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革菴 金瀅植의 삶과 시문학에 대한 일고

        김새미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1 No.-

        This paper studied the life and poetry literature of Hyukahm Kim Hyung-Sik. Hyukahm Kim Hyung-Sik is an intellectual from Jeju Island who lived the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His family is a meritorious one and they had lived in Chocheon through many generations. His father is Kim Mun-Ju who served the highest post of Cheongeui-hyun region (currently south east part of Jeju Island); and his brother is Kim Myung-Sik who was very well known as a journalist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rule. He studied in Meiji University and he held erudite knowledge for several languages. Moreover, he perceived keenly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s under way at that time. Even though he perceived the reality sharply, he chose a life to observe the ongoing situations of society with one step back rather than changing the reality through an active involvement. This made a great contrast with his brother Kim Myung-Sik who strived to change the reality by participating in the reality with an active engagement. Kim Seok-Ik, a colleague of Kim Hyung-Sik, evaluated that the literature of Kim Hyung-Sik presented the consistent unity between his deeds and words. Kim Hyung-Sik can be categorized a figure that belongs to the School of Nosa. While the School of Nosa resisted against the Japanese rule using armed forces in the beginning of the rule, it later made an effort to change society through education. The double edged tendencies made by the School of Nosa were confirmed in his poems. One is to reflect the wills to change actively the reality; and the other is to behave by escaping difficulties. This is clearly confirmed in his two pen names: hyuckahm and piae. Through the poems of Kim Hyung-Sik, it is identified that hyuckahm reflects his imagination for the reality whereas piae mirrors his behaving considering the reality. The pen name of hyuckahm indicates that Kim Hyung-Sik wished to change whatever things. It is a bow and a knife that he thought of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n order to change the dark situation. This shows following the character of armed resistance by Nosa School. Moreover, he was fully aspired to change certain things starting from the Movement of March First. Nevertheless, the reality was so harsh that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not able to find enough locations to be situated in such a harsh situation. Kim Hyung-Sik also had to face that situation. His frustration in shadow was deeply reflected in his poems with the metaphors of an alcohol, tears, and friends. This can be read as the frustration and despair among young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rule being all surfaced, those who had to learn first to escape from difficult situations rather than to fight the reality. Furthermore, this is what should be remembered as an intellectual fight through literature against the Japanese rule. 본고는 혁암 김형식의 삶과 시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혁암 김형식은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제주의 지식인이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조천에 세거하던 제주의 벌열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정의현감을 지낸 김문주였고, 그의 동생은 일제강점기 항일 언론인으로 이름을 떨쳤던 김명식이었다. 그는 明治大學에 수학했고, 여러 언어에 능통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에 일어나고 있었던 복잡한 시국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의 삶과 처신의 관점은 『반도시론』의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현실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현실을 바꾸는 것 보다는 한 걸음 물러서서 시류를 읽는 방향의 삶을 선택하였다. 이는 동생 김명식이 적극적으로 현실에 참여하여 바꾸려는 행동을 했던 것과는 분명히 대비된다. 김형식의 문학에 대해서 동료 김석익은 실질적이면서도 말과 행동이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평가하였다. 김형식은 노사학맥의 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 노사학맥은 일제강점기 초기 무력으로 저항하기도 했지만, 후에는 교육을 통한 변화를 모색하였다. 노사학맥의 이런 양면적인 경향은 그의 시에서 그대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시대를 적극적으로 바꾸려는 의지를 표현한 작품이고, 또 하나는 어려움을 피하면서 처신하는 것이었다. 이는 ‘革菴’과 ‘避碍’라는 김형식의 호에서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김형식의 시를 통해 볼 때, 그의 현실적 상상은 ‘革菴’이었지만, 현실적 처신은 ‘避碍’였다. 혁암이라는 호에서 보듯, 김형식은 무엇인가를 바꾸고 싶었다. 일제강점기 상황에서 바꾸기 위해 그가 생각했던 것은 활과 칼이었다. 이는 노사학맥의 무력항쟁의 성격을 잇는 면이 있다. 그리고 3.1운동을 기점으로 무엇인가를 바꾸어 보자는 생각도 팽배했었다. 하지만 현실은 매우 냉혹하였다.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은 발을 붙일 곳이 많지 않았다. 김형식 역시 그러하였다. 그의 좌절의 그림자는 술, 눈물, 친구를 통해 짙게 표현되었다. 이는 현실을 바꾸려는 것보다는 피하는 것을 먼저 배워야했던 젊은 지식인층의 울분이 드러난 것이었다. 그리고 이는 일제를 향한 하나의 文鬪로 기억해야할 부분일 것이다.

      • KCI등재

        신지역주의 관점에서 본 EU-동아시아 문화교류 연구: ECoC와 CCEA 교류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새미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ent change in the European Union(EU)’s strategy for international cultural relations centered on new regionalism, and analyzes its approach from a cultural perspective between EU and East Asia.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changes in Asia’s cultural exchange policy and seek Korea’s possible responses to them as well as contemplate the changes in cultural exchange policies through examples of ASEF, ECoC and CCEA. The political culture approach to Regionalism has moved beyond the traditional sphere of economic and security issues to include and expand to matters of cooperation between cities, face-to-face contact and exchange between citizens. EU’s cultural exchange was construed through the Asia-Europe Foundation (ASEF), starting from the initial regionalism approach. It is now acting as a global actor and at the same time, it is gradually evolving to take on a more pragmatic form to reflect the Member states’ interests.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n-going Korea-China-Japan’s CCEA in relation with the EU’s expansion of ECoC from the neo-regionalism approach. Henceforth,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that Korea can take as the center of East Asia’s cultural exchange. 본 연구는 최근 유럽연합 대외관계 전략에서 나타난 변화를 신지역주의(New Regionalism) 관점에서 주목하고,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하는지 EU와 동아시아 문화교류 중심으로살펴보았다. 이에 ASEF와 ECoC⋅CCEA 사례를 통해 아시아 문화교류 정책에서 변화를고찰하고 새롭게 나타나는 신지역주의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신지역주의에서 나타나는 정치문화적 측면은 경제⋅안보 전통적 분석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도시 간 협력, 면대면 접촉과 시민들과교류하는 형태로 확대되어 나타난다. EU는 이러한 특성을 만들어내는 주요 행위자로서여러 정책분야에서 반영되고 있는데, 2016년 발표한 ‘국제문화관계를 위한 EU전략(Towarads an EU strategy for international cultural relations)’을 분석해 볼 때, 기존의 규범적 의제를 넘어 EU 회원국들이 이해가 반영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을 중시하는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다. EU와 아시아 문화교류는 ASEF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나, 현재 동아시아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중일의 문화도시(CCEA)와 EU 유럽문화수도(ECoC)와의 교류 가능성을EU에서 적극적으로 타진해 보는 점을 근거로 EU 정책안에서 신지역주의 경향과 실리적 접근이 강하게 추동되고 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EU와 동아시아의 문화교류에서 한국이 교류의 중심행위자로서 수행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해서도 탐색하고 있다.

      • KCI등재

        도시재생에서 나타난 문화접근법의 대안: 시민성 회복으로서의 문화 공간

        김새미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 문화와 정치 Vol.5 No.2

        This paper claims that a cultural space needs to be constituted as a place for the restoration of citizenship, in which art and culture enrich the individuals’ life in a city. The conception of cultural space concerns the question of how a city and local people can embrace art and culture for urban regeneration. This article suggests two propositions. First, urban regeneration should focus not simply on an environmental change of living spaces, but also on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with a social consensus leading to local pride. Second, it should provide everyday opportunities for the local peop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art and culture. Thereby, they can become autonomous citizens who actively practice a life of conviviality. Through critical analyzation of the case study of Chang-dong, means of restoring citizenship through cultural space in urban regeneration can be found.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 재생(regeneration)은 전 세계에서 이미 보편적 현상이 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관찰되는 문화예술의 과중한 역할, 무분별한 문화도시 담론은 자본으로 인한 불평등과 사회적 배제, 문화격차, 재생공간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질감 등의 역설적 상황을 발생시켰다. 이에 최근 ‘개발’중심의 도시재생과 문화예술의 도구적 입장에 대해 비판적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이 글은 문화예술과 개인의 삶이 도시라는 공간에서 만날 때, 문화공간은 시민성 회복으로서의 장소로 조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사회를 누가 어떻게 구성하며 문화예술을 어떻게 연관시키느냐에 대한 문제와 연결되는데, 지역민에 근거한 도시재생으로 귀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재생에서는 첫째, 재생을 통해 주거공간의 환경변화뿐 아니라 공동체가 회복되고 주민의 자긍심으로 연결되는 공감대를 형성해야 하며, 둘째,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통해 서로 교류하고 이해함으로써 공생의 삶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주체적 시민으로서 성장하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에 창동의 사례를 비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시재생에서 문화공간이 시민성을 회복하고 지역과 어우러지는 장소로 작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유럽에서 신한류(New Korean Wave) 확장성 연구

        김새미 한독사회과학회 202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3 No.1

        본 연구는 2020년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 계획’에서 추진된 ‘신(新)한류(K-Culture)’정책과 현 정부에서 추진하는 ‘케이콘텐츠(K-Contents)’ 정책의 의미를 분석하고,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권역에서 한류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본다. 디지털 환경에서 한류콘텐츠 생산 이슈, 구체적으로 유럽에서의 한류 소비 형태와 영상 엔터테인먼트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포맷(format) 수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유럽시장에서 한류콘텐츠가 어떠한 흐름으로 소비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영국의 한류 소비에 중점을 두고 유럽 시장에서 한류의 지속적인 소비와 성장 가능성을 평가한다. 분석 결과, 유럽에서 한국 콘텐츠에 대한 생산과 소비(수용)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생산 측면에서 현재 한국 콘텐츠는 유럽 각국에 IP 수출되어 현지화 작업을 통해 방영 중이며, 각국을 대표하는 주요 방송국에서 상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콘텐츠 수출 방식은 유럽에서의 한국 콘텐츠 유통을 확장시킨 반면, 현지 제작과 투자를 통한 이윤 극대화의 필요성이 점차 제기되고 있다. 소비 측면에서는 몇 년 전만 해도 비주류 서브컬처로 여겨졌던 한류 문화가 영국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일상적 주류 문화로 변화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진행과정에서 한국 콘텐츠를 더 많이 접하고 다른 한류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와 소통할 수 있는 접근성 높은 채널로써 SNS와 유튜브가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류 정책은 한류 생산자가 디지털 미디어 변화에 적응하도록 돕고 한류 수용자가 다양한 한류 소비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한류 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the 'New Korean Wave (K-Culture)'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2020 'New Hallyu Promotion Policy Promotion Plan' and evaluates the current government’s K-Contents policies and the expansion potential of the Korean Wave in Europe with a focus on the United Kingdom (UK). Specifically,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rends in the consumption of video entertainment contents in the European market by analyzing the current staus of copyrighted Korean video contents available to European consumers.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assessed whether and how the Korean Wave will continue to grow and be consumed in the European new media environment,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consumption of the Korean Wave in the UK.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Korean contents are being produced and consumed(received) in Europe in diverse forms. In terms of production, Korean contents are currently being broadcasted through exports of intellectual property (IP) to European countries, which are then localized and broadcasted, often on major broadcasting stations of each country. While this form of content exporting has expanded the distribution of Korean contents in Europe, it has started to raise the need to maximize profits through local production and investment. Regarding consump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from being a non-mainstream subculture even just five years ago, K-culture is now perceived as a mainstream culture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UK and beyond, and that social media and YouTube contributed to this development by providing accessible channels for consumers to explore their interest in K-contents and communicate with other consumers as well as the producers.

      • KCI등재

        난민과 공생: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관계 맺기

        김새미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0 문화와 정치 Vol.7 No.1

        한국은 아시아 최초로 난민법을 시행한 국가로서, 난민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체계와 법적 장치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한국이 난민에 대해 ‘열린 사회’로 불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제도는 존재하지만 수용범위가 제한적이며, 난민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지 정책적 ․ 문화적으로 사회적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연유로 현재까지 난민에 대한 주된 논의는 인권과 주권의 영역에 머물러왔다. 난민의 입국요청은 지속될 수 있으며, 포용국가를 지향하는 한국사 회에서 영토 안에 들어온 이방인을 어떻게 수용할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따라서 이 글은 난민에 대한 사회적 포용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특히 시민과 난민의 사회적 거리를 좁히고 새로운 관계를 맺는 방안으로서 문화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와 포용의 의미를 살펴보고, 공생(conviviality)의 틀을 구성하여, 선행적 경험이 많은 유럽과 영국 사례를 통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국 카운터포인트아츠(Counterpoints Arts) 의 난민 관련 문화예술 활동을 공생 틀에 적용하여 검토한 결과,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성과 평등의 가치를 공유하고 서로의 입장에 서서 상대방을 바라보게 하는 좋은 매개체로 작동하고 있었다. 문화예술 접근법은 개인의 사고 확장과 사회적 결속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생사회를 이루는 실천적 대안임을 제언한다. As the first country in Asia to implement the Refugee Act, South Korea has established a practical protection system and a legal mechanism to protect the refugees. But there is a limit to how far Korea can be called an “open society” for the refugees. The system exists, but only with a limited scope of acceptance. Also, there is an absence of social consensus on how to approach the refugees, psychologically, culturally or policy-wise. For this reason, the main discussion of the refugees so far has only proceeded under the concept of human rights and national sovereignty. However, South Korea, as a nation aspiring to be inclusive, is at a point in time where it needs to think about how to accommodate the strangers within its territory, as the refugees’ request to enter the country continues.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seek the direction of social engagement of the refugees. In particular, it suggests a cultural approach to narrow down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citizens and refugees and form new relationships. To this end, we look at the meaning of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present the framework of conviviality, and discuss it through the cases of the U.K. and several other European countries with prior experiences. Using the framework of conviviality, we analyze the refugee-related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at Coun-terpoint Arts in the U.K. and find that such activities work as a good medium to share the values of diversity and equality. Moreover, they facilitate reciprocal understanding between people. Thus, the arts and cultural approach may be a practical alternative to achieve a convivial society as it can contribute to expansion of one’s mind and enhance social cohesion.

      • KCI등재

        영국 극우정당 성장의 사회문화적 요인: 2014 영국독립당(UK Independence Party)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새미,최진우 한국유럽학회 2016 유럽연구 Vol.34 No.1

        This paper examines UK Independence Party’s rise in the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in 2014. It is common assumption that the emergence of extreme right party could be affected by the economic situation and the election system. However, sociocultural factors have not been seen as major cause behind the rising support for UK Independence Party. This paper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he growing support across the nation for extreme right party lies in “Britishness” and Britain’s sociocultural backgrounds. As can be seen in the instance of UK Independence party’s entry in to the 2014 European Parliament, the election system can be seen as a positive influence whereas economic factors play a minor role. On the other hand , the play on sociocultural perspective “Britishness” achieves considerable returns for the elections. The sudden increase in immigrants in Britain as well as the policies in multiculturalism was recognized as threat to the identity of British society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elections. This demonstrates that when the sociocultural factors fail to strengthen social integration, conservatism is fortified and liberal attitudes weakened in turn implying that multicultural policies could prove to play a significant influence. 영국의 극우정당인 독립당은 201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영국에 배정된 73개 의석 중24개를 차지해 영국 내에서 정당 지지율 1위를 차지하며 최다 의석을 확보했다. 군소정당에 불과하던 영국독립당의 지지율이 갑자기 상승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 연구들은극우 정당에 대한 지지 확대를 선거제도의 변화와 같은 정치적 요인과 경기 침체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과 같은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면서 사회문화적 요인에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그러나 201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영국독립당이약진한 것은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설명이 어렵다. 영국사회로 유입되는이주민의 급격한 증가는 유럽회의론의 확산을 촉발했고, 다문화주의 정책의 실패는 영국사회 정체성의 위협으로 받아들여져 결과적으로 유럽회의론과 이주민 제한을 선거 구호로 결합시킨 영국독립당이 유럽의회 선거에서 제 1당의 지위로 도약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試論) -김진귀-김춘택-임징하를 중심으로-

        김새미오 ( Kim Sae-mi-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본고는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의 관심사항은 제주유배라는 형벌아래 문학양상이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가를 고민한 것이다. 본 연구는 “만구와 김진귀-북헌 김춘택-서재 임징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북헌은 만구와의 아들이고, 서재는 만구와의 사위였다. 이들은 시기를 달리하면서 제주유배를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盤龍硯이라는 벼루로 그 마음을 전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제주유배문학을 연속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盤龍硯이 전해지는 과정에서 이들의 심적 공감대를 살폈고, 이어서 각 작가의 제주유배시문을 통해 유배문학의 연속성을 점검하였다. 이들의 문학적 연결성은 형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고민해보았다. 김진귀 제주유배문학의 특징은 청음 김상헌의 『남사록』에 맞춰 화운한 작품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청음이 유배인은 아니었지만 같은 노론계열의 인물이었고, 『남사록』이 당시로서는 제주도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었다. 김춘택의 경우는 아버지 김진귀의 유배공간과 제주지식인들을 계속적으로 만나면서, 유배지에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 나갔다. 김춘택의 제주유배문학은 김진귀 제주유배 때의 공간, 인물, 감정 등을 그대로 이어나갔다. 김춘택이 이럴 수 있었던 것은 김진귀의 제주유배 시기에 제주도에 왔던 경험 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임징하는 앞선 두 인물에 비해 짧은 제주유배생활을 하였다. 임징하의 작품에서는 특히 김춘택의 제주유배시기 작품에 대해 화운한 점이 주목된다. 임징하는 김춘택에게서 반룡연을 전해 받은 만큼, 제주유배에서 김춘택의 흔적에 대해서 매우 관심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인물의 문학적 성격을 통해, 제한적이지만 제주유배문학이 내면의 감정으로 서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다룬 문학의 연속성의 문제는 학계에서 심도있게 연구가 진행된 분야가 아니다.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보다 정확한 문학좌표가 설정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A particular attention is made to the inquiry of how the lineage of literature descends under the hardship of exile to Jeju. For the inquiry, this study focuses upon the literature lineage that descends from Manguwa Kim Jin-Gwi to Seojae Im Zhing-Ha through Bukheon Kim Chun-Taek. Bukheon is the son of Manguwa and Seojae is the son-in-law of Manguwa. All of them were exiled to Jeju for different periods and they left their exiled experiences in writings using the identical stone ink of banyongyeon. Therefore, I consider their exiled experiences delivered through bangyongyeon are the places to understand well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This paper first looks into the mentally experienced aspect of the three authors through the process of bangyongyeon to be delivered to them; and further into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by examining the poetry and proses that express the experiences of exiles to Jeju made by each of the three authors. For the connectivity in their writings, a formal style in their writings is examined. Kim Jin-Gwi composed several verses that respond to the words of Namsarok by Cheongeum Kim Sang-Heon. Cheongeum was never exiled to Jeju but he was the person belonging to the political group of Noron like Kim Jin-Gwi. Also, Namsarok consisted of the most accurate information of Jeju at those times. Kim Chun-Taek extended his literary world by making continuous interactions with Jeju intellectuals in his exiled land of Jeju to which his father Kim Jin-Gwi was also sent as an exile.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made by Kim Chun-Taek succeeded his father Kim Jin-Gwi`s expressions for spaces, figures, and emotions. Kim Chun-Taek was able to do this because he visited Jeju during the time his father Manguwa Kim Jin-Gwi spent exile years in Jeju. Im Zhing-Ha spent relatively shorter periods of exiles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figures. Of particular, Im Zhing-Ha made extensive numbers of verses in response to the works of Kim Chun-Taek, these being done during Kim`s exile to Jeju. Im Zhing-Ha received bangyongyeon from Kim Chun-Taek so that he is considered to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traces of Bukheon Kim Chun-Taek during his exile to Jeju.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ry characters of the three authors enables us to confirm that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is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al emotions. The continuity in literature that this paper examines has not been well shed upon in this research field. Further studies upon this research topic is expected to pave well to establish the proper orientation for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 KCI등재

        영국 문화정책에서 나타난 다양성(diversity)과우수성(excellence)의 문제

        김새미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7 EU연구 Vol.- No.46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social value of the arts and culture, the importance of cultural policy has ever grown. However, discourse on government intervention and independence from authority regarding cultural policy remain as secondary issues. Thus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intersection of public policy through the case of the British cultural policy. The UK has highlighted the expertise and political independence insofar as its cultural policy is called as ‘an arm’s length policy’. Nevertheless, the recent trend shows that it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structure and character. Promoting cultural diversity, the Tony Blair administration seeked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culture and to promote democratic values through government intervention, but was criticized to abusing cultural policy. The Cameron administration, which was characterized by its excellence feature, reduced government intervention and focused on promoting the UK cultural heritage and inducing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and citizens. In turn, it was criticized to have diminished the space and projects of arts and culture. Thus, even in the UK, where political neutrality is emphasized the abuse or the absence of cultural policy reflect the intertwined political values and rhetorics of ‘excellence’ and ‘diversity’. Considering the fundamental value of arts and culture, independence of cultural policy needs to be respected and the conditions and appropriateness of government interventions should be caefully discussed. 최근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가치가 증대되면서 문화정책에 대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문화정책에 대한 정부 개입과 권력으로부터의 독립성에 대한 논의는 아직 부차적인 문제로 다뤄지고 있다. 본고는영국의 문화정책을 통해 공공정책의 타당성과 접점은 무엇인지 고찰한다. 영국 문화정책은 ‘팔 길이 정책(Arm’s length policy)’이라고 불릴 정도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성과 정치적 독립성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는 정부구조와 성격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다. 문화적 ‘다양성(diversity)’을 표방한 블레어 정부는 정부 개입을 통해 문화 접근성 확대와 민주적 가치 실현을 추구했지만, 문화정책을 남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우수성(excellence)’을 특징으로 하는 캐머런 정부는 정부개입을 축소해 영국 문화자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지역사회와 시민의 자발적참여를 유도했지만, 문화예술 공간 및 사업을 위축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처럼 정치적 중립성을 중요시하는 영국에서도 ‘우수성’과 ‘다양성’ 이라는 수사와 정치적 가치가 맞물려 문화정책이 남용되거나 부재하는형태로 반영되었다. 문화예술이 갖는 근원적 가치를 고려할 때, 문화정책의 독립성을 존중하고 정부의 개입기준과 적절성은 중요하게 논의되어야한다.

      • KCI등재

        유럽 문화도시 환경조성에서 나타난 국제문화교류 거버넌스 연구: 2008 리버풀 유럽문화수도(European Capital of Culture: ECoC) 사례

        김새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6 다문화사회연구 Vol.9 No.1

        The study analyzes the function and working of the activity of international cultural activity applied in the process of European culture-led regeneration. It attempts to seek the signific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agent as well as affiliated social ne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se activitie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which unfold in multi-governance. According to a research which analyses the purpose, composition and activities of specific cultural exchange in ECoC Liverpool 2008, the city of Liverpool has made an attempt to overcome the various conflicts brought on by economic poverty and multiculturalism more than incorporating the effort to form the European aspect and identity. The result holds implications from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he role of fortifying the ‘identity as an European’ which is what the European Union pursues, might weaken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from the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city of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European Union is reinforced even when its intention of cultural policies is not applied to the fullest. Local governments with difficulties such as economical lag or multicultural reality struggle in dealing with its problems and consequently assume a system of supranational governance. This in turn would mean the expansion of Europeanization. Such results implies critical points in collaboration in other transnational cooperation. Even when the respective integrated cultural policies or the common cultural aim are not exactly in accord, there still is potential of reinforcement in collaboration in another sense. 본 연구는 유럽의 문화도시 조성과정에서 적용된 국제문화교류 활동 거버넌스를 대상으로 한다. 국제문화교류 활동이 어떠한 역할과 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하고, 다층적 구조에서 전개되는 교류활동이 도시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행위 주체와의 관계망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008년 리버풀 유럽문화수도에서 구체적인 문화교류의 목적과 구성,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리버풀 시는 유럽연합이 요구하는 유럽정체성 형성보다 리버풀 시가 당면한 문화 간 갈등과 경제회생 문제에 집중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함의를 가진다. 첫째, 문화도시 환경 조성이라는 ‘개발’과 ‘재생’의 특성으로 인해 유럽연합이 추구하는 ‘유럽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이 다소 미약할 수도 있다. 초기에는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문화교류를 계획할지라도 진행과정에서 의도가 변질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럽연합의 문화정책 의도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더라도, 유럽연합의 영향력이 강화된다고 볼 수 있다. 경제적 낙후나 다문화갈등이 심각한 지방정부들은 해당 국가에서 이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유럽연합이라는 초국가적 거버넌스를 취하게 되었다. 이는 유럽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국가적 협력에 있어서 각각의 통합된 문화정책 혹은 공동의 문화목표가 적확히 부합하지 않더라도 협력이 강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