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도박특성이 향후 도박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완경(Wan-Kyeong Park),이수비(Soo-Bi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최근, 청소년 도박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도박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도박참여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에서 실시한 2018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 10,228명을 대상으로 χ²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학년, 용돈, 부모의사소통은 향후 도박참여의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박특성 중 도박심각성 및 지출인식, 도박참여빈도, 도박참여시간, 도박비용, 추격행동경험, 문제도박 수준이 향후 도박참여의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학년, 도박심각성인식, 도박빈도, 추격행동, 문제도박수준이 향후 도박참여의향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도박문제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Recently, gambling problem of youth has seriously in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and gambling characteristics on the future gambling 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alysis through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0,228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ed in the 2018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given from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s factors, sex, grade, allowance and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future gambling participation intention. Second, among the gambling factors, awareness of gambling seriousness and spending, frequency, time, cost, chasing behavior, problem gambling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future gambling 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grade, awareness of gambling seriousness, gambling frequency, chasing behavior, problem gambling predicted the occurrence of future gambling participation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gambling proble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물질사용경험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완경(Wan-Kye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물질사용경험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조절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에서 청소년 도박예방 모델 개발을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 1,500명을 대상으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과 용돈수준에 따라, 독립변수에서는 물질사용경험과 비합리적 도박신념 수준에 따라 문제도박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질사용경험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증가할수록 문제도박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회귀분석 결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문제도박에 대한 물질사용경험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물질 사용 및 도박문제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stance use experience with adolescents on the problem gambling and to verify moderating effect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 part of data from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in which 1,500 adolescents participated was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s factors, sex, monthly allowanc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 substance use experience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roblem gambling. Second, substance use experience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tended to increase problem gambling. Third, the interaction of substance use experience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use experience and problem gambl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measures to manage substance use and to prevent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성인의 문제음주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완경 ( Park Wan Ky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1

        적절한 음주는 대인관계 및 정신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이를 제어하지 못할 경우, 다양한 심리사회적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문제음주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문제음주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규모 할당표집을 실시하여 20, 30대 성인 54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음주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음주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정신건강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능력은 정신건강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제음주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20, 30대 성인의 문제음주 완화, 대인관계능력증진 및 정신건강 강화를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Adequate drink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but if it is not controlled, it can cause various psychosocial side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ffect of problem drinking on mental health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mental health in adults. For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rough nationwide quota sample,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549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 drinking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y ha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inally, interpersonal competen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discussed practical suggestions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mental health and to alleviate problem drinking in adult in their 20’s and 30’s.

      • KCI등재

        대학생의 사이버 폭력경험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박완경(Park, Wan-Kyeong),윤명숙(Yoon, Myeong-S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4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사이버 따돌림, 사이버 언어폭력 등 사이버 관계에서 경험하는 사이버 폭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현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대상자의 64.2%가 사이버 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사이버 폭력경험에 따른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 폭력을 경험한 집단은 성인애착의 하위유형인 불안애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능력 점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사이버 폭력경험과 대인관계능력 간관계에서 성인애착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 폭력을 경험한 대학생의 경우 불안수준이 높아지고, 성인애착불안수준이 높아질수록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 폭력을 예방하고,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derating role of adult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viol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obtained from 623 university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64.2% prevalence rates of cyber bullying. Second, cyber violenc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The cyber violence group showed more higher anxiety level and more lower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Third, adult attachment worked as full mediators between the cyber viol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 문제도박, 비행의 관계: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완경 ( Park Wan-kyeong ),이수비 ( Lee Soo-b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2

        청소년 비행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추후 성인기 범죄로 이어질 수 있어 사회복지적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의 원자료 중 일부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학교 생활부적응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도박의 매개효과와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에서 수행한 청소년 도박예방 모델개발 연구의 원자료를 일부 활용하여 청소년 1,50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과 비행의 관계에서 문제도박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과 문제도박의 관계에서 충동성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부적응이 문제도박을 매개하여 비행을 강화하는 경로는 충동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충동성을 관리하고 학교생활부적응, 문제도박 및 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required because juvenile delinquency has increased and also there is a concern that juvenile delinquency would develop adult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gambling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impulsivity in the effect of school maladjustment on delinquency. A part of data from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in which 1,500 adolescents participated was analyz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blem gambling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chool maladjustment and their delinquency.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impulsivi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school maladjustment and problem gambling. Third, the way of adolescents' delinquency's being reinforced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impulsivity when adolescents' school maladjustment mediated problem gambl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measures to manage impulsivity, and to prevent school maladjustment, problem gambling and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완경(Wan-Kye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와 관련된 심리사회적 특성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1,197명의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t-test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우울, 가족지지,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학업중단의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특성 중 우울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의도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희망교육수준, 사회적 특성 중 가족지지와 교사관계가 높을수록 학업중단의도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중단예방 및 정신건강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with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the school dropout intention. A part of data from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which 1,197 multicultural adolescents participated was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self-esteem, depression, family support, teacher relationship and friend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chool dropout intention. Second, among the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tended to increase school dropout intention. Third, among the demographics factors, desired education level, among the social factors, family support and teacher relationship tended to decrease school dropout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measures to manage mental health and to prevent school dropout inten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SNS 중독성향 연구

        윤명숙(Yoon, Myeong-Sook),박완경(Park, Wan-Kyeo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3

        최근 들어 우리 사회의 급속한 인터넷 보급으로 인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SNS 이용과 이에 따른 부작용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충북 및 전북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0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틀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 연령, 하루 SNS 이용빈도, 하루 SNS 이용시간, SNS 지속시간에 따라 SNS 중독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 20~21세 집단, SNS를 매일 이용하는 집단, 하루 3시간 이상 SNS를 이용하는 집단, SNS를 3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집단이 SNS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 SNS 친구 수가 많을수록, SNS 이용시간이 길수록, SNS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대학생이 지각하는 우울 수준과 외로움 수준이 높을수록, 친구애착이 낮을수록,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SNS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SNS 중독문제에 대한 개입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 등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Data were obtained from 709 university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tepwis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20-21 years old, daily SNS use, more than 3 hours use of daily SNS, more than 3 hours constantly SNS use showed more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female, more numbers of SNS friends, more time of SNS use, higher depression, higher loneliness, lower peer attachment, lower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up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developing comprehensive intervention services of SNS addiction also develop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 of SNS addi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및 비수도권 비교 연구

        김새봄(Kim, Sae Bom),박완경(Park, Wan Kyeo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간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고 지역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7~15차 자료를 활용하여 45세 이상 중고령 장애인 10,20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단 분석을 위해 GLS의 고정효과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박탈수준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았으며,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경제적 박탈은 우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 박탈과 사회적 박탈은 수도권 및 비수도권에서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강·의료박탈은 비수도권 지역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장애인의 다차원적 사회안전망 구축 및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depression of middle and old-aged people with disability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w data(7th-15th) from 10,206 people with disability aged 45 or older collected in research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For longitudinal data analysis, a Fixed effects model of GLS(Generalized Least Square) was adopt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and old-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metropolitan area showed higher depression than the on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and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on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Second, experiences with socioeconomic deprivation had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changes in both groups. Third, dietary deprivation, social deprivation had influence on the depression both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on the other hand, Health and medical depriva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only in the non-metropolita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discussed that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need in order to build a multidimensional social safety net and enhance mental health in middle and old-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중장년층의 다차원적 박탈이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 :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종단연구

        이수비(Lee, SooBi),박완경(Park, Wan-Kyeo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박탈 경험이 문제음주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7개년도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하여 40-64세 이하의 중장년층 3,975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장년층의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잠재집단은 3개의 잠재집단으로 나타났다. 이 변화유형의 특징에 따라 ‘낮은수준 음주유지군’, 사교음주 수준의 ‘중간수준 음주감소군’, 문제음주 수준이 높은 ‘위험음주 유지군’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분류된 중장년층의 문제음주 변화유형에 미치는 다차원적 박탈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사회보장 박탈’과 ‘사회적 박탈’ 경험이 많을수록 준거집단 기준과 상관없이 ‘위험음주 유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주거 박탈’은 준거집단이 ‘중간수준 음주감소군’일 경우에 ‘위험음주 유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장년층의 문제음주 변화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접근법과 문제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울 때 다차원적 박탈의 영역별 취약집단을 함께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meaning the experience of deficiency in various living areas, on the longitudinal change type of problem drinking, targeting the mid-old age. This study conducted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total 3,975 mid-old age people in their 40-64, by using the 7th-year Korea Welfare Panel from 2013 to 2018. In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total three latent groups of problem drinking developmental trajectory in mid-old 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type, they were classified into ‘low-level drinking maintenance group’, ‘moderate-level drinking decrease group’ in the social drinking level, and ‘High-risk drinking maintenance group’ with high level of problem drinking.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on the change type of problem drinking d in the classified mid-old age, when there were more experiences in ‘deprivation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deprivation’, regardless of the reference group criteria, it was highly possible to belong to the ‘High-risk drinking maintenanc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deprivation’ showed the high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High-risk drinking maintenance group’ only when the reference group was the ‘moderate-level drinking decreas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fferentiated approach of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change type of problem drinking in mid-old age, and that the vulnerable group by each area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establishing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decrease of problem drinking.

      •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의 조절효과

        김새봄(Sae-Bom Kim),박완경(Wan-Kyeong Park) 한국보건복지학회 2023 보건과 복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사회적배제와 건강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 관계가 사회자본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7, 10, 13, 16차 조사에 모두 응답한 45세 이상 장애인 3,649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tata 17.0을 활용하여 GLS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장애인의 건강수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사회적 배제와 사회자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가 증가할수록 장애인의 건강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내 사회자본 모두 건강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배제와 건강의 관계는 지역사회 내 사회자본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사회자본의 개발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examine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social capital. To achieve this goal, th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a sample of 3,649 disabled individuals aged 45 and above who responded to the 7th, 10th, 13th, and 16th survey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Generalized Least Square(GLS)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a 17.0.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sistently improved over time. Second, bot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capital decreased over time. Third, social exclu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urth, both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status. Fifth,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to improve th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 social capital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