions that characters have experienced in every obstacle. When the works are identified with each life of readers naturally, desires that clearly shows in the work and hardships preventing it would be also readers`. Readers will have been through characters` hardships and frustration together. However, < Yisaenggyujangjeon > let readers taste overcoming and overflowing of joy after their hardships and frustrations. A periodic structure of meeting from parting or reality from fantasy shows a respect for balance between the three factors, hardships, the joy of conquest and the maturity of a character are the same size. This means that the story of tragedy and hope coexist in the work. Healing reading makes readers recognize the periodic structure of < Yisaenggyujangjeon > is not just saying about the expansion of hardships and frustrations. Readers who have been learned to overcome hardships create the hopeful alternative for themselves when they meet unhappy endings. < Yisaenggyujangjeon > functions as a healing text for modern people in that readers with wounded heart can have healing powers against hardships and frustrations spontaneously through reading works.

      • KCI등재

        <내 복에 산다>의 문학치료적 해석 -`내 복` 연기성과 관계의 선업을 중심으로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5 No.-

        <내복에 산다>는 삼국시대부터 회자된 한국의 대표적 광포설화다. 본고는 <내 복에 산다> 가 문학치료학에서 의미 있는 서사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작업의 하나로, 그것의 치유적 독법을 제안하고 있다. <내 복에 산다>는 결말에 따라 ①딸이 부자 되는 이야기 ②부자가 된 딸을 본 아비가 딸의 복임을 인정하는 이야기 ③부자 된 딸이 몰락한 부모를 구제하는 이야기로 나눌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주인공 막내딸의 `제 복`이 배우자와의 관계 속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내 복에 산다>의 `내복`은 `우리가 함께 할 때 만들어지는, 즉 서로가 서로의 연기적 원인이 되어 이루어진 관계의 복`일 것이다. <내 복에 산다>의 원형서사인 불경 소재 <바사닉왕녀선광연>은 막내딸의 `내 복`이 그녀가 지은 `선업의 힘`이고, 부친에게 버려지는 `내침`은 선업의 힘을 증명하는 과정임을 말해준다. `선업`을 짓는다는 것은 대상이 있어야 하고, 그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다. <내 복에 산다>는 나와 남이 서로의 업원이 되어주는 연기적 관계 속에서 `내 복`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나의 복은 어디서 오는지, 어떻게 해야 스스로도 복을 받고 남에게도 복을 주는 사람이 될 수 있는지 등의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낼 수 있다. 특히 `내 복`을 결정하는 것 중에는 우리가 `가치 없는 만남`이라고 생각하는 관계도 있다는 사실과 `내침`과 같은 관계 단절의 계기를 선업의 기회로 만들 수 있다는 메시지를 읽어내는 작업은 우리 삶에 질적 전환을 가져다 줄 것이다. 나와 네가 서로의 복을 이루는 복업이라는 연기성을 기억하고, 자신을 낮추고 지성으로 상대를 대하며, 나를 힘들게 하는 상황을 선업의 기회로 돌리는 것. 그리고 `내 복`을 주위와 함께 하려는 마음이 <내 복에 산다>가 말하는 진정한 `내 복`일 것이다. < Live in my Fortune > is a widely known folktale to everybody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research paper is the contemplation about whether the tale < Live in my Fortune > is meaningful in literary therapeutics, and suggests its reading for healing. < Live in my Fortune > is divided into four stories due to ending: ① A story of a daughter coming to wealth ② A story of a father acknowledging it as her fortune after seeing his rich daughter ③ A story of a daughter rescuing her ruined parents, but in common, we can find that `her fortune` of the main character, the youngest daughter is expressed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My fortune` from < Live in my Fortune > is like the fortune of relationship made by sharing all the joys and sorrows, that is, by the mutually dependent cause from each other. In < Royal Princess of Basanik, SeonGwangyeon > about Buddhist scriptures, the prototype story of < Live in my Fortune >, `my fortune` of the youngest daughter is the result of her good deed, and `being dumped` by her father is the process of proving its power. Building a `good deed` needs an object, and it is mad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 Live in my Fortune > lets us know that `my fortune` is made in the mutually dependent relation being a retribution in this world for the sins of a previous life for each other. Through this, we can find the solution of where my fortune comes from, and how I can be blessed or share fortune, etc. Especially, among things to make `my fortune`, If we recognize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which we think as a `worthless meeting`, and severance in relationship, like `being dumped`, can be changed into an opportunity for a good deed. Knowing this, a qualitative improvement will be shown in our lives. Remembering that we each other are in the paticcasamupada of our fortune, lowering oneself and treating others with one`s heart and soul, turning my difficulties into an opportunity for a good deed, and sharing `my fortune` with others are what < Live in my Fortune > says, the real `my good fortune`.

      • KCI등재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김수연 ( Soo Youn Kim ),이대식 ( Dae Sik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에서는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이 장애인식 측면에서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을 장애유형, 자료 형태, 장애인관 유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1-6학년 교과서 192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다루어진 장애유형은 지체장애였다. 장애인관 유형 측면은 장애인의 능력을 자주와 의존, 장애문제 해결 소재를 개인과 사회 차원 등 4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대상 내용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장애인은 능력 측면에서 의존적이고 장애문제 해결의 소재는 주변이나 사회에 있다는 차원 Ⅱ에 해당하는 내용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장애인이 자주적인 이미지로 그려지고 상호작용 모형에 의하여 장애문제를 해결하는 차원 Ⅳ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이 부분적으로나마 기존의 의료적 모델 중심의 장애인식에서 사회적 모델 중심의 장애인식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related contents of the textbooks developed by the 7th`s curriculum revisio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ypes of disability awareness, the proportions of each disability category, and the types of disability-related contents(e.g., text or image). A total 192 textbooks of grade 1 through 6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of the disability types, physical disabilities and other health impairm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Of the types of disability awareness, about a half of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the II dimension - perceiv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s being dependent and possible solutions for disability-related problems reside in society rather than individuals. It seemed that the revised textbooks slightly moved from the medical model to the social model with regard to disability awareness.

      • KCI등재

        조선후기 한문 단편서사에 나타난 시간의 재화성

        김수연(Kim, Soo Youn)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6 No.-

        조선후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한문 단편서사는 역사와 허구 사이에서 조선시대 백성들의 일상을 조명하고 있다. 한문 단편서사에 포착된 일상의 많은 부분이 그 시기에 살았던 일반인들의 생업과 관련이 있다. 농․공․상업 중심의 전통적 생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시간은 중요하고 유용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그것은 오랫동안 무한하고 공평하게 주어지는 자연재로 인식되었다. 그러다 생업을 통한 재산 증식이 본격화되고 물질에 대한 가치 인식이 확대되는 조선후기에 오면, 단순히 자연현상으로 여겼던 시간 안에서 물질성이 포착된다. 계절은 변함없이 순환하지만 계절적 시간이 지니는 가치는 증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시간을 운영 가능한 재화로 바라보는 인식의 등장을 말한다. 시간의 물질성과 재화성이 극대화되면, ‘시간’은 그 자체만으로도 이윤을 창출하게 된다. 한문 단편서사는 작물을 기르는 데 소요되는 시간뿐 아니라 작물을 갈무리하여 놔두는 것, 즉 갈무리한 상태로 시간만 연장해도 해당 작물의 가치가 올라감을 보여준다. 가치의 증식과 더불어 시간은 교환 가능한 재화로 기능한다. ‘증식하는 시간 가치’와 ‘시간의 재화성’은 전통적 세계관 하에서 폄하되었던 상업의 지위를 높이는 데 참여한다. 조선후기 한문 단편서사는 일반 백성의 일상과 생업을 통해, 시간이 관념적 대상에서 물질적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양상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시대의 가치변화를 읽어내게 한다. 한문 단편서사는 전통서사가 근대서사로 변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에 자리한다. ‘시간’ 개념의 변화는 그동안 논의된 근대성 논의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더불어 시계의 등장을 둘러싸고 도출된 ‘동시화, 표준화, 직선화’라는 근대적 시간의 특징에 대한 실제적 반론의 근거를 제공하기도 한다. 순환적 자연시간 안에서 재화적 속성을 간파한 조선인의 사유는 기존의 근대적 시간 개념에 대한 생산적 논쟁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Hanmun short stories appeared in the late Chosŏn are illuminating daily lives of the Chosŏn people between the historic and fictional. A lot of parts of every day lives captured from Hanmun short stories relate to occupations of those days" general people. Time was the important and useful thing in a process of performing a traditional job centered on the agriculture․industry․commerce. However, it was recognized for a long time as natural goods given fairly and boundlessly. In the late Chosŏn period when property increase through an occupation was formed in earnest and value perception on matter was expanded, materiality contained in time as a simple natural phenomenon came to be captured. Despite constant seasonal rotation, values of the seasonal time become an object of proliferation. It means appearance of perception seeing time as operable property. If materiality and commerciality of time are maximized, ‘time’ itself creates profits. In addition to time spent for raising crops, Hanmun short stories show that values of such a crop increase when putting it away so time is prolonged. Along with increase of values, time functions as properties exchangeable. ‘Increased time values’ and ‘commerciality of time’ contribute to raising a status of commerce positioned at the bottom in a traditional society. In the late Chosŏn, Hanmun short stories cause us to read a periodic change of values in that they show a transition of time from the ideological to the material object through daily lives and occupations of the general people. Hanmun short stories are a key for explaining a transitional process from the traditional to modern narratives. A change of a ‘temporal’ concept may offer a new perspective for discussion on modernity. Besides, it gives a basis for actual refutation on characteristics of modern time including ‘synchronization, standardization and straightening’ derived from the appearance of a watch. Because, thinking of Chosŏn people reading a property attribution of the natural time generates a productive argument on the existing modern concept of time.

      • KCI등재

        동아시아 서사전통과 세정소설(世情小說)

        김수연(Kim, Soo Youn)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9 No.-

        한?중(韓中) 고전소설사를 일람하면 역사적 집단전승물이나 전기적(傳奇的) 단편서사물이 창작되다가 어느 순간 뛰어난 문학성을 지닌 개인 창작 장편소설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대표작이 『사씨남정기』와 『금병매(金甁梅)』이다. 이들은 그 자체로 각국 소설사의 고봉(高峰)을 이루며, 이후 등장하는 소설들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다. 또한 중세보편어가 아닌 각국의 고유어를 표기수단으로 하고, 창작기법뿐 아니라 작품이 담지하고 있는 세계관 등에서 이전과 다른 수준을 보이며 본격적인 소설시대를 선도한다는 공통성을 지닌다. 『사씨남정기』와 『금병매』는 인간의 현실적 욕망 즉 인정물태에 주목하기 시작한 본격적인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닮아있다.『금병매』에 대한 역사적 평어(評語)로서, ‘세정서(世情書)’는 ‘세정’ 즉 인정물태를 중심으로 하는 서사이다. 따라서 세정소설은 보통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생활공간과 그 안에서 발생하는 일상 및 갈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간행태를 기술한 작품이라 하겠다.『사씨남정기』와 『금병매』에서 포착되는 세정소설적 면모는 한국과 중국은 물론 동아시아 문학이 공유하는 서사전통의 기반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세정소설에 대한 논의는 동아시아의 서사전통을 중심으로 한 공동의 서사학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When taking a look at Korean?Chinese classic novel history, it seems that personally created-novels having outstanding literary skills appeared suddenly after historic collective heritages or queer short narratives.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Sassinamjeonggi and Jinpingmei. They are regarded as the highest peak of each nation"s novel history, having a great effect on the subsequent novels. In addition,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used their own native tongue rather than the medieval universal language as a means of writing, displayed differentiating level not only in the creative technique but in the world view they contain and led the full-blown novel age. Sassinamjeonggi and Jinpingmei have also common things as the works which began to take notice of the human actual desire, or human beings" private and social life. As the historic critical remark on Jinpingmei, ‘Writing of Manners’ is a narrative centered on ‘Manners’, in other words, human beings" private and social life. Therefore, Novels of Manners may be said as works describing the various human behaviors based on every day affairs and conflicts occurred in the living space of ordinary people, especially women. Characteristic aspects of Novels of Manners, shown from Sassinamjeonggi and Jinpingmei, are one of the basis of the narrative tradition East-Asia"s literature including Korea and China"s share together. So, it"s thought that discussion about Novels of Manners will be able to contribute on groping for common narratology centered on the narrative tradition of East Asia.

      • KCI등재

        <창선감의록>의 "개과천선"과 악녀(惡女) 무후(無後)

        김수연 ( Soo Youn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창선감의록>은 선악의 대립을 통한 악인의 징치라는 ``복선화음(福善禍淫)``의 교화담론(敎化談論)을 주제 및 서사구조의 틀로 활용하였다. 주목할 것은 <창선감의록>의 악인은 징치되는 악인과 용서되는 우인(愚人)으로 나뉜다는 점이다. 우인은 심씨, 화춘, 엄숭 등인데, 심씨와 화춘은 주인공의 어머니와 형이며, 엄숭은 정치적 적대자이다. 이들은 공교롭게도 모두 상층 인물이다. 특히 심씨의 개과천선은 남성의 서사로 보완되는 여성 서사의 양상을 보여주는데, 효자를 둔 악녀의 서사는 아들의 효행 서사로 보완·수정된다. 그 결과 징치받아야 할 악녀가 ``개과천선``하여 복록을 누리는 서사가 되는 것이다. 반면 끝내 징치되는 악녀는 자손이 없는 것으로 그려진다. 즉 자신의 서사를 보완할 효행서사 자체를 가질 수 없는 것이다. 효의 서사로써만 보완될 수 있는 여성 서사를 중심으로 하는 장편소설에서, ``악녀``로 규정되며 무후(無後)하도록 그려지는 이들이 주로 하층인 것은 상층 남성중심의 사회질서에 위험한 존재로 여겨지는 ``하층여성의 욕망``을 나타낸다. 정치적 적대자였던 엄숭을 용서하고 그의 딸을 선한 주인공의 혈연관계로 받아들이는 서사는 허용하면서도, 화씨 집안 총부(총婦)의 지위에 오르기도 했던 조녀를 끝내 용서하지 않는 소설의 결말에서 ``위험한 개인``으로서의 ``악녀``에 대한 당대 사회의 시선을 읽을 수 있다. <Changsungameuirok> utilized edification discourse of ``reward virtue and punish vice`` which means castigation of evildoers through antagonism of good and evil as the theme or the narration frame of the story. What is remarkable is that they are divided into two characters, evildoers who are punished or fools who are forgiven. Ms. Sim, Hwachoon, and Umsoong are described as fools. Ms. Sim is the mother, Hwachoon is the elder brother of the hero and Umsoong is the antagonist but the upper class person. Especially, Sim`s repentance begin to emerge woman description which is complemented by man description, this story of malefactress having a devoted son becomes ``Turning over a new leaf`` one after sup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by the son`s fili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evil woman who is punished is described as a failure of issue. So, she cannot have a filial behavior story that complement her wicked description. In the full-length novel, women`s stories can be made up for their faults only by filial behaviors of their sons and the malefactresses having no sons are usually the lower classes so they represent ``the lower women`s desire`` as a menace against the male-dominated society. Political antagonist, Umsoong is forgiven and his daughter is accepted as a blood relationship with a good hero but the Hwa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Cho is never acquitted of her fault. We can understand the eyes from society of the time about a malefactress as a ``dangerous individual``.

      • KCI등재

        고소설의 원형적 텍스트로서의 『도장』(道藏) 연구 시론

        김수연 ( Soo Youn K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69 No.-

        Daozhang, which is a series of Taoist books and scriptures, is not only a treasure house of enormous thoughts and stories but also a book on religious thought. It has different kinds of images and imagination systems, and also talks about oriental philosophical experiences and the facts of life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 narrative imagination of Daozhang represents much, as an origin of literary imaginations. Studies on Korean Classical Novels hav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aoism and Taoist imagination, but current scholarship has not yet approached issues such as the origin of imagination or the prototypical text. In China, a national compilation of Daozhang was undertaken on a large scale, covering Taoist hermit tales embodying early Taoist thought to Taoist scriptures of the periods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Sui and Tang, as well as later offshoots. In Korea, efforts at publishing or translating were not undertaken autonomously, but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aoism and Daozhang were introduced and Taoist scriptures were enjoyed and passed down widely amongst literary people. Taoist thoughts have a longer history than Buddhism, and in case of China it was a state religion for a while. However, in its dissemination, i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folk religion in the basic culture. As the thoughts of the people, Taoism is associated with a fictitious outlook on the world. Novels are also linked with Taoism in terms of their closely private and non-mainstream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expressive techniques, such as allegories or comparisons. It is possible to look for Taoist imaginations in Korean or Chinese novels, and novelist such as Kim Siseup pored over the Taoist Scriptures, making use of them in his writings. Some views that suggest Daozhang as a prototypical text of classical novels demonstrate the huge potential for new possible explorations in the study of classical novels, which until now have been focused on Confucian discussion and vision. In addition, we can broaden the scope of East Asian comparative narratology and present a profound viewpoint for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