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콘텐츠를 통해 전통을 잇는 방식 - 단원미술관 전시사례를 중심으로

        김상미,Kim, Sangmi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0 트랜스- Vol.9 No.-

        본 논문은 안산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단원미술관의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콘텐츠 제작과 활용 그리고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진다. 1991년 당시 문화체육관광부는 조선 후기 화원이자 풍속화의 대가로 알려진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 ? )의 고향으로 추정되는 안산을 '단원의 도시'로 명명했다. 이에 안산은 단원 김홍도를 지역 고유의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관광자원이자 문화콘텐츠로 단원 김홍도를 활용하여 단원조각공원 조성과 단원미술관 운영, 단원 김홍도 축제 기획 등 대내외적인 활동을 통해 단원 김홍도를 안산의 대표 브랜드화하고자 했다. 단원미술관은 단원 김홍도의 미술관이라고 지칭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수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2009년 <사슴과 동자>를 첫 매입하고 2016년 <화조도>를 매입한 이후 올해까지 단원 김홍도의 작품을 총 6점 소장하게 됐다.1 단원 김홍도의 작품을 수집하는데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에 2015년 10월 개관한 단원콘텐츠관의 역할과 방향은 단원 김홍도의 진본을 소장하지 않아도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단원콘텐츠관을 단원 김홍도와 관련된 다양한 시각예술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과 보존, 전시가 가능하도록 운영하고 디지털 자료 중심으로 고급 정보를 생산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전을 설정했다. 다시 말해 도서관과 아카이브, 미술관(Library + Archive + Museum)의 기능이 결합된 One-Source Multi-Use의 복합문화 정보기관으로 단원콘텐츠관을 찾는 관람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축하고자 했다. 이는 소장품의 문제와 고서화(古書畫)가 가지는 전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을 충족시키는 등 동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어 여러 방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단원 김홍도의 작품을 관람하고자 단원콘텐츠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터치스크린과 딥 줌(Deep Zoom)의 기술을 이용하여 단원 김홍도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실감형 서비스로 제공하고, 단원 김홍도의 원작을 그대로 해석하여 미디어 콘텐츠로 제작한 콘텐츠 전시를 통해 조선 시대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의 작품세계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discussing the possibility of content production, utilization and expansion, focusing on the exhibition case of Danwon Art Museum run by Ansan Cultural Foundation. In 1991,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med Ansan as the City of Danwon since it is believed to be the hometown of Danwon Kim Hong-do (1745~?),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well-known master of genre painting. As a result, Ansan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utilize Danwon Kim Hong-do for its unique resource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business such as the creation of Danwon Sculpture Park, the operation of Danwon Art Museum, and the planning of Danwon Kim Hong-do Festival. However, the biggest problem with Ansan is that there are not many collections of Kim Hong-do. Ansan has owned a total of six works as of May this year: a deer and a boy, flowers and a bird, A view of clouds on the water, Daegwallyeong, Yeodongbin, A way to Singwangsa. Accordingly, Danwon Contents Center has set up a vision to systematically collect, preserve, and display various visual and artistic materials related to Kim Hong-do, offering high-quality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data. In other words, it is a complex cultural information agency of One-Source Multi-Use, which combines the functions of libraries, archives and art galleries so that visitors' desire is satisfied. It reflects the contemporary trend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ancient paintings and satisfy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art museum. From the opening of the Danwon Contents Hall, the original work of Kim Hong-do has been interpreted and produced as media contents or recreated as a new form of art by modern artists. Exhibition using technologies such as touch screen and 'deep zoom' helps visitors to heighten their experience of the archives and get inside the world of the genius painter.

      • 12~36개월 남아를 위한 유아복 길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미(Kim, Sangmi),김소라(Kim, Sora)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4 No.-

        본 연구는 12∼36개월 남아를 위한 유아복 길원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조사와 업체조사를 통하여 4가지의 유아복 길원형의 제도방법을 기존 유아길원형으로 선정하고, 원형별 제도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유아길원형 4종에 대한 착의실험 결과 최적만족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을 수정·보완하여 1차 연구 유아길원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1차연구 유아길원형에 대한 착의실험 결과 최적만족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을 수정·보완하여 2차연구 유아길원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2차연구 유아길원형에 대한 착의실험 결과 최적만족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이것을 최종연구 유아길원형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길원형과 일반적인 유아복 길원형과의 차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옆선을 사선으로 처리하여 옆선이 겨드랑에서 허리로 가면서 앞판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였다. 둘째, 앞처짐분량을 적용하여 앞판 밑단이 들뜨지 않도록 하였다. 셋째, 뒤판에 어깨다트를 넣어 어깨 끝이 들뜨지 않도록 하고 뒤진동둘레에 불필요한 여유가 남지 않도록 하였다. 넷째, 진동깊이 산출에 가슴둘레 대신 등길이 항목을 적용하여 인체적합도를 높였다.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basic bodice patterns for 12- to 36-month-old boys.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and surveys on baby clothing manufacturers, we selected four drafting methods for basic bodice patterns for babies as existing basic bodice patterns for a baby,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drafting method for each pattern. This study reflected the somatotype characteristics of babies in the drafting method and developed basic bodice patterns for a baby with high body fitting. In particular, it differs from general basic bodice patterns for babies in that the diagonal side seam is moved to the back and there is the addition of a waist front length extension.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raised end of the shoulder and the too-large back armhole, we enhanced body fitting by putting shoulder darts, although they were basic bodice patterns for a baby. Also, this study enhanced body fitting by using waist back length instead of chest circumference, which is used in general for calculating armhole depth.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성공 경험의 과정과 의미에 관한 탐색

        김상미(Kim, Sang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대학교육 활동 경험의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 그 경험들이 주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4년제 A 사립 대학교 소속 학생 28명이 작성한 대학생활에서의 성공경험 수기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연구방법에 따라 문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성공경험의 과정에서는‘현실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자기 목표 설정과 탐색’,‘교육활동 참여에의 도전’,‘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소통과 협력’이라는 일련의 네 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실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딛고 자기 목표를 설정하고 대학교육이 제공하는 다양한 경험에 도전하면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해 가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기술한 수기 자료에서는 성공경험의 의미에 관하여 성장과 자기효능감을 강조하고 있었으며,‘노력으로 성장하는 시간’,‘자기효능감의 발견’,‘새로운 목표를 향한 자신감’라는 세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생 중심의 관점에서 대학이 지원해야 할 교육 경험의 설계와 실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대학 내 다양한 학생 집단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방향을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experiences on success in university education activities which they decided to engage actively, and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experiences. To this end, this study did a case study targeting 28 students in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a local area in Korea. As exploratory case research, this study collected students’ essays written by them and analyzed the subjects according to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success experiences recognized by students, there are four themes- anxiety about reality and the future, setting and exploring self-goals, challeng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community member.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xperiencing the processes of growing as members of society setting their life goals and challenging the various experiences provided by university education, while also overcoming anxiety about the reality and the future. Second, in the themes on the meaning of success experiences, the following three themes were founded- time to grow with effort, discovery of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toward new goals and challenges. Based on this, the study suggested tha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more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at they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tudent groups within the university itself.

      • KCI등재

        Prenatal health behaviors and stress as contributors to socioeconomic gaps in adverse birth outcomes for Korean women

        Sangmi, Kim(김상미),Dongsik, Kim(김동식)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여성연구 Vol.96 No.1

        1997년 IMF 이후 사회경제적 지위에 상관없이 여성들의 결혼과 출산 시기는 모두 늦어지기 시작하면서, 미숙아 및 저체중아 출산에 있어 여성들의 사회 경제적・행동적 및 심리적 특성보다는 이들의 연령과 생물학적 특성이 더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여성들의 미숙아 및 저체중아 출산에 대한 사회경제적 격차가 산전(임신 전과 임신 중) 시기에 경험한 건강 행동과 스트레스 및 이들의 생물학적 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3년 출산 경험이 있고 그 당시 30세 이상 44세 이하의 여성 951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로 고려한 산전 건강행동에는 정기적인 검진, 엽산제 복용, 임신 중 체중증가, 흡연 및 영양섭취 등이, 산전 스트레스에는 주변인의 죽음과 폭력 경험 등과 같은 부정적인 생활사건, 태아의 건강에 관한 걱정과 불안 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여성들의 생물학적 특성 및 신생아의 특성을 보정한 후에도 여성들의 미숙아 및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은 이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 라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산전의 건강 행동 및 스트레스 변인을 보정한 경우, 기존의 연관성은 완전히 사라졌다. 즉, 산전의 건강 행동과 스트레스는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미숙아 및 저체중아 출산 사이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여성들의 미숙아 및 저체중아 출산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이들의 산전 건강행동을 증진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등의 지원이 요구된다. Despite delayed childbearing for women in both high and low socio-economic status(SES) in Korea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90s, more attention has been drawn to women’s older age and biomedical characteristics than other socioeconomic,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o predict preterm birth (PTB) or low birth weight (LBW).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ntributing factors in the prenatal period—health care and stress,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stress—to the SES differentials in PTB or LBW among Korean women. We surveyed 951 women aged 30-44 years who had delivered in the last three years. We estimated the odds ratios of PTB or LBW between the SES groups adjusting for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of variables : (a) prenatal health behaviors (e.g., regular hospital visits, folic acid supplementation, gestational increase in body mass index, smoking, and regular meals) ; (b) prenatal stress (e.g., negative life events, anxiety about fetal health, etc.) ; (c) psychosocial correlates of stress (e.g., anxiety about fetal health, social suppor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 (d) maternal medical history and birth characteristics. Among Korea mothers, the SES gaps in preterm birth or LBW were completely explained by the prenatal health behaviors and stress in prenatal period with the biomedical characteristics for mothers and newborns held constant. PTB or LBW births for Korean women in low-SES occupations could be prevented by promoting their health behaviors and building stress-coping skills in the prenatal period.

      • KCI등재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 개도국 연수생의 요구를 중심으로

        김상미(Kim, Sangmi),조원겸(Cho, Wongyeum),김은라(Kim, Eunra)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1 글로벌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에서 다양한 주체에 의해 범 분야에서 시행되고 있는글로벌 연수 프로그램의 시행 확대와 변화 요구에 주목하여 학습자, 즉 개도국 연수생들의 요구를바탕으로 연수 설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본 연구에서는 정부 추천 우리나라 국제 초청 연수 참여 경험이 있는 21개국 50명의 개도국공무원·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 프로그램설계 단계에서 응답자들은 학습자 대상 사전 요구 분석의 중요성을 가장 강조하였고, 연수 참여목표와 중장기 기대 성과에서는 개인 차원에서의 지식·기술 습득과 기관·조직 차원에서 역량강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사 참여자들은 연수 프로그램 사전 교육단계에서 연수 목표와프로그램에 관한 명확한 이해가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습 유형과과업 수행 방식에서는 팀 기반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한 실질적인 해결방안 도출에 관한 선호도가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후 교육에서는 멘토 및 연수생들과의 지속적인 교류와 성과 공유에 대해중요하게 강조하였고, 이를 위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 등의 지원 도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상기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역량 개발을 위한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의 목적에 기반하여 국제이동성의 축소와 비대면 형식의 새로운 국제교육·훈련 모델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글로벌 연수의 향후 방향에 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ore systematic design, development and operation ways of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need analysis targeting global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in developing countr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50 experts from 21 countries who have participated in overseas invitation training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training program design stage, respondents grea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ior demand analysis for learners. With regard to the goal of participating in training, knowledge and technology acquisition were answered most at the individual level and capacity enhancement at the institution and organization level showed a high response rate. During pre-training phase in the training program, the clear understanding of goals and objectives of training programs appeared to be an important key factor, while in the learning type and task performance method, the preference for eliciting practical solutions through team-based problem-based learning was the highest. In post-training, there was a high demand for continuous exchanges and performance sharing with mentors and trainees, and the need for support tools for online support systems was emphasiz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of international training to be considered in the era of reducing international mobility and demanding new intern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odels in a non-face-to-face format.

      • KCI등재

        13∼18세 청소년기 여학생의 체형 특성에 관한 연구

        김상미 ( Sangmi Kim ),김소라 ( Sora Kim ) 대한가정학회 2019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7 No.4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omatotype changes of girls from the ages of 13 to 18 that provide basic data on clothing construc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We use data obtained from body measurements of 1,590 adolescent girls 13 to 18 years of age provided in the 6th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report. The differences among the age groups for 56 direct measurements were analyzed by ANOVA, and the structures of the differences by SNK (Students-Newman-Keuls test) were analyzed. The two major growth ages were ‘ages 13-14’ and ‘ages 15-16’. The first major growth ages focused on all measurement items of height, length, circumference, breadth, depth and other items. The second one focused on measurement items of height and length of torso, circumference, and breadth of lower body. The major growth pattern of the age groups was ‘ages 13<14&15<16&17&18’ which appeared focused on the height and length items of upper body and torso, the width items of lower body and the circumference items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The measurement items of front length like waist front length, N.P. to B.P to waistline, N.P. to B.P., and B.P. to B.P. showed the growth pattern for ‘ages 13<14<15<16<17&18’.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김상미(Kim, Sangmi)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of Hanbok and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38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for most high school students, Hanbok has an elegant image, bu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y perceive Hanbok to have a splendid image due to its exposure in mass media and SNS. The image of Hanbok differed by gender and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 higher percentage of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perceived Hanbok to have rustic image. Secondly, the type of hanbok that high school students prefer was traditional Hanbok, followed by fusion Hanbok, casual Hanbok, and fashion Hanbok. Hanbok preference type differed by gender and participation in classes. Group participating in hanbok classe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fashion Hanbok than those who did not. Thirdly,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raditional Hanbok was above average. By subcomponents,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esthetics’, ‘sustainability’, and ‘practica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ditional Hanbok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nd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Female students evaluated more positively for traditional Hanbok than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in Hanbok classes evaluated traditional Hanbok more positively than non-participati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베이커리유기농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김상미 ( Kim Sangmi ),임현철 ( Lim Hyuncheol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7

        본 연구는 핵심변수인 베이커리유기농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연구를 병행하였다. 또한 위의 변수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시한 연구가설을 검증 하였다. 첫째, 베이커리유기농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능적 가치(β=.389)이 가장 높은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어서 사회적 가치(β=.338), 감정적 가치(β=132)로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커리유기농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능적 가치(β=.179)이 가장 높은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어서 사회적 가치(β=.159), 감정적 가치(β=089)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커리유기농 제품에 대한 고객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고객만족(β=.463)으로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베이커리유기농제품의 다양한 메뉴개발과 베이커리유기농제품만의 우수성을 알리는 차별화 전략을 가지는 홍보방안, 체계적인 내부고객의 지속적인 훈련 및 정보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있음을 제시하였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산업학과 교수(교신저자), tk7409@cu.ac.k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kery organic products on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addition, the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above variable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prov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First, functional value(β=.389) has the highest effect on perceived value of bakery organic products on customer satisfaction, followed by social value(β=.338), emotional valu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n bakery organic products on loyalty was the highest in the functional value(β=.179), followed by social value(β=.159), emotional value (β =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rd, customer satisfaction(β=.463)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loyalty in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bakery organic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we can develop various menu of bakery organic products that satisfy customers' needs, publicity plans with differentiation strategies to show excellence of bakery organic products, Training and information - rela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