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아동센터 신규 진입평가사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명자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 기관종사자들의 평가만족에 대한 조사연구 이 논문은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에 현장종사자들의 평가만족에 대한 조사연구에 관한 분석 연구이며, 이 연구의 대상은 2012년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현장종사자들로 시설장과 생활복지사들이 평가사업을 준비하고 평가받는 과정에서 그들이 느꼈던 주관적 이해의 평가만족 조사를 통해서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을 구체적으로 검토 비교 분석하였다. 보건복지부는 2009년, 2010년 두 번의 평가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였고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을 통해 매년 두 번씩 정기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실태를 발표하고 있다. 충분한 자료라고는 보기 어렵지만 지역아동센터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로 판단되며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2009년 평가사업과 2010년 평가사업, 2012년 진입평가사업 집행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역아동센터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현장종사자들의 평가만족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해 평가사업을 구체적으로 검토 비교 분석하여 진입평가사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2년 2월에 시행한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를 시행한 전국 468개소(미흡 13개소, 신규 455개소)중 영남지역 240개소 중에서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의 진입평가교육신청자 명단에서 110개 기관을 추출하여 우편, e-mail로 발송하여 94개 기관 154부(시설장 94부, 생활복지사 60부)가 회수되었으며 85.5%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154 부 모두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카이스퀘어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의 전체 만족도는 일반적 요인과 기관적 요인에 관계없이 결과분석의 진술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의 준비기간의 적절성에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분석의 진술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의 설명회는 진입평가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으며, 결과분석의 진술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의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현장의견의 수렴이 높게 나왔으며, 결과분석의 진술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현장 평가 팀의 구성의 적절성에는 적절하다고 나타났으며 결과분석의 진술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진입평가로서 시행되는 자체평가의 필요성에는 필요하다로 나타났으며, 결과분석의 진술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브의 필요성에는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결과분석의 진술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신규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사업에 대한 현장종사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진입평가의 시행 과정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현장의견의 수렴이 가장 높게 나타나 현장성과 서비스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객관적 평가를 위한 평가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역아동센터만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평가지표 문항들이 더 개발되어야 하며, 평가전에 평가지표를 철저하게 교육하고 충분히 준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관이 평가기간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평가주체 역시 계획된 할당에서 평가할 수 있는 체계로서 평가인증제 도입과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해 사회복지시설 모두 3년에 1회 이상 평가받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 인증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법정 종사자가 2명 뿐 인 상황의 열악한 인력난으로 허덕이는 지역아동센터에서 평가사업이 과중한 평가업무 부담에 의한 종사자 소진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아동센터의 본연의 기능 수행을 저해하고 있으며 인력기준 개선방안으로 지역아동센터 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아동 연령과 수에 비례하여 종사자를 배치하고 좀 더 다양한 전문가가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시설이나 물리적 환경, 인력구조나 처우 등을 적절한 수준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전문 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로 볼 수 있다. 셋째, 진입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필요성에 긍정적인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절대 평가제로 전환한 이상 이러한 상대적 줄 세우기가 무의미해졌고, 평가결과를 운영비 지원과 연동하던 관행에서 탈피하여 최우수기관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지원의 의미를 지녀 지원예산의 자율적 운영의 허용, 포상, 해외선진지 시설 견학 및 교육연수, 국내 우수 시설 연수, 쉼 프로젝트를 통한 휴식제공 등 종사자들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의 방식이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상대적 줄 세우기로 시설 이기주의를 극대화하고 종사자들에게 극도의

      • 캐릭터에 따른 음악적 요소의 변화에 대한 연구 : 뮤지컬 오즈의 마법사를 중심으로

        김명자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how a musical theme can correspond to the variation of characters in the musical theatre. I found that the trend of studies on music in this field has been leaning toward the analysis of the feature of music through the examination of a whole text. I, therefore, attempted to narrow down the range of the text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music via more sophisticated analytic methodology. The Wizard of Oz was firstly staged in 1902 based on L. Frank Baum's famous novel The Wizard of Oz (1900). The musical film, produced in 1939, was recorded as one of the unprecedented successful musical films and this text became the origin of the various versions of The Wizard of Oz thereafter. In Korea, the officially licensed version of Musical The Wizard of Oz was staged by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in 2008 for the first time. SMMT translated and adapted the British version by Royal Shakespeare Company (1987) at that time. The musical theatre version staged in Korea (2008) is the main text and I analyzed only "I want song" of scarecrow, can and lion from act 1 scene 5 to scene 7 rather than dealing with the whole text and music. This approach was worth study because the three pieces "I want song" are different adaptations of one musical theme. I begin with the examination of 100 years of The Wizard of Oz and the general study of the musical text and the elements of music. I used this musical elements as a tool of the analysis. Firstly, main body examined the song of scarecrow under the analytic frame of the component of music on the basis of analysing the characters and drama in the text. I divided the component of music into form, rhythm, tune, harmony, arrangement, and the sound feature and then applied these to the songs of can and lion in order to explore the music elements which gave rise to the changes from the original theme. Noticeable changes of each song in concerts with the character are as follows; the expansion and the reduction of form, the change of time groove and the variation of rhythm by means of the modification of accompaniment, the division of tunes perfectly allocated to each character, instrument combinations, the variation of harmony, transition and tone, and the changes of the method of song expression. In conclusion, characters and music in musical theatre constitute the two interrelated factors in the coordinated relationship. That is, on one hand, characters can be an element which constitutes the music and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music is to specify and develope the characters. 본 논문은 캐릭터의 변화에 따라 하나의 테마가 어떻게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며 변화하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뮤지컬 작품 전체의 분석을 통해 뮤지컬 음악의 특성을 분석한 논문은 있지만, 캐릭터의 성격과 상황에 따른 음악적 요소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이제껏 없었다. 본 논문은 연구 범위를 좁히고 보다 세분화한 분석을 통하여 캐릭터와 음악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오즈의 마법사>는 1900년 프랭크 바움의 소설을 원작으로 1902년 처음 무대화되었다. 1939년에 제작된 뮤지컬 영화는 대히트를 기록하였고, 이것은 무대 뮤지컬의 기초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공연된 정식 라이센스 버전은 2008년 서울시뮤지컬단이 처음이었는데, 이 작품은 영화를 바탕으로 제작된1987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버전을 번역․각색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08년 한국 공연버전을 바탕으로 하되 전체가 아닌 1막 5장부터 7장에 등장하는 허수아비, 깡통, 사자의 노래로 분석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세 곡은 모두 하나의 테마의 변형으로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본 연구에 좋은 텍스트가 되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소설에서 시작된 뮤지컬 <오즈의 마법사>의 110여년 역사를 살펴보았고 이론적 배경으로 뮤지컬 극본과 음악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각 요소는 분석의 도구(tool)로 활용되었다. 본론은 극본에서 나타나는 캐릭터와 상황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먼저 허수아비 테마의 음악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는데 노래 형식, 리듬, 선율, 화성 및 편곡과 음향적 특징 등으로 구분하였고 이것을 바탕으로 깡통과 사자의 변화된 음악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노래는 캐릭터에 따라 다음의 음악적 요소의 변화가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었다. 형식의 확장과 축소, 반주부의 변형을 통한 Time groove의 변화 및 리듬의 변주(variation), 하나의 선율을 각 캐릭터가 나누어 부르는 선율의 분할 및 악기편성과 활용, 화성적 변주, 전조와 조성 그리고 노래조 혹은 서창조 등의 노래 표현 방법의 변화 등이 있었다. 연구를 통하여 뮤지컬에서 캐릭터의 성격과 상황은 음악의 동기 및 발전의 핵심이며, 그것은 다양한 음악의 구성요소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구체화되는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나의 테마를 가지고도 수많은 캐릭터를 표현할 수도 있고, 새로운 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오즈의 마법사의 예와 같이 좋은 테마와 그 경제적이고도 효과적인 활용의 방법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 단일연령집단과 혼합연령 집단간의 읽기, 쓰기의 차이

        김명자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치원에서 학급구성은 유아들의 대인관계와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능력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단일연령집단과 혼합연령집단간의 효과 비교에 관해 많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학급구성방식에 따라 문자발달, 특히 읽기와 쓰기 수준 증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위치한 두 유치원에서 C유치원의 5세아 20명을 단일연령집단으로 하고 D유치원의 평균 연령 5세의 20명을 혼합연령집단으로 구성하여, 각각 주제중심 통합 프로그램을 8주동안 실시하였다. 두 집단에 대해 사전검사, 실험처지, 사후검사의 순서로 실험하였다. 읽기와 쓰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캠브리지 레슬리 문해 프로젝트검사(TCLLP: The Cambridge Lesly Literary Project)와 마이클버스트 그림 언어 검사(MPLT: The Myklebust Picture Language Test)를 개작한 VQWS (Visual Que Writing Sample)를 정남미(1999)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 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으로 분석하였으며, 2X (2) 반복측정식 변량분석을 적용하였다. 학급구성유형이 유아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읽기오류율, 유의미 오류점수, 자기 수정점수, 총단어수, 문장당 단어수, 및 총문장수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여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연령집단과 혼합연령집단은 읽기 검사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단일연령집단은 오류율이 향상되었고, 혼합연령집단은 유의미 오류 점수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자기수정 점수에서도 단일연령 집단이 향상되었다. 둘째, 단일연령집단과 혼합연령 집단은 쓰기 검사에서 총단어수, 문장수 및 문장당 단어 수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5세 유아들의 경우 읽기, 쓰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필기구의 바른 사용, 바른 자세로 쓰기, 가위로 오리기, 선긋기, 곡선그리기, 미완성그림 완성하기, 색칠하기, 다른 모양 찾기 등에서 현저한 향상을 나타냈다. Class grouping has substantial effects on the children's ability via human relation and interaction. There has been many studies that examine the effects of class grouping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rouping) on the children's abil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 grouping on the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40 children sampled randomly from 2 kindergartens in Daegu city. 20 children were assigned to homogeneous group composed of 5-year-old children and the other 20 were assigned to heterogeneous group composed of average 5-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pre-post control-experimental 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8 weeks in March, April and May 2003. To test the effects of the type of class grouping, revised tests of the Cambridge Lesley Literary Project and The Myklebust Picture language test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in reading test, homogeneous grouping was different from heterogeneous grouping. The error rate of homogeneous grouping was better than that of heterogeneous grouping, but meaningful error score was vice versa. The self-correction score of homogeneous grouping was better than that of heterogeneous grouping. Second, in Writing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homogeneous grouping and heterogeneous grouping. Finally, 5-year-old children were much interested in reading and writing. There were notable improvements in correct usage of writing tools, writing in good manner, usage of scissor, line-drawing, completing the unfinished picture, coloring, picking other pattern and so forth.

      •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 담당교사의 배경 변인 및 담당 교육프로램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그리고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

        김명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사기, 직무에 대한 헌신도, 건강, 직무수행, 이직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교육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수교사는 장애학생과 관련된 직무특성으로 인해 일반교사와는 다른 역할 및 능력과 그에 따른 책임이 요구되어 특수교육에서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자치제 이후 장애인 복지관의 증가와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과 교육재활담당교사들의 처우개선 및 보다 나은 특수교육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서비스에 대한 특수교육의 측면에서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교사의 배경 변인과 담당교육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85개 장애인복지관 중 성인교육을 제외한 교육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교육재활담당교사로 하였다. 교육재활담당교사의 배경 변인과 교육재활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성향과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 또는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상관 관계를 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연령, 경력, 보수,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즉, 연령이 낮은 25세 미만인 교사, 경력이 짧은 3년 미만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100만원 미만의 낮은 보수를 받는 교사에 비해 140만원 이상을 받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직급의 경우 4급이하에 해당하는 교사의 경우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4급에 해당하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과 보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교사의 연령이 적은 25세미만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보수에 있어서는 140만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이직성향은 결혼여부와 전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미혼인 교사,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의 이직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2. 교사의 담당교육프로그램 유형은 교육지도 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성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별 교육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그리고 이직 성향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 담당교사의 배경 변인과 담당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혼의 젊은 신임 교사들에 대한 관리와 배려가 특별히 요구되며, 장애인복지관의 교육재활 담당교사를 전문가로써 존중하고, 관심을 가지며 교육재활담당교사의 학력과 전공에 상응하는 보수체계의 마련으로 장기 근속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청된다. 또한 교육재활담당교사에게 보수이외의 보상, 관리자와 동료간의 관심과 협력 등에 의한 정신적인 우대를 통한 지지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많은 분포를 나타내는 경력이 짧고,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들을 위한 슈퍼비젼과 연수 등의 교육 지원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 실시로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 담당교사의 전문성 있는 자질 향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초·중등교육을 맡고 있는 취학 반 교사들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있어야 할 것이다. Becaus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ave influence on their morale, commitment, health, performance of their duty, and retention, etc. decreas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re associated with the success of education. In this aspect, becau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different roles, 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from those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due to job specificity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ave more significant meanings in special education. In this country South Koreas situation emphasizing roles of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increasing the number since a local self-governing,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educato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change of occupation could be basic data providing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better treatment, and better function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there are few of the researches, which have been done in respect to edu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of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aspect.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the influence of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education programs in charge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change of job. The participants were 204 educational rehabilitation teachers from 69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have operated edu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except for adult education, out of 85 whole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is country. t-test or ANOVA were conducted to asses the difference in teach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ing influenced by work environment variables and edu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Pearson r was conducted to indic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ch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ing based on their background. Teacher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ased on their background, which involved age, career, salary, position level.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job stress. For teachers salary, the higher the salary, the lower the job stress. Job stress of teachers who were at the level under 4 position was the highest. Job stress that teachers at the level 4 position had was the lowest.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ir background, which involved age and salary. As teachers age was highe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eachers whose salary was less than 1,000,000 won showed lowest job satisfaction. Teachers tendencies of job chan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marriage and major. The tendency of job change was higher in teachers who were single than married. The tendency of job change was higher in teachers who was not major in special education. 2. There was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nsidered based on teaching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ed by education type by age. 3. Correlation was found for teachers i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ackground that included age, marriage, major, salary, and position level influence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e. Therefore, special management and consideration are required for new teachers who are not married. It is required to have the system that leads respect for teachers as professionals and job retention through compensation suitable to academic background. It is also necessary for teachers to be supported through extra compensation besides salary an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among colleagues. Educational supports including special training are also needed for enhancing professional and quality of teachers who are not qualified enough. Supports and consideration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school age are also needed.

      •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간의 종단적 관계 :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명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이고 심리적 변화와 신체적 변화를 동시에 겪는 특수한 시기이다. 청소년기에 형성하는 삶의 만족도는 청소년기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전생애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는 조사 대상국 중에서 지속적으로 하위에 속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청소년이 지각한 삶의 만족도의 발달궤적이나 특성을 파악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청소년들의 생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단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삶의 만족도가 종단적으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성취도의 초기값 또는 변화율이 학교생활적응의 초기값 또는 변화율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의 초기값 또는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성취도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다. 분석대상은 한국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조사의 초4 패널 자료로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활용한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4차년도)부터 중학교 3학년(6차년도)까지의 동일한 학생 1874명(남학생 984명, 여학생 890명)으로 이루어졌다.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종단자료에 많이 활용하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후 시점의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는 이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에, 이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삶의 만족도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선형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세 변인을 잠재변인으로 설정한 모형의 구조계수는 모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은 학업성취도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종단적 매개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성취도는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학교생활적응이 매개역할로 작용하면 삶의 만족도는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 청소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학교생활적응에 집중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청소년기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올바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잠재성장모형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트레스·문제행동의 관계

        김명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stress an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in oder to be of use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parent-education program and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guide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5th and 6the yea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5th to July 16th, 2002.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Hyun wo-tak(2000), Han mi-hyeun(1996)'s scales, which consisted of 155 items including 80 about perceive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40 about stress of children and 35 about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AS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parent according to the perceive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types, in the group that perceived it with acceptance, mother was more acceptant than father(t=6.64, P<.001). And in the group that perceived with rejection, father was more rejective than mother(t=-2.90, P<.01). In the group that perceived with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2) Children experienced the most stress in the schoolwork domain, the next domains were parent, friends, teacher and school, surroundings, home environment in order. Children's stress was more higher in the high group than in the low group in every domai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t=55.45, P<.001). 3) Hyperactivity amo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as the highest, and the next were anxious behavior, withdrawal behavior, immatur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in order. 4) Children who perceived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with rejection showed significant higher difference than the ones who perceived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with acceptance in the stress of parent, home environment, friends, schoolwork, teacher and school domains(t=-5.15, P<.001), and children who perceiv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ith rejection showed significant higher difference than the ones who perceiv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ith acceptance in every domains(t=-6.45, P<.001). Children who perceived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with control felt higher stress than the ones who perceived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with autonomy in every stress domains(t=-5.88, P<.001), and the result about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as the same(t=-5.77, P<.001). 5) Child's behavior problems according to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types perceived by children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types acceptance-rejection groups. In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types, behavior problems were higher in rejection group than in acceptance group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t=-1.98, P<.05). In withdrawal behavior domain, rejection group was higher than acceptance group against both father and mother. Behavior problems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ones of autonomy group against both father(t=-3.37, P<.001) and mother(t=-3.37, P<.001) in every domai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6) Behavior problems according to children's stress high-low group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only in withdrawal behavior domain, high group was higher than low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t=2.41, P<.05). In conclusio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have influence on children's stress and behavior problems. So, school and community have to develop and operate the effective parent-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to have good influence on their emotion, to respect them as a human with affection and to rear their children in autonomous, acceptant, positive, democratic way. Also home, school and society should take care of them with love for children to have less stress and enjoy their life, and to take interest in the correction and protection of behavior problems, to build desirable guiding methods and to try to do our best for guidance.

      • 국사교과서 삽화자료 분석과 개선방향모색

        김명자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21st century is called the information Age also characterized by worldwide globalization trend. To stay abreast with social shifts, client-centered education that aims for enhancing creative thinking faculty and learning capability is increasingly stressed,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a have gradually been executed since 2002.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in the curricula is that they are in pursuit of learner-centered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intend to teach students to take initiative in future society and have a good citizenship. To be in line with the intent of the curricula, new textbooks are produced. Specifically, new national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grade is a far cry from the existing one, as it is larger in size, have better-quality papers and contains a variety of bigger and vivid materials, such as color photographs, maps, diagrams and pictures. Since the current curricula call for various types of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historic map, chronological table, graph, realia and audio-visual data, to draw attention from learners and enable them to inquire into history on their own, the textbook is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 and excel the past one. Textbook is the most economical and systematic learning material. And illustration date included in it are one of the useful visual materials to stimulate learner interest and facilitate inquiry learning. They could provide motivation to students,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class and offer much more sustainable knowledge than spoken or written language could do. Furthermore, students will be given more realistic opportunities to reexperience and reinterpret historical facts, and they will be able to have a critical mind and historical thinking faculty, such as interpretation and inquiry process skills, which is one of the major tasks in history education. To make textbook illustration materials work properly, it's needed to increase their accuracy and adequ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llustration data in the new 7th national history textbook, compare it with the 6th one and determine its relevance, in an effort to find out what problems it faced and in which way better illustration data could be inserted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For that purpose, the concept, selection method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illustration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by era, area and type to see whether the illustration data in the 7th textbook were well organized and appropriate and to what extent is was faithful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a. For content analysis, the 7th and 6the textbooks were compared by type of materials to figure out how much change the 7th one made and what problems there were. As a result, the 7th textbook was found to offer more detailed caption and comment for better learner understanding and try to eliminate the problem pointed out in the past about the type of illustration materials. The textbook was of greater use by presenting a lot of illustrations, but their accuracy and adequacy weren't yet fully guaranteed. The educational merit and usefulness of illustrations are very great since they provide learners with enriched supplementary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convey in written language, and could eventually raise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learners. If there are sustained efforts to prepare better illustrations, the use of illustration data will be the easiest and surest way to make history class successful.

      • 지구단위계획지구내 특별계획구역의 공간적 위상과 기능적 역할

        김명자 서울産業大學校 住宅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별계획구역에서 건축물은 도시 경제적, 지역적, 환경적, 경관적, 사회적 차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되고 계획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규제를 통하여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특별계획구역 개념은 1983년 잠실 신시가지 도시설계 작성과정에서 처음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특별사업구역, 특별설계구역, 특별설계단지, 특별계획구역의 변천과정을 거쳐 도입되었으며, 도입 목적은 개발 파급효과가 큰 대규모 나대지 개발을 유도하고 통제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지구단위계획이 실행된 2000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시기를 한정하여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동안 특별계획구역의 세부개발계획이 결정된 구역은 총 48개로 조사되었다. 특별계획구역 지정에서부터 세부개발 계획결정까지 소요기간은 평균 약 3.4년이 소요되었으며, 5년 이상 기간이 소요된 구역은 약 21%로 지역입지와 토지이용특성에 대응한 구체적인 지정기준과 분명한 공공목적 없이 개발을 전제로 무작위로 지정된 결과 계획결정기간이 장기화되고 있다. 특별계획구역 개발은 주상복합건축물이 약 80%로 특별계획구역에서 주상복합건축물 일변도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용도지역상향조정과 그동안 상업지역에만 허용하던 것을 준주거지역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별계획구역의 건축물 높이, 도로, 경관에 관한 사례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문제점 및 대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건축물 높이는 대부분 도로사선 제한을 받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지형에 의한 고·저차 고려를 배제하고, 획일적인 높이규제가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은 지형에 의한 고·저차 고려가 필요하며, 또한 특별계획구역에 대한 높이 규제를 대폭 완화하여 공간적 위상을 표방할 수 있는 랜드마크적인 요소 부여가 필요하다. 둘째, 도로는 공공이 부담해야하는 도시 기반시설을 민간이 부담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로는 대지, 가로, 건축물 환경이 서로 맞물린 중간에 위치해 있으며, 각각 조직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도로계획은 복합적으로 고려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도로는 이용자가 움직이면서 공간을 느끼는 연속공간이므로 개별공간과 건축물에 대한 사항보다는 그것들이 연속적으로 이루는 모습에 초점을 맞춰서 도로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경관은 환경성 검토 항목으로 조망점에 의한 분석을 통하여 주관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도시전체 마스터플랜에 의한 경관지침을 마련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특정구역에서 소규모 마스터플랜이 계획됨으로써 도시전체 공간구조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지구단위계획구역 전체에 대한 도시공간구조 마스터플랜을 종합적으로 제시한 후 특별계획구역 경관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지구단위계획지구내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할 때 지침서 작성은 개발계획에 있어서 법규적 제약을 획일적인 적용하고 있으며, 공공이 부담해야 하는 도로나 보행통로의 쾌적한 환경 등에 관하여 과도하게 공공시설에 대한 부담을 주면서 이에 대한 특별한 혜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별계획구역은 도시공간의 중요한 핵심지역으로써 공간적 위상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므로 첫째 각종 법규에 의한 규제완화가 필요하다. 둘째 용적률 증가가 없는 범위내에서 건축물 높이제한 완화를 통하여 초고층 건축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는 건폐율이 낮아지고 건축물 슬림화로 도시 보행공간 확보 및 가시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셋째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는 대지면적 또는 연면적이 설정되어 있으나, 특별계획구역에서는 대지면적이나 연면적에 대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지최소면적 설정을 해야 한다. 서울시는 도시화 현상으로 점차 대규모 나대지가 고갈되어 가고 있는 상황임으로 소규모 재개발을 지구단위계획지구내 특별계획구역과 연계하여 지정하게 되면, 도시기본계획의 틀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시공간체계 형성을 위한 마스터플랜에 위배되지 않고, 도시전체 소규모 특별계획구역이 가지는 속성을 인지하고 중요핵심지역으로 전략 개발함에 있어서 도시공간이 갖고 있는 공간적 위상과 기능적 역할의 운영은 노후시가지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공공성을 확보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리라고 판단된다. Buildings in special planning district are planed under regimental control in spite of planning through various plans such as urban economic, region, environment, landscape, and society etc. The concept of 'Special Planning District' (SPD) system wa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developments on the important sites within 'District Unit Planning' (DUP) area in 1983.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at total number of areas that decided by detailed development project within special planning district area are 48 from July, 2000 to March, 2006 since DUP was executed. And it takes 3-4 years to be progressed from special planning district specification to detailed development project decision, only 21% areas took more than 5 years because unintentional development under the assumption development without specific appointment standard and clear public purpose corresponding to regional location and la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caused project period to protract. Commercial-residential buildings out of development within special planning district are takes 80%. This is because commercial-residential buildings were expanded into semi-residential area by up-zoning. Present problems and alternatives were analyzed through special planning district by building height, road plan and sky view analysis, and those are as following. First, building height establishment is applied by building height limitation of the width of the road, and this is uniformly building height limitation. For that reason, Characteristic control that reflects topography difference and building height limitation that mitigates sharply must be considered as landmark element which represents spatial phase within special planning district. Second, road as a public infrastructure has to share by public organization but the problem is that private sector shares. The plan of road is necessary to establish by multi-complex because road within special planning district is located in middle stage of land, street and building. Third, the problem of view analysis within special planning district is that view analysis by environmental check-list standard is being subjective development. This has shortcoming that small-scale master plan can not do analysis on the whole urban space structure within specification area in spite of preparation of view standard index on by the master plan of urb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urban view for special planning area after presenting master plan by urban space structure. Special planning district within district unit plan area is a unified system of urban design, which regulates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in specific areas, and detailed district plans which have the nature of urban planning as a series of comprehensive space plans. It is necessary to have spatial phase and role as a key space district within the special planning district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deregulate by various legislation on special planning district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e super-skyscraper by deregulation building height limitation within the extent that is not increased floor area ratio. And this makes building to land ratio lower and buildings slenderize so that urban space could secure pedestrian walk space and open space. Third, special planning district has to establish minimum land area because the standard on the land area or the sum total of floor area on each floor was not established. Large-scale unused land of Seoul city has gradually been situated in growing smaller by urbanization phenomenon. Therefore, if small-scale redevelopment is specified connecting to special planning district within district unit plan, the formation of urban space structure is not violated on master plan and developed as a key district with characteristics that small-scaled special planning district has within whole urban area. And also spatial phase and functional role will be reestablished as well contributed to securing public value and improving decrepitude street environment.

      • 유ㆍ무산소 복합운동이 폐경기 전ㆍ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및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명자 동덕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산소 운동의 장점과 저항성 근력운동인 무산소 운동의 장점을 살린 8주간의 복합운동과 식이교육이 폐경기 전․후 비만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및 혈중지질 성분 변화에 어떠한 영향를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은 체지방율이 30% 이상인 폐경기 전 여성 10명과 폐경기 후 여성 10명으로 총 20명을 대상으로 주5회, 1일 60분간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구성의 변화 1) 복합운동 실시 후 체중, BMI는 폐경기 전․후 여성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1). 2) 체지방량은 폐경기 전․후 여성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1). 3) 체지방율은 폐경기 전 여성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p<0.01), 폐경기 후 여성 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p>0.05). 4) 근육량은 폐경기 전 여성 집단에서 증가하였으나, 폐경기 후 여성 집단에서는 다소 감소하였다. 2. 체력의 변화 1) 복합운동 실시 후 근력은 폐경기 전 여성 집단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p<0.05). 폐경기 후 여성 집단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지 않았다(p>0.05). 2)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순발력은 폐경기 전․후 집단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내었다(p<0.01). 3) 유연성은 폐경기 전 여성 집단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내었고(p<0.05), 폐경기 후 여성 집단에서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내었다(p<0.01). 4) 민첩성은 폐경기 전 여성 집단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p<0.05), 폐경기 후 여성 집단은 유의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05). 3. 혈중지질 성분의 변화 1) 복합운동 실시 후 TG는 폐경기 전․후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p>0.05). 2) TC은 폐경기 전 여성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내었고(p<0.05), 폐경기 후 여성 집단에서도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내었다(p<0.01). 3) LDL-C는 폐경기 전․후 여성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내었다(p<0.05). 4) HDL-C는 폐경 전 여성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고(p<0.05), 폐경기 후 여성 집단에서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운동이 폐경기 전 비만 여성뿐만 아니라, 폐경기 후 비만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지질 성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으며, 따라서 관절의 퇴행성과 뼈의 골다공증이 시작되는 폐경기 전ㆍ후 비만 여성들의 체중조절 작용과 고지혈증 등을 예방하는데 복합운동의 형태가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