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기반 음악사조로서의 '홍대 사운드' : 미8군 사운드와 런던 펑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오,Kim, Minoh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0 트랜스- Vol.8 No.-

        본 연구는 지역기반 음악사조로서 '홍대 사운드'의 정체성을 '미8군 사운드'와 영국 '런던 펑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고찰해본다. 홍대음악은 90년대 클럽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밴드들이 연주하던, 주류의 음악과는 장르적·산업적으로 다른 비주류적 감성의 음악을 통칭한다. 하지만 '인디'라는 산업적인 관점에서의 정체성이 음악사조로서의 홍대음악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서구의 다른 음악사조와 마찬가지로 지역기반의 음악사조로서 홍대 사운드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8군 사운드'는 50년대 미군의 한국 주둔 이후 자연스럽게 형성된 미8군부대 내 공연무대에서 연주되던 음악적 경향을 통칭한다. 미군 커뮤니티의 위문공연을 위해 오디션 시스템을 통해 선발된 국내 뮤지션들은 그들의 입맛에 맞는 서양의 최신 대중음악을 자연스럽게 익혔고, 이는 한국대중문화에 빠르게 전파되어갔다. 미8군 사운드의 산업시스템은 오늘날 '케이팝'과 매우 흡사하지만, 새롭게 등장한 록 장르를 수용하여 새로운 음악경향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홍대 사운드와 유사한 면을 발견할 수 있다. 런던 펑크는 70년대 중반 영국 젊은이들의 사회적 불만과 저항정신을 담은 록 장르로, 기본에 충실한 음악적 구성과 인디의 DIY정신을 내세운 대안적 음악이었다. 홍대 사운드는 산업구조나 음악 스타일, 정신적인 면에서 런던 펑크의 많은 부분을 계승하였다. 하지만 시류의 변화에 영합하여 주류로 편입된 런던펑크와 달리 홍대 사운드는 끊임없는 변화를 모색하면서도 인디의 기본정신과 진정성을 포기하지 않으며 음악사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musical characteristics of so-called 'Hongdae Sound' as a historic musical trend by comparing with 'US 8<sup>th</sup> Army Sound' and British 'London Punk'. Hongdae Sound refers to the musical trend that was formed with independent bands and musicians who mostly performed live in the club called 'Drug' in Hongdae area, and voluntarily adopted minor musical sensitivity and indie spirit of 'post-punk rock' genre. But as an industrial standpoint the superficial identity of 'indie' interferes with academic approach when analysing musical aspects of Hongdae S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its characteristics as the musical trend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in order to fully appreciate its status in history of Korean popular music. US 8<sup>th</sup> Army Sound refers to the musical trend that was played within the live stages in US military bases in Korea. Many hired Korean musicians for those shows were able to learn the current popular musical trend in the States, and to spread those to the general public outside the bases. The industrial system of the Army Sound was very similar to that of K-Pop, but when it comes to leading the newest musical trend of 'rock-n-roll', it had more resemblance to that of Hongdae Sound. London punk was the back-to-basic form of pure rock that was armed with social angst and rebel, indie spirit. Its primal motto was 'do-it-yourself', and Hongdae Sound mostly followed its industrial, musical and spiritual paths. London punk was short-lived because it abandoned its indie spirits and became absorbed to the mainstream. But Hongdae sound maintain its longevity by maintaining the spirit and truthfulness of indie, while endlessly experimenting with new trends.

      • KCI등재후보

        미디어 활용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연희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2 트랜스- Vol.12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media and cultivate personality by using media as data for personal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personality virtues were selected as educational elements, and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was developed in combination with the middleschool curriculum. For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extract personality virtues, 13 personality virtues were finally selected as educational elements by comparing and synthesizing the personality virtue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he final personality virtues selected are self-esteem, courage, sincerity, self-regulation, wisdom, consideration, communication, courtesy, social responsibility, cooperation, citizenship, justice,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Second, in order to select media and se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e process of collecting media data was confirmed, and the direction and goal of the program were set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ird,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of applying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the personality grafting unit was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commentary on all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구텐베르크 은하계와 음악

        김효경,KIM, Hyoky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8 트랜스- Vol.5 No.-

        미디어 학자 마샬 맥루언은 구텐베르크 은하계라는 단어를 통하여 인쇄술이 인간에게 부여한 새로운 환경을 논하였다. 구술, 필사, 인쇄로 이어진 미디어의 진화는 인간의 삶에 있어 부수적인 존재였던 미디어를 하나의 환경으로 확장시켰고, 구텐베르크 은하계 속에서 인간의 삶은 매우 다르게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구텐베르크 인쇄술의 개발이 인간의 삶을 넘어 음악, 특히 낭만주의 음악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관하여 집중해보고자 한다. 인쇄술이 낳은 가장 대표적인 미디어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같은 공간 아래 있을 때 정보 전달이 수월했던 구술, 필사와 달리 상대적으로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인쇄술의 개발은 지식과 정보를 그 질과 양에 있어 획기적으로 변화시킨다. 이전의 정보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면, 책 속의 지식과 정보들은 신화의 세계와 같이 실생활을 넘어선 다른 세상으로 지식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즉,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로 지식의 영역을 확장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지식의 변화는 자연스레 인간의 사고를 확장시켰고, 사고의 확장은 곧 근대 서양 사회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끼친다. 인쇄 악보를 매개로하여 점진적으로 대중화되던 음악계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인쇄술이 형성시킨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실용 음악에 가까웠던 이전의 음악 형태와 달리 음악 안에 신비와 환상의 세계를 심어놓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낭만주의라는 하나의 흐름을 형성시킨다. 본 연구는 구텐베르크 은하계가 변화시킨 음악, 특히 낭만주의 음악에 집중하여, 미디어와 음악의 상관성을 증명해보고자 한다. Marshall Mcluhan, a media scholar, created the word Gutenberg Gaaxy meaning the new environment formulated by printing technic and he insisted that it changed human life entirely. In the history of human, the media evolved into printing technic through oral and transcription. This evolution of media and the environment created by the media are the most important point of Mcluhan's theory. He sees the world as the result of media evolution. In mcluhan's sight, Gutenberg Galaxy is the first environment composed by the media. Based on the mcluhan's theory, this study focused on the environment created by the media and applied it into the western music history. The link of the Gutenberg Galaxy and the western music, especially in romantic era, will be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The Book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dia of the printing technic. In the era of oral and transcription, the communication was limited by the spatial restriction. However, the book was free to spatial condition and this character of the book made the knowledge free. The knowledges delivered by the oral and transcription were mostly the matter of mundane world because they are so close to the human life, even though they are narrating about the God's world. The book, free to expanding the knowledge beyond the world, made the knowledge transcendent and expanded the sight of the humans into the transcendent world. The modern western world is the product of the expanded knowledge by the book and so does the music. In the time of printing technic, the music begun to gain the population by the printed sheet music. As delivering the music through the printed sheet, the music received transcendence and mystery as meeting the spirit of the times. This link formed by the time of Gutenberg Galaxy will be the main focus of the study and it will prove the link between the media and the western music.

      • KCI등재후보

        무용의 미디어 플랫폼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중화 전략을 중심으로

        임수진,YIM, Sujin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8 트랜스- Vol.5 No.-

        This study examines the popularization strategy of domestic dance field through media platform and examines it based on the interaction of cultural participants. What does popularization of dance ultimately mea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edia-based popularization strategies? Can all of these attempts be understood as popularization strategy with same attribu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media, which are used as the main medium of dance popularization strategy, and the online platform that recently attracts attention, and to focus o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cultural participants related to each media. Through this approach, media based activities turns out to be Mass Culture, controlled by businessman, capital,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creator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audience, and producing the cultural products planned by the businessman. On the other hand, an online community platform is classified as Popular Culture since it allows creator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audience without the direct involvement of the businessman and guarantees the rights of creation. Thereby it function as appropriate media platform and expand the discourse on popularization of dance in Korea. 본 연구는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대중화를 시도하고 있는 국내 무용계의 현상을 살펴보고 이를 문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고찰한다. 이는 무용의 대중화는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미디어를 매개로 한 대중화전략은 어떤 특징을 띄는가? 이러한 시도들은 모두 같은 속성을 지닌 대중화 전략으로 이해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를 위해 무용의 대중화 전략의 주요 매개로 사용되고 있는 방송매체와 최근 주목받는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매체를 중심으로 관계 맺는 문화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과정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방송매체를 매개로 한 활동은 사업가(자본)에 의해 통제되고 조종됨으로써 창작자와 수용자(시청자)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해지고, 사업가가 계획한 문화상품을 생산하는 데 그침으로써 매스컬처(Mass Culture)의 성격으로 분류됨을 밝힌다. 반면 사업가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창작자와 수용자의 직접적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창작의 권리가 보장되는 성격을 지닌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은 포퓰러컬처(Popular Culture)로 분류됨으로써, 무용의 대중화에 관한 담론 확장 및 방법에 적절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기능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미디어 시대 속 라디오의 미래와 역할 고찰

        권영성,송해룡,KWON, Youngsung,SONG, Haeryo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6 트랜스- Vol.1 No.-

        최초의 방송미디어로 오랜 시간 큰 인기를 누렸던 라디오는 현재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라디오는 여전히 장비 구매 및 수신 비용 측면에서 저렴하며, 가장 소형화할 수 있는 기기이기에 휴대하기 가장 좋고 비상 시 정보원으로서 활약하고 있지만 다양한 경쟁 미디어의 범람 속에서 위기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라디오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이용률이 떨어지고 있으며 디지털화도 아직 완벽히 이루지 못한 채 표류 중이다. 그러나 라디오는 그 특성 및 가치가 생존 및 발전을 보장하고 있다. 소리만을 매개로 한다는 점은 라디오의 한계이지만 라디오만의 고유한 가치이기도 하다. 다양한 경쟁 매체의 범람 속에서 라디오는 그 가치로 인해 살아남으며, 또 상당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영국의 경우를 통해 볼 수 있다. 영국은 1990년대보다 2000 년대에 더 높은 라디오 청취율을 이끌어 냈다. 이에 본고는 일상성, 정보성, 개인성, 참여성, 모험성, 대체미디어, 전문성, 음악미디어의 특성을 갖는 라디오와 인터넷의 특성을 비교해보고, 교통수단 이용 시 차량용 기기를 이용한 지상파 안테나 직접 수신 방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라디오의 청취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며, 라디오 청취율 증가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라디오의 미래를 특히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세대의 특성과 대비하여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세대들은 파편적인 정보 속에서 자신들의 선택에 의해서만 취득할 수 있었던 오락과 유희가 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라디오는 '선별된 정보' 및 '신뢰성'이라는 장점을 통해 미래에도 영향력을 지닌 미디어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을 염두에 둘 때 라디오는 결국 디지털화와 동시에 방송 콘텐츠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더욱 키워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그 초점은 다양한 경험과 문화적 체험에 맞추는 것이 라디오만의 경쟁력을 갖춘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Radio, the first broadcasting medium in history, is also the first mobile medium that meets the currently mobile ecology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s a result, it is easily approachable to consumers, can easily engage individual consumers, and its program contents have a huge appealing power to individual listeners, allowing it to form intimacy with audiences at the closest distance. However, the listening rating of radio has decreased greatly because it has experienced various changes by many other competitive media such as TV and internet and it has been influenced by relative constant hypothesis. Also, radio now faces a bigger competition due to the emergence of smartphone. In this circumstance, radio showed movements to evolve into a digital radio that presents improved sound, strengthened reception power, and increased number of channels, but it suddenly changed to DMB and portable multimedia DMB is having huge problems in its marketability due to smartphone. Yet, the listening rating of analogue radio broadcasting that remained unchanged was 13.99% in 2014, an increase by 47% from 2011, and the percentage of listeners under the age of 18 increased by 2.4 times from 2011 to 2014, which was a unique and interesting phenomenon. Accordingly, this paper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and radio that have the traits of daily life, information, individuality, participatory, adventurousness, alternative media, expertise, and sound media. The paper then examined the listening method of radio, in which the direct groundwave antenna reception through a vehicular device is the most common form during the use of transportation means. Finally,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future of radio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crease in radio listening ratings, especially by comparing it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generation that focus on smartphone and the internet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entertainment and amusements are attempting at changes while they used to be obtained selectively by the smart generation from fragmentary information. In addition, radio is expected to become an influential medium in the future through its advantages of 'selected information' and reliability. However, considering such possibilities, radio needs to build the expertise and reliability of broadcasting contents much more at the same time as its digitalization, and it will be able to have its own competitiveness by focusing on various experiences and cultural exposures.

      • KCI등재후보

        트랜스미디어 향유와 문화정치적 관점에서의 대안적 수용자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권호창,Kwon, Hocha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1 트랜스- Vol.10 No.-

        미디어의 수용자는 포괄적인 미디어 환경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규정되며,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구성 및 재구성된다. 오늘날 컨버전스나 트랜스미디어 등으로 대변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수용자에 관한 논의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그 문화정치적 성격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 간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항 대립적인 논쟁을 넘어서 새로운 수용자의 복잡성과 양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 진보적 가능성이 발현될 수 있는 조건과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오늘날 미디어 환경과 콘텐츠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맞물려 있는 수용자의 변화 양상을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새로운 수용자의 문화 정치적 성격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자크 랑시에르의 관객의 해방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안적 수용자를 재구성할 방안을 모색해본다. 이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수용자의 유토피아적 계기와 디스토피아적 계기의 성격과 내용을 파악하고 전자를 현실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하였다. Media audiences are defined in a complex relationship with a comprehensive media environment, and are structur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oday, with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represented by convergence and transmedia, discussions on audiences are actively developing, and debat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continue. This paper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omplexity and ambivalence of new audiences beyond the binomial confrontational debate, an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mechanisms under which the progressive possibility can be actualized. First, it looks at the changes in today's media environment and contents, and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of audiences in connection with them based on related research. In addition, it examines the debate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new audiences, and explores ways to construct /reconstruct alternative audiences based on Jacques Ranciere's discussion.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utopian and dystopian moments of the transmedia audience were examined, and the necessary works for realizing the former were identified.

      • KCI등재후보

        트리샤브라운(Trisha Brown)의 작품 <Man Walking Down the Side of a Building>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김미희,KIM, Mihee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6 트랜스- Vol.1 No.-

        예술은 정치적인 분위기 및 사회의 제도에 따라 시대를 반영하며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정치, 경제,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문화와 예술에서도 20세기 초기의 모더니즘을 거부하는 반역사적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로 특히 미국의 무용계에서는 모더니즘을 거부하는 실험의식이 강하고 급진적이며, 전위적 예술성향의 포스트 모던댄스가 생겨났다. 작업의 의도나 표현에 있어 새로운 움직임의 표현을 발견하고 즉흥적인 요소와 실험적 시도의 흐름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포스트 모더니즘적 안무특성을 탐구하여 오늘날까지 현대무용 안무 형식에서 나타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 중 포스트모더니즘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난 작품 <Man Walking Down the Side of a Building>을 선택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을 살펴보면 미국의 포스트모던 댄스를 이끈 트리샤 브라운은 1960년대를 시작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도적 역할을 했던 미국의 사회적 흐름을 무용작품에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움직임 자체의 표현과 순수한 움직임을 위한 무용을 강조하였다. 미국의 현대무용가들은 신체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신체표현이 사실적이고 현실적이며 움직임으로 인해 어떠한 감정표현과 개인의 감성이 배제되어 있다. 일상적인 행동을 무용으로 재창조하고 탁월한 공간사용과 실험적인 안무형태를 형성시켜 무용을 가치 있는 예술로서 각인시켰다. 따라서 브라운의 작품분석을 통해 예술의 한계를 벗어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오늘날 현대무용의 움직임과 안무형태에 본질적인 무용예술의 방향을 제시해주었다고 볼 수 있다. Arts have changed continuously reflecting the times with the political atmosphere and social systems. 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big changes have occurred since World War II, antihistorical tendencies rejecting modern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have come to appear in culture and arts as well. With these social changes, radical, avant-garde and artistic tendencies with strong experimental spirits, which rejected modernism took place especially in American dancing world. Trends of improvised elements and experimental trials were dominated discovering expressions of new movements in intentions and expressions of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horeographic forms of modern dance until today by exploring chor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postmodernism. To examine post-modernist inclinations in works, Trisha Brown who led American post-modern dance stressed dance for expressions of movements in themselves and pure movements by actively accepting into dance works American social flows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postmodernism starting from 1960s. American modern dancers considered body in itself as important one and any emotional expressions and individual sensitivity is excluded as their physical expressions are factual, realistic, and due to their movements. They imprinted dance as valuable art by recreating ordinary behaviors into dance, using space excellently and forming experimental dance shap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rough analyzing brown's works, we proposed a new direction getting out of limits of arts and provided a direction of essential dance alt to movements of modern dance and choreographic shapes.

      • KCI등재후보

        TV광고에 나타난 무용이미지의 기호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박아영,Park, Ayo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6 트랜스- Vol.1 No.-

        본 논문은 광고와 무용이 어떤 기호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광고 안에서 그려지는 무용과 무용수의 모습이 가진 기호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무용으로 표현된 기호들이 광고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알아보고, 무용 그 자체의 기호적 의미를 재평가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무용을 수용하는 방식과 모습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고 관련 제작자 및 연출가의 관련 자료를 확보 하였으며, TV광고에 나타난 신체기호로서의 무용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연구목적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미지 및 효과를 분석한다. TV광고 분석은 TVCF 홈페이지, www.TVCF.co.kr 자료를 참고로 연도별 광고에 활용된 무용분야의 빈도수 중 가장 많을 때인 2008년 TV광고4편 남광토건, 롯데백화점(프리미엄세일/상품권), 현대자동차산타페- 필로볼러스(Pilobolus), 2011년 1편 PNS더존샤시- 아레나 디 베로나(Arena di Verona)로 제한한다. 또한 각각의 광고를 반복적으로 본 결과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기준으로 무용수의 움직임이나 통선이 크게 바뀌는 부분과 화면 문구가 변경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무용의 이미지 분석은 신제 이미지(선, 의상, 표정), 무용 이미지(움직임의 형태, 질적 특성, 춤의 분위기)에 따른 구조를 살피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그 결과 TV광고에 나타난 기호적 무용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무용을 활용한 광고에서 무용이 가진 상징과 기호가 광고하려는 물질적 대상에 일치한다. 예컨대 이용우가 출연하는 TV광고에서 그의 기표로서의 움직임은 빠른 턴, 점프, 아쌈블레, 터닝 점프, 슬라이딩 등을 통해 남광토건 기업의 미래의 도전이라는 기의를 알 수 있다. 둘째, 발신자의 의도에 따른 무용수의 신체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반면, 무용 이미지의 경우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TV광고에 나타나는 기호적 무용의 이미지는 대중들로 하여금 시청함과 동시에 무의식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특히 TV프로그램 중에서도 광고는 선택의 여지와는 상관없이 하나의 광고만을 시청하기보다는 방송사측에서 편성된 프로그램의 방영으로 부득불 자주 노출되며 이로써 오랜 시간 머릿속에 잔상으로 남게 됨으로 수신자 개개인의 생각과 특성여부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이처럼 광고는 일반인들이 예술문화를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흡수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며, TV 광고를 통한 대중예술의 전파는 소수계층에게만 수용되었던 순수예술을 대중에게 폭넓게 노출시킴으로써 오늘날 진정한 대중문화로서의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dvertisement is composed with symbol and sign with messages trying to express. Especially, ad with dancer introduces goods or meaning of contents with the motion of dance. In this, contents of dance or motion of dancer contains symbol and sign, understanding how ad and dance are expressed meanings with which symbol and the symbolic meaning of dance or dancer on ad. To that end, this study is for analyzing expressed symbol with dance corresponds with the aim of ad and finding the way or attitude of how normal people accept dance by reevaluating symbolic meaning of dance itself. In this study, advertisement producer and director's related data is secured for understanding direction and intention of producer, and previous study related with the study purpose, image, and effect are analyzed for understanding image of dance as a physical sign on TV advertisement. With data from www.TVCF.co.kr. TV advertisement analysis is conducted only with four ads in 2008(Nam Kwang Eng. & Const Co., Lotte Dept. Store(premium sale/gift card), Hyundai Motor Company Santa Fe -Pilobolus) and one ad in 2011(PNS The zone Sash Italy Arena di Verona when dance was used for advertisement with the highest frequency per year. Also, based on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from repeatedly watching each advertisement, scenes where movement or motion of dancer and screen word is greatly changed are analyzed as a priority. Image analysis of dance is conducted with structure studies based on physical image(line, costume, expression) and dan image(type motion, qualitative feature, mood of dance). As a result, the symbolic dance image appeared in TV advertisement can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symbol and sign of dance on advertisement corresponds with material objects of advertisement. For instance, on the TV advertisement where Lee Youngwoo appeared, his motion as a signifer means challenge for the future of Nam Kwang Eng. & Const Co., with fast turn, jump, assemble turning jump, and sliding. Second, physical image of dancer depending on intention of sender corresponds in general, but there are somewhat differences in image of dance. This makes people to unconsciously recognize symbolic image of dance on TV ad while they watch it at the same time. Especially, when it comes to advertisement, it exposes frequently with broadcasting of organized programs from a broadcaster, living long-time memory. It can be differ based on idea and character of each of receiver. Advertisement is a medium making people naturally adopt cultural art for ordinary people in their lives. Broadcasting public art from TV advertisement widely exposes pure art to people, which was only avaliable for minority, sublimating it as an art of public culture.

      • KCI등재후보

        댄스필름의 역사와 영상기법에 대한 연구 : 빔 반데키부스(Wim Vandekeybus)의 <블러쉬(Blush)>를 중심으로

        박유정,PARK, Youj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6 트랜스- Vol.1 No.-

        융·복합이라는 시대사조에 발맞추어 댄스필름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영상기법에 대해 분석한다. 댄스필름은 무용이 영화라는 장르와 명백하게 결합하여 생성된 장르임을 이해하고 댄스필름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영화적 문법이 어떻게 사용되었고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나아가 댄스필름의 가치를 파악하고 장르특성규정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댄스필름 문법에 대한 분석과 자료가 미비하여 연구를 위해 영화에서 사용하는 기법을 차용하여 영상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작품은 빔 반데키부스의 Blush를 선정하여 분석하는데 연구 제한점이 있다. 작품을 분석한 결과 영화의 기본 문법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연출에 반영하였으며 무용을 기반으로 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작품들이 영상기법을 활용하는 방식에서도 감독의 예술 성향에 따라 차별성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또한 영화적 문법의 시용으로 움직임의 효과를 배로 증진시켰으며, 표현의 목적을 강조하여 주제가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영상문법을 통한 정확한 의도전달은 창작자와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무용장르의 대중화에 기여를 할 것이며 융·복합 시대에 무용장르가 생존 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댄스필름이 현재보다 다양한 스토리를 가지고 제작된다면 문화산업으로써 자리매김 할 수 있으며,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The study uses the image technique of the movie (analysis) since there are limited analyses and data of the dance film's (cinematic) grammar. The films are limited to the Wim Vandekeybus's Blush. From the analysis of the one film, films are directed using basic movie grammars. Although the films are of the same genre, it differs from the method of using image techniques as well as the director's personal art preference. The cinematic grammars enhance the effect of the movement and it emphasizes the objectives to deliver the audience true meaning of the films. Dance film is not a simple word combination of dance and film to record new type of art; dance is used for the movie's artistic and aesthetic enhancement. To find out dance is the language and important expressive tool of the dance film, at the same time cinematic grammar enhances effect of dance and objective of the film, the study uses image technique analysis. These are the results of dance film analysis by using image techniques. Firstly, Dance film can transcend time and space. Secondly, The creative director could emphasize some part that the audience should focus on to clearly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er. Lastly, To popularize the dance genre. If the dance film produces with more diversified stories than the resent, it will be a part of a cultural industry and could create profits. Dance film might lose the sense of realism,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stage art; however it could feel the beauty of the film through the mise en scene.

      • KCI등재후보

        컨템포러리 댄스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정의숙,CHUNG, Euisook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6 트랜스- Vol.1 No.-

        본 연구는 이 시대의 무용가들 중 전통을 이어 창작하는 그룹과 다음 시대로의 공연형식을 열어주는 그룹을 선정하여 작품을 분석하면서 트렌드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정한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상상하고 있는 테크놀로지와의 융복합이 아닌 발레와 일상의 협업으로 구성된 무용을 비디오라는 또 다른 도구를 차용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한 저스틴 펙(Justin Peck)과 타 문화(신체 장르)와의 협업을 형식으로 하는 시디 라비 체카위(Sidi Larbi Cherkaoui), 그리고 마지막으로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를 주도하는 자크 모리스(Zach Morris)를 선정하였다. 무용 트렌드 분석을 위하여 테크놀로지와의 융복합이 요구되는 사회의 공연예술 문화 환경에서 다른 차원의 융복합을 시도하고 있는 세 명의 안무가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저스틴 펙은 발레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인위적으로 만든 공연장의 범주에서 벗어나 대중과 일상 안에 공존을 유도하며 주제를 표현하였다. 둘째, 벨기에의 시디 라비 체카위는 안무가 자신의 내공이 담보가 된 무한한 움직임의 역량을 소유한 창작자이다. 따라서 다양한 타 문화와 신체의 융합을 통해 용이하게 창작 작업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자크 모리스는 무용 전공이 아닌 연출 전공자로서 움직임을 포함하는 복합 형태의 이머시브 시어터(Immersive Theater) 형식으로 새로운 공연 장르를 주도하고 있다. 각 안무가들의 작품은 유튜브에 나와 있는 영상을 중심으로 장면 및 내용과 형식을 서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이 젊은 안무가들에게 그들만의 트렌드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Western) modern dance by analyzing the works of three choreographers who are currently at the forefront of the dance scene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urrent choreographic trend. The three selected choreographers for this study are Justin Peck (USA), Sidi Larbi Cherkaoui (Belgium) and Zach Morris (USA). These choreographers were chosen on the basis of their significant identity within the current dance scene. For analysis, one noteworthy works of each choreographer were selected for video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llustrates that in the current era of promoting technology convergence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e three choreographers approach convergence differently by integrating dance and other mediums in their choreography. Peck converges between ballet and the ordinary, Cherkaoui converges between dance and other cultures and Morris converges between dance and ve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