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미 글로벌 매칭을 통해 생성한 수치표고모델의 정확도 분석

        김두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71

        최근 사진측량기술과 다양한 센서의 발달로 인해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면서 고품질, 고정밀 데이터의 구축 및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수치표고모델(DEM) 제작에서 항공 LiDAR측량 방법은 정확하고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평가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국(전역)을 확대하여 제작하기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해상도 정사영상 제작시 고품질의 수치표고모델은 필수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수치표고모델을 취득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항공 LiDAR 측량성과를 사용하지 않고, ADS80 라인센서 디지털항공영상을 이용하여 Semi-Global Matching(SGM) 기반의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였다. 새로운 매칭방법인 SGM을 이용하여 DSM/DEM 생성 실험을 수행하고, 제작된 DSM/DEM의 수직 및 수평위치의 정확도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수치표고자료의 생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emi-Global Matching을 이용하여 제작한 수치표면모델(DSM)과 항공 LiDAR 측량성과를 이용하여 제작한 수치표면모델(DSM)의 고도차이를 6개 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평지(도로)지역 0.138m, 수목밀집지역 0.643m, 농경지지역 0.123m, 높은건물 0.231m, 낮은건물 0.122, 복잡한건물 0.147m로 수목밀집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모두 항공 LiDAR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수목밀집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되었던 표고차는 항공 LiDAR의 다중반사(multi)특성에 의하여 수목 아래 바닥면에 표고값 취득이 가능하지만 SGM에서 Ground 값을 추출할 수 없는 최대 단점으로 항공 LiDAR와의 융합을 통해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LiDAR 와 SGM 으로 생성한 수치표고모델(DEM)과 정사영상(Ortho-Photo)에 대하여 정확도 기준자료인 GNSS 측량성과와 1/1,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수평위치 정확도에서는 LiDAR 정사영상 0.221m미만, SGM 정사영상 0.194m로 LiDAR 정사영상이 약 0.03m정도 표준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수직 위치정확도에서는 SGM DEM이 0.223m, LiDAR DEM이 0.129m로 SGM DEM이 약 0.09m정도 RMSE 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Semi-Global Matching(SGM)을 이용한 수치표고모델의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수직 및 수평위치 정확도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항공 LiDAR 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신기술로 새로운 수치표고모델의 구축도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Recently, it becomes possible to acquire 3-spatial information data due to the recent photogrammetry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sensor technologies. Thus,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high-quality, high-precision data have been done. In particular, in the production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irborne LiDAR survey methods are assessed as the most accurate and economical ways. However, these methods are disadvantageous of high cost and much time spent in producing DEM by expanding the country nationally (globally). In addition research to get a digital elevation model when producing high-resolution ortho-images is active in a number of essential ways of the high quality digital elevation model.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a Semi-Global Matching (SGM) based digital elevation model using ADS80 line sensor-digital aerial images instead of airborne LiDAR survey results. This study also performed a DSM/DEM generation experiment using SGM as a new matching method and tried to present a generation method of efficient elevation level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accuracy of plane and vertical positions of DSM/DEM mad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surface model (DSM) manufactured using the Semi-Global Matching produced using airborne LiDAR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divided into 6 regions. The results showed flats (road) area 0.138m, forested area 0.643m, cropland area 0.123m, high building 0.231m, low building 0.122, and complex building 0.147m. The rest area except for the densely forested area represented similar values to those of airborne LiDAR. For the relatively high difference in elevation values in forested areas,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elevation values on the floor under the tree due to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le reflection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extract the ground values from SGM, which is thus the biggest drawback. Therefore, it was found to use data through the fusion of airborne LiDAR as the effective way.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accuracy using a GNSS surveyed 1/1,000 digital map as a precise accuracy source for DEM ortho-photos generated using LiDAR and SGM. As the result, the horizontal position accuracy was found to show great standard deviation with 0.221m or less in LiDAR ortho-images, 0.194m in SGM ortho-images, 0.03 in LiDAR–ortho images. The vertical position accuracy revealed 0.223m in SGM DEM and 0.129m in LiDAR DEM, showing that SGM DEM is 0.09m higher in RMSE valu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the digital elevation model using Semi-Global Matching (SGM). It is aldo expected to construct new digital elevation model as a new technology that can replace the airborne LiDAR equipment in the future by verifying the accuracy of flat and vertical positions.

      •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두리 관동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경험하는 가족관계스트레스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서 한국가족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도록 돕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양양군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4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는 먼저 결혼이주여성 43명을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인 특성, 가족특성, 가족관계스트레스를 조사한 이후 설문조사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심도 있는 자료 확보를 위해 6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 범주에 맞게 남편관계스트레스, 자녀관계스트레스, 시부모관계스트레스로 해석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관계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남편과의 대화시간 부족과 부부간의 의견차이가 가장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면담조사에서는 부부간의 의견차이 보다는 대화시간 부족이 더 큰 스트레스 요인이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어 수준이 대체적으로 대화하기에는 충분한 것으로 볼 때 남편의 과묵한 성격이나 직업상 늦게 귀가하는 요인 등이 부부간의 대화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녀관계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자녀 교육(성적, 예절교육 등)의 어려움이 가장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면담조사에서는 어린 자녀를 양육하며 겪는 수면부족이나 그 밖의 개별적인 일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하였고, 고등학생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과 어린 자녀의 교육에 관심이 높은 결혼이주여성이 교육비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자녀관계스트레스 수준은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시부모관계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시부모님과 의견(자녀 양육, 개인적인 습관 등)이 맞지 않는 것이 가장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면담조사에서도 자녀양육 방식의 차이, 개인적인 습관 및 문화 차이, 세대 차이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주여성과 그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조사 결과 직장에 다니지 않는 결혼이주여성의 대부분은 자녀양육을 하며 지내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남편을 비롯한 가족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매우 적었다. 또 함께 있다 하더라도 각 개인의 활동이나 정적인 휴식을 취함으로서 가족역량이 약화되고 있었다. 그렇기에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관련 교육프로그램과 더불어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함으로서 가족역량을 강화하고 가족관계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주민들의 국제결혼가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면담 조사에 의하면 가족관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보다 더한 스트레스는 지역사회구성원들의 부정적인 시각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때문에 이제는 글로벌 시대에 발맞추어 국제결혼가족을 포함한 다문화가족에 대해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주어야 할 것이며 또한 공공기관의 다문화사회 홍보와 인식 개선 캠페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의 행사에 결혼이주여성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지역사회통합을 이뤄야 할 것이다. 양양군은 대표적으로 ‘현산문화제’, ‘연어축제’, ‘송이축제’ 등 다양한 문화 축제를 주최하고 있다. 하지만 결혼이주여성들이 군민으로서 참여 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적은 부분이다. 때문에 결혼이주여성들의 고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부스를 추가로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에게는 새로운 문화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결혼이주여성들에게는 고국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통합을 이뤄가야 할 것이다. 넷째, 각 행정구역별로 배치되어 있는 주민자치센터 및 복지회관을 이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양양군은 농어촌의 특성이 매우 강한 지역이며 이 같은 환경적인 요인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욕구를 비롯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지리적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차량을 지원하고 각 행정구역별로 배치되어 있는 주민자치센터 및 복지회관을 활용하여 산간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지역을 전국이 아닌 양양군으로만 한정지어 조사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전국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조사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지리적․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확률표집이 아닌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는 것 역시 연구의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양적 조사 설문지는 각각의 본국어로 번역된 설문지가 아닌 한국어로 제작된 설문지로만 조사하였기 때문에 설문내용을 이해하는 개인

      • GeoeGebra를 활용한 공간좌표 단원의 학습 지도 방안

        김두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공간에서의 점의 좌표와 구의 방정식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고, 이와 관련된 응용문제를 해결하는데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GeoGebra를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려 한다. 또한 개발된 자료를 통해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공간좌표’ 단원의 학습·지도를 위한 GeoGebra의 활용방안은 무엇인가? 2. GeoGebra를 활용한 시각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공간좌표’ 단원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반응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하와 벡터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수학교육에서 GeoGebra를 활용한 연구, 수학적 시각화에 대한 연구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좌표 단원에서의 GeoGebra를 활용한 수업자료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자료를 실험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이 유의미한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GeoGebra를 활용하여 개발된 학습 자료는 매 차시마다 활동지를 통해 공간좌표에 대한 개념과 성질들을 학생 스스로 조작과 탐구 활동을 통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해석 기하학적인 개념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전북 군산시의 고등학교 자연계열 2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1차시 당 50분씩 총 4차시에 걸쳐 수업이 진행되었다.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탐구활동이 공간좌표의 개념과 성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학생들이 활동지를 완성해나가는 과정과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나타나는 유의미한 반응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역동적 기하 환경을 통해 교사는 공간 기하의 성질을, 정적인 인쇄 매체, 칠판에서의 강의 등을 통하여 지도할 때보다 더욱 확실히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학습에 대한 욕구를 유발하고,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GeoGebra 5.0은 3차원 기능과 슬라이더 도구를 통해 다양한 입체도형을 작도할 수 있고, 회전기능을 통해 여러 각도에서 도형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공간좌표의 개념과 성질 및 응용문제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공학 도구를 활용하여 수학 수업을 진행할 때는 교사가 중심이 되는 수업이 이루어져서는 안 되며, 학생 스스로가 조작하고 탐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교사가 정면의 스크린을 통해서 시범을 보인 후에 학생들이 직접 작도해봄으로써, 활동과정 속에서 학습에 필요한 여러 개념들과 성질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학생 스스로 작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교사가 미리 제작한 자료를 제공한 후 구성단계를 직접 확인해보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업과정에서의 공학 도구는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용되어야 하며, 공학 도구의 조작과 탐구 활동을 통해 학습에 필요한 개념들과 성질을 이해한 후에는 학생 스스로 활동한 것들에 의미를 부여할 줄 알아야 한다. 즉, 교사는 공학 도구를 조작하는 활동에만 학생들의 관심이 치우쳐지지 않도록 지도에 유의해야한다.

      • 가상현실기반 개인별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인지 기능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김두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을 이용하여 인지 장애의 위험성에 크게 노출되어 있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비 약물치료적인 VR 기반 개인별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인지 기능 및 우울증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21년 5월부터 8월까지 12주간 부산시 G구에 소재한 노인복지 시설을 방문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VR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1일 1회 30분씩, 주 2회, 총 12주(24회기)를 실시하였다. 총 6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훈련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모집하였다.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 및 우울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K-MoCA, DST, K-CWST 및 SGDS-K를 사전평가로 진행하였다. 훈련군은 VR 기반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평소의 일상생활활동을 유지할 때 인지훈련이 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12주가 지난 후 사전평가와 동일한 평가를 사후 실시하였다. 결 과 : 중년 여성에게 적용한 VR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인지 기능 평가인 K-MoCA 점수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또한, 중년 여성에게 적용한 VR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인지 기능 평가인 DST Forward, DST Backward 점수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P=0.01). 마지막으로, 중년 여성에게 적용한 VR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우울증 평가인 SGDS-K점수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결 론 : VR 기반 개인별 인지훈련 프로그램 중재는 중년 여성에게 인지 기능 증진 및 우울증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VR 기반 개인별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인지 장애의 위험성에 크게 노출되어 있는 중년 여성에게 비 약물치료적인 인지훈련 프로그램으로써 우울 및 인지 기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폐성장애 학생과의 친구관계 : 포토보이스 분석을 중심으로

        김두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동일한 자폐성장애 학생과 1~3년 동안 생활한 경험이 있는, 현재 자폐성장애 학생과 같은 반에 속한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포토보이스를 분석하여 자폐성장애 학생과의 친구관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은 자폐성장애 학생과의 친구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이 자폐성장애 학생과의 친구 관계에서 경험하는 감정과 바람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G시에 위치한 B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학생 25명 중 자폐성장애 학생(가명 진수)을 제외한 24명으로 이 중 남학생이 11명, 여학생이 13명이다. 이 학생들은 진수와 함께 현재의 6학년 생활을 포함하여 최소 1년에서 최대 3년까지 같은 학급에서 학교생활을 한 학생들이다. 본 연구는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6회기(매회 2시간)로 진행되었다. 1회는 오리엔테이션과 함께 각 회차별 주제를 선정하였고, 2-5회는 선정된 주제에 맞는 사진을 촬영하고 사진에 담긴 이야기를 공유하였으며, 6회는 포토보이스 전시 및 상영회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폐성장애 학생을 조금 특별한 친구, 알 듯 모를 듯 어려운 친구, 함께하지 못해 아쉬운 친구, 나에게 웃음과 행복을 주는 친구, 나에게 필요한 소중한 친구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이 자폐성장애 학생과의 친구 관계에서 경험하는 감정을 살펴본 결과 진수와 의사소통이 된다고 느낄 때, 진수의 문제행동이 나아지고 기본생활습관이 잘 잡혀가는 좋은 모습을 볼 때, 순수하고 행복한 진수의 모습을 볼 때 학생들의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수가 다른 학생들에게 차별과 무시를 당하는 것을 볼 때, 진수가 문제행동을 할 때 기분이 나쁘다고 말했다. 또 장난기 가득한 진수의 행동을 볼 때 진수와 통한다고 느낀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폐성 장애에서 비롯된 진수의 문제행동들을 볼 때 진수를 이해하는 감정이 든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진수에게 바라는 점은 진수가 수업시간 및 학교생활에 필요한 기본 규칙을 잘 지키는 것과 진수와 함께 보낼 수 있는 물리적인 시간을 더 갖는 것이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상호적인 친구관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자폐성 장애 학생이 다른 학생들에게 느끼는 친구관계에 대한 자료수집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우정 관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연구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결과가 지역사회 변화를 촉구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hotovoice of sixth graders who studied 1-3 years together and currently belongs to the students with same autism disorder.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of peer relations with the student with autistic disord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the 6th grade students in inclusive class define their peer relations with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what are the emotions and desires that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in their friendship with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out of 25 students in the 6th grade inclusive class located in G city, Gyeonggi province, excluding a student with autistic disorder(assumed name: Jin-su). Boys were 11, and girls were 13. These students studied together with Jin-su for 1 to 3 years including this year(current 6th grad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research in total six sessions(a two-hour session) in October~December, 2018.In session 1, students had orientation and chose topics for each session. In session 2~5, students took pictures that matched the topic and shared the stories in the pictures. In session 6, students watched exhibitions and screening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ng students regarded the student with an autistic disorder as a friend who was a little special, who was a little mysterious, who they wished to spend more time together, who made them laugh and feel happy, and who was dear to them. Second, students felt happy when they had good communication with Jin-su, when Jin-su improved in his problematic behavior and set his basic life habits right, and when they saw him in a pure and happy state. They felt bad when Jin-su was discriminated and ignored by other students and when he engaged in his problematic behavior. They felt that they understood each other when he did a mischievous act. Seeing his problematic behavior derived from his autistic disorder, they felt that they understood him. The students hoped that Jin-su would observe the basic rules better during lessons and in school life and that they could spend more physical time with him. Follow-up study will need to gather data about peer relations with other students that a student with an autistic disorder feel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utual peer relations.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proper methodology to measure friendship in an objective manner. It should be ensured that findings should lead to more active practice to facilitate changes at the community level.

      • 척추수술 후 환자들의 한방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후향적 코호트연구

        김두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목적: 본 연구는 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에서의 척추수술 및 척추수술 후 의료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한방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향적 코호트 관찰연구이다. 2011년-2014년 척추질환을 주상병으로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5년간의 의료이용을 추적관찰하였다. 환자의 기본특성으로 성별, 연령, 경제상태, 거주지역, Charlson Comorbidity Index, 수술 전 한방의료이용을 조사하였으며, 수술특성으로 수술종류, 수술복잡도, 수술상병종류, 수술상병부위, 입원일수, 수술비용, 수술기관을 조사하였다. 또한 추적관찰기간의 한방의료이용 여부 및 비용을 조사하였다. 투파트모델을 활용하여 환자의 특성 및 수술의 특성이 수술 후 한방이용여부 및 한방의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2011-2014년 처음으로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는 11,367명이었다. 여성이 55.5%로 많았으며, 60세이상이 53.5%로 고연령층이 많았다. 수술 전 한방이용경험이 있는 환자는 43.7%였다. 수술 종류별로는 디스크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59.9%로 가장 많았고, 상병별로는 요추간판장애가 40.2%로 가장 많았다. 50.2%의 환자가 척추수술 후 5년 내에 한방의료를 이용하였다. 여성 (OR 1.44, 95%CI 1.32 to 1.56), 고연령(50-70세; OR 1.55, 95%CI 1.36 to 1.75, 70세이상; OR 1.42, 95%CI 1.25 to 1.62), 광역시거주(OR 1.28, 95%CI 1.12 to 1.47), 기타시도거주(OR 1.22, 95%CI 1.08 to 1.37), 높은 CCI점수(3점; OR 1.45, 95%CI 1.26 to 1.67, 4점이상; OR 1.37, 95%CI 1.21 to 1.56), 한방이용경험 (OR 2.82, 95%CI 2.60 to 3.05), 척추증으로 인한 수술 (OR 1.62, 95%CI 1.04 to 2.53)은 수술 후 한방이용과 연관 있었다. 또한 여성(coeff 0.19, SE 0.05), CCI 4점이상 (coeff 0.27, SE 0.08), 한방이용경험(coeff 0.35, SE 0.05), 성형술(coeff 0.37, SE 0.17), 긴 입원일수(coeff 0.22, SE 0.10)는 한방의료비를 높이는 요인이었다. 결론: 여성, 고연령, 높은 CCI, 광역시거주, 수술 전 한방이용경험은 수술 후 한방이용 및 한방의료비지출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수술 관련 특성보다는 환자의 특성이 수술 후 한방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척추질환 환자, 임상가 및 정책결정가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medical use after spinal surgery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Korean medicine after surgery in Korea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National Sample Cohort.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study of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surgery.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surgery for spinal disease between 2011 and 2014 were followed up for 5 years. Sex, age, income, area,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and use of Korean medicine before surgery were investigated as bas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ype of the surgery, complexity of surgery, type of disease, surgery sites, type of surgery institution, hospitalization days, and costs for surgery were investigated as characteristics of the surgery. In addition, the use and cost of Korean medicine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investigated. The two-part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Korean medicine after surgery. From 2011 to 2014, 11,367 patients underwent spinal surgery for the first time. Females accounted for 55.5%, and those aged 60 or older accounted for 53.5%. 43.7% of patients had experience of using Korean medicine before surgery. By type of surgery, discectomy was the most common with 59.9%, and by disease type, lumbar disc herniation was the most common with 40.2%. 50.2% of patients used Korean medicine within 5 years after spinal surgery. Female (OR 1.44, 95%CI 1.32 to 1.56), older age (50-70; OR 1.55, 95%CI 1.36 to 1.75, older than 70; OR 1.42, 95%CI 1.25 to 1.62), metropolitan area (OR 1.28 , 95%CI 1.12 to 1.47), other area (OR 1.22, 95%CI 1.08 to 1.37), high CCI score (3 points; OR 1.45, 95%CI 1.26 to 1.67, 4 points or more; OR 1.37, 95%CI 1.21 to 1.56), experience of Korean medicine before surgery (OR 2.82, 95%CI 2.60 to 3.05), and surgery for spondylosis (OR 1.62, 95%CI 1.04 to 2.53) were associated with using Korean medicine after surgery. In addition, female (coeff 0.19, SE 0.05), CCI score of 4 or more (coeff 0.27, SE 0.08), experience of Korean medicine (coeff 0.35, SE 0.05), plastic surgery (coeff 0.37, SE 0.17), long hospitalization days (coeff 0.22, SE 0.10) was a factor that increased costs for Korean medicine. In conclusion, female, old age, high CCI,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and experience of using KM before surgery were factors that increased the use and medical expenditure of KM after surgery. Patient characteristics than surgery-related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use of Korean medicine after spinal surg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patients, clinicians, and policy makers.

      • 흰점박이꽃무지유충 단백가수분해물의이화학적 및 유화 특성

        김두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흰점박이꽃무지유충 단백질을 천연유화제로 활용하기 위해 alcalase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단백가수분해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했으며, 최적 가수분해시간을 확립한 후 분산매 농도에 따른 에멀젼의 특성을 관찰 하였다. Alcalase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특성을 비교한 결과, 가수분해 후 단백질의 추출률과 함량이 증가했으며, 분자량이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 후에 총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했으며 가수분해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 또한, 단백가수분해물의 등전점 부근인 pH 2-4에서 단백질 용해도가 증가해, 다양한 pH에서 활용이 가능한 단백가수분해물이 제조되었다. 단백가수분해물의 유화특성을 관찰한 결과, 가수분해로 인해 표면소수성과 접촉각이 낮 아졌고 친수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가수분해 후 유화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0.5시간부터 6시간까지 가수분해도가 약 50% 이상으로 나타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이로써 0.5시간만으로도 가수분해가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화력은 가수분해시간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가수분해시간이 가장 긴 HP6는 입자끼리 응집되어 HP0.5-3보다 입자가 커졌고, 친수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유화 안정성이 낮아지면서 HP6는 유화제로 사용하기에 부적 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가수분해 효율과 단백가수분해물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최적 가수분해시간으로 0.5시간이 선정되었다. 가수분해 시간을 확립한 뒤에는 분산매 농도를 달리하여 oil in water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분산매 농도 3%부터 입자크기가 증가했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 간 반발력이 감소했으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변화가 컸다. 또한, 표면장력, 계면흡착 단백질 농도, 단백질흡착률 및 크리밍지수를 측정한 결과, 단백질농도는 증가하지만 유화에 관여 하는 단백질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와 2%만으로도 에멀젼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농도임을 확인하였으며, 캡슐화 효율도 9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단백가수분해물은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으며, 유화력도 보유하고 있어 대체 단백질과 유화제가 사용되는 식품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캡슐화 효율이 높아 기능성 물질의 수송체로써 사용도 기대된다. 이를 통해 대체단백질원으로서 곤충 단백질의 활용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lcalase-mediated hydrolysis time on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prote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the hydrolysates yield, protein extraction yield, proximate composition, degree of hydrolysis, SDS-PAGE, pH, solubility, surface hydrophobicity, particle size, and zeta-potenti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mulsifying properties like surface tension, contact angle, and emulsifying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initial hydrolysis rate also increased rapidly during 30 m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30 min. Hydrolysates yield and protein extraction yield were increased. Solubility was above 80% solubility at all pH (2-10). SDS-page indicated the reduction in the molecular weight and protein bands having an MW<6.5 kDa. There was an obvious decrease in pH, particle size, zeta potential, and contact angle with the increase of hydrolysis time. All hydrolysates lowered the surface tension and higher interfacial activities than native non-hydrolyzed protein. However, ESI of HP6 was decreased. Excessive hydrolysis time increased hydrophilicity and reduced emulsion stability. Therefore, considering hydrolysis efficiency and emulsification characteristics, 0.5 hour was selected as the optimal hydrolysis time for emulsion preparation. The influences of protein concentration on emulsion stability and properties investigated in P .brevitarsis larvae hydrolysate-stabilized O/W emul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article size increased and the zeta-potential decreased. The higher the protein concentration, the slower the creaming proceed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rotein adsorption involved in emulsification. Additionally, encapsulation efficiency was above 95% at all protein concentr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P .brevitarsis larvae hydrolysate have the potential as an emulsifier in the food emulsion system and application for bioactive compound delivery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