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궁경부암 검진유도 간호중재가 대상자의 재검진이행에 미치는 효과

        김미향 全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47

        Nursing intervention has been expecte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clients' cervical cancer related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and self efficacy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It has also expected to promote rescreening compliance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on these variables and rescreening compliance rate of clients who had experienced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a local city in korea.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earch subjec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two subgroups, on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50 women who had taken nursing intervention, the other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43 women who had not taken nursing intervention. Each subjects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twice before and after nursing intervention. The questionnaires were specially designed to identify various features, such as individual knowledge on cervical cancer, health beliefs and self efficacy, and rescreening compliance. Thes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April 1st to December 6th, 2003. Nursing intervention tools which were intended to promote rescreening compliance rate included screening record pocket book, phone-coach. and watching the video(17mins) which consisted of various contents to promote cervical cancer screening for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 Measurement tools were health beliefs developed by Kim(1992), knowledge on cervical cancer and the self efficacy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complianc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Jo(2003) and some items were modifi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program. The Homogeneity between both groups i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health beliefs, knowledge and self efficacy, were tested by χ²-test. and t-test. The hypothesis on the difference of rescreening compliance rate after the nursing inter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tested using χ²-test. The hypotheses on the differences of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 efficacy after the nursing inter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tested using t-test and ANCOVA.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differences of client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 efficacy before the nursing inter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homogeneity test. The 1st hypothesis, " Posttest knowledg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1.16, p= .001). The 2nd hypothesis, " Posttest health belief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F=3.38, p= .069). The 3rd hypothesis, " Posttest self efficacy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4.36, p=.040). The 4th hypothesis, "Rescreening compliance rate of experimental group after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χ²=3.45, p= .050).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nurs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 efficacy, and thus in promoting Rescreening compliance rate of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nursing intervention could be used as a effective methodology to promote the rescreening compliance rate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clients. These results may also be useful in replanning screen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attendance in primary care field. 암은 전 세계적인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주요 선진국에서는 일찌기 종합적인 국가 암 관리대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며, 우리나라에서도 1996년부터 암 정복 10개년 계획으로 국가 암 조기검진 체계의 구축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있다. 이러한 취지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자궁경부암의 발생율은 감소추세의 경향이 있으나, 최근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까지 발생하면서 30대와 40대에 집중되고 있어서 여성건강관리 측면에서 1회성 검진이 아닌, 체계적으로 정기적인 재검진을 유도할 수 있는 실무중심의 중재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검진유도 간호중재가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지식, 검진이행에 대한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및 재검진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과 간호중재기간은 2003월 4월 1일부터 12월 6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남 C시에 소재한 여성전문병원에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기 위해 내원한 사전조사 116명(실험군 58명, 대조군 58명)에서 최종 사후조사 참여자는 총 93명(실험군 50명, 대조군 43명)으로 80.2%였다. 검진 유도 간호중재도구는 검진기록 수첩제공 및 활용방법에 대한 교육, 자궁경부암 조기진단과 예방에 대한 비디오 교육 그리고 전화 코치를 활용하였다. 1차 간호중재는 2003월 4월 1일부터 4월 30까지로 교육용 검진기록 수첩과 17분 정도의 자궁경부암 조기진단과 예방에 대한 비디오를 통한 20-30분의 교육이었다. 2차 간호중재는 재검진 시기 4-5주 전 2003년 9월 29일부터 10월 4일까지였으며, 재검진 시점에서 그 시기와 검진의 유익성 및 자궁경부암에 대한 민감성과 심각성을 자극하고, 검진이행에 대한 장애성을 완화시키고 이전 검진에 대한 성취감을 재검진으로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알려주는 1회의 전화코치로 구성되었다. 실험군에게는 1차, 2차 검진유도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재검진시기 4-5주전에 연구기관병원에서 종전에 실시해오던 재검진이행 시기를 알려주는 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궁경부암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조선진(2003)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검진이행에 대한 건강신념은 김미향(1992)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조선진(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실험 전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χ²-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다. 간호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검진 이행율은 두집단의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고 χ²- test를 하였다. 가설검증은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추가분석으로는 paired t-test와 재검진이행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와 Kuder-Richardson Formulas 20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 동질성 검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두 군은 동일한 집단이었다. 2) 제 1 가설인 ‘검진유도 간호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궁경부암 지식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3.39, p=.001). 공변량 분석 결과에서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11.16, p=.001). 3) 제 2 가설인 ‘검진유도 간호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검진이행에 대한 건강신념총합이 높을 것이다’는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 (t=2.22, p=.029), 공변량분석 결과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기각되었다(F=3.38, p=.069). 4) 제 3 가설인 ‘검진유도 간호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검진이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06, p=.042). 공변량분석 결과에서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4.36, p=.040). 5) 제 4 가설인 ‘검진유도 간호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재검진이행이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χ²= 3.45, p=.050). 6) 간호중재 제공 후 재검진이행에 대한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 자궁경부암 지식(p=.010)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재 검진이행에 대한 예측 확률은 실험군 82.0%, 대조군 67.4%로 나타났다. 검진 유도 간호중재와는 무관한 전체 대상자의 재검진이행의 유의한 예측요인은 건강신념(p=.016)과 자궁경부암 지식(p=.001)이었으며, 재검진이행에 대한 예측확률은 78.5%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자궁경부암 검진유도 간호중재가 자궁경부암 지식, 검진이행에 대한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및 재검진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간호중재를 제공받은 후에 실험군의 건강신념, 지식,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또한 결과적으로 대조군보다 재검진이행율도 높게 나타났으므로 본 검진유도를 위한 간호중재가 검진이행에 대한 유익성을 증가시키고, 장애성을 감소시키며, 효과적인 매체와 교육방법을 통한 지식향상,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감과 자신감을 강화시키는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이 명백하며, 임상실무에서 대상자들의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진이행을 촉진시키는데 적용 가능한 중재임이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친환경 장사장묘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사례로

        김미향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동안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유교적 전통과 관습에 따른 장례문화가 형성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적 장묘방식인 수목장에 대하여 젊은 층에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이 앞으로 우리의 장묘형태가 수목장 형태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시 장사시설인 동부공설공원묘지, 어승생무연고묘지, 양지공원을 사례연구지로 설정하여 매장위주의 장묘제도를 개선을 위해 공원 속 묘지화를 조성함으로서 납골공원묘역을 계획하고 장묘문화 변화에 따른 친환경 장사시설(수목장, 자연장)을 도입으로 타당성 조사 및 배치계획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지의 인문∙자연적 특성을 고려하여 친환경적 장사시설(수목장, 자연장)을 도입으로 기존의 장사시설을 개선하는 계획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목장은 숲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때 자연 그대로의 숲을 통해 고인의 진정한 자연회귀의 정신을 기릴 수 있다. 그렇게 되어야 숲이 가진 공익적 가치 즉 숲의 사회적 기능을 친환경적인 장묘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사법과 산림관계 법령에 근거가 마련되어야할 것이며 수목장림 운영관리 주체는 이를 준수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회 지도층에서부터 솔선 참여하여 시범을 보이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홍보활동을 통하여 자연친화적이고 적은비용으로 검소하면서도 고인에 대한 추모를 이어갈 수 있는 수목장 문화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Our country has seen since long time the Confucius traditions and customs on funeral cultu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s to generations, which have been accepted to all walks of life, young or old. Nowadays people are changing their attitudes to the tradition-imposed funerals and think more of Forest Funerals which is more environment-friendly. The existing funeral sites were surveyed for the study including Dong Bu Public Park Cemetery, Ui Sung Sang unclaimed tombs and Yang Ji Park Cemetery, all located in Jeju City in order to suggest that it is a high time to introduce nature-friendly funeral facilities such as forest funeral and nature funeral to comply with the changing funeral traditions. This study reveals construction feasibility and placement plan of funeral facilities in the cemetery parks which are on the rise to avert entombing-centered funeral traditions. 1. The environment and problem of Jeju funeral facilities The burial funeral tradition is preferred under the pretext of descendants' impossibility of visiting the ancestors' tombs and the economic burdens are heavily felt for securing the ever-expanding tombs sites. Jeju CITY accommodates a population of 296,996 of which the senior citizens over 75 has been doubled over last 15 years. Private tombs number now 537 and public 12. 2. Analysis of development factors A research has been made for development analysis based on location propernes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available data on the spot. ⑴ Dong Bu Public Park Cemetery Mostly highlands with gentle slopes. Unpaved are roads, 2m in width, from the village, which constitutes traffic inconvenience to all visitors. The place is covered with mostly shrubberies and annuals with the trees available along the horizon. (2) Ui Sung Sang unclaimed tombs It is with smooth slopes, generally. Traffic congestions probably are apprehended when visitors are crowded on an occasion, due to narrowness of the roads to the tombs site from road No #99. Unclaimed tombs are placed in the site with its vicinity being utilized as private tombs site. (3) Yang Ji Park Cemetery Generally flat area. Appropriate for installation of facilities. Easy access to the site. In the middle are placed a cremation site, a charnel houseand parking lots. The surroundings are covered with natural vegetation. 3. Basic Development Plan By encouraging the environment-friendly funeral services(Forest Funeral and Nature Funeral), the convenient charnel house will be introduced, which would help secure rest and cultural spaces for all visitors. A Preference study shows that 73% are in favor of cremation, 28% burial. Of those who are in favor of cremation, 55% has in their mind a plan for charnel houses and 45% Forest Funerals. Land Utilization Plan must consider for efficient land use such factors as location characteristics, functional correlation and flexibility of land usage to the future land requirements. Park facilities must be located at places that command a fine prospect, and that enhance the Park's images. Forest funeral sites must be arranged as "Funerals in the forests". Nature Preservation Plan must consider Maintaining a good forestry in the vicinity Planting vegetation that harmonizes the surrounding. Space Designing to minimize nature damage, maximize reconciliation of natural view, and Nurturing familiarity by planting endemic species. This study is intended to bring forth designing techniques for environment-friendly funeral facilities based on the human- and natural characters and to improve the existing facilities. Preplanned and well managed Forest Funeral is only conducive to return to the nature by the deceased. It will also serve the public purpose for Forest's Social Valuewhich will be incessantly kept up by conducting environment -friendly funeral services. What is important is that funeral and forest-related laws need to be modified to accommodate this funeral trend and those who are in related business must observe the pertinent clauses once stipulated in the laws. What is all the more important is that the social celebrities must lead the way by spontaneously participating and promoting the Forest Funerals in order to diminish the social expenses and to cultivate a funeral and memorial culture in a less expensive and frugal manner environment-friendly at that!

      • 한국 사회교육자 전문성에 관한 제도적 규정의 변천과정 연구

        김미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45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 사회교육자의 전문성에 관한 제도적 규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교육자 전문성 변천에 담긴 논리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 세 가지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로 제시되었다. 첫째, 한국 사회교육자 제도가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 각 시대별 관련 정책 및 제도를 살펴보고 이를 둘러싼 정치․경제․사회적 배경, 사회교육의 주요양상 및 그 성격을 파악한다. 둘째, 한국 사회교육자 전문성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즉, 한국 사회교육자 제도의 변천과정에서 각 시대별 전문성은 어떠한 경향성과 성격으로 규정되며 변화해 왔는지 알아본다. 셋째, 한국 사회교육자 전문성에 관한 제도적 규정의 변천과정에 나타나는 사회교육적 논리는 무엇인가? 한국 사회교육자 전문성의 경향성 및 성격의 변화를 주변 환경적 요인인 시대적 배경과 함께 살펴보면서 그 논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한국 사회교육자에는 국가재건기(1945-1960년)의 성인교육사와 농촌지도사․신생활지도자, 경제성장 및 민주화 운동기(1961-1987년)의 재건국민운동요원과 새마을지도자, 시민사회형성기(1988-1997년)의 사회교육전문요원, 복지 및 세계화 병행기(1998-2012년)의 평생교육사가 상정되었다. 이들은 제도권의 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되어 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연구결과로서 나타난 한국 사회교육자 전문성의 변천과정에 나타난 특성으로, 첫째, 한국 제도권 사회교육자의 전문성은 태도․윤리적 측면에서 지식․기술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변화해왔다는 점, 둘째, 한국 사회교육자의 양성과정을 통해 규정된 사회교육자의 유형은 의식계몽․자원봉사형에서 인적자원개발․전문직형으로 변화해왔다는 점, 셋째, 이들의 전문성의 변화 환경요인에 있어서는 정치적 환경요인의 영향력 우세에서 경제적 환경요인의 영향력 우세로 변화해 왔다는 점이 밝혀졌다. 아울러 한국 사회교육자 전문성의 제도적 규정에 나타나는 사회교육적 논리로는 다음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민주화 정도와 경제안정의 정도에 따라 사회교육자 양성 교육과정은 변화한다는 점, 둘째, 사회교육의 제도화가 진행될수록 사회교육 본질의 왜곡되는 역기능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 셋째, 사회교육자 양성의 장(場)인 대학의 역할 역시 경제논리에 따라 시장화되어왔다는 점, 넷째, 지식기반사회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부응하여 현재의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의 요건 역시 태도․윤리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한국 사회교육자의 전문성이 편향되어 나타나고 그로 인해 불안정한 정체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사회교육의 사상적 토대 및 철학에 대한 고민의 결여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국 사회교육자로서의 본연의 자세, 즉 그 출발이 되는 근원에 대한 물음과 해석의 도움 없이는 풀기 어렵다. 우리가 지향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교육자의 모습은 지식․기술 및 정보를 제공하는 사회교육기관의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우리 삶의 영역에서 어떠한 시대적 사명감으로 어떠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 가느냐도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사회변화에 민감한 것이 사회교육의 숙명적 특성이라 하더라도 그 태생적 기원과 존재 이유에 대한 본질적 내용은 지켜나가야 하며 그 길만이 사회교육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고수해나가는 길이라 생각된다.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술 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적 성찰 : 고등학교 1, 2학년 포토몽타주 수업을 중심으로

        김미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ough the 2015 revision was actually implemented in 2018, the classroom that utilizes the latest ICT in the school is limited only to schools with some conditions. The researcher observed that the teacher 's reflection should be done through the repeated application of the class. Even if the conditions for learning are given, the actual application is eventually done by the teacher. It is important, of course, to find out what is happening in the teacher's perspective as well as effective guidance that can be applied when circumstances are given.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apply art practice using smart devices in the field, and examine how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ppear there. In addition, this class will examine the teacher's reflection and growth.  In order to understand this, I applied the actual class at art high school in Ayeol - eup, Jeju Island. The research wa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art students. Each class consisted of 20 student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as 80. This study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patterns in the class based on the activities used in the class, the learner 's work, the class diary, and the class picture. After the art lesson using smart device, the teacher 's reflection was based on the teacher' s di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art class using smart devices,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ere classified as linguistic interaction and non - linguistic interaction, and these two interactions were analyzed based on five factors of smart learning.  First, in the aspect of self - directed learning, students were able to plan and perform self - expression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Second, we can observe high interest such as expecting next class from interesting learning side.  Third, in terms of level and aptitude, individual instruction was able to be tailored to each skill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Fourth, in terms of learning with abundant data, learners were able to individually access the materials needed for the class.  Fifth, in terms of learning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earners and instructors were able to take various approaches to class by using smart devices.  Through reflection, the professor got two educational perceptions that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when using smart devices.  First, when planning a lesson, understanding of the whole smart equipment used in the field should be prepared firs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practical examples of how smart devices are used in class. This study was valuable because it was possible to learn the linguistic interaction and the non - linguis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based on actual classroom in art class using smart device.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after presenting the class, the teacher has experienced what kind of reflection, and what kind of educational growth has occurred, and pointed out the point that should be aimed at the class using smart devices in the future. As the technology continues to evolve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lso changes, various art lessons that utilize these smart devices require constant attention and research. 어느덧 2015 개정이 실제적으로 적용된 2018년이지만 그럼에도 학교에서 최신의 다양한 ICT를 적극 활용한 수업은 몇몇의 여건을 갖춘 학교에서만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그러한 수업의 반복적 실제 적용을 통해 그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성찰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학습할 여건이 주어지더라도 실질적 적용은 결국 교사가 하는 것이다. 여건이 주어졌을 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방안도 물론 중요하지만 실제 적용하는 교사측면에서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도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고, 거기서 나타난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양상이 어떠하게 나타나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업을 통해 교사의 교육적 성찰 및 성장하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주도 애월읍 소재의 미술중점 고등학교에서 실제 수업을 적용하였다. 연구는 1,2학년 미술과 학생을 적용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각 반은 20명씩으로 총 80명의 학생에게 4번에 걸쳐 수업을 반복 적용하였다. 이러한 반복 수업에 사용된 활동지와 학습자의 작품, 수업일지 그리고 수업영상을 토대로 수업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하고 난 뒤 교사의 성찰은 교사의 수업 일지를 토대로 알아보았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술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양상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술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양상은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두 가지 상호작용은 각각 스마트 러닝의 5가지 요소에 근거하여 분석되었다. 첫째,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학생이 스스로 표현활동을 계획 및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둘째, 흥미로운 학습 측면에서는 다음 수업을 기대하는 모습 등의 높은 흥미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수준과 적성에 맞는 학습 측면에서는 능숙하고 미숙한 학습자 각각에게 맞는 개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넷째, 풍부한 자료를 가진 학습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수업에 필요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접근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학습의 측면에서는 학습자와 교수자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수업에 다각적 접근을 할 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교수자는 성찰을 통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할 때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교육적 인식을 두 가지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업을 계획할 때 현장에서 활용되는 스마트 기기 장비 전반의 이해가 먼저 준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용 폭이 어디까지인지 다양한 실제 예시를 충분히 준비해야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술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에 대해 실제 수업 현장을 토대로 알아볼 수 있었으므로 가치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업을 하고 난 뒤 교사는 어떠한 성찰 경험을 하였고, 어떤 교육적 성장이 있었는지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서 지향해야할 점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기술이 계속 발전하여 교육 환경 또한 달라지는 만큼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미술 수업은 지속적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Adler 이론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미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dler Theor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in Korea through meta-analysis. A total of 41 studies from 2003 to 2018 were selected analyzed. The mean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 was carried out with the R Project for Statistical Computing 3.4.0 version. The Random-effects model was adopted and 9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0.955, which is considered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1988). Second, the mean effect sizes by program operation methods were analyzed. a) In terms of the needs survey, all groups, conducting needs survey was higher than not conducting. And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oups had same result b) Effect size regarding the preliminary program, all groups conducting preliminary program were higher than not conducting. And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oups had same result c) The program was most effective when it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students groups(1.413). d) In terms of class unit, all grou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non-class unit. e) in terms of group size, all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8 to 12 persons,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in 13 to 17 persons. And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oups showed large effect size in irrespective of group size. f) In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over 11 sessions showed largest effect in all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oups. Also,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having 9~10 session showed the largest effect. g) Effect size regarding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all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3 session per week,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once a week. h) in terms of the effect size by the duration of session, session lasting 90∼119 minutes was the most effectual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all groups. Also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59 minutes or less. i) in terms of the period of program, the all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showed the largest effect in 9 weeks or longer,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in 6 to 8 weeks. j) The programs in which participants wrote an experience report were proved be more efficacious than the other programs, and the elementary students groups, all groups showed the same result. k) In terms of the others’ encourage, in all grou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s conducting encourage to others were higher than not conducting. Third, among dependent variables, Career-related variable(1.881), interpersonal relation- related variable(0.962), Emotion-related variable(0.887), Self concept-related variable(0.877), school life adaptation-related variable(0.738) and Stress-related variable(0.674) all showed mean effect size, implying that the Adler Theor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was effective in all mentioned fields. Forth, the meta-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sized by publication year was conducted and the slope estimate was found to be 0.018. Even though the more recent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e larger the effect sizes were,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Based on these outco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upport the planning of interventions providing Adler Theory group counseling to adolescents. Moreover they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he continue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dler Theory group counseling programs focusing on adolescents.

      • 고등학생들의 증명에 대한 인식 및 증명 수행의 실제

        김미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증명에 대한 인식 및 증명 수행의 실제를 조사하여 증명 수행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나아가 증명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생들이 지닌 증명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1. 증명의 의미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증명의 기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3. 증명 유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고등학생들의 증명 수행의 실제는 어떠한가? 2-1. 증명 수행에서 드러나는 증명 유형은 어떠한가? 2-2. 증명 수행에서 드러나는 증명 스킴 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427명의 고등학교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번, 2번 문항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증명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자유 기술형과 다중 응답형 문항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특히, 2번 문항의 선택지는 De Villiers(1999)가 제시한 증명의 기능 분류(확인, 설명, 발견, 체계화, 의사소통, 지적 도전)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3번∼6번 문항은 HeaIy & Hoyles(1998)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 중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문제를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3번, 5번 문항은 고등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증명 유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명제에 대해 다양한 증명을 읽고 자신의 증명과 가장 근접한 증명을 선택하는 문항과 교사가 채점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증명 방법을 선택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4번, 6번 문항은 학생이 직접 증명을 수행하는 문항으로 그때 드러나는 증명 유형 및 증명 스킴 유형을 분석하는 동시에 학생의 기본 정보(소속 학교, 학년, 계열, 성별)에 따라 드러나는 증명 유형 및 증명 스킴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고등학생들의 증명 수행의 실제를 조사하기 위해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설문 응답은 EXCEL 2013,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한 연구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증명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생이 지니고 있는 증명에 대한 의미 및 기능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고등학생들이 지닌 증명에 대한 의미 및 기능에 대한 인식의 폭은 매우 좁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수학교사 및 수학 교육 연구자들은 현재 학교 수학에서 ‘증명의 위치는 어디쯤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증명의 구조를 학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증명을 하는 것이 정말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제대로 인식할 때에 학생들은 타당한 증명 활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증명의 본질과 증명의 다양한 기능을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수업을 준비해야하며, 이를 위해 충분한 증명 수업 시간이 할애되어야 한다. 더불어 교사의 인식은 학생의 학습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 교사 연수를 통해 교사들도 증명의 본질과 증명의 다양한 기능을 경험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둘째, 대수 영역의 증명에서 학생들은 경험적 증명 유형과 해설적 증명 유형에 의존하지만 그것의 한계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었다. 즉, 명제와 관련된 수학적 내용과 수업에서 배워야 할 증명의 구조는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실제 증명 수행에서도 반영이 되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경험적 증명이 연역적 증명이 될 수 없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좀 더 분명히 인식시키고, 수학적 아이디어를 기호,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경험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대수적 번역(해석) 능력을 키우는데 집중해야 한다. 셋째, 기하 영역에서 고등학생들이 지닌 타당한 증명 유형에 대한 인식은 좀 더 유연해 질 필요가 있다. 증명 유형 인식 조사 결과 학생들은 타당한 형식적 증명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실제 증명 수행 결과에서는 제공된 문항이 중학교에서 다루는 명제임에도 불구하고 무응답 및 인식이 불가능한 답안의 비율이 총 54%에 다달았으며 전체의 20.8%만이 타당한 형식적 증명을 사용하였다. 기하 영역에서의 증명은 형식적 증명이 쉬워서가 아니라 증명은 이래야 한다는 개념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학생들의 증명 수행 능력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 특히 주어진 명제를 이미지로 표현하는 표상 능력이 부족하며,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며,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가정과 결론을 구분한 후 무엇을 증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력이 약하다. 고등학교에서 최종적으로 다루어야 할 증명은 간단한 연역적 증명이지만 경험적, 해설적 증명 또는 귀납적, 지각적 인식 스킴이 가지는 유용한 측면이 분명이 있다. 이를 활용한다면 기하 영역에서 학생들이 겪는 증명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추론 및 증명을 가르치는 것은 논리적 사고능력 발달을 위함이고, 나아가 수학적 추론이 인간의 사고의 습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의 습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년, 계열, 성별에 관계없이 추론 및 증명을 강조해야 하며 그를 위한 수업이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낮은 증명 수행 능력을 보였으며 학생들의 기본 정보에 따라 증명의 실제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학생들이 겪고 있는 증명 학습의 어려움 해소 및 증명 수행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특징 및 학생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에 부합하는 교수 방법을 반영하여 더욱 풍부한 증명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제주지역 학교에서의 우유 및 유제품 제공 실태와 영양(교)사의 인식 조사

        김미향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for milk and milk products of 199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at schools in Jeju surveyed from May 22 to June 12, 2020. With the intention of finding ways to promote the provision of milk and milk products in school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milk and milk products. A total of 120 questionnaires out of 199 were used as base data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Win program(versio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ge of subjects were 40.8% for more than 50 years old, in terms of the working periods, 47.5% of subjects showed more than 20 years. The employment types of subjects were 60.0% for nutrition teachers, 22.5% for lunch dieticians, 13.3% for dinner dieticians, and 4.2% other nutrition teachers. School types showed for 57.3% of elementary 24.3% of middle schools and 18.4% of high schools. Second, regarding to the perception of subjects for the health relevance of milk and milk products, average score was 4.06 points (out of 5), and most of the subjects were showed to recognize that milk and dairy products are beneficial to health. The selection criteria of milk and milk products had the highest nutritional content. The nutritional knowledge of milk and milk products, average score was 5.63 points (out of 8). Third, regarding to the difficulty perception of subjects for the in providing milk and milk products, average score was 2.88 points (out of 5), and the less work experience, the higher the score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an elementary school(p<0.05). Regarding to the necessity perception of subjects for a specific method of provision of milk and milk products, average score was 3.60 points (out of 5), and the lower the age and work experience, the higher the score(p<0.01). The reason that they think it is necessary to provide milk and milk products was the most for bone health and growth. The reason for not having to provide milk and dairy products was that they could get enough nutrition through other foods. The reason that they thought it was difficult to provide was that students had the lowest preference. The improvement for providing milk and milk products showed the highest of change in students' preference and perception. Forth, regarding to the menu using milk and milk products, most cases showed to be provided as milk form. In the annual frequency of serving desserts, normal milk and flavored milk were higher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an in elementary school. Liquid yogurt was high in the order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Overall, the ratio of providing functional milk was the lowest, and the ratio of providing milk type was lower than that of yogurt type. Fifth, regarding to the necessity perception of subjects for the school milk program, average score was 3.38 points (out of 5). The execution rate of school milk program was lower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an i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found that paid meals were provided only in middle school (p<0.001). Overall, the execution rate of cyclic school milk program was low, and the items offered as cyclic school milk program were the highest in yogurt and fruit juice. Sixth, regarding to the necessity perception of subjects for the education related to milk and milk products average score was 3.84 points (out of 5), and the sufficiency perception of subjects for educational materials was 2.73 points (out of 5). The execution rate of nutrition education was 77.5%,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p<0.05), the higher the nutrition teacher in employment type (p<0.01). The school homepage was the highest as the method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site of the specialized institution was the highest as the data collection route. The number of education sessions related to milk and milk products had the highest frequency with 1-2 times a year, the content of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necessity for intake. The reasons for not execution of education was showed the highest that there was no opportunity for education. Finall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had recognized provision of milk and milk products and nutrition education were necessary. However, it was showed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milk and milk products was actually conducted a low frequency. Accordingly, the opportunity for nutrition education to increase students' awareness and knowledge related to milk and milk products by delivering accurate information to students should be increase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here the execution rate of school milk program is low, students' pre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cyclic school milk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through the promotion of cyclic school milk program. It need to develop a menu using milk and milk products that schools can provide. 본 연구는 2020학년도 제주지역 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우유 및 유제품 제 공 실태와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우유 및 유제품 제공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우유 및 유제품 관련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주지역 학교에서 근무하는 영양(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22일부터 6월 1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Ver. 24.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χ2-test, ANOVA(Duncan)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50세 이상이 40.8%로 높게 나타났고, 근무경력은 20년 이상이 47.5%로 많았으며, 고용형태는 영양교사가 60.0%, 교육공무직 중식영양사 22.5%, 교육공무직 석식영양사 13.3%, 기타직 영양(교)사 4.2%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학교의 형태는 초등학교 57.3%, 중학교 24.3%, 고등학교 18.4%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우유 및 유제품의 건강 관련성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06 점으로 대부분이 우유 및 유제품이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 고, 우유 및 유제품 선택 기준은 영양성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한 영양지식은 8점 만점에 5.63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우유 및 유제품의 제공 어려움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2.88 점으로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우유 및 유제품 제공의 구체적 방법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5점 만점에 평 균 3.60점으로, 연령과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필요성 인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우유 및 유제품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뼈 건강과 성장 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고,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다른 음식을 통해 충분한 영양섭취가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많았다. 제공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급식대상자들의 낮은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우유 및 유제품 제 공을 위한 개선사항은 급식대상자들의 기호도 및 인식 변화가 가장 많았다. 넷째, 조사대상자가 식단에서 제공하는 우유 및 유제품 활용 메뉴로는 우유류로 제공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간 후식류 제공 횟수에서는 흰 우유와 가공우유는 상위학교로 갈수록 제공 비율이 높았으며, 액상 요구르트는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 학교 순으로 제공 비율이 높았다. 또한 기능성우유의 제공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요구르트 종류보다 우유 종류의 제공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학교우유급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38점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우유급식 실시율은 상위학교로 갈수록 유의하게 낮았으 며, 제공형태에서 유상급식은 중학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고 나타나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001). 순환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비율은 낮았으며, 순환급식으로 제 공하는 품목은 호상요구르트와 과일주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우유 및 유제품 관련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5점 만점 에 평균 3.84점, 교육 자료의 충분성 인식은 평균 2.73점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 실 시율은 77.5%이며, 근무경력이 많을수록(p<0.05), 고용형태에서는 영양교사가 유의 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영양교육 실시방법은 학교홈페이지가 가장 높았으며, 자료수집 경로는 전문기관 사이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유 및 유제품 관련 교 육 실시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의 내용으로는 섭취의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이유로는 교육의 기회가 없어서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지역 학교 영양(교)사는 우유 및 유제 품과 제공과 관련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낮은 빈도로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학생들의 우유 및 유제품 관련 인식과 지식을 높여주는 영양교육의 기회가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학 교우유급식 실시율이 적은 중·고등학교의 경우 순환급식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기호 를 고려하여 주면서, 순환급식에 대한 홍보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높여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에서 제공할 수 있는 우유 및 유제품 활용 메뉴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 국내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 향유 전략 연구

        김미향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domestic publishing market, the desire for book curation services has increased, with the excessive number of books, the decrease in readers, and the flooding of vertical, one-sided and general book recommendation services. Since then, book curation applications such as Bibli, Flybook, and Iinnk have emerged, making efforts to lower entry barriers to reading in different ways. However, domestic book curation applications are still in a trial and error stage, so the curation serviced by each application is evaluated to be unique in terms of its differentiation from the online bookstore's big data-based algorithm curation. We all agree on the need for domestic book curation services, the current limitations need to be identified and supplemented to become a gate that can make more non-readers to become readers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first defined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curation and book curation, and clarified that the concept of curation is chang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book curation services at home and abroa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rvice officials and publishing experts to identify problems in book curation applications. As a strategic element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domestic book curation applications, we proposed 1) discovery strategy: premium curation, 2) experience strategy: providing a unique digital space experience, 3) connecting strategy: strengthening the role of entertainer curators, 4) expanding online and offline reading group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esent specific development directions for domestic book curation applications by suggesting program composition for each strategic element. The book curation application is a strategic platform created by focusing on individuality in the domestic reading ecosystem, which has been dominated by one-sided book recommendations. We hope that this research material will help domestic book curation applications to design new storytelling tailored to the change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further provide effective references to revitalize the entire reading culture. 오늘날 국내 출판시장에서는 도서 종수의 과잉, 독자의 감소, 수직적이고 일방향적이며 범용적인 도서 추천 서비스의 범람과 함께 책의 발견성 문제가 대두되며 도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대했다. 이후 탄생한 ‘비블리’, ‘플라이북’, ‘책방, 잉크’ 등의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독서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들은 아직 시행착오 단계이며 따라서 각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큐레이션이 온라인서점의 빅데이터 기반 알고리즘 큐레이션과의 차별성 면에서 특이할 점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 도서 큐레이션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하여 모두 공감하는 바, 추후 더 많은 비독자를 독자로 만들 수 있는 게이트가 되도록 지금의 한계점들을 파악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전문가 큐레이터, 알고리즘, 디지털 공간 경험, 향유자 간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큐레이션 및 도서 큐레이션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큐레이션의 개념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도서 큐레이션 서비스의 현황 분석과 각 서비스 관계자 및 출판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전략 요소로 1) 발견의 전략 : 프리미엄 큐레이션, 2) 체험의 전략 : 색다른 디지털 공간 경험 제공, 3) 연결의 전략 : 향유자 큐레이터의 역할 강화, 4) 확산의 전략 : 온오프라인 독서 모임 확대를 제시하였다. 또한 각 전략 요소마다 프로그램 구성을 함께 제언함으로써 국내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그간 일방향적인 도서 추천이 주를 이루었던 국내 독서 생태계에서 개별성에 초점을 맞춰 탄생한 전략적 플랫폼이다. 본 연구의 자료가 국내 도서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이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 맞춘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설계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독서문화 전체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효과적인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전원주택의 경관적 특성과 거주자의 생태적 환경에 대한 인식

        김미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파트로 대표되는 도시 주거문화는 경제성과 조성 효율성 위주의 개발방식과 공동체성의 약화 및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하며 국토 전반에 걸친 난개발의 한 요인으로도 지적되고 있다. 그에 따라 복잡한 도시를 떠나 쾌적하고 안전한 대안적 주거문화를 추구하려는 경향은 점차 다양화 되고 있으며, 그러한 주거유형으로서 농촌주택, 생태마을, 전원주택 등의 모색이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주거양식의 건축과 입지조성상의 계획적 지침에 대한 연구는 개별 혹은 단지조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소규모의 전원주택형 주거보다는 생태주거가 단지라는 측면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현실적인 적용에서는 다소 거리가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서부터 시작되어 대도시 주변에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전원주택 증가현상을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친환경주거의 잠재적 수요확대로 보고, 전원주택과 그 입지의 경관적 특성,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이주에 미치는 요인과 거주자의 경관 및 생태환경의 인식 파악을 통해 생태주거 및 단지계획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기존의 전원주택에 있어서 친환경 생태주거성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를 파악하고자 하-ⅵ- 였다. 조사대상이 된 주택지는 광주광역시와 대전광역시를 배후도시로 하는 전남과 충남의 전원 주택단지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원 거주자는 사회활동이 활발한 46세~60세가 63.9% 로 도심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령기 자녀를 둔 가정도 37.7%로 일반적으로 전원주택거주자는 퇴직자 중심의 60대가 주류를 이룬다고 인식되어왔지만 점차 그 연령이 40대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전원으로의 이주선택에 미치는 요인분석에서는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중심으로 한 심미적 요인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경제적 요인, 생활적 요인, 사회적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3. 전원주택 거주자의 경관인식 분석 결과 자신의 주변 풍경 가운데 물과 관련된 경관요소를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길과 경작지, 산ㆍ언덕을 주제로 하는 지형경관 등을 주요한 특징으로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년시절의 경관에 대한 기억의 표현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따라서 거주자의 과거의 경관기억은 현재 거주지의 경관인식에 반영된다고 볼 수 있었다. 4. 커뮤니티의 형성은 경관의 사회적 요소로서 생태주거단지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요건임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 전원거주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전원주거지를 생태주거지의 잠재수요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단지계획 과정에서부터 공동체성 강화를 위해 주택의 배치계획이나 주민들이 가치를 느끼며 공유할 공간의 계획과 함께 사회적인 참여 프로그램의 도입 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앞으로도 전원주택은 도시의 편익과 전원의 쾌적한 환경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주거유형으로서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새로운 주거문화로 정착되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적인 주거조건은 물리적인 환경 뿐 만 아니라 원만한 근린관계 형성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단지조성에서 공간구성에 이르기까지 환경친화적이고 생태적인 측면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현재 전원주택 거주자의 경관 및 생태적 인식을 통해 그 현실적 적용 가능성 및 해결해야할 과제를 논의해 보는데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The residential culture of cities like apartments raised the development type valuing economical efficiency and utility above all. It also weakened community bonding, brought about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 and was pointed out as one of the obstacles to land development. For that reason, more and more people tend to leave big cities for alternative residential types as rural housing, eco-village and idyllic housing. Also many studies and concerns about this tendency are taking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residence site ecologically. In this study, the increased idyllic residents around the big cities were considered as the latent demanders of friendly environmental residence. To find out the factors of moving to idyllic housing and attitudes to ecological environmen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dyllic housing sites and backgrounds of idyllic residences were researched In addition, some planning requirements were discussed to solve the problems in developing idyllic housing by environmental friendly manner. As sites for study, eleven idyllic housing sites around Gwangju and Daejeon were adopt and investigated by field trip, interview, an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dyllic residences were deeply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and had organic relationship with center of cities. Second, the main reason of moving to idyllic housing was for aesthetic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beautiful landscape and fresh air. The following reasons were causes of economy, living and society.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ndscape perception of idyllic residents showed that landscape of water materials was most perceivable, and followings were various types of road, cultivated land, and mountain. For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idyllic residents had low perception about the community, even though the community is very important social factor in eco-village. It seems that there will be lots of problems to solve for society to develop a idyllic housing to a ecologic residence. On the base of the analysis, idyllic housings are expected to be the ideal residential type which has convenience of cities and pleasan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hat site planing and space planing should be friendly environmental, ecologic and concerned community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