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 지역 남녀 중학생의 체형 인식과 식습관에 관한 연구

        김명희 ( Myung Hee Kim ),윤영희 ( Young Hui Yun ),최미경 ( Mi Kyeong Choi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2

        본 연구는 충남지역 소재 남녀 중학생 395명을 대상으로 체형 인식과 식습관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과 비만도에 따른 본인의 체형 인식과 체중 조절에 대한 방법과 관심도, 식습관 등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학생 13.7세, 여학생 12.6 세였고,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남학생이 165.4 ㎝, 57.1 ㎏, 여학생은 155.7 ㎝, 48.6 ㎏이었다. 체질량지수는 남학생 20.7, 여학생 19.9로 나타났다. 2. 체중에 대한 관심도는 전체 학생의 37.5%가 ``매우 관심이 있다``고 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체중에 대한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자신의 체형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이유로는 남학생(46.7%)에 비하여 여학생(65.0%)이 자신의 체형이 뚱뚱하거나 말랐기 때문에 관심을 가진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자신의 체형에 대해 누구와 상의하는가에 대한 조사에서는 ``부모님(36.5%)``, ``친구(26.6%)``,``기타(21.8%)``, ``인터넷(6.8%)``, ``형제 자매(6.8%)``, ``의사 등 전문가(1.5%)`` 순이었고, 체형에 관한 상담 후 그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다(54.2%)``, ``만족한다(18.7%)``, ``불만족한다(16.7%)``,``매우 불만족 한다(7.1%)``, ``매우 만족한다(3.3%)``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조사 대상자 본인이 자신의 체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이 자신의 체중을 실제체중보다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p<0.001). 조사 대상자의 체형 만족도에 대해서는 여학생의 경우 현재 체형에 대한 만족도가 남학생에 비하여 낮았으며, 남녀 모두에게서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체형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 대상자 스스로 원하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를 환산하고, 이를 실제 체질량지수별로 비교한결과, 남학생은 정상체중(52.3%), 저체중(33.3%), 여학생은 저체중(48.5%), 정상체중(46.5%)을 이상적인 체형으로 생각하고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저체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체질량지수와 체형 인식 관련 요인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체질량지수는 체형에 대한 관심도와 음의 상관성을 보이고, 체형에 대한 인식도와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4. 현재 체중 조절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남학생은 40.0%, 여학생은 75.0%가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p<0.001). 체중 조절을 위해 사용한 방법으로는 남학생은 ``식사 조절(53.7%)``, ``간식 조절(16.3%)``, ``고지방 식품 조절(15.6%)`` 순으로 답하였고, 여학생도 ``식사 조절(32.9%)``, ``간식 조절(25.9%)``,``고지방 식품 조절(22.8%)``로 나타났다. 체형 관리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남학생의 74.9%, 여학생의 84.0%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5. 조사 대상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식사로는 남녀 각각 ``아침(43.6%, 53.5%)``, ``점심(28.7%, 27.0%)``, ``저녁(27.7%, 19.5%)`` 순이라고 답하였다. 각 끼니별 식사량은 저녁 식사의 경우 여학생(58.5%)은 남학생(75.9%)에 비하여 저녁 식사를 충분히 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다(p<0.01). 일주일에 식사를 거르는 횟수는 ``0회`` 33.7%, ``5회 이상`` 16.5%, ``2회`` 15.9%,``3회`` 13.7%, ``1회`` 13.4%, ``4회`` 6.8%의 순이었다. 과식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남학생의 58.5%, 여학생의 63.5%가 ``가끔 과식한다``고 하였고, 식사 속도는 남학생은 ``보통(60.0%)``, ``빠르다(28.2%)``, ``느리다(11.8%)``, 여학생은 ``보통(62.0%)``, ``빠르다(19.5%)``, ``느리다(18.5%)``라고 하여 여학생에 비하여 남학 생의 식사 속도가 빠르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p<0.05). 1일 간식 횟수는 남학생은 ``1회`` 51.8%, ``2회`` 30.8%, ``3회`` 12.8%, ``4회`` 4.6%로 답하였고, 여학생은 ``2회`` 42.5%, ``1회`` 36.5%, ``3회`` 13.0%, ``4회``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편식 여부에 대해서는 남학생 44.1%, 여학생 38.5%가 ``편식한다``고 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과 체질량지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체질량지수와 과식 여부(p<0.01), 식사 속도(p<0.01)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간식 섭취(p<0.05)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기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마른 체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체중 조절은 전문가의 상담을 통한 체계적인 방법이 아닌 식사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체중 감량을 시도할 우려가 높아 올바른 중 조절과 식습관을 유도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식사가 가지는 중요성을 일깨우고, 그릇된 신체 이미지로 인해 잘못된 식습관이 형성되거나 검증되지 않은 체중 조절 행위 등으로 청소년기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올바른 체형 인식과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적극적인 영양 교육 및 상담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garding desirable body image recognition by examining body image recognition 395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3.7 years for boys and 12.6 for girls. Their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65.4 ㎝ and 57.1 ㎏ for boys, and 155.7 ㎝ and 48.8 ㎏ for girls. As for body shape, girls thought that they were overweight more often and wanted to lose weight compared to the boy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weight control efforts were not systematic such ad via professional counseling. Weight control by students was attempted by themselves in order to control their weight by skipping meals. Further, the subjects exhibit dietary behavioral problems such as overeating, skipping meals, unbalanced diet, and eating speed. In conclusion, correct body image recognition is needed and families and schools should make efforts to help students properly control their weight and adopt proper eating habits.

      • KCI등재

        한의학 치료 증진을 위한 사티어변형체계적치료 모델의 적용 - 국내 질적 연구 분석

        김명희 ( Myung-hee Kim ),곽희용 ( Hui-yong Kwak ),김종우 ( Jong-woo Kim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9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3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qualitative research papers of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Korean medicine counseling. Methods: Domestic research papers were gathered by keywords ‘Satire Counseling’ or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RISS (http://www.riss.kr/), KISS (http:// kiss.kstudy.com/), OASIS (http://oasis.kiom.re.kr/). The results were seven papers. Seven papers were selected based on grounded theory and case studies. Researchers analyzed the phenomena during the course of counseling to discuss the mechanism of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and consider its applicability to Korean medicine psychotherapy. Results: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has three points: ‘Self’, ‘Communication’, and ‘Family’. Positive changes such as ‘Self-recovery’, ‘Consistent communication’, and ‘Recovery of relationships’ are derived from these three points. And techniques such as iceberg exploration, family maps, three-members in a born family, and the family sculpture are also effective means. Conclusions: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is valuable in the clinical fields of Korean medicine counseling, especially relative to problems stemming from relationships.

      • KCI등재

        기혼여성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김현동(Kim Hyon-dong),김명희(Kim Myung-Hui)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1 여성연구 Vol.81 No.-

        최근 한국사회는 알파걸 신드롬이라는 용어가 유행할 정도로 여성인력의 사회진출이 급격히 증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당수의 직장여성들이 사회 곳곳에서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유교적 가족가치관의 장벽에 부딪치며 직장과 가정생활의 병행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들의 가정에 대한 가치관과 직장-가정 간의 상호전이과정이 남편의 역할과 직장의 근로조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여성가족패널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가족에 대한 가치관은 직장과 가정생활의 상호전이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남편에 대한 신뢰도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가설과 달리 남편 가사분담은 전통적인 가족가치관과 더불어 비전통적 가족가치관과도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상호전이과정에서 개인이 지니고 있는 가치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Currently, Korean working women are advancing their careers called “Alpha Girl Syndrome”. Career advancement of Korean working women causes conflicts with traditional Confucian family philosophy.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Confucian family philosophy affects work-family spillovers moderated by husband’s attitude toward work-family balance and working conditions. Confucian family philosophy provides positive impact on the work-family spillovers whereas it does not affect family-work spillovers. Otherwise, feminism significantly influences work-family and family-work spillovers. Trusting relationships with husband and gender equity positively interact with the family philosophy of working women. Contrary to the hypothesis, family housework negative affect the effects of both philosophies on work-family & family-work spillovers.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es(Confucian & feminism) and work-family balance, the current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fucian family philosophy in the workplace.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explores the optimizations between traditional family philosophy and women career advancements that foster the working environment where married working women keep sustaining their jobs.

      • KCI등재

        연구논문 : 충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식생활 태도 및 잔반없는 날 인식에 대한 조사

        채송희 ( Song Hui Chae ),이제혁 ( Je Hyuk Lee ),김명희 ( Myung Hee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attitudes for leftover foo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number of family members on the effect of leftover foods-free da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asons for school lunch leftover foods were ‘too much amount (38.3%)’ and ‘disliked menu (33.6%)’, and the preferred ways for reduction of leftover food was ‘to cook deliciously (34%)’. In the case of students who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for reduction of leftover lunch, approximately 33.8% of subjects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by administered by nutrition teachers during lunch time. The reason for reducing the amount of leftover foods was ‘not to waste the foods (35.5%)’. After a leftover food-free day, approximately 62.3%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ate their whole meal, except for soup. The subjects wanted ‘twice per week for leftover food-free day’ and had positive attitudes for that program. Proportion of practicing reduction of leftover foods in families was 55.9% of subjects, and 40.5% of subjects preferred dietary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the classroom. For effective reduction of leftover lunch in school, nutrition teachers should attract interest on the environment and foods through after-school activities.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과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가 여성고용에 미치는 영향

        이종건(Lee Jong-Keon),김명희(Kim Myung-Hui),성상현(Sung Sang-hye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2 여성연구 Vol.83 No.-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과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가 여성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2개 기업에 근무하는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3개년도의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종단적 분석을 통한 인과적 관계의 파악을 위해 회귀분석과 세 시점 교차지연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은 기업의 정규직 여성채용비율, 정규직 여성비율, 여성관리자비율, 여성임원비율에 대하여 긍정적인 예측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는 정규직 여성채용비율과 정규직 여성비율의 증가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은 예측과 달리 정규직 여성의 이직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은 정규직 여성채용비율을 증가시켰고, 이러한 증가는 다시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에 대한 강조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은 정규직 여성비율을 증가시켰고, 이러한 증가는 다시 최고경영자의 성 다양성 몰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op management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and women-friendly HRM on female employment. To test hypotheses, we analyzed the Female Workforce Panel Data 2007, 2008, and 2010 that were collected from HR managers from 192 companies,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3-wave cross-lagged longitud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1) Top management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women's selection rate, total women's employment rate, women managers' rate, and women executives' rate; (2) Women-friendly HRM was positively related to women's selection rate and total women's employment rate; (3) Top management commit was positively related to full-time women's turnover rate; (4) Top management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increased subsequent women's selection rate, which in turn led to subsequent top management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and (5) Top management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increased total women's employment rate, which in turn led to subsequent top management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양성과 팀 성과

        이종건(Jong-Keon Lee),김명희(Myung-Hui Kim),성상현(Sanghyeon S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두 변인 간 관계에서 팀 목표 의존이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팀 구성의 다양성이 갖는 대표적인 세 가지 측면인 인구통계학적 차이, 정보지식 차이, 가치관 차이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연령, 경력 및 교육배경, 가치관을 사용하였고, 팀 성과는 팀 만족, 팀 몰입, 팀 응집성, 팀의 창의적 행동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기업의 실제 팀 58개에 소속된 59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성은 팀 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다양성은 팀의 창의적 행동에 대하여 정(+)의 미치는 반면, 교육배경 다양성은 팀의 창의적 행동 및 팀 응집성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관 다양성은 팀 만족, 팀 몰입, 팀 응집성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 목표의 상호의존은 다양성-팀 성과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였다. 팀 목표의 상호의존은 교육배경 다양성- 팀 몰입 관계, 가치 다양성-팀 몰입 관계, 그리고 경력 다양성-팀 응집성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Due to the increase of economic activities by women, employment flexibility, task diversity, and globalization, human resources in current enterprises have become increasingly diverse. Workforce diversity is related to enriched perspectives, skills, and insights, which in turn increase the group’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In contrast, the process of categorizing similar in-group members and dissimilar out-group members on the basis of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team members causes conflict within group processes. As a result, effective management of diversity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gaining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e diverse workforce. Despite long interests in diversity management, it is not clear yet how various types of diversity influence group processes and what effective management is on diversity. Most research on diversity are overly inconsistent. In particular, most studies on workforce diversity are conducted in Western enterprises where sources of workforce diversity are much more diverse than Asian companies in terms of race, nationality, gender orientation, individuality, etc. Moreover, since culture and structure of Asian and Western companies stand apart, questions are raised whether effects of work team diversity are the same in different organizational contexts.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diversity in Korean firms and the moderating role of team goal interdepe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versity on team outcomes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team goal interdependence on the diversity-team performance relationship.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propose: Hypothesis 1. Age diversity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a) team satisfaction, (b) team commitment, (c) team cohesion, and positively related to (d) teams creative behavior. Hypothesis 2. Career diversity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a) team satisfaction, (b) team commitment, (c) team cohesion, and positively related to (d) team creative behavior. Hypothesis 3.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a) team satisfaction, (b) team commitment, (c) team cohesion, and positively related to (d) team creative behavior. Hypothesis 4. Values diversity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a) team satisfaction, (b) team commitment, (c) team cohesion, and (d) team creative behavior. Hypothesis 5. The interaction of team perceived goal interdependence and (a) age diversity, (b) career diversity, (c)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and (d) values diver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satisfaction. Hypothesis 6. The interaction of team perceived goal interdependence and (a) age diversity, (b) career diversity, (c)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and (d) values diver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7. The interaction of team perceived goal interdependence and (a) age diversity, (b) career diversity, (c)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and (d) values diver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hesion. Hypothesis 8. The interaction of team perceived goal interdependence and (a) age diversity, (b) career diversity, (c)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and (d) values diver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reative behavior. To test the hypotheses, w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559 team members from 58 work teams in a Korean conglomerate. Four variables were used to measure team diversity: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values. To measure the context effects, perceived goal interdependence was introduc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Team outcomes included four variables: team commitment, team satisfaction, team cohesion, and team creative behavior. Also, the study controlled two variables that might affec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team size and the length of service of team members.

      • 여성과학기술인의 일‧가정 양립과 리더의 역할

        성상현(Sang Hyeon Sung),윤동열(Dong-Yeol Yoon),김명희(Myung Hui Kim),김희경(Hee Kyung Kim),민대숙(Dai Sook Min),켈리아시하라(Kelly Ashihara),최아란(Ah Ran Choi)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4

        과학기술분야 업무는 빠른 변화 속도와 높은 혁신 빈도 및 난이도로 인해 업무강도가 강하고 장시간 근무와 높은 스트레스를 겪는 직무 특성을 가지며 퇴직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과학기술인은 다른 직업군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일․가정 갈등이 나 육아 등을 이유로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보편성을 갖는 동시에, 한번 경력을 단절하면 복귀가 어렵다는 특수성(L자형 경력곡선)을 갖고 있어 인적자본 투자의 손실 또한 큰 분 야이다. 이러한 중요성을 갖는 여성과학기술인의 일 가정 양립에 있어 진성 리더십의 역할을 실증분석한 결과 비교적 위계적인 사회질서, 상사에 대한 존중 문화를 가진 한국 기업과 조직의 입장에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단기업적에 의해 자신의 성과가 평가 되고 직업적 성패가 갈리는 입장에서는 장기적 관점의 관리가 필요한 일‧가정 양립은 일상 경영활동에서 쉽게 실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고경영자나 오너 등 최상위 리더가 먼 저 문제점을 인지하고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해야 할 것이며 직속상사가 진정성 있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General labor market inflexibility, lack of company policies and industry specific characteristics further limit mid-career reentry, resulting in an L-shaped career curve. Women who later choose to reenter the workforce often return to positions outside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T) industries at lower wages.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life requires leadership and commitment from CEOs and company owners. Such findings were also supported in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HR managers and women scientists. Currently,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ompany and society cultivates organizational cultures based on respect with performance tied to an individual employees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Emphasis on short-term performance positions work-life balance in a conflict with company goals. Fundamental change is required at the CEO and company leader level to institute a culture that reconciles Korean style working culture with work-life balance priorities. Reward systems and corporate values need to prioritize and valu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levels for individual employee satisfaction.

      • 한ㆍ일 양국의 식중독 발생 현황 : 1999년 결과를 중심으로

        김성환,김용휘,박미아,김명희,임병순 중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0 自然科學硏究論文集 Vol.9 No.1

        This paper is for review the situation of the foodborne disease in 1999 between Korea and Japan. The total cases of foodborne disease in korea and japan are 174 cases and 2,697 case, respectively. In two countries, foodborne disease are common in summer. The main food related to foodborne disease are fish and fishery products in two countries. In Japan, foodborne disease have been broken out in restaurants, except the reason were unknown. Home made food is also the main cause of foodborne disease. It was found that Salmonella is the most dangerous microorganism, which related to the foodborne disease. and the second cause was Vibrio parahaemolyticus..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food habits, two countries have same reason of foodborne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