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후천성 간뇌퇴행증 ( Hepatocerebral Degeneration )

        김성수(Sung Soo Kim),이창돈(Chang Don Lee),김재영(Jae Young Kim),김성권(Soung Kyun Kim),한상원(Sang Won Hang),윤승규(Seung Kew Yoon),최상욱(Sang wook Choi),박두호(Doo Ho Park),김부성(Boo Sung Kim),김영인(Yeong In Kim),이광수(Kwang So 대한소화기학회 199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9 No.5

        The acquired hepatocerebral degeneration is a irreversible neurologic syndrome that occurs occasionally in patients who have chronic liver disease and portasystemic shunting. Clinically, the patients present with dementia, dysarthria, ataxia, tremor and extrapyramidal symptoms that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symptorns of the patients with hepatic cirrhosis complicating hepatic encephalopathy. Tl-weighted images of MR in patients with hepatocerebral degeneration demonstrate characteristic increased signal intensity in the basal ganglia, pituitary gland, and mesencephalon, while T2-weighted images demonstrated no corresponding alteration in signal intensity. It is known that the symptoms of acquired hepatocerebral degenerafion is not irnproved by the conventional therapy for the hepatic encephalopathy such as hypertonic glucose enema or lactulose administration.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cquired hepatocerebral degeneration diagnosed by brain MRI. A 54-year-old man who had been diagnosed and treated as hepatic cirrhosis for 5 years at our hospital have complained stuporous mental status, dysarthria, fine tremor, and motor disturbance. Under the impression of hepatic encephalopathy, we treated this patient with lactulose and hypertonic glucose enema.. There was some clinical improvement in mental status, but the symptoms such as dysarthria, tremor, and motor disturbance were not changed during hospitalization. Tl-weighted images of MR demonstrate characteristic increased signal intensity in the basal ganglia, while T2-weighted images demonstrated no corresponding alteration in signal intensity. (Korean J Gastroenterol 1997; 29: 694-698)

      • KCI등재

        강지보재 최적 설치방향을 고려한 경사터널의 거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박상찬,김성수,신영완,신휴성,김영근,Park, Sang-Chan,Kim, Sung-Soo,Shin, Young-Wan,Shin, Hyu-Soung,Kim, Young-Geu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0 No.3

        터널 주지보재의 하나인 강지보재는 굴착 후 숏크리트 또는 록볼트의 지보기능이 발휘되기까지 터널 굴착면의 안정을 도모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수평터널의 강지보재는 중력방향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시공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경사터널의 경우는 터널 벽면에 작용하는 주응력 방향과 중력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최적의 강지보재 설치방향은 수평터널에서의 중력방향과는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경사터널 벽면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방향을 규명하였으며 그 방향이 최적의 강지보재 설치방향이 될 수 있다. 즉, 강지보재의 지보효율은 터널 변위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저항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 최대가 될 수 있다. 국내 터널설계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경사터널에서의 세 가지 강지보재 설치방향을 모델로 설정하여 단계별 해석을 통한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경사터널 벽면에서의 변위 발생각은 막장경사와 관계없이 모두 터널 굴착면에 수직한 방향과 유사한 각도로 발생하므로 경사터널에서의 강지보재는 터널 굴착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지보효율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The steel rib, one of the main support of tunne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o stabilize tunnel excavation surface until shotcrete or rockbolt starts to perform a supporting function. In general, a steel rib at the horizontal funnel is being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ich is known favorable in terms of constructability and stability. However, as the direction of principal stress at the inclined tunnel wall is different from that of gravity, the optimum direction of steel rib could be different from that at the horizontal tunnel. In this study, a numer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irection of force that would develope displacement at the inclined tunnel surface, and that direction could be the optimum direction of steel rib. The support efficiency of steel rib could be maximized when the steel rib was installed to resist the displacement of the tunnel. Three directions which were recommended for the inclined tunnels in the Korea Tunnel Design Standard were used for the numerical models of steel rib dire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all displacement angle of the models are almost perpendicular to the tunnel surface regardless of face angle. So if the steel rib would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tunnel surface, the support efficiency of steel rib could be maximized.

      • 동해 중부해역에서 <sup>210</sup>Po과 <sup>234</sup>Th의 순환에 대한 소용돌이의 영향

        양한섭,김성수,이재철,YANG, HAN SOEB,KIM, SOUNG SOO,LEE, JAE CHUL 한국해양학회 1995 韓國海洋學會誌 Vol.30 No.4

        The vertical profiles of natural <sup>210</sup>Pb, <sup>210</sup>Po and <sup>234</sup>Th activities were measured for the upper 100 m of water column at three stations in the middle region of the Korean East Sea during May 1992. And the distribution of these radionuclides was discussed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warm eddy or water mass. The main thermocline was maintained between the depth of 50 and 100 m at the southern station (Sta. A1), and between the depth of 10 to 50 m at the coastal station of Sockcho (Sta. B10). Contrastingly, a main thermocline at Sta. A10, which locates near the center of warm eddy, was observed below 230 m depth. Between 50 and 220 m depth of Sta. A10 is there a relatively homogeneous water mass of 10.1${\pm}$0.5$^{\circ}C$,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in temperature and lower in nutrient than the other two stations. It seems to be due to sinking of the warm surface water in which nutrients were completely consumed. Both <sup>210</sup>Pb and <sup>210</sup>Po show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Sta. A1 and the lowest at Sta. B10 among the three stations. Also, the <sup>210</sup>Pb activity is generally higher in the upper layer than in the lower layer, while <sup>210</sup>Po activity represents the reversed pattern at all three stations. At Sta. A1 and Sta. B10, the activities of <sup>210</sup>Po relative to its parent <sup>210</sup>Pb were deficient in the water column above the main thermocline, but were excess below the thermocline. However, the station near the center of warm eddy(Sta. A10), shows no excess of <sup>210</sup>Po in the depths below 50 m, although its defficiency is found in the upper layer like the other stations. At Sta. A1 and b10. <sup>234</sup>Th activities are slightly lower in the surface mixed layer than in the deeper region However, at Sta. A10, <sup>234</sup>Th activity in the upper 30 m is higher than below 50 m or in the same depth of the other stations, probably because of the high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The residence time of <sup>210</sup>Po in the surface mixed layer at Sta. A10 is 0.4 year, much shorter than at the other two stations(about one year). Above 100 m depth, the residence times of <sup>234</sup>Th range from 18 to 30 other two stations(about on year). Above 100 m depth, the residence times of <sup>234</sup>Th range from 18 to 30 days at all stations, without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 The percentages of recycled <sup>210</sup>Po within the thermocline are 39% and 92% at Sta. A1 and Sta. B10, respectively. Much higher value at Sta. B10 may be due to a thin thickness of the mixed layer as well as the slower recycling rate of <sup>210</sup>Po in the main thermocline.

      • KCI등재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

        이재성,정래홍,김성수,고우진,김귀영,박종수,이영식,Lee, Jae-Seong,Jung, Rae-Hong,Kim, Soung-Soo,Go, Woo-Jin,Kim, Kui-Young,Park, Jong-Soo,Lee, Young-Sik 한국해양학회 2001 바다 Vol.6 No.3

        광양만에 있어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을 검토하기 위하여 염분,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DIN/DIP비 및 현장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생물실험을 하였다. 조사는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과강우량이 많은 2000년 9월에 하였다.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의 경우, 광양만의 염분,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DIN/DIP비의 평균값은 각각 29.92 psu, 13.59 ${\mu}M$, 3.41${\mu}M$, 4.14이었으며,강우량이 많은 2000년 』월의 경우에는 각각 24.62 psu, 27.77 ${\mu}M$, 2.82 ${\mu}M$, 9.79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의 농도가 득량만, 여자만, 가막만 또는 체서피크만이나 히로시마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용존무기인의 경우 최고 8배 높게 나타났다. 질소의 주요 유입원으로는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으로 인한 공급과 산업폐수의 유입으로 생각되었으며, 인의 경우 담수유입보다는 광양만내에 강력한 점오염원이 있어 그 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의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은 질소였다. 강우량이 많은 2000년 9월의 경우에도 1999년 11월과 같이 질소가제한영양염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질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의 농도가 높은 점오염원에 의해 많은 양의 인이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광양만에서 그 제한영양염은 상당히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될 경우 섬진강 하구의 일부지역에서는 인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나, 섬진강 하구을 제외한 광양만, 여수동부연안 및 돌산도 동부연안해역은 높은 농도의 용존무기인에 의해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될 경우에도 질소가 제한영양염으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Salinity, DIN, DIP, DIN/DIP and indigenous algal assay were determined to estimate the limiting nutrient for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South Sea of Korea. Sea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surface and bot-tom water in 4 November 1999 (dry season) and 2 September 2000 (after heavy rain). In 4 November 1999, the salinity, DIN, DIP and DIN/DIP were 29.92 psu, 13.59 ${\mu}M$, 3.41 ${\mu}M$ and 4.14 respectively. In 2 September 2000, These values were 24.62 psu, 27.77 ${\mu}M$, 2.82 ${\mu}M$ and 9.79 respectively. The DIN and DIP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were higher than Deukryang, Yeoja and Gamak Bay, South Sea of Korea. Especially, DIP concentration was 8 times high compared to Deutryang, Yeoja and Gamak Bay. The main sources of nitrogen seem to be freshwater runoff from Somjin River and industrial wastewater. But, the main sources of phosphorus seem to be industrial wastewater around Gwangyang Bay. The limiting nutrient was nitrogen at all station in 4 November 1999. The limiting nutrient was also nitrogen in 2 September 2000 in spite of heavy rain observed because of relatively much volume of phosphorus sup-plied from point sources than nitrogen. In case of below 20 psu in salinity by heavy rain, the limiting nutrient willbe shift from nitrogen to phosphorus at some area of Somjin River estuary. But the limiting nutrient will be never shift to phosphorus throughout Gwangyang Bay, eastern coast of Yeoja and Dolsan because of much volume of phosphorus runoff from point source in coastal area of Gwangyang Bay.

      • KCI등재

        득량만 표층수중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1. 영양염류의 계절변화와 기초생산 제한인자

        양한섭 ( Han Soeb Yang ),김성수 ( Soung Soo Kim ),김규범 ( Gue Buem Kim ) 한국수산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4

        한반도 남서연안에 위치한 득량만에서 1992년 7월부터 1993년 3월까지 계절별로 염분과 영양염류의 농도를 측정하여 득량만 표층수중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변화특성과 기초생산 제한인자의 계절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염분의 평균농도는 추계에 가장 낮고 춘계에 가장 높았으며, 용존무기질소는 동계에 가장 높고 하계에 가장 낮았다. 그러나, 인산염과 규산염은 하계에 가장 높았으나, 최소값은 인산염의 경우 추계와 동계에, 규산염은 추계에 나타났다. 계절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염분은 만 입구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득량도 서쪽이 동쪽 보다 다소 낮았다. 용존무기질소는 하계의 경우 거의 고갈된 농도를 보이나, 나머지 계절에는 고염수가 존재하고 있는 만의 입구쪽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만의 안쪽에서는 거의 고갈된 농도를 보인다. 인산염은 하계의 경우 염분과 상반된 분포를 보이며, 춘계의 경우 만 입구쪽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면 추계와 동계에는 거의 고갈된 농도를 보인다. 규산염은 하계의 경우 염분과 상반된 분포를 보이나 나머지 계절에는 염분과 유사한 분포양상을 보인다. 용존무기질소는 하계의 경우 만의 전 해역에서 생물생산의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으나, 나머지 계절에는 만의 안쪽 해역에서만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인산염은 추계와 동계에는 전 해역에서 생물생산을 제한하고 있으나, 춘계의 경우는 만의 안쪽 해역에서만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규산염의 경우는 담수의 공급량이 작은 동계와 춘계에 만의 안쪽 해역에서 규조류의 생산을 제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인산염과 규산염은 하계의 경우 염분과 부(-)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주로 담수의 유입에 의해 만내로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계절에는 용존무기질소와 규산염의 농도가 염분과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용존무기질소 및 규산염 농도가 비교적 높은 외해수가 만내로 유입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In order to see the seasonal variation of nutrients and the limiting factors to the primary productlon in Deukryang Bay, both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nd salinity were measured in the suface waters during the periods from July 1992 to March 1993. The mean value of salinity was the lowest in fall and the highest in early spring.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was the highest in winter and the lowest in summer. However, both phosphate and silicate were the highest in summer and the lowest in fall. Salinity was generally higher in the outer region than in the inner region of the bay. DIN content was nearly depleted (less than 2μM) in summer. From fall to spring, DIN content was nearly depleted in the inner region and relatively high in the outer region of the bay. Phosphate was the highest in summer showing an opposite distribution pattern to salinity, and it was nearly depleted (less than 0.1μM) in fall and winter. In spring, however, phosphate content was slightly high in the outer region. Silicate content showed an opposite distribution pattern to salinity in summer. In other seasons, however,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ilicate was similar to the salinity. DIN seemed to be a limiting factor for the primary production at all area of the bay in summer and at the inner region in other season. However, phosphate seemed to be a limiting factor at all area of the bay in fall and winter and at the inner region in spring. Silicate may limit the production of diatoms at the inner region of the bay in winter and spring. Both phosphate and silicate showed a good inverse relationship with salinity in summer, which indicates inputs of these nutrients from the freshwater runoff. In the other seasons, both nitrate and silicate show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salinity in the outer region of the bay, suggesting that these two nutrients were mainly supplied by the inflow of the offshore costal water which had high nitrate content associated with vertical mixing.

      • KCI등재

        봄철 동해에서 해수중 210Po과 210Pb의 농도분포특성

        양한섭 ( Han Seob Yang ),김성수 ( Soung Soo Kim ),이재철 ( Jae Chul Lee ) 한국수산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2

        1993년 3월에 통해 중부해역에 위치한 6개 정점의 100m 상부층에서 210Po과 210Pb의 수직농도분포를 측정하고, 이들 두 핵종의 거동이 수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1992년 5월과 1994년 4월에 동해에서 측정한 자료들을 이용하여 봄철에 동해의 상부층에서 210Po과 210Pb의 거동을 지배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210Pb의 농도는 정점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표층에서 가장 높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210Po의 농도는 층별 차이가 매우 작으나, 클로로필 a의 농도가 가장 높은 정점 E3에서는 30m 상부층이 하부층에 비해 비교적 낮다. 또한 210Po은 모든 정점의 30m 상부층에서 어미핵종보다 부족량을 보이나, 그 하부층에서는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이거나 혹은 다소 과잉량을 보인다. 특히, 상부층에서 210Po의 부족량은 클로로필 a의 농도가 가장 높은 정점 E3과 강한 수온약충이 상부층에 존재하고 있는 정점 E6에서 가장 크다. 그러나 210Pb은 전 정점의 모든 수층에서 어미핵종인 226Ra보다 과잉량을 보인다. 210Po의 체류시간은 1.0~7.8년의 범위로 클로로필 a의 농도가 높은 정점 E3와 비교적 강한 수온약층이 상부층에 존재하고 있는 정점 E6에서 가장 짧다. 또한,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봄철에 동해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50m 상부층에 대한 210Po의 제거속도상수와 클로로필 a의 현존량과 사이에는 좋은 역의 상관성을 보인다. 이는 봄철에 동해에서 해수중 210Po의 제거가 주로 생물생산력에 의해 좌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과잉량 210Pb의 현존량은 해수의 수직안정도와 역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동해의 상층부에서 210Pb의 농도는 생물생산력 보다는 주로 해수의 수직안정도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Vertical profiles of 210Pb and 210Po were measured for the upper 100m of water column at six stations in the middle region of the Korean East Sea during March 1993.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se radionuclides with the water mass and controlling factors on their distributions were also discussed. 210Pb activities were generally high at surface water and gradually decrease with depth. Vertical profiles of 210Po were relatively homogeneous except for at station E3, where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and 210Po activity in the upper 30m was lower than below 50m. The 210Po activities relative to its parent 210Pb at all stations were deficient at the upper 30m, but were excess or nearly equilibrated values below 50m. The magnitude of 210Po deficiency was relatively high at station E3 and E6, where strong thermocline occured. However, 210Pb activities showed strong excess in the upper 100m of all stations, compared with its parent 226Ra. The residence time of 210Po ranged from 1.0 to 7.8 years, and was relatively short at station E3 and E6. The data obtained at the upper 50m water column during 1992~1994, also showed that removal rate constant of 210Po and inventories of chlorophyll-a was negatively related. This indicates that the primary prod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distributions of 210Po at the upper water column of the Korean East Sea in spring. While, inventories of excess 210Pb was generally decreasing with increasing density difference between 50m and 100m, suggesting that 210Pb concentrations in the upper water column were controlled by stability of water column.

      • KCI등재

        밀양산 꾸지뽕 나무(Cudrania tricuspidata Bureau)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최덕주,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김성수,윤예리,Choi, Duck-Joo,Lee, Yun-Jung,Kim, Youn-Kyeong,Kim, Mun-Ho,Choi, So-Rye,Kim, Soung-Soo,Youn, Aye-R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4

        밀양산 꾸지뽕 나무의 부위별(잎, 줄기, 뿌리, 열매) 건조 시료의 분석을 통해 꾸지뽕 나무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 물질 등의 기능적인 부분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꾸지뽕 나무의 부위별 일반성분의 경우 지방은 1.3~5.9 g/100 g, 단백질은 6.3~18.7 g/100 g, 회분은 2.8~9.0 g/100 g 이었다. 식이섬유 함량은 줄기가 69.2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뿌리 부분이(49.9 g/100 g), 잎(45.5g/100 g), 열매(15.6 g/100 g) 순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성분(Ca, Fe, Mg, Na, P, Zn)은 전반적으로 잎 부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잎이 571.3 mg%로 다른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큰 함량을 보였고, 뿌리 311.7 mg%, 열매 183.4 mg%, 줄기 162.1 mg%로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에도 잎이 가장 높았으며, 뿌리, 열매,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p<0.05). 전자공여능 또한 잎의 경우 83.55%로 다른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뿌리 부위로 67.76%, 열매 58.27%, 줄기 56.44%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분석 결과 꾸지뽕 나무의 잎, 열매, 줄기, 뿌리 모두에서 항산화 활성이 55% 이상 이었으며, 특히 잎 부위의 무기성분, 폴리페놀과 항산화 물질의 함량이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꾸지뽕 나무를 부위별로 이용하여 제품화된 차나 건강보조식품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성 식품과 의약품 등으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Various parts of Kkujippong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tree (leaves, stems, roots, and fruit)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properties. The general components of Kkujippong tree were fat 1.3-5.9 g /100 g, protein 6.3-18.7 g /100 g, and ash 2.8-9.0 g /100 g. The fiber content of the stem was the highest amount at 69.2 g/100 g, followed by protein in the roots (49.9), leaves (45.5), and fruit (15.6). In addition, Kkujippong tree was found to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several minerals (Ca, Fe, Mg, Na, P, Zn) in the leav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aves than in other areas at 571.3 mg% (p<0.05).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also highest in the leaves at 83.55%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