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박규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한국 사회는 인구통계적 변화에 따라 2015년도를 기준으로 1인 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이 되었고, 소형가구의 증가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1인 가구의 증가에 대비하여 소형 주거 면적의 도시형 생활주택 제도를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1인 가구 주거안정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 주거비용은 해가 거듭될수록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1인 가구의 주거시장 안정화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과 도시형 생활주택의 향후 공급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25개구에 소재한 도시형생활주택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지표 선정의 방법으로는 선행연구의 충분한 고찰을 통해 변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객관적인 분석지표를 선정하였다. 도시형생활주택의 가격을 종속변수로 하고, 물리적·입지적·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헤도닉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의 도출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도시형 생활주택 대상으로 도출된 가격 결정 모형에서 가격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전용면적, 준공연도, 2인 가구 수, 지하철역까지의 거리, 1인 가구 수,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 대학까지의 거리, 세대수 순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들 중 양(+)의 관계를 갖는 변수는 세대수, 준공연도, 전용면적,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였다. 또한 종속변수와 음(-)의 관계를 갖는 변수는 지하철까지의 거리, 대학까지의 거리, 2인 가구 수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결과에 따라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수와 전용면적의 증가는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는 결과를 통해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시 사전에 거주 환경적인 측면에 있어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세대수가 증가할수록 편의시설 및 기반 시설 확대가 이루어져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전용면적이 증가할수록 이용자의 거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나타난 결과이기 때문이다. 둘째, 지하철역까지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결과를 통해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시 직주근접 관련하여 교통 입지적 요인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수요층이 교통 접근성 및 교통 편의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이러한 수요 특성이 가격에 반영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나타난 결과이기 때문이다. 셋째, 대학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결과를 통해 분양가 상한제 정책과 같은 분양가 산정에 있어서 적절한 공적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도시형 생활주택에 거주하는 학생 수요층이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고,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의 상승은 경제적 자립성이 약한 학생 수요층의 주거안정성에 위협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1인 가구가 증가할수록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결과를 통해 1인 가구의 집단 특성과 지역적 분포 현황 등 1인 가구에 대한 세부적인 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공급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1인 가구가 수요층으로써 도시형 생활주택의 가격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1인 가구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도시형 생활주택의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2인 가구가 증가할수록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이 하락하는 결과를 통해 공급 시 1인 가구와 2인 가구를 집단별 조사를 실시하여 특성에 맞게 차별적으로 공급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1·2인 가구가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에 주는 영향이 서로 다르다는 결과를 의미한다. 즉, 1·2인 가구를 동질적인 수요 특성을 지닌 집단으로 봐서는 안된다는 결과이며, 향후 도시형 생활주택 제도의 향후 지속적인 보완과 개선이 필요할 것임을 시사한다.

      • 도시 작동적 경관 계획 지표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강경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63

        도시는 발전 과정의 부산물로 도시 기후변화, 이산화탄소 배출, 도시 열섬 현상, 생물종 다양성 감소, 홍수 등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를 물리적 계획 체계 내에서 접근하여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지금까지 없었지만, 2007년 제정되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는 경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각적 경관의 개념과 계획 요소에 더하여 도시에 작용하는 자연의 생명력을 작동적 경관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정의하고 적용할 수 있는 경관계획 지표를 개발하는 것은 동시대 경관계획 분야의 새로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구 기후변화, 도시 폭염 등 열섬화 현상, 도시 게릴라 홍수 등 도시환경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경관법 상에 규정하고 있는 시각적 경관 형성과 관리 차원을 넘어 도시에 자연의 생명력이 작용하는 생명경관도시 형성 차원에서 작동적 경관 형성 및 관리를 위한 새로운 경관계획 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작동적 경관계획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도시, 녹색도시, 저탄소녹색도시, 탄소중립도시 기존의 도시계획 차원에서 연구된 환경 관련 지표를 대상으로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자연의 작동성과 관련 된 지표를 추출하여 총 3라운드에 걸친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걸쳐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것을 근거로 AHP 및 델파이(Delphi)분석을 통해 도시의 작동성 경관 관련 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작동적 경관계획 지표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초록에서 후술하는 사례 도시지역을 선정하여 평가하는 등 일련의 과정과 방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도시 작동성 경관 조성 지표 개발의 결과, 첫째, 대분류 지표로는 ‘태양’, ‘물’, ‘공기’, ‘바람’, ‘서식지’ 등 5가지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 들은 도시 내 작동하는 자연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시 작동성 경관 관련 대분류 체계의 하위 체계로서의 중분류 체계는 도시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요소로서 ‘건축물’과 ‘공공공간’ 등 2가지 지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중분류는 각 대분류에 모두 연결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이상의 5가지 도시 작동적 경관의 대분류 체계와 중분류 체계로서의 소분류 지표로는 총 25개 지표로 분석되었다. 대분류 태양 지표와 중분류 건축물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태양광 에너지 설치’, ‘벽면 및 옥상 녹화’, ‘알베도를 고려한 건물 외벽 색채’ 등이며, 중분류 공공공간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녹지(공원) 확보’, ‘수공간 확보’, ‘바람길(바람 통로) 확보’, ‘알베도를 고려한 지표면 색채’ 등이었다. 대분류 물 지표와 중분류 건축물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상위 지표 물의 우수 활용(LID)’ 지표였으며, 중분류 공공공간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빗물 저류지(공원) 조성’, ‘실개울 조성’, ‘수생 비오톱 조성’, ‘투수성 포장 사용’, ‘자연지반(녹지) 확보’, ‘잔디 수로’ 등이었다. 대분류 공기 지표와 중분류 건축물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유독가스 배출 저감’ 지표였으며, 중분류 공공공간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자전거 이용환경 조성’, ‘보행 이용환경 조성’, ‘바람길과 녹지축 연결’ 등이었다. 대분류 바람 지표와 중분류 건축물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도시 기류를 고려한 건축물 형태’ 지표였으며, 중분류 공공공간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바람길 확보’, ‘기류를 고려한 건축 외부 공간 조성’ 등이었다. 대분류 서식지 지표와 중분류 건축물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옥상 녹화 조성’, ‘벽면 녹화 조성’ 등이며, 중분류 공공공간에 해당하는 소분류 지표는 ‘가로 녹지대 조성’, ‘수생 비오톱 조성’ 등이었다. 25개의 도시 작동적 경관 계획 지표에 대한 AHP 분석 결과, 대분류 지표의 경우 5개 지표 중 태양’, ‘물’, ‘공기’ 등 3개 지표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서식지’ 및 ‘바람’ 지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도시 작동성 경관을 구성하는 소분류 지표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 대분류 체계를 구성하는 ‘태양’, ‘물’, ‘공기’ 등 3개 지표에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도시 작동적 경관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도시경관계획 체계상에서 ‘태양’, ‘물’, ‘공기’ 등 지표를 경관계획 체계 요소로 끌어 들이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시 작동적 경관 계획 지표의 적용 가능성 및 적용상의 문제점 등을 분석하기 위해 도시경관계획 수립 후 조성된 곳이며 동시에 조성 시기가 상이한 두 곳, 즉 2000년 초반 대에 조성된 광주광역시 상무 중앙로 일대와 2010년대 초반에 조성된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대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도시 작동적 경관 계획 지표를 적용한 결과 광주광역시 상무 중앙로는 100점 만점에서 절반도 되지 않은 47.0점으로 나타났고,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대로의 경우 100점 만점에서 61.5점으로 산출됨으로써 비록 2곳 모두 경관법에 의해 경관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시행된 곳임에도 불구하고 모두 작동적 경관계획 차원에서는 50점대의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러한 적용 결과는 기존의 시각 중심의 경관계획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작동성 중심의 경관계획의 차별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작동성 경관 계획 지표 적용의 타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향후 도시경관계획을 수립코자 할 경우에는 도시민의 삶의 질제고 차원에서 기존의 시각경관계획과 함께 작동경관계획도 동시에 추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경관법에 대한 개선 및 보완이 있어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 문화형 도시재생사업의 대한 전문가와 방문객의 만족도 영향요인 및 성공요인 분석 : 대만 타이페이시 송산문창단지 중심으로

        박위관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산업 및 경제구조의 변화로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대만은 도시갱신 수법을 통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꾀하고 있고 도시재생은 이 도시갱신의 보조적인 성격을 되고 있다. 2010년도부터 도시재생 개념이 도시갱신의 개념와 분리되어 2011년에 도시재생 개념의 송산문창단지가 조성되었다. 본 연구는 대만 문화형 도시재생사업의 대한 전문가와 방문객의 만족도 영향요인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대만 문화형 도시재생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의 활동요소 및 활동지표를 정리하고, 사전준비차원, 제도차원, 실행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IPA분석과 DEMATEL 분석을 통해 전문가에게 주요 활동요소 간에 영향관계를 조사하여 도시재생사업 활동요소에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실행차원의 활동요소는 송산문창단지를 이용한 방문객 및 전문가에게 만족도, 도시재생 성공인식을 조사하여 만족도 및 도시재생 성공인식에 영향관계를 다중회귀분석 및 PLS-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분석결과는 방문객 설문지는 절반정도로 20대 대학생이나 대학을 졸업한 여성이였으며, 이들은 대체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주로 전시 관람을 이용하여 1시간에서 3시간을 체류하였다. 소비금액은 $201~$1000원(환율: 1:36한환)으로 나타났으며 연간 방문횟수는 3회 이상으로 나타났다. 송산문창단지에 대해 방문객의 만족도는 보편적으로 만족한다고 나타났으며, 반면 가격 및 가성비, 관람 안내 책자 제공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공연 및 강좌 활동의 체험 여부는 전문가의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가 방문객보다 더 높았으며, 방문객은 소비 활동 및 도시재생 성공인식에 더 만족한다고 나타났다. 방문객은 전체 만족도에 소비활동,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것을 나타났으며, 전문가는 문화・예술활동, 소비활동,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체 만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방문객 위주의 소비활동,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를 우선적으로 개발, 보완하여 전체 만족도를 올릴 수 있는 것이 필요 하다. 성공인식 영향관계 분석결과 방문객은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가 성공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가는 문화・예술 활동, 소비활동, 문창 분위기가 성공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창 분위기는 전문가와 방문객의 결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향후 도시재생을 성공을 높이고 싶으면 문창 분위기가 중요한 활동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의 전체 만족도가 재방문의사 및 추천의사의 영향관계 분석결과에 따라 전체 만족도는 재방문의사 및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으며, 방문객과 전문가간 인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결과는 조직과 활동, 정책, 계획/ 실행과정이 중요하고 만족한 활동요소이며, 사전 정책, 계획/ 실행과정, 사전조사는 중요하지 않고 만족하지 않은 활동요소로 나타났다.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 활동요소에 영향관계에 따르면 결과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 문화・예술 활동은 영향을 받은 결과적 성격 활동요소이며 사전조사, 조직과 활동, 사전 정책, 계획/ 계획과정은 영향을 주는 원인적 성격의 활동요소이다. 이에 사전 정책, 계획 및 계획과정은 첫째 문창 분위기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둘째 환경・시설・서비스에 영향력이고, 셋째는 사전조사활동은 환경・시설・서비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의 활동요소 중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 문화・예술 활동이 가장 중요한ㄴ 핵심적인 요소이며, 향후 중점적으로 개발이나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사전조사, 조직과 활동, 사전 정책, 계획/ 계획과정 활동요소 중에는 조직과 활동만 중요하고 만족하기 때문에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Nowadays urban structure changes rapidly, in order to respond this issue Taiwan’s government use urban renewal methods to keep the city development Sustainable. Similarly, they use urban regeneration as second methodology. In 2010, the methodology definition of urban renewal and urban regeneration was define on different. In 2011, following the two methods,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was op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t and Visitors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success festures of the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aiwan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in Taiwan in the future. The study analyze,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theories related with the structure of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it urban regeneration project activities, and recreational elements. To creat a factor of 8 activities, and classified it structure in 3 dimensiones Preliminary dimension, Institutional dimension, Execution dimension.Using the 8 activity elements for expert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on the priority and satisfaction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8 activity factors, analyzed the influence and the system of the activity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through IPA analysis and DEMATEL analysis. Therefore, the outcome four factors in the Execution dimension were analyzed by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LS-structure equation model for visitors’ satisfaction in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The visitors' questionnair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college students or college graduates students in their 20s. They commonly take the public transportation with their friends or lovers to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They usually stay for one to three hours, and their annual number of visits was more than three times a year. The visit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universally gratificatory for the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Howere, price and provision ratio, and viewing brochures were just common. The experts’ satisfaction to exhibition and art activities is more satisfactory than visitors, because experts participate more in exhibition, the show and lectures, and visitors are more satisfied with Consumer activities and they have consciousness about the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is a successful urban restoration project. Visitors’participa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site activities were high. However the. performance price ratio, and the visitor information’s satisfaction was ordinary. The visitors showed on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consumer activities, the sit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and for the creative atmosphere. The experts showed overall satisfaction towards the art activities, consumer activities, the sit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Experts’ satisfaction with art activities were higher than visitors’ satisfaction. Because experts Participated in art activities more than visitors. Tourists’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consumer activities and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more higher than the experts’ satisfaction levels. If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seek to increase overall satisfaction, the study recommend to focus on the consumer activities, the sit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and the creative atmosphere to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in the future. The visitors’successful urban restoration project was influence by th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and the creative atmosphere. The experts were influence by arts activities, consumer activities, and the creative atmosphere. Especially, the creative atmosphere was the highest among experts and visitors.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want to improve the success levels at an urban restoration project in the future, the creative atmosphere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 revisit consciousness and recommendation awareness. The outcome result was similar for visitors and experts.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activity elements, revealed that the organization and the activities, the policies planning and execution process, important and satisfactory activity factors,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and the pre -research, are not important and unsatisfactory activity factor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8 activity factors are as follow: Th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the creative atmosphere, and the arts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as affected activity factors. The research, the organization and the activity,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can be considered as affecting activity factors.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affecting the creative atmosphere was the first highest impact result.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affect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ervice, were the second highest impact result. The pre – research affect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ervice was the third highest impact result. As a result, the environment, facilities, service, the creative atmosphere, and the arts activities were the most important activity factors. The study consider that in the future, is necessary to focus on these activity factor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were very important and very satisfactory, so is important to preserve this activity factor in the furture.

      • 開發制限區域 管理制度에 관한 認識分析 硏究 : 專門家 認識 中心으로

        맹치영 漢陽大學校 都市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9663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의 진행으로 인하여 1970년대 초반부터 서울을 비롯한 중추도시의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였고, 도시가 무질서하게 외곽으로 확산됨에 따라 도시근교의 농경지와 녹지가 무분별하게 훼손되었으며, 급속한 산업화의 과정 속에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토지에 대한 투기도 성행하였는데 이러한 제반 현상은 도시지역의 교통, 주택,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정부에서는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함과 국가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1971년 7월 30일 서울을 시작으로 하여 1977년 4월 18일 여수지역을 마지막으로 모두 8차에 걸쳐 대도시, 도청소재지, 공업도시 등 14개 도시권역에 전국토의 5.4%에 해당하는 5397.1㎢ 규모의 개발제한구역을 지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지정된 개발제한구역은 지정 이후 1999년까지는 일관되게 보전의 원칙을 지키면서 관리가 되어 왔지만 여러 곳에서 관리의 허점과 정부의 무원칙적인 개발허가로 인하여 지역 주민의 민원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관원 등 여러 가지 마찰이 발생 하였다. 또한,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당초 도입 의도와는 달리 이 제도의 시행으로 인하여 우리사회에 여러 가지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동시에 발생하였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1971년 구역이 지정된 이래 1999년까지 50여차에 걸쳐 관련법규가 개정되었는데 이때까지는 제도의 골격을 훼손하는 구역경계의 조정은 이루어지지 않다가 1998년 헌법재판소의 개발제한구역제도에 대한 헌법 불합치 판결과 군사정부가 민간정부로 이양되면서 민원제기가 점차 활발해지고 학자들도 구역 경계의 재설정과 제도의 완화 쪽으로 논의가 진행된 결과, 2000년 1월 28일 “개발제한구역의지정및관리에관한특별조치법”이 제정되고, 2001년 9월 개발제한구역 해제기준이 발표되면서 본격적인 해제작업이 진행되었다. 1971년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도입이후 2009년 6월 현재까지 약 38년 동안 제도를 시행하면서 총 62차에 걸쳐 “도시계획법 시행규칙”과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제도를 개선(완화) 하였음에도 시대와 여건 등의 변화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문제와 제도의 완화, 그리고 개발제한구역의 관리와 관련하여 지금도 끊임없는 민원과 관원이 계속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나 구역조정, 제도완화와 관리에 관한 문제는 보다 효율적인 국토관리와 경제 발전, 사회통합과 행정 효율성 제고 등의 맥락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개발제한구역이 지정된 1971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정책변천을 고찰하고,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특별시 본청과 각 구청에서 발생한 민원과 관원 내용, 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시민 및 전문가 인식분석 등을 통하여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적인 관리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나아가 변화의 시대에 걸 맞는 효율적인 국토 환경 조성과 관리를 위한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발전 전략, 제도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제한구역 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전문가 인식분석을 위한 자료 도출 방법은, 1단계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특별시 본청과 각 구청에서 발생된 민원자료와 관원 관련 사항을 조사 분석하였고,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자료를 가지고 개발제한구역 업무를 20년 이상 담당한 경력이 있는 서울시 공무원 30명을 상대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여 관리제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 14건을 도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도출된 14건을 가지고 현재 개발제한구역 업무를 직접 담당하고 있는 20년 이상 경력의 서울시 공무원 14명이 참석한 워크숍을 통하여 14건 중 13건이 제도 개선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4단계에서는 3단계에서 도출된 13건을 국책연구원, 도시계획관련교수, 전직공무원, 관련학문을 연구하는 박사과정 대학원생 등 전문가그룹 50명을 상대로 심층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심층 인터뷰 13건의 설문에서 전 문항이 평균 89.5% 이상이 제도 개선에 적극동의 또는 대체로 동의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학식이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개발제한구역 관리제도에 대하여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 본 연구논문 연구목적과 부합됨을 시사해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발제한구역 제도를 시대변화와 사회여건에 걸맞게 개선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하나의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 한편으로는 관리 제도를 현실에 맞게 개선하는 기준을 제시하는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결과적으로 지역주민의 일상생활불편의 최소화는 물론, 관리하는 공무원이 보다 합리적으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는 수도권 지역 중 서울시 행정구역을 공간적 범위로 정하여 연구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내용이 전국의 개발제한구역을 대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는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차후엔 전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우리나라의 포괄적 개발제한구역 관리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 대규모 도시공원 및 주변부 리모델링을 통한 도시재생 전략설계연구 :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중심으로

        이나은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는 지난 30년간 지나친 산업화, 도시화로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도시의 무질서한 외연적 확산으로 도시의 중심부가 쇠퇴하게 되는 지역적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도시는 도시개발로 인해 생활의 편리함과 물질의 풍요로움은 가져다 주었으나 자연은 훼손되었으며 환경은 파괴되었고 더 이상의 도시개발은 수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화 과정의 해결책으로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과 더불어 경제, 정책, 문화 등 도시의 전반적인 구조를 개선하는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이라는 도시적 큰 패러다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도시재생의 시작은 일부 물리·환경적 개선을 통한 기반시설의 정비와 주택 공급의 기능적이고 단편적인 시각으로 진행되어 제한적 효과만을 거두었지만 최근에는 공원, 녹지, 광장 등의 공공공지의 확충과 기존 공공공지의 재 활성화가 도시 재생적 측면으로 적극적으로 인식되면서 이전적지의 공원화, 폐 부지의 공원화, 어린이공원 확충, 대형공원조성 등 도시공원이 도시재생의 새로운 영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서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도시재생전략으로 판 조직(Surface), 용도복합(Mixed-Use), Flow(흐름), 진화(Evolution), 층위화(Layer Thickening), 이 5가지 전략을 통한 도시재생의 새로운 영역으로 대규모 도시공원 및 주변주 리모델링을 통한 도시재생 전략 설계연구를 제시함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론에서는 앞서 언급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도시재생 5가지 전략과 설계의 방법적 매체로 다이어그램과 꼴라주 및 포토몽타주, 디지털 그래픽을 선정하여 사례지인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적용하였다. 사례지가 가진 역사적 사실인 최초의 어린이 대공원임에 입각하여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포함한 주변지역과 광진구를 어린이 문화 대표도시로의 도시재생을 설계적 목표로 삼고 여러 도시 맥락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4단계에 걸친 계획년도 2025까지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거점으로 단계별 도시재생과정을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고립되고 단절되어 있는 공원의 경계를 허물어 공원이 도시로 진화하기위한 내부 프로그램과 녹지를 정비하고 2단계에서는 세종대와 건국대를 도시의 교육적 기능만을 담당하는 인프라적 시설이 아닌 하나의 오픈스페이스로 공원과 함께 도시의 녹지와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 해주는 그린인프라로 인식하며 공원의 주변부를 과거의 흔적으로 도시의 골격은 유지한 채 교육, 문화, 상업,생태 등의 복합용도의 어린이 문화 클러스트를 형성 시킨다. 3단계에서는 도시의 경제적 재생을 위해 사람과 경제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지하도 건설을 통한 지상부 공원화전략과 기존 직선도로를 공원쪽으로 곡선으로 우회하여 공원과 도시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그 주변부를 상업시설로 형성하게 하며 4단계에서는 도로를 Lineal Park로 전환하여 끊어진 생태축 복원과 주변지역이 자연스럽게 상업가로로 형성되어 도시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현재 낙후되어 리모델링을 해야하는 공원이 많은 현실을 감안하여 공원 및 주변부 리모델링을 통한 도시재생전략 설계연구로 이론정립과 함께 참고자료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시재생의 한 유형으로 공원 리모델링에 대한 전략을 마련해 보고자 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도로의 입체적 활용에 따른 지상부 오픈스페이스 계획지표 분석 : 서울시 영동대로 광역환승복합센터 지상 공간을 대상으로

        이소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저성장, 도시기후변화, 인프라 쇠퇴 등 다양한 차원에서 산업화시대의 도시개발 문제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도시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혁명 이후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의 도시재생 시대에는 과거 공간과 기능간의 분리와 단절을 넘어 혼성과 융합의 패러다임으로 어떻게 도시공간을 연결하고 매개할 것인지, 또 쇠퇴된 도시공간을 어떻게 재생시킬 것인지, 특히 인공의 인프라로 점유된 도시공간에 어떻게 자연을 공급할 것인지 등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새로운 기법의 하나로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이 주목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하며, 개발할 수 있는 토지가 부족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여 그 지역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시 도로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도시 도로 공간의 입체화는 도로 공간 위에 새로운 건축물을 도입하거나 도로 지하에 새로운 건축공간을 입체적으로 설치하는 등 주로 도시개발 차원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도시 열섬현상, 도시 게릴라 홍수, 미세먼지 등과 관련된 지구기후변화 시대의 도래, 제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며 자율 주행 자동차 등의 등장으로 인한 도로, 주차장 다이어트 등 현상의 발생 기대, AI, 로봇 등 사물인터넷 등으로 인한 여가 시간의 증대가 기대되는 등 새로운 사회 구조에서는 기존 산업사회에서와 같은 밀도 높은 도시개발적 차원보다는 도시에 어떻게 자연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인지 즉, 도시재자연화 차원에서 도로에 대한 입체적 활용 접근이 보다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도로 공간의 입체화, 특히 도로 지하화를 통해 기존의 지상부 도로 인프라 공간을 어떤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인지, 즉 오픈 스페이스로의 도로 공간 활용 계획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강남의 ‘영동대로 광역복합환승센터’ 개발계획에서 영동대로 지상부에 마련되는 광장(오픈스페이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선행연구 및 선진 사례 등 문헌연구와 국제초청공모 1∙2∙3등 안을 기반으로, 상위요소로는 경제∙사회∙문화∙환경∙교통 등 크게 5가지, 세부 항목으로는 20개의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대분류 계획지표로는 환경, 문화, 경제, 교통, 사회 순, 세부 계획지표로는 그린 네트워크, 유희, 경관∙조경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의 전공 여부에 따른 계획지표에 대한 선호도는 다소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시 전공의 경우 대분류는 문화, 환경, 경제, 사회, 교통 순으로 도출 되었으며, 세부 계획지표로는 유희, 교양, 그린 네트워크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건축 전공의 경우 대분류는 경제, 환경, 문화, 교통, 사회 순으로 도출되었으며, 세부 계획지표로는 관광, 주거, 교육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조경 전공의 경우 대분류는 환경, 문화, 교통, 경제, 사회 순으로 도출 되었으며, 세부 계획지표로는 그린 네트워크, 경관∙조경, 보행자 위주 도로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 사례지역에 대한 문헌 연구 결과는 환경과 문화의 도입을 통하여 대상지와 인접지역의 직접적인 도시환경 개선과 경제적 활성화 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으며, 이러한 파급효과와 개선을 통해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도시민들 또한 간접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향은 단순히 기존 경제적 개발을 중점으로 두지 않아도 도시를 전체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계획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는 동시대 도로의 입체적 활용에 따른 지상부 오픈스페이스를 환경, 문화 등과 같은 비도시개발적 지표를 기준으로 하는 새로운 녹색 환경∙문화 컨텐츠 도입을 통해 도시재생 및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이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데서 학술적 및 실천적 의의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도로 공간의 입체화 활용에 대한 이론, 해외 사례, 전문가의 인식에 기반 하여 계획 지표를 도출한 것에 머물고 있는 한계가 있다. 즉, 이러한 계획 지표를 기반에서 구체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환경, 문화 등과 관련하여 어떤 구체적 세부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하는지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관련한 향후 연구과제로는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의 실천을 위한 보다 세부적인 프로그램 항목 분석이 후속되어야 할 것이며, 이 경우에는 전문가보다는 실제 공간에서의 사용자가 되는 시민의 의식 및 선호도에 대한 분석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가구특성에 따른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선호입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예비수요층 대상으로

        유광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According to improvement of medical science and policies of population, the number of the senior increases gradually and we define this society aging society. we forecast the number of the old over 65 is 7.2%(3390thousand persons) in 2000, 12.5%(6230 thousand persons) in 2004. According to this rate of increase, this society will be considered age society with 14.9% in 2019 and super aged society with 20.8% in 2026. As the society has changed, there has been some changes. One of them is the different demand between the old and the middle-aged for their lives. the old who are over 65 have a high possibility to enter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but they are conservative and lack of information on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On the other hand, the middle-aged are open-hearted and active to do something for their lives, so at this point of time,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what they want. I research about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on demanders who will be users in the future and analyze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llect critical apparatus for this essay, I conduct documentary records and make up a question on the middle-aged to know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physical, psychological, demographic and social economic traits. I analyze the data from documentary records and survey with statistics for example , ANOVA and Multinomial Logit Model, and from this I deduce Location Preference of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According to the analyses, first of all, Location Preference of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is effected by Reserve demanders' Household Characteristics including psychological traits(life satisfaction, the numbers of children and birthplace), demographic traits(education standard), social economic traits(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savings for their old age) between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and the suburban type. Secondly, Location Preference of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is effected by Reserve demanders' Household Characteristics including psychological traits(life satisfaction and birthplace) and demographic traits(age, distinction of sex, education standard) between City type and Suburban type. Additionally, I give you full details of result on the study using chapter 4, paragraph 2 "Location Preference of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among types". Reserve demanders in the future who are not healthy prefer to City type, and conversely other Reserve demanders who are healthy, prefer to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considering physical traits. Regarding psychological traits, if Reserve demanders have low satisfaction on their lives, they prefer to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and as their life satisfaction increases gradually, they want to enter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located in city. In case of the birthplace, Location Preference of the User-charged Senior Housing is in accord with their birthplace and Reserve demanders who have many children and whose their children age is high prefer to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when I consider demographic traits, the reserve demanders who have a high standards of education prefer to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and City type. In opposite case, they prefer to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In case of regarding social economic traits, the reserve demanders whose monthly income is low prefer to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and City type. In opposite case, the reserve demanders prefer to City type. The reserve demanders who are blue workers prefer to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but other demanders who are white workers, working for a special line of business such as a doctor and a lawyer etc, prefer to Suburban type and City type. Lastly, the demanders who have lots of savings to prepare their old age prefer to live in City type rather than Fields and gardensㆍrecreation type.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인구정책에 의해 전체인구 중 노인비율이 점차 상승되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2000년 들어 65세 이상의 인구(339만 명)가 7.2%가 되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이미 접어들었으며, 2004년도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수는 623만 명을 전체인구 중 12.5%가 되었다. 이러한 증가추세에 따르면 2019년이면 65세 이상 노인이 745만 명으로 노인인구가 14.9%로 “고령사회(aged society)”가 될 것이며 2026년이면 무려 1,035만 명으로 20.8%를 넘어선 ‘초고령사회(super aged society)'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 사회의 큰 변화 중 하나는 중년층과 노년층의 의식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노인과 노인이 될 중년층의 요구가 다르다. 전자는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대상층이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시설에 대한 정보결여로 유료노인주거시설을 생소한 환경으로 간주한다. 반면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잠재가능 수요층인 예비수요층은 개방적이고, 정보사회에 적극적으로 살아가는 세대라는 점이 기존노인과 다르다. 즉, 유료노인주거시설의 개발에 관해 예비수요층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로 서울시, 연구의 대상으로는 향후 고령사회(2019)에 노인으로서 살아가야하는, 유료노인주거시설 입주의 결정권을 가진 예비수요층을 연구대상으로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입지유형(도시형, 도시근교형 및 전원ㆍ휴양형)을 고려한 예비수요층의 가구특성에 따른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선호입지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수요층에 대한 신체적 특징, 심리적 특징, 사회ㆍ경제적 특징, 환경적인 특징 및 일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근거로 유료노인주거시설을 이용할 예비수요층의 성향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x² 검정, t-test, ANOVA 분석으로 예비수요층의 가구특성에 따른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선호입지특성과 확률선택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이용한 유료노인주거시설 선호입지선택을 분석하였다. 본 문의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입지유형 중 전원ㆍ휴양형과 도시근교형의 확률선택모형의 결과는 예비수요층의 심리적인 특성 “삶의 만족도, 자녀의 수, 출생지(서울시)”, 인구학적 특성 “교육수준(중학교, 대학교)”,사회/경제적 특성 “월소득과 직업(자영업, 생산직)과 노후투자금액”의 독립변수가 선호입지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형과 도시근교형의 확률선택의 분석결과는 예비수요층의 심리적 특성“삶의 만족도, 출생지(수도권외곽)”, 인구학적 특성 “연령, 성별, 교육수준”이 도시근교형에 비하여 도시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선호입지특성은 예비수요층의 가구특성에 따라 다르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4장-2절] 유료노인주거시설 입지유형별 선호특성 분석의 결과를 인용하면, 예비수요층의 “신체적 특성(건강상태, 여가활동)”의 결과는 건강상태가 나쁠 수 록 도시형을,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는 전원·휴양형을 선호하였고, 여가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예비수요층은 도시형을 그 다음으로는 전원·휴양형을 선호하였다. “심리적 특성(삶의 만족도, 출생지, 자녀수, 자녀연령)”은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경우는 전원·휴양형을 만족도가 높아 질 수 록 도시형을 선호하였고, 출생지의 경우는 인간의 귀속의 본능에 따라 분석의 결과가 도출 되었다. 전원·휴양형을 선호하는 경우의 예비수요층의 출생지는 수도권외곽이었으며, 도시형의 선호는 출생지가 서울이었다. 자녀가 많을 수 록, 자녀연령이 높을 수 록 전원·휴양형을 선호하였다. “인구학적 특성(교육정도)”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는 전원·휴양형과, 도시형을 선호하였으며,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는 전원·휴양형을 선호하였다. “사회/경제적 특성(월소득, 직업, 노후투자금액)”은 월소득이 낮은 경우는 전원·휴양형과 도시형, 소득이 높을 수 록 도시형을 선호하였고, 직업이 생산직인 경우는 전원·휴양형, 생산직을 제외한 자영업, 전문직, 사무직은 도시근교형과, 도시형을 선호하였고, 노후투자금액이 적은 경우는 전원·휴양형, 많은 경우는 도시형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 아파트 단지 조경공간을 활용한 그린인프라 체계 및 제도 구축 연구 : 서울시 성북구 주택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강성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전 세계 도시에서는 지구기후변화, 도시환경문제 대응, 도시 내 녹지 확보, 녹지 간 연계 방안으로 그린인프라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폭염, 도심 홍수 등 심각한 환경문제 발생에도 불구하고 공원 일몰제와 재개발 압력으로 인해 그린인프라 구축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 주택 중 57.9%가 아파트이며 시가화지역 중 아파트 단지 면적이 약 17.9%나 차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파트가 도시공간에 주는 파급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아파트 관련 연구들은 선호도・만족도에 중점을 두거나 부분적인 공간 단위에만 국한되어있어 그린인프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 내 조경공간이 도시의 그린인프라로 구축되고 체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파트 단지 조경공간을 그린인프라로 구축하여 지구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고 도시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되고자한다. 또한 도시의 공원・녹지 확보 방안, 녹지 간 연계성과 접근성 강화, 생태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며 단순한 녹지의 연계나 확보가 아닌 그린인프라로서 경제・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아파트 단지를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 주민 설문 결과, 아파트가 도시의 공공성에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사유지로서 사생활 보호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전문가 설문 결과, 아파트 단지 조경공간을 그린인프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었다. 기대효과로는 도시의 부족한 녹지 증대, 기존 공원녹지의 연계성 강화, 부정적 요인으로는 재산권 침해, 소음발생, 사생활 침해 순서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앞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성북구에 그린인프라 모의적용을 실시하였다. 성북구 그린인프라 종합계획은 기존 녹지의 보호와 보전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의 문화적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존 도시의 토지이용, 도로 등의 인프라 체계와 연결되거나 그 일부가 되도록 하였다. 주민과 전문가 의식 분석에서 도출된 내용들을 반영하기 위해서 도시 녹지의 확보와 연계성에 최대한 중점을 두었다. 대기환경 개선, 수순환체계 개선, 탄소 발생 저감, 오염원 저감 등 생태·환경적 편익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양의 공원·녹지들을 확보하고 네트워크 되도록 하였다. 아파트 단지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도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법규 내 그린인프라의 다기능적인 개념을 보완한다. 둘째, 종합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도시의 공공성과 질적 문제 개선을 위해 마련된 제도들을 보완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넷째, 그린인프라 지구 도입에 대해 논의 되어야 한다. 성장개발 시대의 용도지역제로는 기후변화대응 등 현시대의 패러다임 변화를 담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재개발 아파트 단지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으로 첫째, 기반시설 설치 부지의 확보를 위해 환지방식의 적극적 도입. 둘째, 기반시설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그린인프라 시범사업 도입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확산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셋째, 그린인프라의 광역적 연계 관리체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위 계획단계에서의 정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넷째, 법적구속력이 없는 가이드라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 제도를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 아파트 단지 조경공간이 녹지의 확보와 시각적 경관에만 치중하여 도시의 생태시스템이 선 순환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어, 도시 그린인프라의 기능을 하는 아파트 단지 구축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아파트 단지의 부분적이고 한정된 공간에만 국한된 공공적 활용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역 녹지 연계 체계를 구축하는 그린인프라 계획을 수립하고 제도적 방안을 연구함에 의의를 가진다. 아파트 단지를 폐쇄적인 사적공간으로 보지 않고 도시를 구성하는 조직의 일부로서 그린인프라로 작동하고 공원녹지와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의 여러 가지 환경 문제점에 대응하고 도시의 부족한 공원녹지의 확보방안으로서 아파트 단지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 개별 중국관광객의 역사문화 체험형 관광의 장소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북촌 방문객을 중심으로

        이향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도시관광은 여러 도시정비 정책 중에서도 도시재생의 유효한 정책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도시의 경제적 효과를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켜 도시 공간의 재구조화를 가져와오고 도시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재생에 있어서 관광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재생의 대상이 되는 원도심들 또한 관광 차원에서 주목 받고 있다. 관광객 유임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의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을 이용한 도시 관광 기능의 역량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중국인들에게 관광 명소로 유명한 서울시의 대표적인 역사문화 관광지역인 북촌(北村)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역사문화 체험형 관광이 북촌 관광객 중 개별 중국관광객의 장소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장소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역사문화 관광지 선택속성 및 행동의도와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역사문화 관광지 및 역사문화 체험형 관광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 역사문화 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역사문화 체험에 대해 만족하거나 기회가 되면 참여하고 싶은 의사는 5점 (약간 그렇다)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며, 상당히 많은 수의 관광객이 만족도 및 참여 의사가 높게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역사문화 관광지 선택속성 중 물리적 요소와 관광 상품의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북촌 방문하는 개별 중국관광객 행동의도에 관광 상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촌을 방문하는 개별 중국관광객의 측면에서 관광지의 아름다운 경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한옥 게스트하우스, 전통 한정식 식사 체험 등 같은 역사문화 체험형 관광 상품을 하면서 이곳의 방문에 만족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할 의사나 재방문의사가 증가했다고 해석된다. 장소만족도의 형성에는 역사문화 관광지 선택속성 중 물리적 요소, 관광 상품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북촌 방문하는 개별 중국관광객 장소만족도에 대해 물리적 요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 특히 관광지의 아름다운 경관에 대해 만족할수록 장소만족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북촌을 방문하는 개별 중국관광객의 측면에서 한옥 게스트하우스, 전통 한정식 식사 체험 등 같은 역사문화 체험형 관광 상품에 대해 만족하고 있고, 관광지의 경관 등 같은 물리적 요소에 대해 만족할수록 장소만족도가 증가했다고 해석된다. 또한 '장소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행동의도에 장소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관광객들이 한국적 특성을 나타나는 이 장소에 만족할수록 행동의도(추천의사 및 재방문의사)가 증가했다고 해석된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문화 관광지 선택속성과 행동의도(추천의사 및 재방문의사)의 직접적 영향관계보다 장소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행동의도를 분석하였을 때, 더 큰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역사문화 관광사업 추진 시 개개인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만족수준과 같은 장소만족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역사문화 관광지 선택속성 중 관광 상품의 만족도는 행동의도(추천의사 및 재방문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요소는 장소만족도의 형성에 관광의 가시적인 효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소만족도의 형성이 행동의도(추천의사 및 재방문의사)까지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역사문화 체험의 역할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관광지 아름다운 경관 같은 물리적 요소는 중요하지만, 크게 바뀌기가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비교적은 변화의 가능성이 열려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역사문화 체험부분을 확충하는 것은 쉬운 편에 속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을수록 장소만족도나 행동의도를 증가시키므로 역사문화 체험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셋째, 방문 특성과 행동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관광지에서 소비한 금액이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내 유동 인구의 증가와 소비 증대는 지역주민의 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역 상권의 활성화는 도시재생에 있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인의 방문 및 유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방안을 구상해야할 것이다. 북촌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관광지이며, 또한 많은 주민들이 살아가는 거주공간이다. 따라서 거주환경에 대해 보호 및 분리가 무론 종요하며, 그 동시에 외국인들과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도시계획적 차원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Urban tourism is recognized as one of effective policies of urban regeneration among various city maintenance policies. It has the function of not only bringing economic effect of the city but also changing the physical environment, bringing the restructuring of the urban space and activating the city. For those reasons, the experts who do urban regeneration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ourism was multiplied day by day. In order to continuously attract touris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pacity of city tourism functions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are software of urban regeneration. Therefore, as a famous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 of Seoul for Chinese tourists, Bukchon was selected as the target of this thesis. Furthermore, the author analyzed about how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tends to affect the pla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individual Chinese tourists who came to Bukchon. The author analyzed how the mediating effect of location satisfaction has a relation with the attributes and behavior of historical and cultural attractions, as well. The result of satisfaction analysis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sightseeing spot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xperience tourism was more than standar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among the tourists was higher than 5 points (slightly), and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tourists ha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he physical attributes and the satisfaction of tourism produ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behavior' among the attribut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attra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ourism products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behavior intention of individual Chinese tourists visiting Bukchon. Because of the beautiful environment of the neighborhood in Bukchon, the beautiful Hanok Guest house around the site, and the experiences they can get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al activities inside the site, Chinese tourists were satisfied and the number of Chinese tourists who recommended to come to this site was increased. In terms of place satisfaction, the physical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of tourism product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attra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factors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individual Chinese tourists visiting Bukchon. Especially, the more the tourists satisfied of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sightseeing place, the more they also satisfied of the place is increased. It is demonstrates that satisfaction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products such as Hanok guest house and traditional limited meal experience in terms of individual Chinese tourists visiting Bukchon is high and the more they satisfied with the same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scenery of sightseeing places, the more the satisfaction of the site is being increased. In addition, 'plac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atisfaction of the pla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the behavioral intention. In other words, it is interpreted that the more the tourists are satisfied with the place where the Korean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Firs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bigger influence on the behavioral intention by setting the place satisfaction as a parameter than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ttribute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ttractions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recommenda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atisfaction of the place, such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that each individual has about the place in the promo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tourism business. Second, the satisfaction of tourism products among the attribut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attractions has a direc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recommendation doctrine and revisit intention to visit), and the physical factors influenced by the visible effect of tourism on the formation of place satisfaction. It is interpreted that the formation of the satisfaction of the place can lead to the act of intention (the intention to recommend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even if physical elements such as scenic landscapes are important, they are relatively harder to be changed. Especially, It is easier to expand the history and culture experience section,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m, the more important the history and culture experience in tourism place because it increases the place satisfaction or the behavioral intention. Third, when the influence of visiting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intention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money spent at sightseeing sites affected the intention to visit again. The in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in the city and the increase of the consump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come increase of local resident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eive a plan to revitalize the region by increasing visits and inflows of Chinese people. Bukchon is a tourist destination that can added more value and is also a residential area where many residents l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urban planning that can coexist with foreigners while protecting and separating the living environment.

      • 광주 대인예술시장의 사회적관계망 특성 및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관한 연구

        박주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문화를 통해 도시의 가치를 제고하는 ‘컬처노믹스(Culturenomics)’가 오늘날 도시발전의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예술가들의 창의성과 예술성이 쇠퇴한 지역의 재생에 기여하고, 도시경제에 파급효과를 미치며, 이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창작공간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2008년 이후이기 때문에 창작공간과 예술인 관련 연구는 대부분 사업 초기 형성단계를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도시재생 사업의 사업효과 및 지속성을 위해 사업 후 유지관리 단계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대상지인 대인예술시장은 2008년 광주비엔날레를 계기로 자발적으로 모여든 예술인과 기존의 상인이 공존하고 있는 지역이다. 현재 사업 진행 8년차에 접어든 사례지로 예술인이 시장에 모여들면서 쇠퇴하던 시장은 활력을 되찾았으며, 시장의 이미지가 제고 되었다. 하지만, 사업 초기에 모여들었던 120여명의 예술인은 현재 40여명 정도로 줄어들었으며, 예술인의 모임 또한 사라져 가고 있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 지역의 사후평가 및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광주 대인예술시장의 네트워크 특성을 예술인 간, 상인 간, 예술인과 상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창작공간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 지역활성화의 필수기능인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분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 대인예술시장 네트워크 분석결과, 예술인의 네트워크는 초기보다 약화 되었으며, 밀도 또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예술인의 네트워크를 강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며, 예술인 협의체를 구성으로 네트워크를 단단히 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대인예술시장 내 문화클러스터가 조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예술인과 상인의 협업점포는 예술인과 상인을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예술인과 상인의 네트워크를 강화시키는 거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인과 상인의 교류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을 통해 네트워크를 강화시켜 더 많은 예술인과 상인이 협업점포를 구성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상인의 네트워크 분석결과 일주일에 한번, 야시장 때에만 영업을 하는 기획점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기획점포는 시장의 네트워크를 떨어뜨리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므로 정책적으로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예술인과 상인의 네트워크 분석결과 청년상인은 시장 내 정보전달의 기능할 담당하고 시장의 활력을 부여 하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청년상인의 유입을 통해 시장이 좀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예술인은 상인, 시민과 함께는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활동 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술인과 상인, 시민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개발하여, 예술인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통해 대인예술시장이 활성화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광주 대인예술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된 후 유지관리의 단계에서 예술인 간, 상인 간 그리고 예술인과 상인 간의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활성화의 주체인 예술인의 관점에서 지속적 활동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업의 유지관리 단계 및 지속성의 측면에서 대인예술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