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시이미지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건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 세계 도시들은 무한경쟁체제에 돌입했으며,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미래학자인 짐 데이토(Jim Dator)는 미래 경제의 원동력은 이미지이며,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를 통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이는 경쟁력 있는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제고를 통해 도시의 매력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국가 수도이자 대표도시라는 점에서 이미지 제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지 않을 수 없다.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한 정책의 수립은 도시 안에서 살아가는 주체인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도시에 대한 인식의 이해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시민의 인식이 반영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제5차 서울 경관 기록화 사업(2014-2015)」에서 실시하였던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해당 사업은 1995년에 시작하여 5년마다 서울의 당시 시대상을 사진으로 담아오고 있어, 서울의 지속적인 모습과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이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은 주로 도시의 어떤 요소를 인지하여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지 도출하여 도시이미지 요소의 특성을 밝히고, 인지지도에 나타난 도시이미지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시민들이 서울의 도시공간을 재구조화하여 인지하는 방식인 인지특성을 통해 서울 도시이미지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이미지 요소의 특성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강은 서울의 가장 뚜렷한 도시이미지 요소로 나타났다. 한강을 제외한 이미지 요소들은 주로 도심(사대문 안), 강남, 여의도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도심에 밀집되어 있다. 시민들은 서울의 시가지경관을 주로 인지하고 있었다. 상업지역·건축물·랜드마크 등 시가지경관에 해당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인지하는 반면에, 서울의 자연경관과 역사문화경관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도출되지 않고 특정요소나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도시이미지 요소 순위의 변화는 서울의 상권과 도시사업을 통해 조성된 요소들에서 주로 나타났다. 도시이미지의 구조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위 도시이미지 요소는 대부분 도심에 밀집되어있으며, 도심은 시민들에게 역사와 문화의 중심지로 인지되고 있다. 도심의 도시이미지 요소들은 한양도성을 경계로 하는 그룹을 형성하며 시민들에게 인지되어지며, 서울의 대표적인 복합중심으로 나타난다. 서울은 한강을 경계로 도심으로 대표되는 강북과 강남구로 대표되는 강남이 서로 이질적인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강북권은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으나, 강남권은 대부분 강남구의 시가지경관에 밀집되어 있어 도시이미지 요소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한강은 서울을 강북과 강남으로 이등분하는 공간축으로서 서울의 공간구조를 결정하는 강력한 대상이다. 시민들은 서울의 도시이미지를 주로 랜드마크와 특정장소로서 구조화하였으며, 한강을 기준으로 도시이미지 요소들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The world's cities have entered the competition. They do a lot of efforts to improve the urban competitivenes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ttractiveness of the city through a positive city image promotion in order to grow as a competitive city. Seoul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age improving because Seoul is national ca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olicy-making that reflects awareness of citizen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urban image. This study uses the survey results of the "The 5th Seoul Landscapes Recording Project(2014 to 2015)".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image elements of Seoul,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image in the cognitive map shown. It will reveal the identity of Seoul city image through cognitive characteristics that the way of restructuring the urba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by the characterization of the image elements are as follows: Han River appeared in the most striking elements of Seoul city image. Image elements, excluding the Han River are mainly distributed in city center, Gangnam, Yeouido. In particular, it is concentrated in the city center. Citizens were aware mainly the urban scenery of Seoul. Recognize a variety of factors for the urban landscape. On the other hand, natural and historical landscapes focused on a specific element or area that does not derive a variety of factors. Rankings change of image elements are founded in the commercial area and development project of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by the structure analysis are as follows: Han River is a strong boundary to determine the spatial structure of a space axis that bisects Seoul, Gangbuk and Gangnam. Image elements of city center are recognized to the citizens to form a group. City center is representative heterotopia of Seoul. Seoul Gangbuk and Gangnam has formed a heterogeneous urban image. Gangbuk is expressed in a variety of images, but Gangnam is mostly concentrated in the urban areas there is a lack of diversity of image elements. Citizens were mainly structured city image as a landmark and a specific place.

      •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 디자인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김건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 디자인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퓨전디자인학과 시스템디자인 전공 김건희 지도교수 정도성 현대의학의 발달과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 개선 등으로 건강한 삶과 생명의 연장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욕구가 다양하게 표출되면서 국내 의료기기 산업 또한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시대에 들어서는 대한민국에서 의료기기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편리하고 체계적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하지만 시장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많은 기업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기 때문에 폭넓은 제품의 개발과 연구가 제공되지 못하였다. 이것은 호흡기질환자 입장에서 부족한 선택과 부적합한 사용을 초래하게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실적보고에 따르면 2012년 우리나라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4조 5,923억원 규모로 2011년 대비 6.6%증가하였다. 의료기기 수입 상위 10개국의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증가율 5.7%로 계속 성장하였다. 상위 10개국 중 연평균 성장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중국으로 22.8%이며, 그 뒤를 이어 러시아가 10.2%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는 여러 제품들이 있으나 호흡기 질환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하는 데에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연령별 구분이 없으며, 네블라이저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품의 의미 없는 레이아웃 디자인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일관성이 없고, 효율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워 사용성에 따른 디자인 기획이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 연령별 호흡기 질환자들의 특성에 맞춘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호흡기 질환자들의 신체적 문제와 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의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 후, 제품 사용으로 인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들이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의 사용성에 있어서 호흡기 질환자들에게 적합하고 안전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어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의료용 흡입기에 대하여 이론적인 내용들을 알아보았으며, 기초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를 대상으로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에 관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의 목적은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의 종류별 제품의 선호도 및 만족도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20대 이상의 남, 여 150명을 대상으로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의 사용경험이 있는 사람과 사용경험이 없는 사람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2차 설문조사에서는 예상 만족도를 알아본 후 관찰을 통하여 사용 시 오류를 통한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이후 심층설문조사를 통하여 대표제품별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의 사용자 특성에 대한 이론적 요소들을 분류하여 원칙과 세부항목을 만들고 가장 문제가 되는 문제점들을 접목시켜 사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 디자인의 사용성을 실험, 심층설문조사를 통해 비교, 평가함으로써 더 편리한 네블라이저 제품의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향 후 가정용 컴프레셔 네블라이저 디자인 시 이러한 분석 자료를 참고하여 디자인한다면 사용성을 높인 우수한 제품을 디자인 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디자인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Abstract ) A Study on the Usability of Design of compressors Nebulizers for Home Use by Kim, Kun-Hee Advised by Prof. Chung, Do-Sung Major in System Design at the Department of Fus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As social concern and needs for well-being life and life extension are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and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income, the domestic medical device industry is rapidly growing. Especially, in Korea facing population aging,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vice industry and the necessity of convenient, systematic, and practical medical devices is increasing. However, a wide range of products development and researches weren't conducted because the medical device industry couldn't gain attention of many companies due to low marketability. This phenomenon may cause a limited range of choices and unsuitable use of medical devices to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According to the business result report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domestic market size of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n 2012 is ₩45,923 hundred million which is increased by 6.6% compared to 2011.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the top ten countries with large medical device markets from 2008 to 2013 was found to be 5.7%, which indicates a continuous growth. Among the top ten countries,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annual average growth rate was found to be China at 22.8%, followed by Russia at 10.2%. There are many kinds of compressor nebulizers for home use in circulation in the domestic market, but some problems are found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to use them conveniently. Especially, they are not categorized for each age group and the components of nebulizer products are not consistent in use due to meaningless layout design composition. In addition, they are difficult to efficiently control which indicates poor usability design planning. To resolve this,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n design of compressor nebulizers for home use according to the age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for the new direction of the design usability of compressor nebulizers for home use proper to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by understanding their physical problem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viewing the elements of compressor nebulizers for home use, and identifying the effects and problems of the products on human body. First of all, a theoretical research on nebulizers for medical purpose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ir basic problems and then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on compressor nebulizers for home use was conducted for users. The purpose of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users' preference, satisfaction on compressor nebulizers by type, and what they consider important when choosing a compressor nebulizer.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50 adults over the age of 20 after dividing them into the group of people who have ever use a compressor nebulizer for home use and the group of people who have not. After investigating the predicted satisfaction level through the 2nd questionnaire survey, the problems of nebulizers were observed through errors in use. Then, theoretical elements of user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ompressor nebulizers for home us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o establish the principles and detail items and the usability was analyzed considering the significant problem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preliminary materials for more convenient design of nebulizer products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design usability of compressor nebulizers for home use through an experiment and in-depth interview. Excellent compressor nebulizer products with more outstanding usability will be able to be design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and this study may be used as preliminary materials for further design studies.

      • 마이크로 가공과 분말사출성형에 의한 초소형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제작에 관한 연구

        김건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 오염 및 지하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신재생 전력원 중의 하나로서 연료전지 관련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내부 형태 및 방식에 따라 주입되는 연료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자연 상태에서 용이한 방법 및 경로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고갈 우려가 없는 수소, 메탄올 등의 연료를 사용하고 부산물로 수증기를 배출한다. 현재 대형 발전용 연료전지 관련 개발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작은 크기 및 부피를 가진 휴대 전자기기용 초소형 연료전지는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의 유리한 특성과 더불어 적용제품 특성 상 상용화 및 확산이 가장 용이하여 발전용 연료전지와 더불어 시장이 형성되고 시장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방식에 따라 구성요소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최소 단위인 단위전지는 MEA와 연료와 공기가 이동하는 유동채널을 포함한 분리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소형 연료전지의 경우 매우 작은 크기의 유동채널을 포함한 분리판이 요구되며, 초소형 분리판은 경량성과 더불어 내구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초소형 분리판을 위한 마이크로 유동채널의 경우 주로 MEMS 공정을 통해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작공정 특성 상 다양한 유동채널 패턴 제작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우며, 대량생산공정 구축이 불가능하다. 또한 분리판 재료도 MEMS 공정에 적합한 실리콘 웨이퍼, 폴리머 등이 주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내구성 확보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기계적인 강성 및 내구성 확보가 용이한 마이크로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금속분리판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은 경량성과 더불어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큰 크기의 금속분리판 재료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를 이용한 초소형 금속분리판의 대량생산공정을 검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가공기술 및 금속분말성형을 통하여 초소형 PEMFC에 적용이 가능한 마이크로 유동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초소형 금속분리판 제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 유동채널의 유동해석을 통한 초소형 금속분리판을 설계하였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분말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설계를 수행하고 성형해석을 통해 금형 설계안을 평가하였다. 마이크로 유동채널을 포함한 초소형 금속분리판 성형을 위해서는 미세 형상이 내제된 금형코어 제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엔드밀링 공정시 가공표면 예측 모델 수립과 더불어 버 생성 및 가공품질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저온 절삭공정 연구, 금형코어 재료의 전해연마 특성 분석을 통해 금속분말사출성형 금형코어를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된 금속분말사출성형 금형을 이용한 시성형을 수행하고 시성형품 평가를 수행하였다.

      •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을 활용한 국외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김건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SSI)을 활용한 국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SSI 교육을 구현하고자 하는 교사들이 프로그램을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SSI는 일상생활에서 과학과 관련된 많은 논쟁과 논란을 가지고 있는 사회적이고 윤리적 특성을 띤 문제이다. SSI을 도입한 수업은 학생들에게 과학 관련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며, SSI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고, 자신의 가치관을 형성하며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SSI 적용은 교수 학습 자료의 부족과 수업 설계 시 투자해야 하는 시간적 부담으로 인해 제한이 있다. SSI 교육을 희망하는 교사에게 SSI 프로그램의 제공은 교사의 새로운 교수·학습적 시도를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SI 교재 및 관련 도서, 연구, 과학 교육 사이트에 수록된 총 46개의 국외 SSI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의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첫째, SSI 수업 구성을 위한 학습 소재, 학습대상, 과학 연계 관련 교과, 차시, 활동 유형 등을 분석한다. 둘째, SSI 준거 요인에 따라 상황제시, 과학적 증거, 사회적 내용, 과학적 지식의 사용, 이해관계에 대한 갈등 수준, 평가 등을 분석한다. 본 연구 문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SI 수업을 위해 사용되는 학습 소재는 주로 ‘환경·생태계’ 영역이며 학습자가 소속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실제 환경과 생태계 문제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고 수업 참여를 유도한다. 학습 대상, 과학 연계 교과, 차시 구성, 활동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SSI 프로그램은 특정 학습 대상을 선정하지 않거나 특정 학교 급을 학습 대상으로 선정하지 않는다. 과학과 타 교과를 비슷한 수준으로 연계하며 특정 학습 대상을 선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프로그램의 구성 역시 주로 정해진 차시 구성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SSI 수업을 위해 교사는 SSI의 소재를 선정할 때 학습자의 실제 삶과의 직접적인 관련이 높은 소재를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SSI 프로그램은 학교 급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교과 간의 경계가 없으며 정해진 차시 구성이 없기 때문에 교사가 의도하는 바로 자유롭게 설계가 가능하다. 둘째, SSI 준거에 따라 분석한 결과 SSI 프로그램은 현실성 있는 참 상황을 상황제시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사실검증 가능한 내용을 과학적 증거로 다루고 있다. 경제·사회 분야의 사회적 내용을 주로 포함하며 비판적 사고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한다. 사회적 내용의 이해 뿐 아니라 과학적 지식, 과학적 증거의 사용의 준거를 포함하고 있는 SSI 프로그램은 고등사고 능력, 토론 기술, 과학논증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하여 학생들을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가진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개인적 갈등 수준의 문제를 주로 다루며, 증거 기반 추론을 주로 평가하는 SSI 프로그램 평가 방법은 수업 과정이 모두 평가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즉, 수업 자체가 곧 평가인 과정중심 평가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SSI 준거 중 사회적 내용에서 다문화에 관한 내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어 다문화 성격을 가진 다양성, 다원성 및 인권 관련 등의 사회적 내용을 강조한 SSI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교과에서 SSI의 활용은 여전히 교사의 역할에 의문을 남긴다. 그러나 SSI 교육에서 교사는 모든 과학적, 사회적 지식의 전문성을 갖출 필요는 없다. 새로운 과학 개념과 낯설고 어려운 소재라도 SSI 수업으로 구현가능하다. SSI 교육에서 교사는 지식의 한계를 인정하며 학생들과의 토론 활동에서 나올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대하여 고려하고 인식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eachers who want to implement the SSI education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by analyzing the oversea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using Socio-Scientific Issues (SSI). SSI is a social and ethical issue with many controversies and controversies related to science in everyday life. The SSI-based lessons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ngage with science-related social issues, use scientific methods in decision-making to solve SSI, form their own values ​​and cultivate scientific literacy to provide. However, the application of SSI at the school site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time required to invest in the lesson design. The provision of SSI programs to teachers who want SSI education is necessary for teachers' new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46 SSI programs in SSI textbooks, related books, research, and science education sites. First, analyze the learning material, subject, science related subject, time, activity type for SSI class composition. Second, we analyze the situation presentation, scientific evidence, social contents, use of scientific knowledge, level of conflict on interests, and evaluation according to SSI referenc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material used for SSI class is mainly 'environment · ecosystem' area, and it enhances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engages in class through the real environment and ecosystem of the school and community where the learner belongs.   As a result of analyzing according to the subjects of learning, the science - related subject, the time structure, and the type of activity, the SSI program does not select a specific learning target or select a specific school target. There are many cases where students do not select specific learning subjects by linking science and other subjects at similar levels. Most of the program's configuration is mainly composed of no set time frame. In other words, for the SSI class, the teacher should utilize material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tudent's actual life when selecting SSI material. However, the SSI program is not affected by the school level, there are no boundaries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re is no set time frame, so the teacher can design freely as intended.   Second, according to the SSI criterion, the SSI program uses the most real situation as a situation presentation and treats the fact that can be verified as scientific evidence. It mainly includes social content in the economic and social fields, and it requires the most critical thinking. The SSI program, which includes not only an understanding of social content, but also a reference to the us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evidence, will provide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opportunity to develop high thinking, Help them grow into people.   The SSI program evaluation method, which mainly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level of personal conflict, shows that the class process can be all evaluated, that is, the course itself can be assessed by the course itself.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multiculturalism in the social content of SSI standard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SSI program that emphasizes social content such as diversity, pluralism and human rights with multicultural character. The use of SSI in the curriculum still questions the role of the teacher. However, in SSI education, teachers do not need to have the expertise of all scientific and social knowledge. New science concepts and strange and difficult materials can be implemented in SSI classes. In SSI education, teachers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knowledge and need to consider and recognize the various social issues that may arise from student discussion activities.

      • 바깥놀이 공간 활용에 대한 공립 병설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김건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tdoor play through the thoughts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esirable direction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outdoor pla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regarding the operation of more than 1 hour of daily outdoor play.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as postulated as follow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do teachers accept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s? 2. How do teachers practice for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pre-written by six teachers working at an attached kindergarten in the Jeonju area. The research period is from November 2021 to June 2022,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and interpreted by type, then categorized and analyzed, and triangulation wa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the use of outdoor play spaces wa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for each teacher, and in the field, teachers' respective interpretations were operated in various forms. Specifically, it was found to be 'the freedom to feel in the wide space outside', 'the discovery of play in the space outside', and 'the autonomy and flexibility of teachers necessary for space utilization'. Second, the importance of outdoor play continues to be emphasized in the Nuri process, but outdoor play activities are still not sufficiently operated in the actual field. Specifically, it was found to be 'obligation and burden on outdoor play guidelines', 'ambiguity of space distinction between elementary and attached kindergartens', and 'limited play space due to fixed facilities'. Third, despite various difficult situations in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outside play and constantly tried to conduct it regularly in their daily lives. Specifically, it was found to be 'connect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play', 'outdoor play during curriculum time, outdoor play until after-school course time', and 'outdoor play linked to the community'. Fourth, teachers were in need of various support to smoothly operate outdoor games due to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fear of safety accidents', 'need to improve parents' perception of outside play', and 'need to train various teachers on outside play'. Keyword : Play discovery, a large space, autonomy and flexibility, the difficulty of space utilization, practical operation

      • 한국 호스피스 운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건희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차이인 유병기간은 2012년 출생아는 15.2년이던 것이 2018년 출생아는 18.5년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세는 계속 이어질 수 있음을 말한다. 즉 인간이 건강한 삶을 살고자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죽음보다는 질환으로 인한 죽음의 확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웰다잉”이라는 인식이 나타났고 생애 말기 돌봄에 대한 관심이 생기면서 호스피스ㆍ완화의료라는 것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저서, 논문등을 통한 문헌조사를 하였고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영국, 미국, 일본의 호스피스 현황도 살펴보고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이 1963년 강원도 강르엣어 시작한 우리나라에서의 호스피스ㆍ완화의료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였는지를 알아 보았다. 건강보험 수가를 통해 운영 재정을 확보하였고 전문인력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 실시 및 전문기관 운영을 통해 인력 및 시설을 보완하였다. 암관리법과 연명의료결정법 제정을 통해 법적 지원을 마련하는 등 60년의 역사동안 많은 변화와 발전을 이루었다. 더 나은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개선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우리나라 호스피스 발전방안으로서는 지역간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다양한 호스피스 형태의 제도화, 지역의료기관의 활용이 필요하며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적용 대상자의 질병 및 적용시기 확대가 필요하다. 죽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어럴 때부터 체계화된 교육 실시 및 다양한 방식의 재정 지원방안의 개선도 필요하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누구나 작성할 수 있도록 지정대리인에 대한 방안 그리고 아동호스피스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