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험도분석 기법을 통한 자율적 안전문화 예방효과 분석 연구

        김나경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요 약 제목 : 위험도분석 기법을 통한 자율적 안전문화 예방효과 분석 연구 본 연구는 한국철도공사의 위험 분류체계와 위험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전 직원이 자율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자율안전신고의 예방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철도운영기관마다 추진하고 있는 안전문화 활동을 수치화하여 그 예방효과를 추정해 보고자 하는 것에 있다. 각 기관마다 안전은 빼놓을 수 없는 핵심과제로 국가 정책과 맞물려 운영되고 있으며 법적 요구사항, 기업의 안전 추진과제, 안전점검 및 조치에 그치지 않고 전반적인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안전문화 활동이 정착화되는 시점에서 안전활동의 예방효과를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위험관리의 법정 요구사항인 「철도안전법 제7조」, 「철도안전법 제8조」에 의거하여 철도안전관리체계를 승인받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철도운영자가 위험도를 분석·평가할 수 있도록「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 제2장 3.위험관리」 및 「[별표1] 위험도 평가에 관한 세부기준」에 의거 위험관리 절차를 마련할 수 있게 하였다. 한국철도공사도 2014년 10월 내부 운영절차인 「위험관리 매뉴얼」을 제정하여 법정 요구사항에 맞는 위험관리를 하고 있으며 매년 정기적으로 위험도평가를 시행하고 안전대책을 수립 추진중에 있다. 위험도평가 절차는 철도사고 이력데이터를 수집한 후 위험 분류체계를 통한 위험요인을 식별하여 위험도 분석, 위험도 평가, 위험군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 순으로 프로세스가 정립되어 있다. 대표적인 안전문화 활동으로는 전 분야 전 직원이 자율적으로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신고하여 조치까지 이루어지는 예방적 안전활동인 자율안전신고제도가 있다. 자율안전신고제도는 2013년 1월부터 게시판 형태로 시작하여 2017년 4월 별도의 자율안전신고 시스템을 구축,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시스템 개선과 전사 안전신고 활동을 하고 있다.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경영진은 우수한 신고 건을 선정하여 사고예방유공 표창을 수여하고 자율안전신고 활성화에 기여한 각 소속 운영담당자, 시스템 담당자, 신고자의 노력도를 평가하여 반기별로 위험관리유공 표창을 수여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율안전신고 시스템 구축된 후 신고 및 조치건수를 살펴보면 2018년 2,524건, 2019년 2,212건, 2020년 3,520건으로 집계되어 순조롭게 정착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한국철도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 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전 직원 자율안전신고 데이터에 위험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위험요인을 식별한 후, 분류된 항목별 발생빈도에 이력위험도의 심각도를 준용 적용하여 수치화된 예방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8단계의 위험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2020년 자율안전신고 건수 3,520건을 분류하였다. 다음 단계로 예방효과를 시산하기 위하여 재분류된 데이터의 건수에 이력위험도의 심각도를 곱하여 총 114개의 예방기록대장을 생성하였고, 그 결과 인명사상 164.633FWI/년, 시간손실 188,553분/년의 예방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여객취급과 밀접한 여객·광역분야에서 인명사상예방 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운행선 유지보수와 밀접한 시설·전기분야에서 시간손실예방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1건당 예방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인명사상예방은 최고값인 여객분야(0.135FWI/건)가 최저값인 차량분야(0.010FWI/건)에 비해 약 13배 높았고, 시간손실예방은 최고값인 전기분야(79분/건)가 최저값인 차량(12분)에 약 6배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업무 관할범위가 넓은 여객·시설·전기분야는 다양한 예방사건유형이 도출되었고, 한정된 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차량·승무분야는 몇가지 예방사건유형에 집중되어 분야별 업무관할범위와 예방사건유형 개수와의 상호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작은 위험에서부터 시급하고 중대한 위험까지 모든 자율안전신고건을 동일하게 분석하였고, 직원의 자율의지에 따라 운영되기 때문에 신고건수가 확대 또는 잠재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사람중심의 위험요인 발굴은 판단오류, 기술기반오류, 지각오류 등 인적오류를 동반한다.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향으로는 안전신고 품질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고품질의 위험요인 발굴을 위한 우수참여자의 인센티브 부여 및 안전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사람 중심의 예방활동에서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기술 중심의 예방활동으로 전환을 제시하여 본다.

      • 뷰티살롱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의 살롱선택요인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경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salons’ marketing through social media for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nd its influence on their choice factors of beauty salons and intention to visit through their usage patterns of social media. The analysis results of a total of 291 questionnaires between Aug. 1, 2020 and Aug. 30, 2020, which were collected in a survey for men and women aged from their 20s to 60s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nd had ever used beauty salons in those reg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social media information affected the consumers’ choices of beauty salons were analyzed as two factors such as social media promotion by beauty sal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use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social media marketing by beauty salons affected the consumers’ choices of beauty salons showed significance on all of the social media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attainment, occup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marital status and beauty-related management expenses. The factors that social media information affected the intention to visit were analyzed as two factors such as environment in the salons and service environment, which were significant in gender, age, occupat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attainment, marital status and beauty-related management expenses were not significant at 5%. In social media marketing, environment in the sal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marital status, and service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ce on gender, age, occupat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Hence, if data 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expertise along with the proposals of beauty salons through social media marketing in subsequent studies ar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acquiring new consumers and help existing consumers have more choices.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의 SNS를 통한 뷰티살롱 마케팅의 일반적인 특성과 SNS 사용실태를 통한 뷰티살롱선택요인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소재에 거주하는 뷰티살롱 방문경험이 있는 20대-60대 남녀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지 총 291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정보가 살롱선택에 미치는 요인은 뷰티살롱의 SNS홍보와 이용자 간의 정보교류 두 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뷰티살롱의 SNS 마케팅이 소비자의 살롱선택에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연령, 최종학력, 직업, 월 가계소득, 결혼상태, 뷰티관련 관리비용에 따른 SNS 정보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SNS 정보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에서는 매장 내 환경과 서비스 환경의 두 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과 연령, 직업, 월 가계소득에 따라 유의미하였으나, 최종학력, 결혼상태, 뷰티관련 관리비용에 따른 차이는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SNS 마케팅에서 매장 내 환경은 성별, 연령, 월 가계소득, 결혼 상태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서비스 환경은 성별, 연령, 직업, 월 가계소득에 따라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뷰티살롱의 SNS 마케팅 제안과 함께 서비스품질 향상과 전문성에 대한 자료도 제시한다면, 뷰티살롱에는 새로운 소비자를 모객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소비자에게는 선택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핵심단어: SNS마케팅, SNS사용실태, SNS정보, 뷰티살롱 SNS마케팅

      • 맞춤형 OOH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측정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김나경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can send personalized messages to consumers through new technologies such as AI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as recently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digital personalized advertising as sophisticated targeting has become difficult due to digital privacy problems. In particular,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has both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OOH media, but there is a limit to accurately measuring the paradigm of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because they are generalized and utilized because there is no measurement tool considering them.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etric for the consumer communication effect of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by major types, focusing on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that will be the future of OOH media.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main components of each type affect the advertising effect of consumers. As a result of the study, a measurement scale was developed by dividing the types of OOH advertisements into person recognition, object recognition, and context recognition. The three common components of the measurement scale were "engagement", "personalization", and "privacy concern". In particular, engagement was focused on questions about interest and interaction, and the factor loading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onents. Individual fac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lso developed. First, individual recognition types were identified as 'accurate trust' and 'situational' factors, object recognition types were identified as 'benefit' and 'value utilization' factors, and context recognition types were identified as the final major fact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se components on advertising effects, it was found that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and privacy had a negative effect in all three types of advertising attitudes. Privacy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such as personalization and object recognition, the lower the advertising effect. This supports the result shown in previous studies on level of personalized of SNS that, personalization does not unconditionally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 but has an inverse U-shaped effect when it is above a certain level.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purchase intention, the individual main attributes of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appear to have an effect, so the value of appealing to consumers may differ for each type of product sales. Finally, it was found that concerns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id not affect media acceptance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Consumers' concerns about privacy infringement negatively affect advertising attitudes, but it can be observed that consumers do not consider privacy infringement in other purchase and acceptance intentions. In addition, participation was found to influence the intention to accept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The intensity was the highest in the individualization type, and in the case of the situation-aware type, the higher the acceptance intention was, indicating that customized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acceptance intention of the situation-aware type. These results add to the media value of Personalized OOH Advertising, which is at the center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at the academic level,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theoretical data to help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and attitudes through the scientificization of advertising effect measurement. 맞춤형 OOH 광고는 AI, 인공지능과 같은 신기술을 통해 소비자에게 개인 맞춤화된 메시지 송출이 가능하며, 최근 디지털의 개인정보보호 이슈로 정교한 타깃팅 광고가 어려워지면서 디지털 맞춤형 광고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맞춤형 OOH 광고는 디지털과 OOH 미디어의 미디어적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이를 고려한 측정 도구가 없어, TV나 디지털에서 개발되어진 척도를 일반화하여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변화된 맞춤형 OOH 광고의 패러다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OH 미디어의 미래가 될 “맞춤형 OOH 광고”를 중심으로 주요 유형별 맞춤형 OOH 광고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유형별 주요 구성요인들이 소비자의 광고 효과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맞춤형 OOH 광고의 유형을 개인인식형, 사물인식형, 상황인식형으로 구분하여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는데 세 유형의 공통적 구성요인으로는 “인게이지먼트”, “개인맞춤화”, “프라이버시 염려” 요인이 발굴되었다. 특히 인게이지먼트는 주목성, 흥미성, 상호작용성의 문항들이 집중적이었으며, 요인적재값도 다른 구성요인 대비 높게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개별 요인들도 개발되었는데, 먼저 개인인식형은 “정확신뢰”, “맥락적시” 요인이, 사물인식형은 “편익혜택”, “가치유용” 요인, 상황인식형은 “이용편의”, “정보유용” 요인이 최종 주요 구성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구성요인들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진행한 결과, 광고태도는 세 유형 모두 인게이지먼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프라이버시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그 외 구매 의도에 있어서는 프라이버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인식형과 사물인식형과 같이 비교적 개인맞춤화 수준이 높은 광고 유형에서는 개인맞춤화 수준이 높을수록 광고효과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 의도에서는 맞춤형 OOH 광고의 개별 주요 속성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품 판매에 있어 각 유형별로 소비자에게 소구해야하는 가치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매체 수용의도에 있어서는 구매의도와 마찬가지로 프라이버시 염려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태도에는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염려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외 구매 의도와 수용의도에 있어서는 소비자들이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를 고려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맞춤형 OOH 광고를 수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있어서는 세 유형 모두 인게이지먼트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강도는 개인맞춤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황인식형의 경우 오히려 개인맞춤화 될수록 수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맞춤화에 대한 특성이 상황인식형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의 중심에 서있는 맞춤형 OOH 광고의 미디어적 가치를 더해주며, 학문적 차원에서는 광고 효과 측정의 과학화를 통해 소비자의 행동과 태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적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김나경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ffect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The mediator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296 college students.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showing better fit were the model in which partial mediated model is not set, a direct path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 the result indicated all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path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Third, after testing the significance of each mediator effect,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and anxious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ere confirmed. Specifically,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 mediated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hile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it showed that in counseling session with students who experience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cognitive and emotional involvement could be helpful.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이해하기 위해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모형비교를 통해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을 탐색하였고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대학생 296명이었고,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은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간의 직접 경로를 설정하지 않은 부분매개 모형이었다. 둘째, 애착회피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와 사회불안, 애착불안과 사회불안 간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애착회피과 사회불안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하였고, 반면 애착불안과 사회불안 사이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각각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사회불안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사회불안을 느끼는 대학생들에게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부모의 양육방식과 아동의 성격특질 및 자기조절력의 관계

        김나경 대진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과 아동 성격특질의 관계 그리고 이 두 변인이 아동의 자기조절력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라 아동의 자기조절력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아동의 성격특질에 따라 부모의 양육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셋째, 아동의 성격특질에 따라 자기조절력에 차이가 있는지, 넷째, 아동의 성격특질은 부모의 양육방식을 통해 자기조절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포천시의 C초등학교 2~6학년 아동 921명과 부모를 포함한 1차 양육자 921명이며, 조사기간은 2009년 12월 1일 ~ 2009년 12월 15일까지였다. 아동의 성격특질을 알아보기 위해 이현수(1985)의 성격차원검사 연소자용을 사용하였다. 부모의 양육방식은 Robinson과 그의 동료들(1995)이 개발한 양육방식과 차원질문지(PSDQ)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기조절력은 이정란(2003)의 자기조절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고자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부모와 아동의 지각 차이를 확인하고자 부모와 아동지각 측정치를 나누어 중다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권위있는 방식으로 양육된 아동일수록 자기조절력이 높고, 허용적 방식과 권위적 방식으로 양육된 아동일수록 자기조절력이 낮았다. 다만 아동지각 측정치에서 부모에게 권위적으로 양육 받는다고 지각한 아동의 경우 자기조절력의 하위영역인 자기결정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부모의 양육방식은 권위적 또는 허용적 경향이 높았다. 이 결과는 부모지각 측정치보다는 아동지각 측정치에서 더욱 분명한 경향성을 보였다. 셋째, 외향적 성격특질을 가진 아동일수록 자기조절력이 높았다. 넷째, 아동의 성격특질은 부모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주며 이것은 다시 간접적으로 아동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 역시 부모지각 측정치보다는 아동지각 측정치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아동행동에 관한 연구방법에서 아동과 부모의 자기보고에 지각차이가 있으며, 아동의 자기보고가 더 일관적인 경향이 있다. 또한 세 가지 차원의 부모 양육방식이 아동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 질적 차이가 있으며, 더욱이 아동 성격특질은 부모 양육방식과 아동 자기조절력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가 양육방식을 선택할 때 아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특히 아동의 성격특질에 적합한 양육방식의 탐색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parenting sty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stablished subjects for inquiry were as follows. First, ar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vary according to parenting styles? Second, are different parenting styles defending on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Third, do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have effects on self-regulation development? Fourth, how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up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through parenting styles. The subjects were 921 elementary school children(2nd to 6th grade) and their parents from the Kyeonggi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xamine parenting styles,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the self-regulation abilities.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mpleted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Robinson et al., 1995) and Lee(2003)'s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Scale. Only children were given Korean Eysenck's Personality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Lee, 1985). Pearson's correlation were utilized for 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styles,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effects of parenting styles for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were conducted to identify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parenting styles. Also,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ways between personality traits,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parenting style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Especially,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seemed to have the most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But permissiv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s seem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Parents perceived that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had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Children, on the other hand, perceived that a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inhibition but positive effects on self-determination. Second, it related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to parenting styles. Especially children's neuroticism were positive related with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in measurements of parents and children. Children with high neuroticism showed that their parents brought their children up with authoritarian or permissive parenting styles. Third, In parents measurement, children's neurotic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but extravers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appraisal factor and the self-determination factor of self-regulation abilities. On the other hand, children's measurement showed that extravers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self-regulation abilities, except on emotional inhibition. Neurotic children have weaknesses in their self-regulation development. It were identified that Baumrind's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have effects on self-regulation development. The important of temperament-environmental fit in the children development is discussed. Further pragmatic approach on parenting training should considering interaction effects of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 지하철과 모노레일 이용자 만족도 비교분석

        김나경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last 10 years, the government has invested an average of 22.4 trillion won in SOC budgets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importance of post construction evaluation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post-evalua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works and to use the results for similar project plans in the futur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since post-evaluation is currently conducted based on performance, only data is collected without feedback from public institutions. The evaluation items for post evaluation are ‘project performance’, ‘business efficiency’, and ‘ripple effect’. The evaluation of ‘project performance’ and ‘business efficiency’ is easy to express quantitatively and there are accurate evaluation indicators, but there is no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on of ‘ripple effect’. The representative evaluation method of‘ripple effect’ is ‘user satisfaction survey’, and a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 for various facilities is required for effective analysis and evaluation. The aim of the thesis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on the construction projects of urban railways such as subways and monorails, and apply them to the construction of new urban railways to perform efficient and successful construction. In this thesis, the satisfaction survey model was established by selecting questionnaire targe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ailroads and developing questionnaire items. furthermore it analyzed how it affected direct and indirect users of urban railroads.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for urban railroad line 1 of city A and urban railroad line 3 of city B. As for user satisfaction, 73.35% for urban railroad line 1 of city A, 87.59% for urban railroad line 3 of city B, and 65.68% and 59.02% for operator satisfac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analysis results, operat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lower than us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urvey results, more than half of all survey question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they responded that when planning a new urban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 the ‘Linked transportation system’ (City A: 30.24%, City B: 31.76%) and ‘Local economy activation’ (City A: 32.62%, City B: 27.30%) should be considered. The decision on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is, users in City A answered that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interval (26.08%)', and users in City B answered 'comfort(26.30%)'. In addition, the two cities were analyzed to hav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fields of ‘accessibility’ and ‘comfort and comfort’, which can be infer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ailways such as subways and monorail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in ‘travel time’ and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necting route between the two urban railways, an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in'appropriateness of convenience and information facilities' was caused by the size of the station. The results of this thesis will be applied to urban railroad extension and new construction plans in the futur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rban railroad construction project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atisfaction survey questionnaire items can be supplemented during the post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on new types of urban railroads such as trams and present a standard proposal for user satisfaction survey items according to urban railroad types. In addition, a study to secure the consistency of the items of the satisfaction survey should be conduct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several existing urban railways. 최근 10년 평균 정부 SOC예산 22.4조 원을 투입하는 공공건설공사를 대상으로 하는 사후평가의 중요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사후평가는 건설공사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결과를 추후 유사한 사업 계획수립에 활용하여 건설공사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그러나 실적 위주의 사후평가를 시행하는 실정이며, 자료의 축적만 이루어질 뿐 다른 공공공사에 피드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사후평가의 평가 항목은 ‘사업수행성과’, ‘사업효율’, ‘파급효과’이다. 정량적으로 표현이 쉽고, 정확한 평가지표가 존재하는 ‘사업수행성과’와 ‘사업효율’에 비해 정성적 평가로 이루어진 ‘파급효과’는 표준화된 평가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파급효과’의 대표적인 평가방법은 ‘주민의 호응도 및 사용자 만족도 조사’이며, 이는 시설물에 따라 평가 항목과 대상이 상이하여 효과적인 분석과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하철과 모노레일 도시철도의 건설사업 만족도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추후 도시철도 건설공사에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건설공사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도시철도 특성에 맞는 설문대상을 선정하고 설문 항목을 개발하여 만족도 조사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도시철도의 직·간접 이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A시 도시철도 1호선과 B시 도시철도 3호선을 대상으로 지역주민 만족도 조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A시 도시철도 1호선과 B시 도시철도 3호선의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각각 73.35%, 87.59%로 만족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운영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각각 65.68%, 59.02%로 이용자보다 만족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분석 결과, 이용자의 모든 문항에서 과반수이상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이용자는 추후 도시철도 건설사업 계획 시‘연계교통체계’(A시: 30.24%, B시: 31.76%),‘지역경제 활성화’(A시: 32.62%, B시: 27.30%)를 고려하여야 한다고 응답되었다. 만족 또는 불만족의 이유는 A시의 이용자는 26.08%가 ‘운행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고 답변하였으며, B시의 이용자는 26.30%가 ‘쾌적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리고 두 도시는 ‘접근성’과 ‘안락감·쾌적성’ 분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지하철과 모노레일이라는 도시철도 형식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통행시간’과 ‘접근성’은 두 도시철도의 연계노선의 유무에 의해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편의시설과 안내시설의 적정성’은 역 크기에 의해 만족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도시철도 연장 및 신축계획에 적용하여 도시철도 건설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후평가 시행 시 만족도 조사 설문지의 항목 보완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트램 등의 새로운 형식의 도시철도 분석을 추가로 시행하여 도시철도 형식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조사항목의 표준안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건설된 여러 도시철도를 종합하여 분석하여 만족도 설문 조사의 항목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과 진로정체감

        김나경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과 진로정체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과 진로정체감을 확인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2개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 2, 3, 4학년 5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이기학(2003)이 분류한 ‘진로선택유형’과 권윤희(2002)의 ‘진로정체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 실수와 백분율, χ2-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은 ‘안정적 유형’ 20.8%, ‘중다선택 유형’ 6.0%, ‘관습적 유형’ 30.0%, ‘불안정적 유형’ 43.2%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 총 14문항의 평균평점은 2.50±.49점(참고범위 1-4점)이었다. 2. 간호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선택유형은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분할계수 .20으로 그 관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전공 및 진로관련 특성에서는 실습경험유무,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진학동기, 희망진로가 진로선택유형의 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나이, 성별, 경제수준, 건강상태,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전공 및 진로관련 특성에서는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간호학과 진학동기, 졸업 후 첫 희망진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의 수준은 안정적 유형이 2.84±.44점으로 중다선택(2.49±.35), 관습적(2.64±.39), 불안정적(2.24±.45) 유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반면 불안정적 유형은 가장 낮은 진로정체감을 보였다. 5.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실습경험이 없는 군에서는 전공만족도, 진학동기, 희망진로, 안정적 및 관습적 진로선택유형이, 실습경험이 있는 군에서는 나이,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진학동기, 관습적 진로선택유형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를 높이고 진로방향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재의 진로선택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의도를 강화시켜야 함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혼란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적성과 흥미에 따른 진로탐색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김나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ccelerated aging society proceeding briskly due to low birth rate and extended average life expectancy provoked the need for unused woman human resource as the potential source of labor.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variables of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of the woman who experienced the process of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care, or otherwise career interruption in the course of nursing of family member or job transfer to a better position. Also,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of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career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According to this study purpose,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838 career interrupted women through 5 women development center institutions with similar operation pattern and area of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mong the wom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obtained 518 responses. Among them, 408 responses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and responses with omission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I used measurement tools composed of 5 areas of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career adaptabi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analysis of materials, I implement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using SPSS WIN 23.0 program. The study result from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re found as exercising positive (+) influence upon career adaptability, and the explanatory power between variables appear as 63.8%. Among the lower 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self-esteem is confirmed as exercising strong influence between career independence, negative career prospect, occupational perception, balance between job-living. Meanwhile supporting system is confirmed as not meaningful. Especiall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n the level of influence upon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confirmed that competence, relationship, independence as lower 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were sequentially most influential. Meanwhile, social network is not exercising meaningful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ly,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ge, academic achievement, marital status, number of offspring’s, school age of youngest offspring, monthly household income, period of interrupted career, career period, career transfer. The higher is age, academic achievement, monthly household income, career period,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career adaptability are higher. Regarding marital status, married woman appear as perceiving themselves more competent than unmarried women. According to monthly household income, difference appeared among scale of social network and information exchange. In other words, the higher is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scale of social network is bigger, and information exchange is found as occurring more often. Meanwhile, as for the difference due to career transfer,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ppear as low in case of more than 10 career transfers. When any career interrupted women faces change in career, the higher is the self-esteem in herself, the more positive is the influence to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re competent she recognizes herself, the more positive is the influence to career adaptability by enhanced self-adjustment with synchronized behaviors,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dependently rather than dependent on others. In other words, self-esteem and self-determin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recognize the conditions in ever-changing labor market, to establish the support system for reemployment, and to reconstitute the cognitive balance between job and liv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are found. Firstly, in order to enhance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promotes positive self-esteem so that they recover self-confidence, prepare for career change by exploring the ever-changing information in labor market, and enhance their determination capacity. Secondly, the support activities on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shall direct them to the opportunity for career change, by activities connected to local society such as voluntary service and job sharing activities through the activities of founding·job finding clubs. Third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with self-conception, career adaptability embraced by the woman with weaker social network than the male due to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emotional function centered around emotional, physical, informational support obtainable from those people in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perspectives on the structural function of social network. Fourth, in consideration of high age band of the women resorting to wom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ion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support to business founding to the women who challenge for founding their own business.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는 잠재된 노동인력으로서 여성의 유휴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결혼, 출산, 육아의 과정을 겪거나 가족의 병간호 혹은 더 좋은 일자리로 이직하기 위한 과정에서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의 변인을 밝혀보고자 하였고, 개인 배경에 따라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 변인간 차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서울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기관 중에서 운영방식과 직업교육훈련 분야가 유사한 다섯 개의 여성발전센터 기관에 설문지 535부를 배포하여 518부를 회수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누락된 응답을 제외한 40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은 진로적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인들 간의 설명력은 63.8%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 하위요인 중에서 자아존중감이 진로주체성, 부정적 진로전망, 직업인식, 일-삶의 균형 간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지지체계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파악한 결과, 자기결정성의 하위요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사회연결망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간의 차이는 연령, 학력, 혼인상태, 자녀수, 막내자녀 학령, 가계 월수입, 경력단절 기간, 경력기간, 경력이동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과 학력, 가계 월수입, 경력 기간이 높을수록 자아존종감, 자기결정성, 진로적응성은 높으며, 혼인상태에서는 기혼여성이 미혼여성보다 자신을 유능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월수입에 따라 사회연결망 크기와 정보교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계 월수입이 높을수록 연결망이 크며, 정보교환 또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력이동에 따른 차이는 10회 이상의 경력이동이 있을 때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 진로적응성은 낮게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이 진로전환에 직면할 때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신의 유능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동기화된 행동으로 자기조절을 촉진하여 타인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자율적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진로적응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조건을 인식하고, 재취업을 위한 지지체계를 구축하며, 일과 삶의 균형을 인지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실제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자신감을 회복하고, 노동시장의 변화하는 정보를 탐색하여 진로전환 준비를 하고, 결정력을 높일 수 있는 집단상담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을 위한 지원방향을 취·창업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원봉사활동과 일감 나누기 활동으로 지역사회와의 연계활동으로 진로전환의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 문화적 특성상 남성에 비해 연결망 구조가 약한 여성에게는 사회연결망의 구조적 기능 관점보다는 관계 맺는 사람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지원 중심의 정서적 기능 중심으로 자아개념, 진로적응성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찾는 여성의 높은 연령대를 감안할 때 창업분야로도 지원할 수 있도록 창업에 도전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창업지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건강증진행위와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영향 분석

        김나경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associated with university adapta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Specifically, Social Isolati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factors were analyzed. A total of 215 participants who currently enrolled in the university program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Study instruments included the Student Adaptation to Questionnaire, the Emotional/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Online date collection was performed between June 1 and June 3, 2020 using Google Drive.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PC 25.0.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ies, percent,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chi-square tests, t-tests, analyse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al analyse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the average university adaptation score was 3.15 (± 0.54) out of 5. the average social isolation score was 1.71 (± 0.46) out of 4. the average social loneliness score was 1.64 (± 0.52) out of 4. the average emotional isolation score was 1.86 (± 0.54) out of 4. the average emotional loneliness score was 1.87 (± 0.58) out of 4. the average SNS addiction tendency score was 1.78 (± 0.64) out of 4. the averag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was 2.68 (± 0.41) out of 4.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aptation according to general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p=.040), presence of regular meetings or groups(p<.000), average frequency of eating alone(p=.010), the frequency of leisure time spent alone(p=.003).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SNS addiction tendency,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university adaptation factors(p<.000). Four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 higher university adaptation level is associated with a higher perceived mental health level and having regualry meeting or people.(p <0.01), whereas a lower university adaptation level is related to a higher frequency eating alone(p <0.05), social isolation level, SNS addiction tendency. (p <0.01).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college students Gender, Presence of regular meetings or groups, Average frequency of eating alone, Social Isolati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Perceived mental health status significantly affect university adaptation. Theref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manage the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programs that provide academic help to increase the level of colleg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peated research by expanding the subject of further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Key words: University Adaptation, Social Isolation, ,SNS Addiction Tendency, Health Promoting Behavio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건강증진행위와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건강증진행위와 대학 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각 요인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가 진행되는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19)의 유행으로 대학의 강의 형태에 변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생활 적응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19)의 유행으로 인한 강의 형태 변화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였다. 현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일부터 2020년 6월 3일까지 2개 지역 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에 연구 목적을 설명하는 홍보 게시글에 구글 설문지로 연결되는 링크를 첨부하였고,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대상자 215명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회적 고립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정서적 고립척도 30문항, SNS 중독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SNS 중독 경향성 측정 척도(대학생용) 24문항, 건강 행위 수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건강증진 생활 양식 측정 도구 46문항, 대학 생활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대학 생활 적응 측정 도구 25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25.0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적·심리 사회적 특성,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건강증진행위, 대학 생활 적응에 대한 기술통계를 진행하였다.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건강증진행위와 대학 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대학 생활 적응 수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파악을 위해 일반적·심리 사회적 특성,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건강증진행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은 5점을 만점으로 보았을 때 평균 3.15 ± 0.54점이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19)의 유행으로 대학의 강의 형태가 온라인 강의로 변경되었음에도 전체적 대학 생활 적응점수는 선행된 연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적 고립감 중 객관적 사회적 고립감은 4점을 만점으로 평균 1.71 ± 0.46점, 주관적 사회적 고립감은 1.64 ± 0.52점, 객관적 정서적 고립감은 1.86 ± 0.54점, 주관적 정서적 고립감 1.87 ± 0.58점이었다. SNS 중독 경향성의 평균은 4점 만점에 1.78 ± 0.64점이었으며 건강증진 행위의 평균은 4점 만점에 2.68 ± 0.41점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심리 사회적 특성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정도의 차이는 분석한 결과 성별(p= .040), 규칙적으로 만나는 모임 혹은 사람들의 유무(p<.000), 최근 평균적으로 혼자 밥을 먹은 빈도(p= .010), 최근 여가를 혼자 보낸 빈도(p= .003)에 따라 대학 생활 적응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건강증진행위, 정신건강 수준이 대학 생활 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 생활 적응은 사회적 고립감(r=-.495, p<.000), SNS 중독 경향성(r=-.265, p <.000 )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증진행위(r= .394, p<.000)와 정신적 건강상태(r= .477, p<.000)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대학 생활 적응에 성별, 규칙적인 모임의 유무, 혼자 밥을 먹는 빈도, 사회적 고립감, SNS 중독 경향성, 정신건강이 대학 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학업적 적응 측면과 경제적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정서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을 위해 심리 사회적 요인과 정신건강에도 관심을 가지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또, 추후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반복적인 연구 진행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