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및 인식

        권회연(Kweon Hoe Yeon),박중휘(Park Joong Hui),김미선(Kim Mi Su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4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수행 현황 및 개별 중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아, 향후 효과적인 교사 연수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22.9%가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보통 정도라고 응답한 특수교사는 6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요한 정보를 구하는 곳은 서적이나 연수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 평가 에서는 대부분의 중재가 4점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하였다. 중요성과 적용 가능성이 모두 높은 중재는 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 중재, 후속결과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각각의 중재를 사용한 비율은 전체 교사의 70% 이상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중재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 적이라고 응답한 중재방법은 모두 2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이나, 강화 효과 평가 등에 있어서는 낮은 결과를 보여 체계적인 중재를 위한 평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어려움을 시사하였다. 향후 행동 평가 및 모니터링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관찰 시스템의 개발과 보급 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c information of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sent execution status and awarenes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for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teachers having high concern on students behavioral management was 22.9%, and the rate of teachers taking median concern was 66%. And the teachers obtained the information on problem management includ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by publications or teacher training. Secon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interventions valuated significantly which presented mostly more 4 point. But relatively the point of application possibility was lower than the point of importance evaluation. Third, the rate of application as 70% among total research participants presented to be used the most in all individual intervention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on the effectiveness, the teachers answered that 23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But, on the facts of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behavio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gativel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Results are discussed with previous research, contributions to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in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동의 비장애 형제자매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 형제자매의 대처,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권회연 ( Hoe Yeon Kweon ),전병운 ( Byung Un Jeon ),이진아 ( Jin A Lee ),김형준 ( Hyung Jun Kim ),정환별 ( Hyan Byul Jung ),양승창 ( Sung Chang Y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비장애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비장애 형제자매의 대처ㆍ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연구 목적에 따라 장애아동 형제자매 38명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한하여 비장애 형제자매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장애아동 형제자매 대처ㆍ적응 척도(Coping/Adjustment Scale for Children of Siblings with Disabilities)를 통해 비장애 형제자매의 대처ㆍ적응력 척도의 총점과 하위영역인 능력/지식, 부담감, 학교/친구, 화/분노, 정신건강, 미래관심의 6개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비장애형제자매 지원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비장애 형제자매의 대처ㆍ적응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변인들을 뽑아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총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전체 대처ㆍ적응력이 통계적으로 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부담감 영역과 미래의 정신건강 영역을 제외한 5개의 하위영역에서 적응 정도가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화/분노, 정신건강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하위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와 향후 비장애 형제자매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bling Program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was based affirmative character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oping/adjustment abilities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variables of program were divided into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characters. The inter-personal characters were maturation and endear, self-esteem and the intra-personal characters were networks to support family and fellowship which felt at same situation. The coping/adjustment abilities were composed six sub- categories, which were competence/knowing, burden, friend-school, anger, psychological health, and future copingㆍadjustment. The Scale of this study was Coping/Adjustment Scale for Children of Siblings with Disabilities developed by Perry(1989). The statical method, t test were used to find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 pre-post test controlled group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rough 38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ontrolled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n copingㆍadjustment, specially, anger and psychological health. But two sub-categories, which were burden, future copingㆍadjustment didn’t make remarkable improvement. For future studies, the limits and the directions were discussed o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권회연 ( Hoe Yeon Kweon ),이미애 ( Mi A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 가용자원을 활용하여 여가활동의 일환으로 적용된 보드게임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발달장애 학생 44명으로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으로 나뉘어 실험집단에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적용으며, 연구설계 방법은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한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협력기술, 자기주장, 자아통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ffective leisure Program f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was based board game, and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ocial adaptive skill. The social adaptive skill sca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three sub-categories, which was the cooperation, the assertion, the self-control. A pre-post test controlled group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statical method, t-test was used to find the mean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s were 44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ontrolled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n all area, three sub-categories, which wer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Finally, for future studies, the limits and the directions were discussed o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상징체계 수립을 위한 그림상징 도상성에 관한 고찰

        권회연 ( Kweon Hoe-yeon ),김미선 ( Kim Mi-s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상징은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며, 특히 인지장애를 가진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사용되는 상징의 경우에는 학습하기 쉽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개발된 AAC 도구들은 주로 그림상징을 상징체계로 사용하고 있으나, AAC 사용자의 관점에서 그림상징의 도상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개발된 그림상징의 특성과 그림상징의 도상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AAC 사용자의 관점과 촉진자의 입장에서 사용과 교수가 용이한 타당성 있는 상징체계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상징의 도상성은 연령, 어휘의 품사별, 동작성 여부, 사용되는 AAC 도구, 장애유형별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국내 실정에 적합한 AAC 상징체계 개발에 필요한 제언과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Graphic symbols are the core componen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ystem, which should be developed to acquire easily for the people with severe intelligent disabilities. All the while, the AAC devices developed in the nation used the graphic symbols mostly often, however,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 standards of the iconicity of graphic symbol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As investigating the researches conducted on the iconicity of graphic symbols and the graphic symbol systems, the valid graphic symbol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AC user and the facilitators will develop in the future. In the AAC graphic symbols, the visual features were similar between multiple disparate tools. And then the iconicity of graphic symbols was influenced by the ages, the part of speech, the animated features, AAC devices, the type of disabilities of the AAC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t make sense to suggest the commend for the appropriate graphic symbols.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권회연 ( Hoe Yeon Kweon ),이미애 ( Mi Ae Lee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이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다중지능 발달 특성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중지능의 발달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삼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정신지체 아동 5l명, 자폐성 장애 아동 52명으로 총 103명이었으며, 장애유형별 다중지능 발달점수의 차이비교를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을, 군집별 유형을 추출하고 각각의 장애유형별 빈도수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군집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신체지능과 대인관계 지능에서 장애유형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중지능별 유형 분석에서는 5개의 다중지능 발달유형을 추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인 발달장애 아동에서 `대인관계-개인이해형`이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 저하형`이 다음으로 많았으며, `논리-개인이해형`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 다중지능 발달 유형의 빈도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정신지체와 자폐성장애아동에게서 `전반적 저하형`이 각각 28.3%와 38%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많은 유형은 정신지체 아동에게는 `대인관계-개인이해형"과 `신체-공간-음악형`이 26.1%로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자폐성장애아동에게는 `신체-공간-음악형`이 34%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의 다중지능 특성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al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and to make the basic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developmental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103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51 mental retardation and 52 autism). t-test was appli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 1, and cluster analysis by K-Means Cluster and χ2 were applied to test question 2 and 3.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multiple intelligence profiles from the mean of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5 development types of MI, `overall low intelligence type`, was the most frequent, and `Bodily-spatial and musical intelligence type` was the second, and the lowest type was `logical-mathematic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ype`. And most of the mental retardation students and autism students belonged to `Bodily-spatial and musical typ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이 중재자로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특성 고찰

        권회연 ( Kweon Hoe Yeon ),김미선 ( Kim Mi S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되어 학술지에 게재된 실험연구로 가족이 중재자로 참여한 14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가족의 역할을 알아보고, 협력팀 구성과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모두 단일대상연구가 사용되었다. 대상자는 발달장애아동이 모두 11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참여자는 가족이 단독으로 중재를 시행한 경우보다는 가족과 학교 교사의 협력적 체계를 통해 중재를 시행한 경우가 8편이었다. 또한 관찰환경에 있어서는 가정의 일상생활 환경에서 관찰이 이루어진 경우는 8편이었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측면에서 10편의 연구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의 다중요소적 중재가 사용되었으며, 문제행동의 감소만을 목표로 한 연구가 10편이었으며, 학생들과 의사소통하는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 측정 연구가 2편, 가족의 욕구해결과 모의 자존감을 종속변인으로 한 경우는 각각 1편이었다. 다음으로 중재충실도가 포함된 연구는 6편, 사회적 타당도를 포함한 연구는 4편이었다. 둘째, 연구결과에서는 모든 연구들이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편의 연구에서 바람직한 행동의 교수와 가족관련 변인에서도 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유지단계는 주로 중재 종료 후 1주일에서 3주~4주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족의 역할 및 가족에게 미친 영향력을 살펴보면, 1편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기능평가 과정에 가족이 참여하였으며, 가족이 자녀에게 긍정적 관심을 주거나 토큰 경제, 행동계약서 등을 시행하여 협력자로 참여한 연구는 4편이었다. 또한 부모가 참여한 경우는 6편, 형제가 참여한 경우는 2편이었다. 협력팀이 구성된 연구는 6편이었으며, 훈련프로그램은 짧게는 2일에서 10회까지의 다양한 기간 동안 제공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삶의 질 변화 정도에 관심을 가진 연구는 8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looked over the general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the families on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researches involved parent implementation on 14 korean journal article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and effectiveness of family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irst, these researches were used single subject design methods. And the subjects of studies were lot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t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ere few. The families were a part in the intervention, specially cooperated with the school`s teachers. The settings of the observation for measurements were not coincided with the settings of intervention.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studies used multicomponent support plans that emphasize prevention and teaching new skills. And the purposes of the whole studies were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s, were small in numbers of the studies for the increase of the family`s life qualities included the family goals, attention, lifespan perspectives. And in the terms of the maintenance, the follow-up measurements were gathered at 1 weeks to 3~4 weeks post-intervention. Second, in terms of the roles of the families and cooperation, influence to the family numbers, the all families were join in functional assessments, were involved in the intervention directly, the family numbers of involvement in the intervention were the mothers mostly. And 6 studies used the cooperation teams. Finally, 8 studies showed the broad lifestyle change outcome.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미술과 성취기준 적절성 탐색

        권회연 ( Kweon Hoe-yeon ),김미선 ( Kim Mi-sun ),강주연 ( Kang Ju-ye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미술과 성취기준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향후 개발될 2022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삼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기본교육과정 미술과 성취기준을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장애학생의 미술과 교육목표에 따른 적합성’, ‘학생의 특성에 따른 적합성’과 같이 기존 선행연구에서 보여준 교과 총합적 관점에서의 성취기준 평가 요인뿐 아니라, ‘장애 학생의 미술 체험과 표현력 발달에 미치는 중요성’과 같은 미술과 본연의 각론적 특성 평가 요인, ‘교육과정 재구성 및 과정중심평가에 따른 적절성’,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실생활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적절성’과 같은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 관련 요인을 포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미술과 성취기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기본교육과정 미술과를 적용하여 본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00명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체험’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감상’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학년군이 올라갈수록 평정 점수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 학년이 올라가도 미술과 관련한 학생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특수교사들은 미술과에 국한된 고유한 개념과 기능이 포함된 성취기준보다는 장애학생의 상호작용적 소통과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되는 성취기준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중학교 이상에서는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 체험 관련 성취기준을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standards from a general perspective shown in previous studies, such as 'is the art and achievement standards suitable for the art and educational goa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hether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re well reflected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to factors such as 'Is it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art experiences and expressive pow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ntrinsic attribute factors of art, 'Is it appropriate for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Is it appropriate for operating a real life-oriented curriculum? This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evaluating art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all learner-centered factors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such as '. Therefore, in this study, a 2015 revised survey was conducted for 1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art department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to evaluate individual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five performance standards evaluation criteria. did As a result of the study, overall, the achievement criteria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experience' domain and the lowest score in the 'appreciation' domain. Also, as the grade group went up, the grade point score decreased, suggesting that the level of art-related students does not tend to increase even if the grade level goes up. In particular, field teachers highly value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t are helpful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soci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rather tha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t include the unique art and concepts and functions limited to the art department. It was found that practical experience is important. Discussions,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발달 및 뇌의 가소성에 대한 문헌 고찰

        권회연(Hoe-yeon Kweon),박중휘(Joong-hui Park)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발달 특성을 정안학생과 비교해 고찰하고, 이러한 차이를 선행연구에서 밝힌 뇌의 가소성 차원에서 파악하여 점자 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점자 읽기 과정을 뇌의 가소성 차원에서 알아본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은 정안학생들과 다른 발달 경향성을 보이며, 특히 점자 읽기 이해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각장애학생들이 점자 해독 기술을 배운 이후에도 주로 음성에 의존한 읽기를 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의 활성화 정도에서 정안학생들과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기도 한다. 즉 모든 연령에서 유능한 독자들은 1차 시각피질과 측두엽을 연결하는 후두-측두 영역이라는 뇌의 좌측 뒷부분에 의지하여 읽기를 하지만, 시각장애학생과 난독증 학생들은 뇌의 가소성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뇌의 뒷부분이 아니라, 브로카 영역과 전두엽에 의지하여 읽기를 하기 때문에 작업기억력의 과부하와 전두엽이 담당하는 읽기의 전략적 역할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읽기 이해에 몰두할 가용자원이 부족하여 점자 읽기 학습에서 정체와 지체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에서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능력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점자 읽기 전략의 활용, 스스로 점자 학습의 유용성을 인식하여 동기 수준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raille read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compared to those of straight eyes students, and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se differences in terms of brain plasticity by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braille reading ability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previous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braille reading process from the neurological level of the brain. The braille reading ability of blind students shows a different developmental tendency than those of straight eyes students, and in particular, it is reported that braille reading comprehension is poor. This is partly because visually impaired students read mainly relying on voice even after they learn Braille decoding skills. However, looking at the degree of brain activation in the reading process, competent readers at all ages showed that the left posterior part of the temporal region to read, the left ventral occipitotemporal area(vOT), which connects the primary visual cortex and the temporal lobe, is activating. But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dyslexic students show an overload of Broca's area, frontal lobe, and working memory in the process of brain plasticity. This can lead to congestion and delays in the learning process of reading Braille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resources available to focus on reading comprehen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reading ability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e teacher who will be in charge of the Braille reading instruction should develop an appropriate Braille reading program and reading strategy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n effective Braille learning program and a successful experience of using it can be continued even into adolescence.

      • KCI등재

        신경발달장애를 중심으로 한 DSM-5의 변화: 특수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권회연 ( Hoe Yeon Kweon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2

        2013년에 새롭게 개정된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는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표준화된 진단체계로 2000년에 개정되었던 기존의 DSM-Ⅳ-TR과는 진단명과 진단기준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새롭게 추가된 신경발달장애 영역의 진단기준은 정신건강 분야뿐만 아니라 특수교육의 적격성 판정을 위한 장애진단 및 특수교육 서비스 지원 방향에도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DSM-Ⅳ-TR 하에서 사용되어온 ‘정신지체’라는 진단명이 ‘지적장애’로, ‘전반적 발달장애’가‘자폐스펙트럼장애’로 변화한 것은 정신장애 뿐 아니라 다양한 학제에서 그동안 논의되어 온 연구 성과를 적극 수용한 것이며, 학제 간 논의와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DSM-5의 개정이 교량적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특수교육법에서 특수교육대상자로 명시한 장애명과 진단기준을 기준으로 DSM-5가 개정된 2013년 5월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논문들을 고찰하고, DSM-5와 특수교육 진단체계의 차이점 및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향후 특수교육법 상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기준과 지원, 보 완책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제 간 전문가 협력과 논의의 장이 필요하며, 타당성이 높은 도구 및 DSM-5 시스템에 맞는 진단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A considerable changes made to the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diagnostic criteria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 revised in 2013 were compared with the DSM-Ⅳ-TR diagnostic criteria, and this changes will influence on the diagnosis of disability for the judgment of eligibility and the determination of support on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the area of mental health. A diagnosis being "mental retardation" under the DSM-Ⅳ-TR have changed to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y" to "autism spectrum disorder", which this reflect the results and the achievement of the professionals across the various study area. The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diagnostic criteria will play a role as a bridge of the discussion and the study across the studies. To invigorate the productive discussion for a arrangement for supplement, there should be wider discussion of this issue and the development of the valid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indexed to DSM-5 diagnostic criteria and clas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