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달의 정체성으로서의 장인에 관한 연구: 숭의동 목공장인의 작업장 들여다보기

        권미애,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This study was initiated to understand the mastery as one of the learned states. For this purpose, craftsman’s workplace was observed by researchers and the analysis depended on ethnomethodology.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the work based on the manner in which the craftsman handles things, we tried to explore what conditions would enable the mastered condition in the work of the craftsman. In addition, we tried to identify how the different practices of individual craftsmen in their workplaces achieve universal values and styles. The state of flexible mastery, which reacts sensitively to the texture and contextual needs of things, is too ordinary, intuitive to be said knowledge and it is rather succession of variation. Beyond the demonstration of craftsman’s skills, the appearance of the craftsmen interacts with configuration of the objects such as workbenches, tools, timbers and work pieces and it even pervade the living and life-word including sense of place in workplace and direction for use of time. The mastery of the craftsmen reflects their work and life-world surrounding them, which is their workplace, and again the craftsmen builds their own life-world. It is expected that the boundary crossing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will give implications that what condition is needed for the learning and reproduction of the experience. 이 연구는 학습의 결과 도달하게 되는 상태인 숙달에 관해 이해하고자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어느 목공장인들의 작업장을 참여 관찰하였고 분석은 민속방법론에 의존하였다. 장인이 사물을 다루는 방식을 중심으로 일의 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장인의 작업 안에서 숙달된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자신들의 작업장 안에서 장인들 제각각의 실천이 어떻게 보편적 가치와 개성적인 스타일을 성취하게 되는지 보고자 하였다. 사물의 결 그리고 상황적 요구에 세심하게 반응하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작업은 일상적이고 직관적이며 임시변통적인 변주의 연속으로 전개되었다. 장인의 면모는 그가 발휘하는 솜씨를 통해 작업대나 연장과 도구, 목재, 일감 등 객체들의 배치와 상호작용하며, 작업장이 갖는 장소감과 더불어 시간의 사용법 등 그만의 암묵지를 넘어서서 그의 삶과 생활세계에 깊숙이 스며들어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장인의 숙달은 그를 둘러싼 작업과 작업장이라고 하는 생활세계가 반영된 결과이고 그러한 작업장과 작업 과정 속에서 그의 정체성이 어떻게 생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체와 객체 간 경계의 넘나듦 양상은 경험학습에 관한 우리 이해를 확장하는 데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의 교수·학습 성과지표 개발 연구 : PDCA 모형 기반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권미애,김미경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4 No.2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 general by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index based on the PDCA mod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management of University 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 PDCA model-bas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key diagnostic elements and performance indicators were derived, and content validity and field suit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expert surveys. As a result, a final performance index (draft) consisting of a total of 12 diagnostic elements and 39 detailed indicators according to Plan, Do, Check, and Act was deri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specialized index unique to University A and included performance management for community connec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that University A pursues in addition to the general performance of university education. However, although the results based on the case of University A can be useful in establishing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performance management criteria,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 KCI등재

        학업저성취 대학생 대상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권미애,김미경,김영진,김연정,원주연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4 다문화와 교육 Vol.9 No.2

        본 연구는 A대학 학업저성취 대학생의 특성 및 학습지원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사경고 1회, 통산 2회의 경험을 가진 학업저성취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개인 배경, 학습 자 특성, 학습지원 요구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학생들의 구 체적인 경험과 의견을 수집하기 위하여 1:1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에 활 용하였다. A대학의 학업저성취 학생들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대 학 학업저성취 학생들은 절대적인 학습시간이 부족하며, 학업적 어려움에 대처하 는 노력이 소극적인 한편 실천을 어려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정서 적 영역에서 회복탄력성, 자기이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고, 우울이나 불안도가 낮기 때문에 학교의 학습지원에 따라 학업저성취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A대학 학업저성취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자기조 절능력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멘토링, 튜터링 등의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학업 지연, 시간 관리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학업저성취 학생의 특성 및 요구 를 반영하여 A대학 학업저성취 학생 대상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온라인 동영상 시청으로 이루어진 학업저성취 학생 대상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학생 밀착형 전문가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 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 및 취업 전망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에 따라 유관기관과의 연계 확대를 통한 실질적인 학업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셋째, 목표 달성을 위한 보상 지원 방안으로 장학제도와의 연계 및 단기 목표 달성에 따른 마일리지 제도 도입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더불어 학업저성취 학생 대상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제도적인 차원의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customized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at university A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upport need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o gather personal backgrounds, leaner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underachieving program participants with academic warnings, which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ing students at University 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underachieving students at University A have insufficient time to study in absolute terms, and they are passive in their efforts to cope with academic difficulties and have difficulty practicing. Second,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omains, they have high levels of resilience, self-understangind, academic self-efficacy, and low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refore, they have the potential to overcome underachievement with the university’s learning support. Third, underachieving students at university A relatively lack self-regulation abilities, so they need support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such as mentoring and tutoring for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ime management.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underachieving stud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implementing customiz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rstly, there is a need to transition the existing program for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which primarily consists of online video watching, into a student-centered expert group mentoring program. Secondly, given the high demand for career prospects and employment outlook, practical academic motivation through expanded collabo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is necessary. Thirdly, considering reward support measures for goal achievement, options such as linking with scholarship systems and introducing mileage systems based on short-term goal achievement c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institutional support is also need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omparison program for underachieving students.

      • KCI등재

        역량기반의 정성평가 체계 구축을 위한 제반 조건 탐색

        권미애,조현영,권윤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역량평가의 도입 필요성을 바탕으로 정성평가의 개념과 체계 구축을 위한 제반 조건을 탐색하는 데에목적이 있다. 특히 역량 개념의 도입 이후, 가치와 태도라는 개별화되고 모호한 영역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공정하고타당하게 이뤄질 수 있는지 들여다보고, 정성평가의 공정성 및 신뢰도 확보를 위한 제도적 차원의 지원 방법과 개별학습을가능하게 하는 지원 시스템 사례들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서술형 평가와 평가 조정(moderation)시스템으로잘 알려진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의 평가 체계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정성평가체계를 지원하고있는 뉴질랜드, 핀란드, 일본, 미국 4개국의 사례를 보조적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분석대상 시스템들은대체로 개별화된 방식의 평가과제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지침과 교수학습체계, 학습지원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체계화되어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국내 정성평가 체계의 안정적 도입과 운영을 위해서는 첫째, 중장기적 평가과제의 제시, 둘째, 교수학습과 평가 연계를 위한 피드백 제공의 공식화, 셋째, 평가지원을 위한 조정제도의마련, 넷째, 개별화된 학습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LMS)의 체계화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량평가 패러다임에서 지향하는 과정 중심의 총체적 학습과 학습의 질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권미애,김미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core competencies. A pre-post-test of core competencies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in the K University's learning community program,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specific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ll six core competencies of K University improved overall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Seco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core competenc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learning community not only forms individual learning habits but also creates various learning synergies.

      • KCI등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서의 창의융합프로젝트 사례 연구

        권미애,김미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9

        This study attempt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in the creative convergence projec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ere all positively aware of their project performance experience.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ults of each team was high,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help was high when participating in other projects in the future. Third, overall satisfaction with project participation and operation was high.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was explored, and implications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obtained.

      • KCI등재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 집단과 경제활동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권미애,김태현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values in each group on satisfaction with life by categorizing the activity types of the elderly into volunteer work and economic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years an old higher. The questionnaires were categorized depending on activity types and collected. The voluntary work group consisted of 201 people (76 males, 36.8% and 125 females, 62.2%), The economic activity group consisted of 219 people (127 males, 58.0% and 92 females, 42.0%). The SPSS 14.0 Window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ata.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lderly in the voluntary work group have a high collectivism value, higher income earned by performing economic activities, and good cognitive health affected by a high satisfaction with life. From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at a collectivism value is a common factor that affects satisfaction with life in both of the economic activity group. Those who were older had a traditional collectivism value. The voluntary work group showed a stronger collectivism value and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 than the economic activity group. Thus, the diverse types of voluntary work should be developed and a systematic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method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본 연구는 노년기의 활동 유형을 자원봉사 활동과 경제활동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사회인구학적인 변인과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활동 유형별로 질문지를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원봉사활동 집단은 총201명(남성 76명, 36.8%, 여성 125명, 62.2%), 경제활동 집단은 총219명(남성 127명, 58.0%, 여성 92명, 42.0%)이다. 구체적인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4.0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적률 상관관계, t-test, 일원변량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노년기 활동 유형별 자원봉사 활동 집단에서는 집단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그리고 종교가 있는 노인 집단과 인지적인 건강 상태가 양호할수록 삶의 만족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활동 집단에서는 집단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그리고 월평균 수입이 많고, 인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삶의 만족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두 활동 유형 모두 집단주의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통변인임이 입증되었다.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전통적인 성향의 집단주의 가치관이 더욱 두드러지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 집단보다 자원봉사활동 집단에서 보다 더 높은 집단적인 가치관이 표현되었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삶의 질을 높이고,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자원봉사 활동의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운영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심층학습으로의 전환 경험 사례 연구

        권미애,송슬기,김미경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arning context to see where the effect of learning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comes from. In particular, we tried to analyze how the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the learning community has in-depth interconnectedness with learning by examining how the emotional energy shar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the community leads to the learning situation. Moreover by examinig transition experience into deep learning, we tried to analyze how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can be connected with the deep learning strategy. For this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f A University. Participants’ reports which were submitted during activity were also analyzed to look into the activity process more specifically. As a result, meaningful implications were obtained for the desig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the learner's competency. First, becoming a member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learning activity was reproduced as a process of sharing and expanding emotional energy. Second, the experience of self-fulfillment through immersion in learning and the experience of responsibility in learning community induced to be structured as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the participant’s learning patterns showed the growth of competency based on reflection and immers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학습의 효과가 어디에서부터 비롯되는것인지 학습자의 구체적인 학습 맥락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개별 학습자가공동체의 일원이 되어가는 과정 안에서 공유되는 정서적 에너지가 학습상황을 어떻게이끌어나가는지 살펴봄으로써, 학습공동체의 구성원이 되어가는 과정은 어떻게 심층적인 상호 연결성을 갖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심층학습으로의 전환 경험과 그 특징은 무엇인지 들여다봄으로써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학습의 효과성이 어떻게 심층학습전략과 연결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A대학의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참여자들의 활동 과정 중에 제출한 활동보고서 40편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활동 과정을 보다 생생하게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 환경 설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습공동체 활동의 구성원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공동의 학습활동은 정서적 에너지의 공유와 확대 과정으로 재생산되고 있었다.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학습에 대한 몰입을 통한 자기성취의 경험 및 자기 학습에 대한 책무감 경험은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으로 구조화할 수있도록 유도하였다. 셋째,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 양상은 성찰과 몰입에기반한 역량의 성장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