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비강 도말에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분자역학, 항생제 내성 연구

        곽엄섭 ( Om Sub Kwak ),권미혜 ( Mee Hye Kwon ),정지현 ( Ji Hyun Jeong ),강미일 ( Mi Il Kang ),천지영 ( Ji Young Cheun ),이고은 ( Go Eun Lee ),김영근 ( Young Keun Kim ),최유진 ( Eu Gene Choi ),나문준 ( Moon Jun Na ),권희욱 ( Hee Uk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2

        연구배경: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의료기관 관련 감염 뿐 아니라 지역사회 감염에서도 나타나 이에 저자들은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비강 도말 배양을 통해 MRSA의 의료기관 관련 감염 및 지역사회 감염의 빈도와 분자 역학 및 항생제 내성을 연구하였다. 방법: 2006년 6월에서 9월까지 건양대학교 병원 중환자실 환자 353명을 대상으로 입실 첫날 비강 도말 배양을 시행하여 MRSA 획득 위험인자에 따라 HA-MRSA와CA-MRSA로 나누어 Pulsed-Field Gel Electrophorosis(PFGE)로 분류하여 각각의 항생제 내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353명 중 비강 도말 배양에서 동정된 MRSA는 42명(11.9%)이며, 동정된 MRSA 중 HA-MRSA는 33명(78.6%), CA-MRSA는 9명(21.4%)이다. PFGE에서 type A에서 type K까지 11형으로 구분하였고 HA-MRSA는 type A (n=9), B (n=7)가, CA-MRSA는 type A (n=2), B (n=2)가 주로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률은 erythromycin, ciprofloxacin에서 HA-MRSA가 CA-MRSA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MRSA의 집락률은 11.9%이며 HA-MRSA의 균주가 CA-MRSA보다 많고, CA-MRSA는 9예로 적은 예지만 PFGE type에서 대부분의 type이 HA-MRSA에서 동정된 type과 같은 경향을 보여 지역사회전파를 시사한다. Backgrou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the most common organism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s. MRSA infections are becoming increasing important because they have emerged no only as healthcare-associated (HA) infections but also as community-associated (CA) ones. This study examined the moleculo-epidemiology of MRSA, which was isolated from nasal swab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MRSA are classified into HA-MRSA and CA-MRSA. Methods: From June to September 2006, 35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in Kon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ingle nasal swabs were obtained for culture in the ICU on the 1st da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the antimicrobial resistant patterns were analyzed between HA- and CA-MRSA. An antimicrobial sensitivity test was also performed. Results: Forty two strains of MRSA were isolated from 353 patients (11.9%). Among the 42 isolates, HA-MRSA and CA-MRSA were found in 33 (78.6%), and 9 (21.4%), respectively. Eleven different PFGE types (type A to K) were identified. Types A (n=9) and B (n=7) were the most common for HA-MRSA, and types A (n=2) and B (n=2) were identified in CA-MRSA. The proportion of types A and B in CA-MRSA (44.4%) was similar to that in HA-MRSA (48.5%). The rates of resistance rates to erythromycin and ciprofloxacin were higher in HA-MRSA than in CA-MRSA. Conclusion: The rate of isolation of MRSA in an ICU setting was 11.9%. HA-MRSA was isolated more frequently than CA-MRSA. The rate of resistance of HA-MRSA to erythromycin and ciprofloxacin was higher than that of CA-MRSA. Despite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the main isolates (type A and B) of CA-MRSA were similar to those of HA-MRSA. (Tuberc Respir Dis 2008;65:91-98)

      • KCI등재

        페그-인터페론 치료 후 발생한 자가면역성 갑상샘염 1예

        강구흠 ( Gu Hyum Kang ),이태희 ( Tae Hee Lee ),임동미 ( Dong Mee Lim ),박근용 ( Keun Yong Park ),곽엄섭 ( Om Sub Kwak ),권미혜 ( Mee Hye Kwon ),강미일 ( Mi Il Kang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1

        페그-인터페론은 만성 C형 간염의 표준 치료로 널리 인정되고 있으며, 기존 인터페론에 의한 갑상샘기능이상은 보고되었으나 페그-인터페론 치료 후 발생한 갑상샘염이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저자들은 페그-인터페론 치료 후 발생한 갑상샘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eg-interferon is the main therapeutic agent in patients infected with the hepatitis C virus. It is rather safe, but it is known to induce production of autoantibodies and it can lead to the occurrence of autoimmune disease. Interferon induced thyroiditis is considered a major clinical problem for patients who receive interferon therapy. We recently experienced a 36 year-old woman who developed peg-interferon induced thyroiditi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a rare case report in Korea. We report here on this casea 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Med 74:90-93, 2008)

      • SCOPUSKCI등재

        내과적 흉강경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과 안전성

        양정경 ( Jung Kyung Yang ),이정호 ( Jung Ho Lee ),권미혜 ( Mi Hye Kwon ),정지현 ( Ji Hyun Jeong ),이고은 ( Go Eun Lee ),조현민 ( Hyun Min Cho ),김영진 ( Young Jin Kim ),정성미 ( Sung Mee Jung ),최유진 ( Eu Gene Choi ),손지웅 ( Ji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3

        배경: 삼출성 흉수 환자의 적지 않은 빈도에서 원인이 불명확하다. 삼출성 흉수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에서 내과적 흉강경은 국소마취 하에서 시행할 수 있으며 악성 종양이나 결핵에서 진단율이 높으며, 진정제와 국소마취상태에서 시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적 흉강경의 진단적 정확성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부터 2006년 9월까지 25명의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 환자를 대상으로 내과적 흉강경을 시행하였다. 성별, 연령 시술 전 폐기능,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LDR) 등의 정보를 얻었다. 내과적 흉강경 시행도중 활력징후를 기록하였고 동맥혈 가스 분석을 5차례 시행하여 혈역학적 상태와 산-염기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6.8(22-79)세였고,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는 27.49 mm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을 이용한 흉막 조직 생검으로 24명(96%)이 진단되었으며, 결핵성 흉막염이 9명(36%), 악성 흉수가 8명(32%), 부폐렴성 흉수가 7명(28%)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으로 흉수의 원인을 알아낼 수 없었던 1명(4%)은 추후에 심장막 조직 생검으로 결핵으로 진단되었다. 내과적 흉강경 중 혈압, 심박동수, 산-염기 상태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내과적 흉강경은 진단율이 높으면서도 안전한 시술이다. Background: The causes of the pleural effusion are remained unclear in a the substantial number of patients with exudative effusions determined by an examination of the fluid obtained via thoracentesis. Among the various tools for diagnosing exudative pleural effusions, thoracoscopy has a high diagnostic yield for cancer and tuberculosis. Medical thoracoscopy can also be carried out under local anesthesia with mild sed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agnostic accuracy and safety of medical thoracoscopy. Methods: Twenty-five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s of an unknown cause underwent medical thoracoscopy between October 2005 and September 2006 in Konyang University Hospital. The clinical data such as age, gender, preoperative pulmonary function, amounts of pleural effusion on lateral decubitus radiography were collected. The vital signs were recorded, and arterial blood gas analyses were performed five times during medical thoracoscopy in order to evaluate the cardiopulmonary status and acid-base chang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6.8 years (range 22-79). The mean depth of the effusion on lateral decubitus radiography (LDR) was 27.49 mm. The medical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was diagnostic in 24 patients (96.0%), with a diagnosis of tuberculosis pleurisy in 9 patients (36%), malignant effusions in 8 patients (32%), and parapneumonic effusions in 7 patients (28%). Medical thoracoscopy failed to confirm the cause of the pleural effusion in one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tuberculosis by a pericardial biopsy.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acid-base and no major complications in all cases during medical thoracoscopy (p>0.05). Conclusions: Medical thoracoscopy is a safe method for patients with unknown pleural effusions with a relatively high diagnostic accuracy. (Tuberc Respir Dis 2007; 63: 261-267)

      • 급성 복통을 주소로 진단된 자발성 양측 부신 출혈에 의한 부신피질부전

        조아름,홍주영,김동호,박민지,권미혜,박근용,원희관,임동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4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7 No.S

        Thomas Addison은 1855년 발표된 그의 논문에 일차성 부신피질부전에 의하여 발생한 근력 약화, 피로, 식욕부진, 복통, 체중감소, 색소침착 등에 대하여 처음으로 기술하였다[1,2]. 부신피질부전은 부신피질의 파괴에 의해 발생하는 당질 코르티코이드 결핍과 관련된 일차성과 뇌하수체에서 혈청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의 분비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차성과 이차성의 중요한 차이는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결핍이 일차성에는 있고 이차성에 는 없다는 점이다. 일차성 부신피질부전의 원인으로 이전에는 결핵에 의한 양측 부신 파괴가 가장 흔한 원인이었으나, 결핵 진단율 및 치료약제 보급률이 좋아진 20세기 후반부터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자가면역성 부신염에 의한 일차성 부신피질 부전이 80~90%로 가장 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 이외에 다른 감염성 질환, 전이성 암, 림프종, 부신출혈 또는 경색, 약물 등의 원인을 들 수 있다. 일차성 부신피질부전의 임상 증상과 징후로는 전신무력감, 식욕부진, 피로감, 체중감소, 과다한 색소침착, 오심, 복통, 기립성 저혈압, 저혈당, 전해질 장애 등이 올 수 있고, 심하면 탈수, 저혈압, 의식장애 및 쇼크가 동반될 수 있다. 일차성 부신피질부전은 본 증례와 같이 드물게 양측 부신 출혈성 경색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보고되었는데, 위험인자로는 항응고제 또는 헤파린 투여, 혈전성 질환, 항인지질 증후군과 같은 과응고 상태, 물리적 외상, 감염, 심한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게 임신, 부신 종양, 쇼크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4,5]. 그러나 본 증례와 같이 원인 없이 발생한 자발성 출혈에 의한 부신피질부전의 보고는 매우 드물다. 양측 부신 출혈의 임상 증상과 징후로는 저혈압, 쇼크, 복부, 등, 옆구리, 흉부의 통증, 발열, 의식저하, 복부 강직, 반발 압통 등이 있다[6].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면 쇼크가 진행하여 혼수와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정확하고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환자가 생존한다면 부신 기능은 드물게 수개월 후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7]. 저자들은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매우 드물게 원인 없이 발생한 자발성 양측 부신 출혈에 의한 급성 부신피질부전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