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reer-Interrupted Women's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Network on Career Adapt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03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 평생교육학과 2018.0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155.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v, 151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경화
        참고문헌: p. 125-141

      • UCI식별코드

        I804:11044-20000000494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celerated aging society proceeding briskly due to low birth rate and extended average life expectancy provoked the need for unused woman human resource as the potential source of labor.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variables of self-esteem, se...

      The accelerated aging society proceeding briskly due to low birth rate and extended average life expectancy provoked the need for unused woman human resource as the potential source of labor.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variables of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of the woman who experienced the process of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care, or otherwise career interruption in the course of nursing of family member or job transfer to a better position. Also,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of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career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According to this study purpose,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838 career interrupted women through 5 women development center institutions with similar operation pattern and area of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mong the wom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obtained 518 responses. Among them, 408 responses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and responses with omission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I used measurement tools composed of 5 areas of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career adaptabi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analysis of materials, I implement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using SPSS WIN 23.0 program.
      The study result from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re found as exercising positive (+) influence upon career adaptability, and the explanatory power between variables appear as 63.8%. Among the lower 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self-esteem is confirmed as exercising strong influence between career independence, negative career prospect, occupational perception, balance between job-living. Meanwhile supporting system is confirmed as not meaningful. Especiall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n the level of influence upon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confirmed that competence, relationship, independence as lower 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were sequentially most influential. Meanwhile, social network is not exercising meaningful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ly,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ocial network,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ge, academic achievement, marital status, number of offspring’s, school age of youngest offspring, monthly household income, period of interrupted career, career period, career transfer. The higher is age, academic achievement, monthly household income, career period,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career adaptability are higher. Regarding marital status, married woman appear as perceiving themselves more competent than unmarried women.
      According to monthly household income, difference appeared among scale of social network and information exchange. In other words, the higher is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scale of social network is bigger, and information exchange is found as occurring more often. Meanwhile, as for the difference due to career transfer,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ppear as low in case of more than 10 career transfers.
      When any career interrupted women faces change in career, the higher is the self-esteem in herself, the more positive is the influence to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re competent she recognizes herself, the more positive is the influence to career adaptability by enhanced self-adjustment with synchronized behaviors,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dependently rather than dependent on others. In other words, self-esteem and self-determin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recognize the conditions in ever-changing labor market, to establish the support system for reemployment, and to reconstitute the cognitive balance between job and liv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are found. Firstly, in order to enhance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promotes positive self-esteem so that they recover self-confidence, prepare for career change by exploring the ever-changing information in labor market, and enhance their determination capacity. Secondly, the support activities on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shall direct them to the opportunity for career change, by activities connected to local society such as voluntary service and job sharing activities through the activities of founding·job finding clubs. Third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with self-conception, career adaptability embraced by the woman with weaker social network than the male due to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emotional function centered around emotional, physical, informational support obtainable from those people in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perspectives on the structural function of social network.
      Fourth, in consideration of high age band of the women resorting to wom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ion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support to business founding to the women who challenge for founding their own busi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는 잠재된 노동인력으로서 여성의 유휴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결혼, 출산, 육아의 과정을 겪거나 가족...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는 잠재된 노동인력으로서 여성의 유휴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결혼, 출산, 육아의 과정을 겪거나 가족의 병간호 혹은 더 좋은 일자리로 이직하기 위한 과정에서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의 변인을 밝혀보고자 하였고, 개인 배경에 따라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 변인간 차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서울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기관 중에서 운영방식과 직업교육훈련 분야가 유사한 다섯 개의 여성발전센터 기관에 설문지 535부를 배포하여 518부를 회수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누락된 응답을 제외한 40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은 진로적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인들 간의 설명력은 63.8%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 하위요인 중에서 자아존중감이 진로주체성, 부정적 진로전망, 직업인식, 일-삶의 균형 간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지지체계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파악한 결과, 자기결정성의 하위요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사회연결망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간의 차이는 연령, 학력, 혼인상태, 자녀수, 막내자녀 학령, 가계 월수입, 경력단절 기간, 경력기간, 경력이동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과 학력, 가계 월수입, 경력 기간이 높을수록 자아존종감, 자기결정성, 진로적응성은 높으며, 혼인상태에서는 기혼여성이 미혼여성보다 자신을 유능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월수입에 따라 사회연결망 크기와 정보교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계 월수입이 높을수록 연결망이 크며, 정보교환 또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력이동에 따른 차이는 10회 이상의 경력이동이 있을 때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 진로적응성은 낮게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이 진로전환에 직면할 때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신의 유능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동기화된 행동으로 자기조절을 촉진하여 타인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자율적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진로적응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조건을 인식하고, 재취업을 위한 지지체계를 구축하며, 일과 삶의 균형을 인지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실제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자신감을 회복하고, 노동시장의 변화하는 정보를 탐색하여 진로전환 준비를 하고, 결정력을 높일 수 있는 집단상담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을 위한 지원방향을 취·창업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원봉사활동과 일감 나누기 활동으로 지역사회와의 연계활동으로 진로전환의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 문화적 특성상 남성에 비해 연결망 구조가 약한 여성에게는 사회연결망의 구조적 기능 관점보다는 관계 맺는 사람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지원 중심의 정서적 기능 중심으로 자아개념, 진로적응성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찾는 여성의 높은 연령대를 감안할 때 창업분야로도 지원할 수 있도록 창업에 도전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창업지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ⅸ
      • 영문초록 ⅻ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국문초록 ⅸ
      • 영문초록 ⅻ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문제 7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2.1 경력단절여성의 개념과 현황 8
      • 2.1.1 경력단절여성의 개념 8
      • 2.1.2 생애발달과 여성의 진로발달 10
      • 2.1.3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현황 13
      • 2.2 자아존중감의 개념과 생애주기 15
      • 2.2.1 자아존중감의 개념 15
      • 2.2.2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 발달 18
      • 2.3 자기결정성 이론과 구성요인 20
      • 2.3.1 자기결정성의 개념과 이론 20
      • 2.3.2 자기결정성의 구성요인 22
      • 2.4 사회연결망의 개념과 구성요인 24
      • 2.4.1 사회연결망의 개념과 이론 24
      • 2.4.2 사회연결망의 구성요인 27
      • 2.5 진로적응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31
      • 2.5.1 진로적응성의 개념과 이론 31
      • 2.5.2 진로적응성의 구성요인 35
      • 2.6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40
      • 2.6.1 자아존중감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40
      • 2.6.2 자기결정성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41
      • 2.6.3 사회연결망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43
      • 2.6.4 연구가설 44
      • 제 3 장 연구방법 46
      • 3.1 연구대상 46
      • 3.2 측정도구 50
      • 3.2.1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50
      • 3.2.2 자기결정성 측정도구 51
      • 3.2.3 사회연결망 측정도구 52
      • 3.2.4 진로적응성 측정도구 53
      • 3.2.5 측정도구 구성 55
      • 3.3 자료분석 56
      • 제 4 장 연구결과 및 해석 57
      • 4.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 57
      • 4.2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 간의 상관관계 58
      • 4.3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61
      • 4.3.1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61
      • 4.3.2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의 하위요인이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 62
      • 4.4 경력단절여성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68
      • 4.4.1 연령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68
      • 4.4.2 학력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75
      • 4.4.3 혼인상태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80
      • 4.4.4 자녀수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85
      • 4.4.5 막내자녀 학령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88
      • 4.4.6 가계 월수입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91
      • 4.4.7 경력단절 기간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99
      • 4.4.8 경력기간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101
      • 4.4.9 경력이동별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108
      • 제 5 장 논의 및 결론 113
      • 5.1 논의 113
      • 5.1.1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의 영향 113
      • 5.1.2 개인 배경에 따른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 진로적응성의 차이 117
      • 5.2 결론 및 제언 121
      • 참고문헌 125
      • 부 록 14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송인섭, "자아개념",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3

      2 김남순, "발달심리학", 교육과학사, 서울: 학지사, 2003

      3 백운학, "발달심리학사",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4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3

      5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2008

      6 송인섭,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학지사, 서울: 학지사, 1998

      7 장휘숙,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2

      8 신건권,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서울: 청람, 2013

      9 강이수, "신경아, 박기남 여성과 일", 서울: 동녘, 2015

      10 심상완, 이공래, "기업의 기술협력과 네트워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서울: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1999

      1 송인섭, "자아개념",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3

      2 김남순, "발달심리학", 교육과학사, 서울: 학지사, 2003

      3 백운학, "발달심리학사",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4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3

      5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2008

      6 송인섭,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학지사, 서울: 학지사, 1998

      7 장휘숙,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2

      8 신건권,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서울: 청람, 2013

      9 강이수, "신경아, 박기남 여성과 일", 서울: 동녘, 2015

      10 심상완, 이공래, "기업의 기술협력과 네트워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서울: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1999

      11 장계영, "대학생 진로 적응성 척도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2 김봉환, 장계영,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2, 539-558, 2011

      13 Lin, N., "사회자본 (김동윤, 오소연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4 윤민석, "노인복지 관점에서의 노인 연령기준", 한국노년학연구회, 한국노년학연구, 25, 17-20, 2016

      15 임다희,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정책의 효과분석", 한국미래행정학회, 성균 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6 김태홍, "여성고용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방향",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여성개발원 연 구보고서, 2000

      17 김지근, 유나현, "단축형 진로적응대처 검사 타당화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 연구, 28(2), 107-125, 2015

      18 김영옥,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법」", 개정 방향. 젠더리 뷰, 37, 60-65, 2015

      19 구자숙, "직장내 승진에 대한 연결망 효과의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28(1), 1-20, 2004

      20 김아영, 오순애, "자기결정성 빈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교육심 리연구, 15(4), 97-119, 2001

      21 은혜경,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 성공 요인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2 김찬배, "사회적 자본이 경력성공 지각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3 오재림., 안재희, "대졸 여성의 사회적 관계망과 구직 간의 관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 용직업능력개발연구, 10(3), 89-110, 2007

      24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 연구, 18(3), 127-166, 2007

      25 권희정, 박수범, 김난주, "여성 경력단절예방 재정사업의 성인지적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26 김상곤, "지역특화센터와 연계한 R&D 네트워크 구축방안", 경북 경 산: 경북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 2009

      27 강민정, 주무현, "기혼여성, 경력단절의 경제적 효과와 직업선호", 고 용이슈, 1, 52-75, 2008

      28 조연화, "기혼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력성공 간의 관계",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9 구은경, 이미경, 김희연, 김인선, 김가율,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 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30 김혜미, 장혜림, 문혜진, "성인기 자아존중감 변화와 영향요인 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67(1), 83-107, 2015

      31 홍경숙, "생태체계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학회,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홍성례,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복지연구, 14(4), 71-91, 2012

      33 위영은, "병원 행정조직 사회 연결망에서의 무형식학습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4 김창대, 은혜경,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2(2), 651-671, 2011

      35 김난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산 업관계연구, 26(2), 1-27, 2016

      36 이혜원, "「결혼과 출산으로 인한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 변화」", 재정포 럼, 6월호(216), 39-58., 2014

      37 박진양, "경력계획과 진로적응성,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38 김현희,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에게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39 정설영, "진로단절여성의 직업복귀 기대가 취업지연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0 김난주, "[기획특집] 여성의 경력단절 발생과 대책: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32, 13-27, 2014

      41 김지혜, 안재진,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6(3), 61-87, 2004

      42 문란영,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3 은혜경, 이지연, "경력차단여성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7(2), 365-383, 2006

      44 박경숙, 김영혜,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26(2), 63-90, 2003

      45 이미영,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6 기여운, "가정에서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 향",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47 장필성, "2016 다보스포럼: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의 전략은?", 과학기술정책, 26(2), 12-15, 2016

      48 황정미., 장덕진, "여성의 사회적 자본-기업조직 내 연결망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비판사회학습, 4, 130-160, 2003

      49 임선미, "정서표현성과 회복탄력성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50 박혜원(Hye-Won Park), 문형구(Hyoung-Koo Moon), "집단의 사회적 자본이 집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ㆍ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15(4), 131-170, 2007

      51 이효진,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52 문승태, 양복만, 박미하,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연구, 25, 39-60, 2012

      53 김찬배, 이윤철, "“사회적 자본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념적 연 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15(4), 103-126, 2008

      54 장서영,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韓國女性開發院, 여성연구, 74(1), 79-104, 2008

      55 안선영, 장서영,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성인교육학회, Andragogy Today, 10(4), 25-45, 2007

      56 김선희, "진로단절여성의 자기개념이 구직준비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7 하애란, "『한국 여성의 경력단절요인이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분 석』",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8 김의연, "사회 연결망과 경력계획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59 전혜숙,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탐색: 근거이론적 접 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60 김은영, "남녀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079-1100, 2007

      61 고진영, 이경화, "유아기에서 성인초기에 이르는 자아개념의 발달적 경향에 관한 연구", 성곡언론문화재단, 송곡논집. 34, 619-694, 2003

      62 김희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5, 369-393, 2001

      63 곽연옥,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원, 자기결정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64 김아영,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65 유경수, "진로단절여성의 진로장벽 및 미래직업기대가 진로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6 이정희, 이수분,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29(3), 187-208, 2010

      67 정인희, "성인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 영향요인 연구: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한국위기관리논집, 8(6), 231-247, 2015

      68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심리적 특성 및 개인배경 변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69 송지연,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0 조순일,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관한 연구: 고학력 여성을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71 전수진, "사회 네트워크가 직무유효성 및 경력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72 이은영, "사회적 지지가 은퇴 남성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3 유현실,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4(1), 423-439, 2013

      74 신갑숙, "경력단절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성 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75 백연옥, 심혜숙,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이 진로장벽 지각과 진 로 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교육혁신연구, 25(1), 59-74, 2015

      76 김봉환, 최옥현, "대학생의 진로낙관성과 진로적응성: Career futures inventory(CFI)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7(3), 821-833, 2006

      77 석민경, "희망과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대학생활연구, 17(1), 40-58, 2011

      78 김영숙, 이현림, 박미경, "여대생의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 감, 진로결정수주의 구조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27(2), 1-26, 2008

      79 한주희, 박혜원, 강은주, "“팀 내에서 네트워크 중심성이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62, 47-71, 2010

      80 조성연, 홍지영, "성인 학습자의 인구학적 변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관계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1(3), 1099-1115, 2010

      81 홍지선 ( Ji Seon Hong ), 계은경 ( Eun Gyoung Gye ), "여성 진로장벽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진로발달단계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7(3), 225-250, 2016

      82 박경규, 전수진, "사회 네트워크가 개인의 직무성과 및 경력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1), 147-171, 2007

      83 김동숙(Kim, Dong-Sook), 이영민(Lee, Young-Min),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 인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한국HRD연구, 6(4), 21-39, 2011

      84 조정현, "복무비만 여성을 위한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동기강화 체 중 감소 프로그램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5 박미현,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6 정지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 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87 류진혜, 김태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양식에 미치는 영향", 漢陽大學校 學生生活相談硏究所, 대학생활연구, 16, 211-232, 1998

      88 이지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 준비행동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133-154, 2013

      89 박정례,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및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34(1), 151-178, 2013

      90 정지은(Jieun Jeong), 정철영(Chyul-Young Jyung),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1), 79-96, 2015

      91 송윤숙, "성인의 자아개념, 직무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가 커리어 미래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92 장선화, "중년기 전업주부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 감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93 이예진 ( Ye Jin Lee ), 이기학 ( Ki Hak Lee ),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29(2), 267-287, 2010

      94 박아청, 이경혜, 이복희, "중년기 취업여성의 가계경제수준, 자아존중감, 역할적응 및 자아정체감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4(1), 103-120, 2010

      95 유지현, 이숙정, "여대생이 인식한 자기결정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48(2), 35-64, 2009

      96 이희숙,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재취업 욕구분석을 통한 사회복지서 비스 지원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7 현영섭, "생명보험사 실행공동체 구성원의 비공식적 네트워크, 지식 공유, 경력계획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평생교육 HRD연구, 5(3), 75-98, 2009

      98 조은주, "성인학습자를 위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커리어 미래 적응 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99 김인선, "경력단절여성 경력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 서울지역 14개 여성인력개발 센터를 중심으로", 한국항공대학교 경영연구소, 경영연구, 12(1), 89-112, 2005

      100 조윤성,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연결망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자 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1 안현옥, "경력단절 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 자아존중감, 가족 지지, 경력계획 간의 구조적 관계",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아주대학교 일반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2 임지현, "자기결정성 수준에 따른 동기유형과 학업성취, 학업유능감, 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련성 연구", 전남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03 서경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4 김계현, 최윤정,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경험에 대한 개 념도 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여성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2007

      105 노경란, 최윤석, 이영민,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사회적 지지 인식과 흥미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평생학습 사회, 5(2), 45-72, 2009

      106 조대연, 현영섭, "학습동아리의 사회적 연결망과 지식공유의 관계:관계밀도, 집중화, 지식공유간의 비선형 모형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 구, 15(3), 189-212, 2009

      107 곽현주, 최은영,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정과 노동 시장의 성불평등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연구, 88(1), 429-456, 2015

      108 류진숙,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가족탄력성,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 정 몰입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충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09 이선아,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 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10 윤혜경,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탐색 경험분석: 직업교육프 로그램의 중장년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11 김민영, 장지현, 장원섭,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 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 연구, 78, 31-76, 2010

      112 강민채,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 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성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113 정은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기혼여성 행복간 관계: 개별성-관계성 의 조절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 재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14 김만근, "고등학교 태권도 지도자 리더십유형이 선수의 자아존중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경기 인지력에 미치는 영향", 한 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15 이채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진로결정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연 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16 김금미, 이희정,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 는 영향: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 연구, 11(2), 623-640, 2010

      117 김영주, "개인특성이 조직 내 사회적 네트워크 크기에 미치는 영향 과 직무수행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 크기와 강도의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8

      118 김소연, "고학력 경력단절 기혼여성이 지각한 자아개념과 신체상이 진로준비행 동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19 김동배, 엄태영, "여성 자원봉사자의 대인관계기술이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서울특별시 거주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연구, 76(1), 227-25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