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김동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놀이 및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의표집된 K시와 J도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259명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방임적놀이와 놀이허용의 차이를 구분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운영에 대해 보육교사의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놀이인식수준에 따라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육교사의 놀이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19개정 누리과정이 성공적인 현장 안착에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시간연장형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도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김동례,김지영,백영애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연장형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시간연장형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175명의 보육교사이다. 연구도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연장형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실태에 관한 것으로 시간연장형 보육교사로서 느끼는 업무의 어려운 점으로는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의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영․유아 보육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영․유아가 아픈 경우로 응답하였다. 주간 교사와의 관계시 어려운 점으로는 영․유아의 인수인계 문제를 꼽았다. 둘째, 시간연장형 보육시설의 근무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도에 관한 것으로 시간연장 보육개선을 위한 정부의 지원책으로는 교사의 인건비 지원을 희망하였고, 희망급여로는 120만원 이상~15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는 처우개선을 들었고, 시간연장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시간연장형 보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는 영․유아를 위한 기본생활습관과 예절교육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time extended day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their demand for improvement in the work environ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protect time extended daycare teachers’ rights and interests, to enhance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 and to improve the daycare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5 daycare teachers working at time extended daycare centers in Jeollanamdo.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adapting those used in previous research for this study,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χ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ccording to time extended daycare teachers' replies to questions on their work environment, the biggest difficulty felt by time extended daycare teachers was the shortage of time extended daycare programs, and the biggest difficulty in caring for infants and children was handling sick infants and children. They also mentioned the transfer of infants and children as a difficulty in their relation with daytime teachers. Second, according to time extended daycare teachers’ demand for improvement in the work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the teachers hoped for a rise in their wage as a part of the government’s support to improve time extended daycare services, and the most frequent desired monthly wage was between 1,200,000~1,500,000 won. The most necessary support to teachers were improvement in treatment,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ime extended programs wer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skills. In addition, the most required contents of parent education for activating time extended daycare were basic life habits and etiquette education. Further various discussion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olicies and quality of time extended daycare service.

      • KCI등재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급·간식 운영 실태조사 연구: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동례,이현경,허경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3

        본 연구는 전라남도 보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반적인 보육시설 급·간식 운영 현황, 급·간식 운영에 대한 문제점과 요구를 파악해봄으로써 보육시설의 바람직한 급·간식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지역의 500개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고 2007년 2월 5일부터 3월 3일까지 회수된 309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 되었다. 연구 결과 시설 유형에 따라 급·간식 제공형태, 식단 작성 방법, 식단 전달방법, 영아・유아 식단 구분 여부, 식품 구매 담당자, 위생 관리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 유형별로 각 보육시설의 프로그램 및 특성에 맞는 적합한 체계적인 급·간식관리 프로그램 개발, 인적 자원 활용 방안 마련 등의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child care centers's food service and find the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s food servic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ies and needs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food service from each of different types of facilitie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5 national, 127 cooperate, 82 private, 60 Home and 4 others child care teachers or directors in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is a quite great gap in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between public, cooperate,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s of facilities, the way of provide a meal, menu planning, classification of menu for infant and young child, food buyer and also hygiene control.

      • KCI등재

        어린이집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어린이집의 인식실태와 대체교사의 행정적・재정적 지원 만족도 및 개선방안 연구

        김동례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ildcare center's perception of the alternative teacher support project and the actual condition of work environment, and to grasp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of alternative teacher's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nd the improvement plan of work environment.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a random sampling for 300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180 alternative teachers working at the child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alternative teacher support project was notified to the teachers through the childcare center support system, the parents were notified of the annual informa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annual day offs, and that the dispatch period was about 4 weeks per month. Second, it is found that the alternative teacher support project of the childcare center is highly needed, the alternative teachers’ qualities are sincere working attitudes and positive interaction, a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bsence of overtime. Third, it is found that the alternative teacher’s work hours required by the childcare center are from 9 am to 6 pm and that the maximum number of support days is maximum 10 days.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find improvement plans of alternativ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childcare policy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alternativ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어린이집의 인식과 근무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대체교사의 행정・재정적 지원의 만족도 및 근무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원장 300명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재직 중인 대체교사 180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교사 지원사업은 어린이집 지원시스템을 통해서 알고 교사들에게 공지, 보육교사의 연차사실을 부모에게 공지, 파견 기간은 월 4주 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대체교사 지원사업은 매우 필요하고 대체교사 자질은 성실한 근무태도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이며 초과근무가 없는 것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에서 요구하는 대체교사의 근무시간은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 지원일수는 최대 10일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체교사 근무환경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대체교사 질 향상을 위한 보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마을만들기 참여도 및 관심도와 문화예술 인식도 및 참여도가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박진영,임형택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affect of town development participation, interest, cultural art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on community consciousness. Participants were 676 citizens living in Gwang-ju and having town development experiences and cultural arts activities experiences related town development. This study used correlation analysis to analyse the relation of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to analyse the affect of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own development participation, interest, cultural arts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had relation with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ignificant affect statistically on community consciousness. Implications related to this study were suggested as follows. The citizenship education improving the town development participation of citizens, cultural arts activities adhering the directionality and the identit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the planning of cultural arts activities by the co-works of professionals and citizens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만들기 참여도 및 관심도, 문화예술 인식도 및 참여도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설문대상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마을만들기 사업과 마을만들기 사업 관련 문화예술활동의 참여 경험이 있는 주민 676명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변수들간의 상관분석, 영향력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을만들기 참여도, 관심도, 문화예술 인식도, 참여도 모두 지역공동체의식과 정의 관계가 있었고, 지역공동체의식에 의미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주민들의 마을만들기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시민참여교육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견지한 문화예술활동, 전문가와 주민과의 협업을 통한 문화예술활동 기획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보육서비스의 시설유형에 따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처우에 대한 논점: 마이클 샌델의 정의관점에서

        김동례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Michael Sandel’s Justice on the treatment of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in childcare services in Korea. According to Michael Sandel’s Justice, it is fairness, competition, and competence, and social disparities in inequality are the result of competition and must be justified according to rules and procedur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treatment of childcar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Michael Sandel’s Justice. Depending on the type of facility establishment, childcare teachers work in national, public, corporate, workplace, private, and home daycare centers, and inequality exists because the appropriate treatment of childcare teachers, that is, working conditions such as wages, allowances, and vacations, are not equal and are supported differentially. In the perspective of Michael Sandel’s theories about Justice, it needs to be done in terms of securing public nature of childcare based on fairness of social justice and providing quality childcare services to children.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childcare policies should be provided with public support from the nation and improved treatment of childcare teachers in a fair manner for a stable and systematic operating basis regardless of the type of fac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