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농가구의 농업소득 결정요인

        김새봄 ( Sae Bom Kim ),정진화 ( Jin Hwa Jung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7 農業經濟硏究 Vol.58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agricultural income of returning farmer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Heckman`s two-step method is applied to the survey data of 192 returning farmers who have settled in rural areas and 251 potential returning farmer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farming experiences of returning farmers and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s increased agricultural income. By contrast, neither formal schooling nor motivation for rural mig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gricultural income of returning farmers. Notably, the age of returning farmers and agricultural income illustrate an inverted-U relationship, wherein agricultural income reaches its peak in the late 40s, and subsequently declines. Agricultural income increases as size of land increases. On the contrary, agricultural incom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size of off-farm income of returning farm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higher agricultural income, policies should be directed towards promoting participation of returning farmers in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s, while developing strategies for easing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expanding the area of cultivated land.

      • KCI등재

        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김새봄 ( Kim Sae Bo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회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 또는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거주 노인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사회참여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참여도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끼쳐, 노인의 우울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울은 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는 실천적으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 확대 및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에 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11 elderly people in Busan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volunteer activities or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higher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In addition, a higher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It turned out that depression had negative effects on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so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Lastly, the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s of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s were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Since then,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which can prevent depression and expand social participation that influences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of the elderly, and the necessity for the efforts in local community to activate those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이민자의 보유자원이 자녀의 교육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새봄 ( Sae Bom Kim ),정진화 ( Jin Hwa Ju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0 여성경제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국내 여성 이민자의 보유자원이 만 18세 이상 자녀의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여성 이민자의 인적자본(교육수준 및 한국어능력)과 민족적 자본(국내 출신국가별 외국인인구의 평균 교육수준)이 자녀의 성별에 따라 대학진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주목하였다. 분석자료는 2012년과 2015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여성가족부·통계청) 원자료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자료(통계청)를 결합한 자료이며, 실증분석에는 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이민자 어머니의 민족적 자본과 한국인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성별에 관계없이 대학진학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이민자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자녀의 대학진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녀가 중도입국한 경우 대학진학 확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민자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직업, 한국인 아버지의 직업과 경제력이 자녀의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민자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직업은 딸의 대학진학 확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아들의 대학진학 확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국인 아버지의 직업이나 경제력(월평균 임금)은 아들의 대학진학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딸의 대학진학 확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human capital and ethnic capital of immigrant mothers (married to Korean-born males) on their children’s college entrance in South Korea.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binary logit model was applied to the combined data of the two waves of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2015) and the 20% sample data of Korea Population Census for 2015. The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at, regardless of children’s gender, immigrant mothers’ ethnic capital (the average educational level of foreign population by country of origin) and Korean fathers’ education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children’s probability of entering college. By contrast, immigrant mothers’ education level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ren’s college entrance. In addition, foreign-born children’s probability of entering college was lower than that of Korean-born children. Immigrant moth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occupation had different effects for sons and daughters, and so did Korean fathers’ occupation and monthly earnings. Immigrant mothers’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occup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obability of their female children entering college, but not their male children. In contrast, Korean fathers’ occupation and monthly earning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hildren’s college entrance for sons, but not for daughters.

      • 군 장병 턱관절 장애 환자의 습관적 요인 분석

        새봄 ( Chae Sae Bom ),이연희 ( Lee Yeon Hee ),한울 ( Kim Han Wool ) 국군의무사령부 2019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50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predisposing factors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TMD) between military personnel and civilian in their 20s. Methods; To find out the behavioral and habitual characteristical difference between military soldiers and civilian on TMD, patients who visited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 clinic of Armed forces Yang-ju Hospital and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1, 2018 to December 31, 2018, were included. They were all male patients with TMD in their 20s(under the Korean military obligatory services age) and evaluated with diagnostic analysis charting and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by student's t-test and chi square test. Results; A total 381 patients with TMD was consisted of 182 TMD patients of military personnel and 199 TMD patients of civilian. In habitual characteristic, side/stomach sleeper, unknown clenching, chin buttress, eccentric jaw movement habit, lip/finger tip biting habi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ilitary personnel. In aggravating factors, cold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litary personnel. In diagnosis, myos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capsulit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litary personnel. Conclusions; Enhanced understanding of behavioral and habitual characteristics in TMD patients of military personnel would be helpful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MD in ROK military dentistr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인적자본과 취업: 출신국가에 따른 비교

        김새봄 ( Sae Bom Kim ),정진화 ( Jin Hwa Ju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6 여성경제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인적자본과 취업과의 연계성이 출신국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특히 인적자본의 전이성에 초점을 맞추어 결혼이주여성의 모국 인적자본이 국내 취업 및 취업직종에 미치는 영향을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 중국(한국계) 출신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한다. 분석자료는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여성가족부ㆍ통계청) 원자료이고, 한국어능력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2단계 추정법을 사용하여 취업 여부 및 취업직종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국에서의 대졸학력은 출신국가群에 관계없이 국내 전문직 취업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모국에서의 취업경험은 OECD 비회원국의 전문직 취업확률을 높이고 회원국의 비전문직 취업확률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냈다. 한국어능력은 OECD 비회원국 출신의 전문직 취업확률과 중국(한국계) 출신의 비전문직 취업확률을 유의하게 높였다. 출신국가에 따른 이러한 차이는 결혼이주여성의 다양성을 감안한 취업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nexus between human capital and employ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with the specific focus on the transferability of human capital. The employment effect of human capital accumulated in home country on the employment status in the Korean labor market was compared across different country groups. Taking into account the endogeneity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wo-stage estimation method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college education in home countr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employment in professional jobs; this holds true for all country groups. Furthermore, the employment experience in home country and proficiency in Korean als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holding professional jobs for female immigrants from non-OECD countrie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employment support policie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need to address these diversities with regard to different country groups.

      •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의 조절효과

        김새봄(Sae-Bom Kim),박완경(Wan-Kyeong Park) 한국보건복지학회 2023 보건과 복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사회적배제와 건강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 관계가 사회자본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7, 10, 13, 16차 조사에 모두 응답한 45세 이상 장애인 3,649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tata 17.0을 활용하여 GLS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장애인의 건강수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사회적 배제와 사회자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가 증가할수록 장애인의 건강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내 사회자본 모두 건강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배제와 건강의 관계는 지역사회 내 사회자본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사회자본의 개발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examine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social capital. To achieve this goal, th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a sample of 3,649 disabled individuals aged 45 and above who responded to the 7th, 10th, 13th, and 16th survey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Generalized Least Square(GLS)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a 17.0.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sistently improved over time. Second, bot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capital decreased over time. Third, social exclu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urth, both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status. Fifth,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to improve th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 social capital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적 배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새봄(Kim, Sae-Bom),최송식(Choi, Song-Sik)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와 신체적 건강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영향을 확인하고, 노인의 우울 감소를 위한 사회적 배제 완화 및 신체적 건강증진 방안에 대한 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 10,08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과 Mplus 8.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제배제, 주거배제, 사회활동 배제, 사회적 관계 배제는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 주거, 사회관계 배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신체적 건강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사회적 배제 완화 및 신체적 건강증진을 통해 노인의 우울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physical health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mitigating social exclusion and improving physical health for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study utilized the 2017 Korean National Survey on the Elderly and the data of 10,082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SPSS 25.0 and Mplus 8.0 software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exclusion of economy, housing,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2) the physical healt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lusion of economy, housing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regarding the means of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through mitigating social exclusion and improving physic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