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조절자원과 메시지 난이도가 확증적 정보 처리(confirmatory information processing)에 미치는 영향

        김류원 ( Ryuwon Kim ),정세훈 ( Se-hoon Jeong ) 한국PR학회 2018 PR연구 Vol.22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of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and message complexity as factors that moderate the tendency of confirmator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We first measured biased assimilation and selective exposure after presenting information that was consistent or inconsistent with the decision the subject made about candidates in an election. Next, we confirmed whether this confirmatory information process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ource depletion and the level of message complexity. Results The interaction effect of resource depletion and message complexity was found for selective exposure. Specifically, message complexity did not affect selective exposure in the case of no resource depletion. However, in the case of resource depletion, selective exposure to decision-consistent information was observed to be stronger when message complexity was high.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cognitive bias can be controlled by the level of self-regulatory resources and message complexity.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mmunication practitioners to reduce biased processing.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스피치 교육에서 영화 활용의 효과

        김초희,염정윤,김류원,정세훈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3

        본 연구는 스피치 교육에서의 영화 활용이 학습자들의 스피치 교육 강의에 대한 태도및 스피치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교육에활용하는 영화의 구성 방식(내러티브 vs. 비(非) 내러티브)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 대상자를 (1) 영화를 활용하지 않는 집단, (2) 내러티브 영화 활용 집단, (3) 비(非) 내러티브 영화 활용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조건에 따른학습자들의 강의에 대한 태도와 스피치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피치 교육시 영화를 활용한 집단의 학습자들이 영화를 활용하지 않고 일반 강의만 진행한 집단에비해 강의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스피치 능력이 높게 나타나 영화 활용의 긍정적효과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영화 구성 유형(내러티브 vs. 비(非) 내러티브)에 따른 차이는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국내 스피치 교육 연구에서 영화 활용의 효과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스피치 교육 관련 연구의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스피치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이고 나아가 스피치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효과적인 스피치 교육안 개발에 실무적 유용성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lm use in speech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the lecture and learners' speech skills. Also, we examined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by the composition of the film (narrative vs. non-narrative structure) used in the education materials. The study used a three group experimental design, in which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ree different conditions: (1) lecture without film, (2) lecture with narrative film, and (3) lecture with non-narrative fil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cture with film (both narrative and non-narrative) conditions resulted in more positive attitudes and higher speech ability compared to the lecture with no film condition. The results confirm the positive effect of film use in speech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cture with narrative film and the lecture with non-narrative film condition. Given that the effectiveness of film use on speech education has rarely been examined i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not only contributes to research on speech education, but also has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effective speech education materials.

      • KCI등재

        국내 댓글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염정윤(Jung-Yoon Yum),김류원(Ryuwon Kim),정세훈(Se-Hoon Je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댓글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7개 연구의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댓글의 평균 효과 크기는 d = 0.85(95% CI [0.65, 1.06])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댓글의 효과는 다양한 조절 변인에 따라 강화 또는 약화, 심지어 소멸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기사 속 예시에 비해 기사 밖 댓글이 더 강력한 효과가 있었으며, 기사와 일치하는 댓글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 설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댓글 노출 여부를 비교한 실험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찬성 댓글과 반대 댓글을 비교한 실험 설계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주제 및 형식 측면에서 마케팅 및 소비자 리뷰 댓글은, 정치 사회, 헬스 기사, 그리고 소셜미디어 댓글에 비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댓글의 작성자가 익명이거나 논거가 적은 경우 오히려 댓글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표본에 비해 일반인 표본에서 댓글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판된 연구에서 효과의 크기가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 Based on a meta-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user comments. An analysis of 47 studies showe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was d = 0.85(95% CI [0.65, 1.06]). However, this effect varied by several moderators. For example, user comments following news articles had greater effects compared to those within a news article, and the distribution of user comments that were more consistent with the news message had greater effects. Studies that compared positive vs. negative user comments had stronger effects than studies that compared user comments absent vs. present. In terms of topic and format, marketing/consumer reviews had greater effects compared to user comments in political, social, and health news and social media. Contrary to expectations, user comments had greater effects when the author was anonymous or had weak arguments. The effects of user comments were smaller among non-college adults and among published studies.

      • KCI등재

        소득, 연령, 인지욕구가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과 인지욕구의 조절효과

        최인호(Inho Choi),염정윤(Jung-Yoon Yum),김류원(Ryuwon Kim),정세훈(Se-Hoon 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2

        본 연구는 소득, 연령, 인지욕구로 인해 발생되는 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 사이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20대-60대 남녀 336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있어서 기능적(functional)-비판적(critical) 차원과 소비(consumption)-생산(prosumption) 차원을 모두 아우르는 능력을 가리키는 뉴미디어 리터러시(NML)의 4가지 유형(기능적 소비능력, 비판적 소비능력, 기능적 생산능력, 비판적 생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소득과 연령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살펴보았는데, 예상대로 소득이 증가하고 연령이 감소할수록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인 뉴미디어 리터러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통적인 디지털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에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변인으로, 개인 심리적 동기인 인지욕구(NFC)도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 가지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도 살펴보았는데, 소득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는 4가지 유형의 NML중 생산(prosumption) 리터러시(기능적 생산능력 및 비판적 생산능력)에서 소득이 유발하는 디지털 격차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욱 커지는 연령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소득에 대한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도 기능적 소비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유형의 NML(비판적 소비능력, 기능적 생산능력, 비판적 생산능력)에서 소득으로 인한 디지털 격차가 인지욕구가 증가할수록 더욱 줄어드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과 인지욕구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함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digital divide due to income, age, and need for cogni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Based on a survey of 363 adults in their 20s to 60s, we examined new media literacies including functional-critical, consumption-prosumption of new media content. As expected, new media liter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income and negatively related to age. In addition, need for cogn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new media literac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income and age on prosumption literacy, such that the positive effect of income increased by age. Also,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income and need for cognition, such that the positive effect of income reduced by need for cognition.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age and need for cognition. The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