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극성 경향과 스트레스 취약성:기분장애설문지 양성 반응군과 음성 반응군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A형 행동, 그리고 생활습관의 비교

        김병수,김성윤,최재원,주연호,윤대현,한내진,김유신,김선옥,Kim, Byung-Su,Kim, Seong-Yoon,Choe, Jae-Won,Joo, Yeon-Ho,Yoon, Dae-Hyun,Han, Nae-Jin,Kim, Yoo-Shin,Kim, Seon-O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0 정신신체의학 Vol.18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를 통해 양극성 장애 I형 혹은 II형 진단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경)조증적 성향 혹은 기분 불안정성 등의 양극성 경향(bipolar tendency, bipolarity)을 가진 사람에게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A형 행동 유형(Type A Behavior Pattern, TABP), 그리고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30세 이상의 1987명의 연구 대상군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기분장애설문지 (Mood Disorder Questionnaire, MDQ)의 (경)조증적 증상 경험에 대한 13개 항목 중에서 7개 항목에 "예"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양극성 경향군으로 분류하였다. 양극성 경향군과 비양극성 경향군 사이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A/B Lifestyle ques-tionnaire) 점수와, 음주, 흡연, 불규칙적인 식사, 운동 부족 등의 생활 습관 변인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양극성 경향군(329명, 16.6%)은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의 총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125.4점 vs. 115.9점, p<0.001), TABP로 판정(총 점수 135점 이상)된 비율도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41.3% vs. 30.1%, p<0.001).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의 비교에서도, 양극성 경향군이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18.5 vs. 16.5, p<0.001). 생활습관의 비교에서 '불규칙적인 식사'(20.1% vs. 14.3%, p=0.002), '주 4회 이상 음주'(29.8% vs. 16.5%, p<0.001), '현재 흡연'(41.9% vs. 23.0%, p<0.001), '주 2회 이하 운동'(63.2% vs. 55.1%, p=0.007) 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 론 : 양극성 경향을 가진 경우는 스트레스에 취약한 행동 양상이 높게 관찰되고,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도 높고 흡연, 음주, 불규칙한 식사와 운동 부족과 같은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을 위험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은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양극성 경향을 가진 사람들은 스트레스 관리 및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Authors hypothesized that bipolar tendency of non-psychiatric person would be associated with stress vulnerability. To test the hypothesis, we compared perceived stress level, Type A Behavioral Pattern (TABP) and unhealthy lifestyle between person with and without bipolar tendency. Methods:The study cohort consisted of 1987 subjects without past and current psychiatric history. In this study, bipolar tendency was determined by MDQ response which requires endorsement of at least 7 of the 13 "yes or no" questions. We compared the scores of Perceived Stress Scale, A/B lifestyle questionnaire, and unhealthy lifestyle(alcohol, smoking, lack of exercise, irregular meal) between MDQ positive and negative respondents. Results:We identified the bipolar tendency group determined by the MDQ positive response were 329 subjects(16.6%). The overall score of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on the A/B lifestyle questionnaire compared to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125.4 vs. 115.9, p<0.001), and the rate of the subjects defined as TABP was also significantly high(41.3% vs. 30.1%, p<0.001). In comparison of subjec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 (18.5% vs. 16.5%, p<0.001).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 on the rate of answering:'irregular eating habit' (20.1% vs. 14.3%, p=0.002), '4-or-more-times alcohol intake per week' (29.8% vs. 16.5%, p<0.001), 'currently smoking' (41.9% vs. 23.0%, p<0.001), '2-or-less-times physical exercises per week' (63.2% vs. 55.1%, p=0.007). Conclusion:By clinical diagnosis, even a person who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bipolar disorder has a high risk of stress-related behavioral pattern, and perceived stress when possessing bipolar tendencies such as the (hypo) maniac tendency or affective instability. Such individual has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having unhealthy life-style such as smoking, drinking, irregular eating habit and lack of exercise compared to non-bipolar tendency group. Since these risk factors lead to increase the risk of obesity,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 individual with the bipolar tendency requires a more effort to manage stress and to maintain healthy lifestyle.

      • KCI등재

        의약품 급여기준 외 사용에 대한 본인부담 경감방안 도입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김동숙 ( Kim Dong Sook ),전하림 ( Jeon Ha Rim ),김병수 ( Kim Seong-ok ),김성옥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7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3 No.2

        배경 및 연구목적: 2013년 6월에 도입된 선별급여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방안에 따라 행 위 및 치료재료에서 필수적 의료는 아니지만, 사회적 수요가 있는 의료에 대해 본인부담을 5 0~80% 부담하는 방식으로 급여해주는 제도이다. 건강보험 급여약제의 경우에는 급여기준 외 사용으로 인한 본인부담 비용이 커서 보장성이 낮아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약품 급여기준 외 사용으로 인해 100% 본인이 부담하는 영역에 대한 본인부담 경감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를 수행함으로써 보험약제의 선별급여 제도의 타당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문가 의견조사는 2015년 5월 4일부터 5월 17일까지 총 2주간 실시하였고, 보건 의료기술평가학회와 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소속 회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 약제 급여기준 결정 관련 위원회 소속 위원, 시민단체와 환자단체의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해, 30명 이 응답하였다(응답율 23.1%). 설문문항은 4대 중증질환 약제 선별급여 도입에 대한 찬반 의견 과 약제 선별급여를 도입한다는 가정 하에 기준과 적용방식, 약제의 급여기준 외 사용 등에 대한 본인부담 경감방안에 대한 의견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약제 선별급여 도입에 대한 찬반 의견 조사 결과, 응답자 30명 중 56.7%가 중립으로 밝혔다. 30%는 선별급여 도입에 동의하였고, 13.3%는 동의하지 않았다. 선별급여 약제에 대한 평가기준 항목으로 임상적 유용성, 투약비용, 사회적 요구도를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환자 본인부담 경감 대안으로는 본인부담상한제 등의 제도를 강화 적용(38.9%), 환자 단위로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별도 기금을 운영하는 방안(38.9%)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으 며, 별도 지원책이 필요없다는 응답은 19.4%에 해당하였다. 결론: 현행 건강보험 약제의 선별등재목록 제도에서 건강보험 보장률을 높이기 위해 선별급 여 방식을 도입하는 방안보다는, 대안적으로 환자 단위의 경제적 지원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selective benefit, introduced in June 2013, is a new copayment system to cover 50~80% of expenditures of pharmaceuticals which are not essential but with social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a selective benefit by conducting an expert opinion survey. Method: Expert opinion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y 4, 2015 to May 17, 2015. We distributed questionnaire to members of the Health and Medical Technology Evaluation Society, members of the Health, Social and Pharmacy Management Association, citizen group and member of patient group. As a result, 30 responded(response rate 23.1%).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our types of severe disease drug selective benefit introduction, and the opinions on the measures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 based on the criteria, application method. Results: Of the 30 respondents, 56.7% of the total respondents represented neutral opinion on introduction of drug selective benefits, 30% agreed with the introduction of selective benefits, and 13.3% disagreed. The evaluation items should be related to clinical utility, cost of medication, social needs. As for alternative plan to reduce patients` financial burden, 38.9% of respondents answered it is needed to strengthen upper limit for copayment, another 38.9% of respondents answered it is needed patient-based special fund, and 19.4% of respondents answered it is not necessary to introduce another support. Conclusion: To increase the coverage rate of the health insurance, it is more adequate to expand financial support on the basis of patients` level rather than introducing drug selective benefit scheme.

      • SCOPUSKCI등재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for No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성진실(Jin Sil Seong),노준규(John Juhn Kyu Loh),서창옥(Chong Ok Suh)김귀언(Gwi Eon Kim),한광협(Kwong Hyub Han),이상인(Song In Lee),노재경(Joe Kyung Roh),김병수( Byung Soo Kim),최흥재(Heung Jai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2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은 여러 가지 다양한 치료법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 예후는 극히 불량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온열요법에 대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1988년 4월부터 7월까지 본과에 내원한 30명의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간암 환자들에 대하여 온열 및 방사선 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조사량 180 cGy 씩 3.5주에 3060 cGy를 조사하였고 온열요법은 8MHz 유전형온열치료기(Thermotron RF-8, Cancermia)를 사용하여 주 2회씩 총 6회 시행하되 순서는 방사선 치료를 먼저 한 후 30분 이내에 온열요법이 30~60분간 시행되었다. 그 결과 부분반응이 12예에서 관찰되었고(40%), 증상의 호전이 28예중 22예에서 관찰되었다(78.6%). 종양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서는 형태학적 유형이 가장 유의하게 나타났다(single massive: 10/14, 71.4%; diffuse infiltrative: 2/10, 20%; multinodular: 0/6, 0%; p<0.005). 치료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년 생존율은 34%였고 정중앙 생존기간은 6.5개월이었다. 부분반응을 보인 환자군의 생존율 및 정중앙 생존 기간은 각각 50%, 11개월로서 반응을 보이지 않은 환자군의 22%, 5개월과 비교해 볼 때 정중앙 생존기간의 차이가 통계족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온열 및 방사선 병용요법은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증상호전 및 국소적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생존율 및 부작용등에 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rty patients with no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OC) due to either locally advanced lesion of association with liver cirrhosis, treated with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between April 1988 and July 1988, at Dep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re analysed. External radiotherapy of a total dose of 3060 cGy/3.5 wks was given, Hyperthermia was given twice a week with a total of 6 treatment sessions using 8 MHz radiofrequency capacitive type heating device, i.e., Thermotron RF-8 and Cancermia. ln all cases hyperthermia was given within 30 minutes after radiotherapy for 30~60 min. Temperature was measured by inserting thermocouple into the tumor mass under the ultrasonographic guidance only for those who had not bleeding tendency. As a result, partial response (PR) was achieved in 12 patients (40%), and symptomatic improvement was observed in 22 patients (78.6%) among 28 patients who had suffered from abdominal pai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tumor response rate was the type or tumor (single massive: 10/14, 71.4%; diffuse infiltrative: 2/10, 20%: multinodular: 0/6, 0%; p<0.005).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side effects relating to combined treatment. The overall 1 year survival rate was 34%, with 50% in the PR group and 22% in the no response group (NR), respectively. Median survival was 6.5 months and longer for those of PR than of NA (11 mos. vs 5, p<0.05). In conclusion,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appeared to be effective in local control and symptomatic palliation of HCC. Further study including a larger number of the patients to confirm its effect in survival and detrimental side effect should be urged.

      • SCOPUSKCI등재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후 보조요법의 효과 분석 : 방사선치료 단독군과 항암제 방사선 병용치료군의 비교

        임지훈(Jihoon Lim),박원(Won Park),성진실(Jinsil Seong),서창옥(Chang Ok Suh),김귀언(Gwi Eon Kim),민진식(Jin Sik Min),김병수(Byung Soo Kim),노재경(Jae Kyung Roh),정현철(Hyun Cheol Chung),김주영(Jooyou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1

        배 경 : 직장암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후에 병리소견상 장막을 침범하였거나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 수술 후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국소재발을 억제하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세암센타에서도 수술 후 국소 진행성 병변이거나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 5-FU와 Leucovorin을 방사선 치료와 같이 사용하여 왔으며, 그 치료 결과를 방사선 치료 단독군과 비교 고찰하여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용치료의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0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연세암센타에 내원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4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방사선 단독치료군은 69명, 방사선 항암화학요법 병용치료군은 73명이었다. 대상환자를 살펴보면 병기는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병용치료군에서 B2가 24예(35.3%)와 24예(32.9%), B3가 2예(2.9%)와 3예(4.1%), C1이 1예(1.5%)와 4예(5.5%), C2가 33예(48.5%)와 36예(49.3%), C3가 8예(11.8%)와 6예(8.2%)로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항암제 방사선 병 용치료군의 Modified Astler- Coller 병기는 대등한 분포를 보였다. 수술 후 치료로 방사선 단독치료군은 골반강에 4500cGy를 조사후 원발부위에 540-1600cGy의 축소조사를 시행하여 총 4500-6040cGy를 조사하였고(중앙값 5400cGy), 병용치료군은 수술 후 1-2개월에 5-FU을 단독으로(평균 494.8mg/m2 , 13예) 또는 5-FU와 Leucovorin을 함께(5-FU 393.9mg/m2, Leucovorin 20mg/m2, 60예) 5일씩 4주 간격으로 2차례 시행한 후, 9주째에 방사선 치료를 시작하고 방사선치료 첫 주와 5주의 방사선치료 시작일에 각각 3일간 3차, 4차 항암제를 같은 양으로 병합시행하고, 그 후 4주간격으로 시행하여 총 3-12차례에 걸쳐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골반강에 4500cGy를 조사 후 축소조사하여 총 4500-5040cGy를 조사하였다(중앙값 5040cGy). 추적관찰기간은 3-81개월로 중앙값이 38개월이었다. 결 과 : 5년 생존율은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병용치료군에서 각각 60.1%, 66.3%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p=0.39), 5년 무병생존율도 각각 54.2%, 65.5%로 병용치료군에서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못했다(p=0.18). 원격전이없는 생존율도 55.2%와 68.6%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2). 그러나 5년 국소제어생존율은 단독치료군 50.3%, 병용치료군 65.8%로 병용치료군에서 높은것으로 나타났다(p=0.04). 결 론 : 수술 후 국소재발억제와 원격전이를 줄여 무병생존율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시행한 항암제 방사선 병용치료는 수술후 방사선치료 단독시행한 치료군보다 국소제어율을 높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50.3% vs. 65.8%, p=0.04), 원격전이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여 무병생존율이나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role of adjuvant chemoradiotherapy in adenocarcinoma of the rectum, we retrospectively compared the treatment results between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alone and combined chemoradiotherapy. Material and Methods : From October 1989 to May 1994, 141 patients with rectal carcin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n Yonsei Cancer Center. Sixty eight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alone. Seventy three patients were treated by combined chemoradiotherapy.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with 10 MV linear accelerator, 180cGy fraction/5 days per week. Total radiation doses were 5400cGy in the postoperative radiotherapy alone group. Three to twelve cycles of Fluorouracil(mean dose 393.9mg/m2) with Leucovorin(20mg/m2) and 5040cGy of radiation were delivered in the combined chemoradiotherapy group. Third and 4th cycle of chemotherapy were administrated during the radiation treatment in the combined group. The median follow up was 38 months with a range of 3 to 81 months. Results : The 5 year overall survival rate of radiation alone group and combined group were 60.1% and 66.3%, respectively. The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radiation alone group and combined group were 54.2% and 65.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between RT alone group and combined group(p< 0.05). But the 5 year Local failure free survival rate of combined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radiotherapy alone group(65.8% vs. 50.3%, p= 0.04). Conclusion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disease free survival, and distant metastasis free survival between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y alone group and combinded chemoradiotherapy group. Only the Local failure free survival rate was superior in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These results confirm the radiosensitizing effect of the chemotherapeutic agent in the combined chemoradiotherapy treatment.

      • N3(AJCC-UICC) 전이성 경부 임파절의 방사선 및 온열 병행요법

        홍원표(Won Pyo Hong),이종영(Jong Young Lee),박경란(Kyung Ran Park),김병수(Byung Soo Kim),노준규(John Kyu Loh),서창옥(Chang Ok Suh),성진실(Jin Sil Seong),김귀언(Gwi Eon Kim),박정수(Cheong Soo Park),김수곤(Soo Kon Kim),이창걸(Chang Geo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8 No.1

        In order to improve the control of large unresectable(〉6cm) and fixed N3(TNM-UICC) metastatic neck nodes, local hyperthermia(HT) has been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ty (RT) in Yonsei cancer center. From April 1985 to april 1988, a total of 18 patients of head and neck cancer with metastatic large unresectable and fixed cervical neck nodes who underwent combined RT and HT were analyzed. Of 18 patients, complete response rate was 39% (7 pt.) partial response 39% (7 pt.) and overall response rate was 78%. Acute side effects of these combined modalities were found in 8 patients and which were mainly cutaneous reaction such as erythema, dry and moist desquamation but recovered spontaneously in all patients after treatment. Factors of maximum tumor temperature above 43℃ and MDF(multiple daily fractionation) showed more favorable response rate but not statistically sinificant. Two year actuarial survival rate of all patients was 35.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