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 한복 교과 내용에 대한 적합성 인식 연구

        권연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e clothing section of 2nd grad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n costume was disregarded, and there wasn't a full explanation on traditional Korean 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amine the state of Korean costume education in three different textbooks used by six coed middle schools in the city of Bucheon, Gyeonggi Province, an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approximately 700 student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raditional Korean dress education(workload, the degree of difficulty, content validity, interest, and acquisition of learning content) and the state of that instruction(instructional method and the utilization of medi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Korean dress segments of the 2nd grade middle school textbooks that were current in use gave explanation about dress code for particular occasions, how to put on a traditional Korean dress and the right posture of traditional Korean dress wearers. And those segments of the textbooks involved pictures and photographs related to the traditional Korean dress. There were a wrapping-up stage, problems and something to read in every unit, but the problem was that the units didn't offer sufficient assignments of practice or hands-on learning.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awareness of the students on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for traditional Korean dress, they considered the level of that education to be above the average in terms of workload,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content validity to the extent that they could be thought to be satisfied with those factors. In contrast, their interest level was below the average, and they were very unsatisfied with their acquisition of learning content. Third, whether their personal variable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awarenes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at educatio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workload, the boys found the workload to be more appropriate in part than the girls. As to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boys considered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at education to be higher than the girls in general. Concerning content validity, the girls had more interest in the curriculum than the boys. Their interest level was in reverse proportion to their perception of the degree of difficulty, as those who thought the curriculum was more difficult showed less interest.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acquisition, the girls excelled the boys. Fourth, regarding the impact of the appropriateness of workload, interest, degree of difficulty and acquisition of learning content on the overall appropriateness of that education, interest in each element of learning exert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that, followed by workload of each subfactor, content validity of each element of learning, workload of each element of learning, degree of difficulty of each subfactor, interest in each subfactor, content validity of each subfactor, degree of difficulty of each element of learning and acquisition level. Fifth, as for awareness of the state of instruction, they took a dismal view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utilization of media. The expository instruction was still prevail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media weren't put to use a lot. Six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their personal variable to awareness of the state of instruction, the students who preferred or placed more importance on technology & home economic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use of media. Seventh, as to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on overall satisfaction level,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under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use of diverse media, followed by activity assignments and self-directed learning. Eighth,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state of instruction on awarenes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those who were more contented with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use of media were better satisfied with the level of workload, content validity, interest and learning content acquisition, and in terms of the degree of difficulty, those students considered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at education to be lower. Ninth, as a result of checking their needs and opinions on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they asked for active assignments such as field trip or practice, and they wanted to learn about traditional Korean costume in a more applicable and easier manner. In regard to awarenes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five factors, they felt the need for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rriculum, but they thought that its degree of difficulty was high, and their acquisition level of the learning content was low. Accordingly,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media and activities should be introduced in addition to textbooks.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에 포함된 한국 복식 교육의 소홀함과 한복 관련 내용의 부족성에 기인하여 경기도 부천시의 6개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현재 사용 중인 3종 교과서의 한국 복식 내용을 분석하고, 70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복 교과내용의 적합성(학습량, 난이도, 내용타당성, 흥미도, 습득 정도)과 수업운영 실태(수업방식, 매체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현재 사용 중인 중학교 2학년 교과서의 한복 단원 주제는 상황에 따른 옷차림을 알고, 한복을 입는 방법과 순서, 착용 후 바른 자세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한복 관련 그림과 사진을 싣고 있다. 단원정리와 문제, 읽을거리가 제시되어 있으나 실습이나 실제 활동학습으로 이어지는 실천과제가 부족한 것이 문제점이다. 둘째, 한복 교과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적합성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습량과 난이도, 그리고 내용타당성은 보통 이상으로 만족에 가깝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흥미도는 보통 이하, 습득 정도는 매우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개인변인에 따른 적합성 5개 영역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량은 부분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였으며,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어렵게 생각하고 있었다. 내용타당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한복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흥미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교과과정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다. 특히 흥미도와 난이도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어 교과과정을 어렵게 생각하는 집단은 흥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습득 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습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량, 흥미도, 난이도, 내용필요도, 습득 정도 등 적합성 영역이 전체 적합성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용요소별 흥미도, 세부요인별 학습량, 내용요소별 내용타당성, 내용요소별 학습량, 세부요인별 난이도, 세부요인별 흥미도, 세부요인별 내용타당성, 내용요소별 난이도, 습득정도의 순으로, 양의 영향력을 미쳤다. 다섯째, 수업운영실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업방식이나 매체활용면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전히 수업방식이 교과서 중심의 설명 비율이 높고 매체와 자료의 활용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개인변인에 따른 수업운영실태 분석결과, 수업방식과 매체활용 모두 기술ㆍ가정 교과를 더 선호하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만족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수업방식의 하위변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 수업방식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다양한 매체 활용, 활동과제 적극 활용, 자기주도적 학습의 순으로 양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수업운영실태가 적합성 인식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수업방식 만족도와 매체활용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학습량이나 내용타당성, 흥미도, 그리고 습득 정도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이도 영역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개선 및 요구사항에 대한 조사결과, 한복 관련 현장학습이나 실습 등 활동적 과제 수행을 원했으며 한복을 보다 생활에 적용하고 이해하기 쉽게 접근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영역의 적합성 인식을 볼 때, 현재 한복 교과과정에 대해 내용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는 반면, 난이도는 높게 느끼고 습득 정도도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서 이외 다양한 활동학습이나 자료, 매체 등의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지수분해분석을 이용한 국가별 보건의료분야 R&D 투자 변화 요인 분석 : OECD 주요국가 중심으로

        권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지수분해분석을 R&D 부문에 적용하여 OECD 주요국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건의료분야 R&D 투자에 영향을 주는 인구, 경제성장, R&D 정책, 보건의료분야 R&D 정책 등 개별 요인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총 7개국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구축한 에너지 분야 지수분해분석 방정식의 응용으로서 이 논문은 지수분해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개별 국가의 인구, 경제성장, R&D 정책 효과 변화요인별 추이를 살펴보았다. 즉, 확장된 Kaya 항등식인 R&D 부문 분해방정식을 활용하여 주요 국가의 9년간 보건의료분야 R&D 정책효과를 전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이 논문은 한국의 보건의료분야 R&D 투자가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R&D 투자 정책 효과보다는 경제성장과 국가 전체 R&D 투자 정책 자체의 영향이 주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R&D 부문의 지수분해분석 방법론 적용의 유용성 검증을 시도하고, 한국의 보건의료분야 R&D 투자 변화 요인을 OECD 주요 국가 R&D 정책 방향 및 주요 영향 요인과 비교 실증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의 보건의료 R&D 투자 방향에 대한 의사결정에의 시사점 도출을 시도하였다. This paper applies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to the R&D sector to analyze changes in individual factors, such as population, economic growth, R&D policy, and health care R&D policy, which affect healthcare investment in R&D using OECD countries data. This paper applies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to the R&D sector, and the analysis data consists of data from seven countries from 2007 to 2015. As an application of the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equations constructed in this field,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by factors of population, economic growth, and R&D policy effects in individual countries using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methodologies. In other words, the R&D sector decomposition, an expanded Kaya identity, was used to forecast the R&D policy effects of health care sectors in major countries for 9 years. As a major research result, this paper analyzed that the effect of R&D investment in the health care sector in Korea is mainly due to the economic growth and the effect of the nationwide R&D investment policy itself rather than the effect of R&D investment policy in the health care sector.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applying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methodology in the R&D sector, and analyzes the changes in R&D investment in Korea's health care sector with the directions and major influencers of R&D policy in OECD countries to draw implications for decision-making on R&D investment direction.

      • 온라인 학습운영에서 촉진자의 역할과 수행행동에 관한 연구

        권연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교육의 형태나 방법상에 많은 영향을 미쳐 컴퓨터 통신을 활용한 학습에 기여하게 되었고, 이는 기존의 학습환경 및 학습 프로세스에 큰 변화를 주어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전통적 교실수업에서와는 다른 새로운 역할과 능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컴퓨터 통신을 활용한 교육환경에서 교수자는 학습자들과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시의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학습의 방향을 안내해 주고,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보조해 주고 촉진시켜 주어야 한다. 교수자가 이러한 역할을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에 따라 학습자의 참여도와 상호작용의 양과 질이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교육 효과도 많은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동안,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교육환경에서 교수자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어 왔지만, 대부분 형식적인 가상수업 환경에서의 교수자의 역할, 즉 온라인 촉진자로서의 역할이 연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가상교육체제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공간을 초월한 평생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키는 기능을 하는 측면에서 볼 때,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교육의 범위는 비형식적인 교육의 형태로도 확대가 가능하며, 이러한 학습의 상황에서도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을 보조하고 도와주는 온라인 촉진자에 관한 연구와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비형식적 학습조직의 형태인 컴퓨터통신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역할과 이에 관련된 수행행동들을 조사함으로써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교육상황에서의 온라인 촉진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확대시켜 보려 한다. 이로써 컴퓨터통신 학습동호회의 교육적 활성화 가능성을 제시하고, 온라인 상의 학습조직을 구축하여 학습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행동지침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문가 집단이 규명한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2. 전문가 집단이 규명한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역할에 따른 수행 행동은 무엇인가? 3. 현재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를 이끌고 있는 운영자는 전문가 집단에서 규 명하였던 역할과 이에 따른 수행행동들의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엄선된 15명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그들의 의견을 수렴, 합의를 도출하는 총 3차례에 걸친 심층적인 설문 조사와 이를 검증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하기 위해, 현재 컴퓨터 통신상에서 학습동호회를 이끌고 있는 37명의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중요도 인식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문가 집단이 규명한 컴퓨터통신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역할은 최종적으로 8가지 항목 즉, 정보의 제공과 조직, 동호회 메뉴의 구성과 관리, 회원 관리, 팀웍 조성력, 면대면 만남의 지원, 운영방침과 방향 결정, 회원활동 지원, 동호회 유지관리의 역할이 선정되었다. 2. 이러한 컴퓨터통신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8가지 역할을 실천하기 위해서 역할에 따른 세부적인 수행행동으로, 총 44항목이 중요도 평균 3점(다소 중요하다) 이상으로 전문가 집단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택되었다. 3. 전문가 집단에 의해 규명되어진 조사결과를 검증하고 실증적 분석을 하기 위해, 현재 컴퓨터 통신상에서 학습동호회를 이끌고 있는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가지 역할과 44항목의 수행행동들이 중요도 평균 3점 이상으로 실제적인 학습동호회의 운영자로서 갖추어야 할 중요한 역할과 수행행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역할 중, 정보의 제공과 조직, 동호회 메뉴 구성과 관리의 역할은 학습동호회 운영자가 온라인 촉진자로서의 교수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회원관리, 운영방침과 방향 결정, 동호회 유지 관리 역할은 관리적 역할로 볼 수 있으며, 팀웍 조성력, 면대면 만남의 지원은 사회적 역할을, 회원활동 지원은 기술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학습동호회를 통한 학습참여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구성원의 안내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운영자들은 온라인 촉진자로서, 회원들이 동호회 활동을 통해서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회원들과의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을 통해 온라인, 오프라인 상의 모임에서 협력과제를 수행하고 토론문화를 정착시켜 학습의 주체로서 능동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새로운 학습정보와 다양하고 유용한 학습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관련분야와의 관계구축과 타 동호회와의 교류를 증진시켜야 한다. 그리고,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역할을 조사 연구하면서 컴퓨터통신 학습동호회의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컴퓨터 통신을 통한 비형식적인 교육의 형태인 학습동호회 구성은 구성주의적 학습 개념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는 개개인의 학습자들이 주체가 되어 온라인 상에서 가상의 공동체를 구성, 관리하고 학습을 진행시켜 나가는 학습조직으로 팀과제나 그룹 스터디, 정보 공유, 문제 중심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도 활발하여 토론 및 서로간의 의견 교환의 활동을 바탕으로 동호회 전체 활동을 이끌고 있으며,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성을 인정하고 권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컴퓨터 통신 매체 상의 특성도 구성주의 학습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주었다. 따라서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 활동은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을 구현하는데 매우 이상적인 환경조건이 되며 학습동호회의 교육적 활성화를 시도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학습동호회를 통해 시간적, 공간적, 방법적 제약을 탈피하여 연령이나 학습시간, 교육기관이나 학습장소, 교육자격이나 취학조건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누구에게나, 어느 곳에서든지,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평생보장 하고자 하는 평생교육의 근본 취지를 실현할 수 있는 좋은 교육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통신 학습동호회의 교육적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서 운영해야 할 것이다. 첫째, 토론과 학습내용이 분리되지 않도록, 학습내용 선정 및 계획 시부터 토론을 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둘째, 회원간의 친목도모를 위해 이벤트성 행사와 지속적인 오프라인 모임을 실시하고 특히, 지식과 정보의 교환에 뒤쳐졌던 지방 회원을 위해 지역 단위의 소모임과 그 소모임을 이끄는 운영진을 구성한다. 셋째, 상호작용이 부진할 때는 운영자가 학습자들의 의견 중, 우수한 것을 선정하여 읽고 피드백을 개진한다든지, 학습과 관련된 흥미 있는 별도의 주제를 띄워 토론하게 하는 등의 방법과 전원에게 주기적으로 전자우편을 발송하여 답신율과 참여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학습자 반응을 촉진시킨다. 넷째, 빈번히 제기되는 질문(FAQ)은 모두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개별 구성원의 학습결과물을 공유하여 함께 비교, 평가해 보는 기회를 갖고, 구성원들이 자신의 능력별로 다양한 학습 공간에서 활동하여 소외를 줄이고 동료의식을 촉진시킨다. 다섯째, 학습동호회 운영자의 태도를 함양시키거나 선정 시 기본성격을 고려해야 한다. 학습내용 및 시스템에도 익숙해야 하지만 매일매일 구성원을 이끌어주고 지원하고자 하는 열정과 꼼꼼함, 자상함이 없이는 구성원들의 학습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힘들다. 여섯째, 컴퓨터 통신사는 각 학습동호회 특성에 맞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의 조성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훌륭한 동호회를 발굴하여 주기적으로 시상하고 적극 지원하며, 시스템 장애 비율을 낮추는 것과 접속속도, 게시판에 대한 다양한 기능의 추가, 통신료 절하 등도 필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컴퓨터 네트워크 교육환경에서 학습의 안내자, 조력자의 역할을 하는 온라인 촉진자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 형식적 교육의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형식적 교육의 형태까지 연구범위를 넓혀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역할과 수행행동들에 대해 중요도뿐만 아니라 현재 실천하고 있는 정도에 대해서도 운영자와 회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중요도와 실천수준간의 차이를 살펴 부족한 역할과 수행행동들에 대한 보완 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설문조사의 대상을 학습동호회 회원에게도 실시하여 운영자와 회원 사이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운영자들이 간과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요구사항에 대한 파악을 통해 좀더 학습자 중심의 학습동호회를 운영해야 할 것이다. New educational paradigm for information society of 21st century places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apabilities to learn as the means through which they can actively recreate necessary knowledge for the rapidly changing world. The advances of information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bring a structural changes in educational system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 has been used as a learning method as well as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in organizational society. Comparing with the traditional classroom,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learning process of on-line instruction has been remarkably changed. So, Instructors should be equipped with new roles and competencies. Till now, there are much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part of instructor development in online education, especially what should do instructor as on-line facilitator in online education. But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volve formal, informal learning formats, 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ilitator's roles and behaviors encouraging student's learning in informal on-line learning format: that is study clubs in CMC. PC communication was introduced in early 1980s in Korea. The study club, which was based on CMC was considered as a place of communication channel and informal education in the 1990s. The study club had shown the high rate of the participation of people, since it was established by the members who were interested in cyberspace. In cyberspace, SYSOP(System Operator) is very crucial role for it takes the central role of leading a study club success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s and on-the-job performances of SYSOPs as on-line facilitator in CMC Study club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a three-round survey for specialists and a survey for SYSOPs were implemented. The three specific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YSOP's Roles in study clubs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etwork which are defined by specialists? Second, What are the SYSOP's on-the-job performances in study clubs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etwork which are defined by specialists? Third, What does the SYSOPs who operate study clubs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etwork recognize the Sysop's Roles and on-the-job Performances which are defined by specialists? As the result of the survey for specialists, the Role of SYSOP wer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domains in CMC study clubs: organizing and supplying the informatio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menus, membership management, teamwork construction, supporting the face-to-face meeting, managing principle, plan settlement, membership activities supporting and managing the maintenance of CMC study clubs. Also the Roles of SYSOP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subordinate behavior indicators(on-the-job performances) of SYSOPs, through the 44 on-the-performance observations. In the survey for SYSOPs, the response results of SYSOPs who operated Study clubs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etwork were similar to the results by specialists, which defined the SYSOP's Roles and on-the-job Performan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stimate its important roles, on-the job performances of SYSOPs in study clubs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etwork by suggesting the role of SYSOPs that affect other members and their activities, and to research fundamental data to develope SYSOP's ability when personal or educational institute attempt to manage in study clubs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etwork.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addressed. First, In order to identify on-line facilitator role, we will study other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Second, in survey, the research on difference of optimal and actual performance of SYSOPs is necessary and than deficient performances make plans to improve. Third, we will discover recognition differences between SYSOPs and members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members in study clubs. So, we should operate student-centered study clubs by understanding missing problems, member demands.

      •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 연구

        권연정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mothers perceive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ing to enhance and activate outdoor play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purpose, study issue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mothers’ perception on outdoor play facilities in day- care centers? 2. What is the mothers’ perception on outdoor play management in day care centers? 3. What is the mothers’ perception on the educational meanings and improvement ways of outdoor play in day care center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94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3 to 5, enrolled at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χ2 tes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Mothers’ perception on outdoor play facil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as investigated, revealing mothers’ acknowledgement that outdoor play was run in mos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each education center accompanies outdoor space specially designed for children’s outdoor play. Furthermore, grass-field was the most preferred type of playground, and space for gross-motor activities was singled out as the outdoor play facility requirement. These must-have facilities include equipments for complex play, sand play, balls, and mini wares for role plays. 2. The way of running outdoor play programs which mothers desir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to have was inquired. Mothers reported that it’s desirable to perform outdoor play 3 or 4 times a week with a flexible schedule according to other activities on the day, and for 21 to 30 minutes. The most important matter the mothers estimated in running outdoor play program was safety, especially safety of the facilities and teachers’ role for children’s safety. 3. Educational meaning of mothers’ perception on outdoor-play’s and the way of improvement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mothers considered the outdoor play is necessary because it can help children's development. In addition, they agreed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outdoor play. They said it helps children to be healthier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The most concerned area in outdoor play management was how to keep the facilities safe and clean. Mothers pointed out that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needed to be checked regularly for its best condition to be guaranteed.

      • 공공시설 담장허물기를 통한 도심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대상지로 하여

        권연정 漢陽大學校 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도심내 공공시설의 높은 담이 시민들의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도시미관을 악화시키는 등 그 기능이 축소, 변질되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구광역시에서 공공기관의 담장을 허물고 녹지로 조성하던 것을 1999년부터는 ‘담장허물기운동’이라는 시민운동으로 확대․전개하였다. 이는 단순히 담을 허물어 환경의 질을 높였다는것 외에 열린사회로의 의식전환도 가져왔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공공시설의 담을 허물어 권위적인 기관의 느낌에서 시민에 대한 봉사와 서비스라는 의미로 변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담장허물기 효과가 확산되어 적용되기 위해서는 일률적인 허물기가 아닌 시민이 참여할 수 있고 그들의 의견이 적절히 수용되어야 하지만 그러한 구체적인 사례가 없으며, 이에 대한 조사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내 공공시설의 담장허물기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용행태와 문제점을 파악했으며 이를 토대로 담장허물기의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선호도를 조사․분석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대구시에서 추진된 담장허물기의 시행규모는 160개소, 8,815m 정도로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초기에는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의 참여 비율이 높았던 것에 반해, 해를 거듭할수록 가정주택이나 개인업소 등의 참여가 늘고 있다. 둘째, 담장허물기에 의해 개방된 장소는 휴식공간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길 원하며 담장허물기 시행시 편의시설과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아 이용면에서 적극적인 참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설치에 대해서는 중요도가 높은 반면 성취도가 매우 낮아 반드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셋째, 담장허물기의 유형은 크게 경계구분형, 화단 및 분수형, 벤치형으로 다시 세분하여 경계구분형, 경계구분형+벤치형, 화단형, 분수형, 화단형+벤치형, 벤치형의 6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담장의 형태가 적게 남을수록, 개방정도가 클수록, 이용이 가능할수록 선호도가 높았지만, 공간마다 성격이 다르고 주변환경과 관계되는 영향도 크기 때문에 이에 따른 유형별 선택이 필요하다. 분석내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도심내 담장허물기를 통해 공간마다의 특색과 주위환경, 기관의 성격 등에 따른 차별화된 유형을 적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여, 시민들의 이용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도록 해야한다. 공원이나 광장의 경우는 접근성, 개방성, 이용성이 좋아야 하므로, 경계구분형과 같이 담장의 형태가 거의 없고, 투시정도가 높은 유형이 적합하다. 행정기관의 경우는 시민을 위한 봉사라는 의미를 살리되 지나친 개방이 내부이용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병원이나 학교의 경우는 접근성 및 개방성, 이용성도 중요하지만, 대상지내 이용률도 높으므로 내부이용자들의 프라이버시와 이용성에 대해 좀더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경계구분형과 같이 경계의 구분이 거의 없는 형태보다는 화단형이나 벤치형, 또는 이들의 복합형으로 조성해 내외부 이용자 모두에게 이용이 가능하면서도 내부 이용자들이 어느 정도 프라이버시를 가질 수 있도록 조성해야 한다. 또한, 소음문제에 있어서 다른 공간에 비해 주의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기타 도심내 공공시설의 경우는 기관자체의 특성에 따라 유형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상지의 위치와 주위환경, 기관의 성격 등에 따라 개방정도와 접근정도, 이용유무, 이용시설 등이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아직 시행 초기단계에 있어 평가나 연구가 미비한 담장허물기 사업에 대해 계량적으로 평가를 시도한데 의의가 있다. While today, it is being said high walls of public facilities in cities decrease the accessibility, and make the fine view of the cities worse, Daegu Metropolitan City developed greens after pulling down walls of public institutions, and from 1999, the work was extended into the campaign 'The campaign to pull down walls'. It not only raised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by pulling down walls, but also, changed our consciousness into open-minded consciousness. And especially, it is important in that the meaning of public institutions is changing from the feeling of authoritative institutions to that of services for citizens. But, in order to extend the effects of the campaign, it is needed that citizens themselves can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but there's no specific example about it, and there are not enough surveys or studies on that. So, in this stud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nsciousn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campaign, grasped problems, and classified the types of pulling down walls, in order to see the preference by typ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rough these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up to now, the Daegu city enforced the campaign in 160 places by 8,815m, and the scale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while at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administrative organs or public institutions was high, as years pass by, more and more houses and private shops are participating in it. Second, they want to use the space, opened through the pulling down walls, as a resting place, and because the wall is pulled down, they ask convenient facilities and resting time, they want positive participation. In connection with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uch facilities are very important, but they are not being fulfilled. So it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ird, pulling down walls is divided into the boundary division type, the flower garden & fountain type, and bench type. And it also can be subdivided into the boundary division type, the boundary division+bench type, the flower garden type, the fountain type, the flower garden+fountain type, and the bench type. Less the types of walls remain, bigger the level of opening is, and more available the place is, the preference level was higher. But because different space has different characters, and it is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elect by types. The improvement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can be presented. By applying distinctive types according to features of each spac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 of the institution through pulling down walls, and by raising the utilization level of space, we should make the satisfaction level our citizens high. In case of parks and public squares, the places should be approachable, open and available. So the type, which has few types of walls like the boundary division type, and of which prospective view is good, is proper. In case of administrative organs, it is goo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services for citizens, but it also should be considered that excessive opening can create rejection to the users of the inner place. In case of hospitals or schools, of course, it should be approachable, open and available. But because the utilization rate in the object place is high, the privacy of inner users should be more considered. Therefore, rather than the types that have few divisions, by constituting the flower garden, the bench or the combined type of them, it should be made so that it can be available to all people, but at the same time, the privacy of inner users can be protected. And also, in connection with noise pollution, it can be a problem, so it also should be considered. And in case of public facilities in the city, it is desirable to fix the typ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institution itself. It's because the level to be open, the to be approachable, whether it is used or not, and used facilities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object plac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features of the institution. Because this study is still in the beginning level, so it has the meaning in that the evaluation in the campaign to pull down walls, which has been poor in the evaluation or the study, has been tried statistically.

      •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표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연구

        권연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지속 가능한 대학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지속 가능한 지표에 대한 개발을 통하여 국내 대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은 기존의 환경상태를 유지하거나 더 나은 상태로 발전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대학교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 사례와 환경지표에 대한 선행연구 동향을 통하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개발은 먼저 국외 대학과 국가 및 국제기관 등에서 실시한 환경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대학교에 적용 가능한 지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지표 중에서 원주캠퍼스의 쟁점조사 및 특성을 고려하여 원주캠퍼스에서 적용할 수 있는 1차 환경지표를 다시 도출하였다. 원주캠퍼스의 1차 환경지표로 도출된 목록 중에서 현재 자료조사 상태를 파악하여 2차 환경지표를 ○: 자료 조사가 이루어진 지표, △: 자료 조사가 불충분한 지표, ●: 자료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표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환경지표를 토대로 대상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또한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지표를 도출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로 선정된 목록들 중에서 ○와 △로 표시된 지표들을 중심으로 실제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국내 대학에서는 최초로 시도되는 연구이기 때문에, 자료수집 및 지표간의 관계설정 등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앞으로 국내 대학교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자료구축 및 지속적인 발전 노력이 수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 Universities through sustainable indicators development. The sustainable university is university whose long term prospect for continuing to exist is good.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ment of Wonju campus wa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bout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ment and accomplishment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Korea universities. Wonju campus Environmental indicators were adopted by selecting university environmental indicators based on preceding study and then by reselecting of the presented indicators concerning about characteristic and questionnaires of Wonju campus. Finally it presented ○: data collected indicators, △: data insufficiently collected indicators, ●: data not collected indicators. Also, this study discussed evaluation grade concentrated on indicators presented ○ and △. But it is difficult to data collecting and relation establishment among indicators because it is initiated in korea. In conclusion, sustainable indicators development in korea universities needs to be continuingly conducted.

      •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권연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geared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amine its effects by looking for any possible changes in their perspectives and actions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 following efforts were made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1. To develop an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geared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order of making out a draft, tryout, evaluation and finalizing. 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by looking for changes in their perspectives and actions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making out a draft, tryout, evaluation and finalizing. After literature review on the educational methods of media educati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action learning, pilot studies were implemented to draw up a draft, and experts were asked to review the draft to improve its content validity and feasibility. The draft was modifi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ir review, and then it was tried out and evaluated in a small learning team that was made up of six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searcher who served as a learning coach. The activity materials used in each session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ee if there's anything wrong with the content or 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s of a summative evaluation and the researcher's evaluation were all reflected to finalize the program. The finalized program consists of seven sessions. In the program, the frequency of offline gathering is reduced, and an online community is utilized, instead. To be specific,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ssions are mainly composed of lectures and discussions to understand basic subject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In the fourth to seventh sessions, learning should takes place while the learning team selects a task and resolves it according to the seven stages of action learning to provide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s for the management of the program,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24 or less, and there are five or six members in each learning team. Maximum two teachers in a kindergarten can be included in the program. The frequency and time of education are determined in a flexible way by allowing the participants to take the program during the semester or vacation at their own convenience. The roles of the instructor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learning coach in principle, but the same person could serve as the instructor and learning coach at the same time. Concerning the place of education, it's advisable to conduct the program in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in a related research institution(e.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ment Institution of Seoul); or it may be conducted in a kindergarten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the participant teachers and with which they are familiar. Besides, the participants should be supported by being given financial aid necessary for the participation, by being given a credit, or by being allowed to take part in an educational contest. Also, they should be informed of the program by e-mail in advance, and it will be advisable to regulate their daily timetable or the time they get off work. Seco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came cognizant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showed improvement in teaching competency. As for the changes of their perspectives,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assive or negative way of looking a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ir thinking was extended, and they became convinced of child-led media educatio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ction changes such as bolstering teaching competency, boosting will to learn through reflection, and growing with passion and spreading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 teachers ha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young children while they improved in teaching competency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they were convinced of the positive effects of child-led media education activities. Also, their will to learn was strengthened while they reflected on their own lives as teachers. Moreover, the program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teachers to acquire more advanced practical knowledge and try to spread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in their kindergarten. Unlike the models and strategies of existing media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teachers 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more specific in terms of content and process to improve its feasibility. The program was designed to en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own professionalism in teaching by choosing tasks for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on their own, seeking solutions and applying them instead of merely conveying necessary subject knowledge. Accordingl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an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which is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oster their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Furthermore, the program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for relevant policy setting, and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sequential, sustained media education tailored to young children in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교수역량 증진을 위해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평가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고,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시안 개발-적용 및 평가-최종 프로그램 도출)한다. 2.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따른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행동의 변화를 탐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프로그램 시안 도출, 적용 및 평가, 최종 프로그램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미디어교육, 유아 미디어교육, 액션러닝 교육방법에 관한 문헌연구와 예비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고, 내용의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쳤다. 이를 통해 수정·보완된 프로그램 시안은 6명의 유치원교사와 연구자(러닝코치)로 구성된 소규모 학습 팀에서 적용 및 평가되었다. 프로그램 차시별 활동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내용·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프로그램 총괄평가, 연구자 평가를 종합하여 최종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은 총 7차시로 구성하며, 현직 유아교사의 실정을 반영하여 오프라인 모임 횟수를 줄이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1~3차시에는 기본적인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과지식의 이해를 위하여 강의 및 토론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며, 4~7차시에는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실제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처하기 위해 액션러닝 교육방법의 7단계 과정을 적용하여 학습 팀이 과제를 선정, 해결(적용 및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프로그램 운영의 측면에서는 먼저 교육대상자는 최대 24명으로 제한하고 한 학습 팀의 인원수는 5~6명으로 구성하며, 기관별 2명으로 제한한다. 교육 횟수와 시간은 학기 중과 방학 중 실행으로 구분하여 융통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교수자와 러닝코치의 역할은 분리하는 것이 원칙이나 겸할 수도 있다. 교육장소는 지역교육청이나 관련 연구기관(예: 서울특별시 유아교육진흥원)에서 실행하는 것이 좋으나, 참여교사의 접근이 용이하고 익숙한 환경인 유치원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기타 지원 사항으로는 교육참가비 지원, 학점 부여, 교육연구대회 참여 지원, 프로그램 시작 전 안내메일 발송, 참여교사의 일과 및 퇴근 시간 조정 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역량이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소극적·부정적 인식에서의 탈피,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고의 확장, 유아 주도적인 미디어교육 활동에 대한 확신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행동은 실행을 통한 교수역량 강화하기, 자기 성찰을 통한 학습의지 높이기, 열정으로 성장하고 파급하기로 변화하였다. 즉, 교사들은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수역량의 향상을 통해 유아의 특성과 관심을 더 깊이 이해하고 유아 주도적인 미디어교육 활동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확신을 키웠을 뿐만 아니라, 교사로서의 삶에 대해 성찰하면서 학습의지를 향상시켰다. 이와 더불어 본 프로그램은 유아 미디어교육의 지속적인 현장 적용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발전시키고 유치원 안에서의 전달연수 및 협력적 실행을 통해 유아 미디어교육을 파급시키는 열정을 갖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해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일반적인 교사나 유아교사 대상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모형 및 전략과는 달리 교사교육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내용과 절차를 구체화하였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과지식 전달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유아 미디어교육의 실천 과제를 교사들이 선정하여 직접 해결안을 모색하여 교실에 적용·평가하여 스스로의 교수역량 향상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교사에게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여 지식·기술·태도를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는 입문과정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유아교사 교육과정의 개발이나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 발달에 기초한 단계적·지속적인 미디어교육을 유아교육 현장에 도입하는 계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