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FID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도성(Do-Seong Kim),정영지(Yeong-Jee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에서 상황인지 (Context Aware)에 의한 위치 기반 서비스 (LBS : Location Based Service)와 POI (Point of Interest) 서비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외 위치 측위를 위한 GPS의 이용이 불가능한 실내 이동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인지가 불가능하므로, 실내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서는 실내 환경에 적합한 위치측위 방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최근 물류 관리나 사용자 인증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비접촉 인식 기술로서 위치 ID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실내의 위치 변화에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측위 시스템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RFID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위치 ID를 인지해 실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XML 웹서비스와 벡터기반의 SVG를 이용하여 이동 클라이언트인 PDA에 사용자 위치정보를 적용한 실내 공간 정보 서비스 및 POI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실내 위치 측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KCI등재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 복원구상

        김도성,박성준,신영규,박두상,Kim, Do-Sung,Park, Seong-Joon,Shin, Young-Kyu,Park, Doo-San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6

        나비서식지 복원구상은 종 보전을 위한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나비의 생태, 서식지 경관, 작업방법, 비용분석 등에 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 복원을 위하여 요구되는 인자들을 지난 3년간 수행된 연구결과의 검토 및 나비의 성충과 유충의 존재 또는 부재를 조사하는 방법을 통하여 서식지 면적 추정 등의 방식으로 서식지 요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발견된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는 유충과 성충이 관찰되는 패치를 기준으로 최소 $300m^2$이상의 크기로 다수의 패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 디자인에서는 기존의 서식지 환경과 유사한 곳에 5개 이상의 패치에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이 계획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비의 이주를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이주에 방해되는 수목의 제거, 패치간 거리의 최소화, 그리고 징검다리 패치의 추가가 필요하다. 패치연결성 분석결과, 패치간의 거리가 약 600m 이상 떨어질 경우 성공적인 이주가 어려우므로, 각 패치간의 거리는 300m이내에 분포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며, 서식지 크기는 단일 패치에서는 $10,000m^2$이상, 다수의 패치 네트워크에서는 5개 이상의 패치가 인접하고, 각각의 패치는 $1,600m^2$이상으로 전체 패치면적은 $8,000m^2$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단일 서식지보다는 다수의 패치가 인접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서식지 순환 발생패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나비의 서식지 복원에 관한 적정한 서식지 요건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진행될 생물종의 복원에 있어서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Habitat restoration initiativ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on-site preservation of butterflies. A new habitat necessitates the investigation of the ecology of the butterfly, the landscape of the habitat, the work process, and a cost analysis. In this study, these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1) re-consideration of the secured results from three years of field work, and 2) a habitat area estimation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rvae and adults via a Parnassius bremeri Bremer survey. The investigation of the natural habitat, done for both larvae and adult butterflies found in South Korea, suggested that multiple patches with a minimum size exceeding $300m^2$ and with an average size of about $1,600m^2$were required for survival of this butterfly. Therefore, more than five patches should be considered for butterfly habitat and patches should have similarity to the present habitat environment with transplantation plans for diet plants and honeydew plants. In addition, to activate the migration of the butterfly, cutting down trees that are obstacles to migration, minimizing the distance between patches and the addition of a stepping patch are also required. A patch connectivity analysis showed that patches should be located within 300m of neighboring patches, as the migration of the butterfly will fail if it is more than 600m. Additionally, more than $10,000m^2$ for a single patch or a patch network composed more than five patches over $1,600m^2$ in size were recommended, with a total patch size of $8,000m^2$. Additionally, neighboring multiple patch networks are more desirable than a single habitat in the event a cyclic habitat pattern arises. In this study, we suggest a habitat restoration and optimal prerequisites for a butterfly habita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a good model for the restoration of butterfly species.

      • KCI등재

        제주도 한라산 나비군집 모니터링1a

        김도성 ( Do Sung Kim ),박성준 ( Seong Joon Park ),동순 ( Dong Soon Kim ),조영복 ( Young Bok Cho ),이영돈 ( Yeong Don Lee ),안능호 ( Nung Ho Ahn ),기경 ( Ki Gyoung Kim ),서홍렬 ( Hong Yul Seo ),차진열 ( Jin Yeol Cha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제주도 한라산은 나비 학자들로부터 주요 관심의 대상지로 남방계와 북방계의 나비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선조사법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구간별 나비군집과 유사도를 분석하고 과거 기록과 비교하여 고도분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5과 26종 3,397개체의 나비류가 조사되었다. 이중 상위 4종(가락지나비, 산굴뚝나비, 먹그늘나비, 조흰뱀눈나비)가 2,578개체(75.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한라산의 나비는 초지대에서 서식하는 특정종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나비 유사도는 교목층의 수관부와 열린 초지대와 같은 단일경관지역보다는 수관부와 열린 초지 공간이 함께 있는 지역에서 유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도별 나비분포는 해발 1,665∼1,700m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관찰되어 한라산 백록담 아래에 형성된 열린 초지공간이 주요 서식지로 나타났다. 또한 아고산대에 서식하던 종들은 고도가 좀 더 높은 쪽으로 이동하고 낮은 지역에 서식하던 종들이 새롭게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t. Hallasan in Jejudo has been well known as a habitat for both northern and southern limited butterflies and attracts the interests of many lepidopterists. In this study, the line transect method was used to monitor the community and similarity of butterflies monthly monitoring from May to September 2013,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data. Through monitoring, 3,397 individuals in 26 species of 5 families were found in the present study. The monitored individuals belonging to 4 species (Aphantopus hyperantus, Eumenis autono, Lethe diana and Melanargia epimede) was 2,578 (75.9%), showing the prevalent species among the butterflies observed in the grassy area of the Mt. Hallasan. The butterflies inhabiting Mt. Hallasan showed higher similarity in the area where the open grassy space and the crowns of tree layer coexist than in landscape consisting of solely the tree layer or open grassy space. The habitation of butterflies by heights showed the altitudes between 1,665 to 1,700 m, located beneath the Baekrokdam (the crater) of Mt. Hallasan, possessed the most species and individuals. An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pecies that previously inhabited the subalpine zone moved to the area of higher altitudes together with the species that previously inhabited rather lower altitudes than the subalpine zone.

      • KCI등재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Parnassius bremeri )의 메타개체군 구조와 이주

        김도성,박두상,권용정,서상재,창환,박성준,동혁,진서,유혜미,황종석,Kim, Do-Sung,Park, Doo-Sang,Kwon, Yong-Jung,Suh, Sang-Jae,Kim, Chang-Hwan,Park, Seong-Joon,Kim, Dong-Hyuk,Kim, Jin-Seo,Yu, Hye-Mi,Hwang, Jong-Se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2

        메타개체군의 구조와 이주에 관한 이해는 종 보존을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에서 MRR 방법으로 나비의 이주패턴을 분석하고 패치연결성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194(수컷: 137, 암컷: 57)개체가 포획 되었으며 이중 93 (수컷: 73, 암컷: 20)개체가 재포획되었다. 이주 분석에서 이입율은 23-150%, 이출율은 28-53%으로 나타났다. 패치면적과 이입 이출 개체수와의 회귀분석에서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먹이식물 수와 이입 이출 개체수와의 회귀분석에서도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입 개체수와 패치간 거리와의 분석에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나비의 이주는 패치거리가 가까울수록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패치의 면적이나 먹이식물 량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비의 이주에서 암컷보다 수컷이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치의 위치에 따른 이주 패턴의 분석 결과 패치 네트워크상에서 중앙에 위치한 패치가 양쪽 끝에 위치한 개체군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근접한 거리에 있는 패치들간 이주가 멀리 떨어진 패치에 비해 빈번한 이주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붉은점모시나비의 이주에 있어서 근거리에 위치한 패치들간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으며 패치와 패치를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패치가 존재할 경우 교류가 더 활성화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Understanding the metapopulation structure and movement of a species are required for conserving the species. In this paper, migration patterns and connectivity of patches of a threatened butterfly, Parnassius bremeri Bremer, were postulated using the mark-release-recapture (MRR) technique in a habitat located in the mid-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total of 194 individuals were captured (137 males and 57 females) and, of them, 93 individuals (73 males and 20 females) were recaptured during the MRR experiment. The migration analysis showed 23-150% immigration and 28-53% emigration.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migrating individuals and the distance between patche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igrating individuals and patch size or between migrating individuals and the number of host plants. Consequently, the migration of butterflies occurred frequently between closer patches, while patch size and quantity of the food plant had minor effects on migration behavior. Additionally, males migrated more frequently than females. Analysis of the migration patterns of P. bremeri showed that the central patch played an important role on linking patch groups and more frequent migrations were monitored between nearby patches than between the remote patches. This study suggested that active migrations take place between the neighboring multiple patches and these are accelerated if there is a stepping-stone patch between them.

      • KCI등재

        조각난 경관에서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 패치 네트워크 분석과 보전

        김도성,박성준,조영호,기동,도재화,서형수,신영규,서민환,오길종,Kim, Do-Sung,Park, Seong-Joon,Cho, Young-Ho,Kim, Ki-Dong,Tho, Jae-Wha,Seo, Hyung-Soo,Shin, Young-Kyu,Suh, Min-Hwan,Oh, Gil-J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1

        종에 대한 생태적 특성과 서식지에 대한 이해는 종의 보전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붉은점모시나비의 생태적 특성을 바탕으로 서식지 패치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획 개체수는 188개체, 재포획은 220회 되었다. 그리고 암수의 비율은 42:146개체로 암컷보다는 수컷이 약 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체의 평균생존일수는 $3.93{\pm}3.93$일(수컷: $4.0{\pm}3.9$, 암컷: $2.5{\pm}1.0$), 암컷과 수컷의 최대 생존일수는 각각 13, 14일 나타났고, 수컷이 암컷에 비하여 오래 생존하는 개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의 평균이동거리는 377 m을 보였으며 최대 1550 m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치연결성과 개체생존이주율의 추정에서 패치간의 거리가 약 300 m 이내가 종의 이주에 적합하며 600 m 이상 떨어질 경우 개체생존이주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의 이주 빈도는 근접한 거리에서 다수의 패치가 있는 곳에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어 종의 보전을 위해서는 근접한 거리에 다수의 패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 특성이 분석되어 종 보전을 위한 서식지 디자인 및 설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omplexity and habitat of a species are crucially important to conserve an endangered species. This study evaluated the patch network ecology of the endangered species $Parnassius$ $bremeri$. The results indicated that 188 individuals were captured and 220 were recaptured, respectively. The sex ratio of female: male was 42:146; males were four times more abundant than females. The average longevity of an adult was $3.93{\pm}3.93$ days (male, $4.0{\pm}3.9$; female, $2.5{\pm}1.0$ days); the maximum longevity was 14 days for males and 13 days for femal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expected longevity of males was longer than that of females. The average emigration distance for the species was 377 m, and the maximum emigration distance was 1550 m. The analysis of patch connectivity and individual colonization revealed that the ideal distance between patches was about 300 m. Moreover, a >600 m patch distance decreased the colonization rate severely. We also observed higher immigration and emigration between patches that were clustered in close proximity. This leads us to conclude that a higher number of patches at a close distance is best suited for $P.bremeri$. We find these results to be crucial to determine a policy to protect and conserve this endangered species.

      • KCI등재

        백두대간 구룡령과 고직령의 나비군집 비교와 분포변화

        김도성,오기석,박성준,최승세,이승혁,Kim, Do Sung,Oh, Ki Seok,Park, Seong Joon,Choi, Seung Se,Lee, Seung Hy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3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다양한 생물 서식지이며 동물의 이동통로로 새로운 서식지로의 이주와 재서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2014년에 4월부터 9월까지 백두대간 구룡령(명계리)과 고직령(서벽리)의 나비군집을 모니터링 하고, 두 지역의 나비를 과거기록과 비교하여 분포지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명계리 65종 1098개체, 서벽리 63종 1161개체가 조사되었다. 두 지역의 비교에서 명계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5종, 서벽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3종으로 나타났다. 종 순위별 개체수에서는 명계리는 큰줄흰나비 127 (11.6%), 줄흰나비 100 (9.1%), 산제비나비 90 (8.2%), 서벽리는 뿔나비 146 (12.6%), 줄흰나비 134 (11.5%), 네발나비 69 (5.9%)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개체 이하를 보인 종은 명계리 24종, 서벽리 23종으로 나타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두 지역의 유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색목록의 나비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출현종을 과거 분포자료와 비교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이에 백두대간의 나비는 아직까지 잘 보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거시적으로 백두대간의 서식지 경관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s home to a wide range of organisms inhabit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monitored butterfly communities of Guryongryeong (Myeonggye-ri) and Gojingkyeong (Seobyeok-ri) from April to September in 2013 to 2014,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data to determine changes in their distribution. We found 1,098 butterflies of 65 different species in Myeonggye-ri, and 1,161 butterflies of 63 different species in Seobyeok-ri. Comparing the two regions, 13 species appeared only in Seobyeok-ri and 15 species appeared only in Myeonggae-ri. When species were ranked according to number of individuals, the top species three species were as follows: Artogeia melete (127, 11.6%), A. napi (100, 9.1%), and Papilio maackii (90, 8.2%) in Myeonggye-ri; and Libythea celtis (146, 12.6%), A. napi (134, 11.5%), and Polygonia c-aureum (69, 5.9%) in Seobyeok-ri. The number of species with fewer than three individuals each was 24 in Myeonggye-ri and 23 in Seobyeok-ri, accounting for a high percentage among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regions were relatively high, and many of the butterflies are on the Red List of Korea. Compared with previous distribution data,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This consistency indicates that the butterflie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have been conserved well, and therefore the continuity in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s necessary to keep in the big picture.

      • KCI등재

        한국산 멸종위기종 산굴뚝나비(나비목, 네발나비과)의 분포와 개체군 동태

        김도성 ( Do Sung Kim ),조영복 ( Young Bok Cho ),동순 ( Dong Soon Kim ),이영돈 ( Yeong Don Lee ),박성준 ( Seong Joon Park ),안능호 ( Nung Ho Ah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에 서식하는 산굴뚝나비의 분포와 개체군 동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조사법과 포획-재포획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굴뚝나비는 해발 1500m 이상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정상부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획-재포획 조사에서 산굴뚝나비의 포획 개체수는 1,493개체로, 이중 수컷은 978개체, 암컷 515개체가 확인되었다. 재포획된 개체수는 518개체이며,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284:234로 나타났다. 그리고 암컷과 수컷의 평균생존일수는 2.31로 나타났으며, 이중 수컷 2.14일, 암컷 3.47로 나타나 암컷이 수컷 보다 오래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획-재포획 조사를 통한 일일 추정개체수는 수컷이 7월에 약 1000개체를 유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8월에는 개체수가 200개체 이하로 나타났다. 그리고 암컷은 7월에 335개체를 최고로 하였다가 점차 감소하고, 이후 8월에 이르러 개체군 크기는 120개체 이하로 나타났다. 추정개체수의 크기는 암컷이 수컷의 약 1/3수준으로 나타났다. 산굴뚝나비의 평균 이동거리는 수컷 116.8±191.9m, 암컷 118.4±161.5m로 나타나 암수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산굴뚝나비는 한라산 백록담을 중심으로 넓게 형성된 초지공간에서 단일 개체군을 이루고 있다. 개체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훼손지 복구지역으로, 이는 한라산의 훼손된 지역을 복구하는 작업과정에서 먹이식물인 김의털이 넓은 면적으로 자라고 있어 이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개체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the population dynamics of Hipparchia autonoe by using a line transect and Mark-Release-Recapture (MRR) at the Mt. Halla in Jeju Island. The results showed that H. autonoe was found from 1,500 m above the sea level. Total 1,493 H. autonoe with 978 males and 515 females were captured and released in the MRR study site. Among them, 518 individuals including 284 males and 234 females were recaptured. The average survival time was 2.31 days with 2.14 days for males and 3.47 days for females, indicating longer survival time in case of females than males. The daily population size of males estimated in the MRR study site was maintained about 1,000 individuals in July and gradually decreased less than 200 in August. The number of females showed peak at 335 individuals on July 24, and gradually decreased less than 120 in August. Thus, female population was 1/3 of males. The average travel distance of male and female H. autonoe were 116.8 ± 191.9 m and 118.4 ± 161.5 m, respectively, indicating almost same between sexes. H. autonoe in the Mt. Halla formed single population group in the wide meadow around the Baekrokdam Lake.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of H. autonoe was occurred in the restored area from damages, where host plants such as the sheep``s fescue or the food plant are abundant by artificial restoration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