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곤가정 유아교육ㆍ보호정책의 개선방향 탐색

        권기욱(Kwon Ki-uk)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1

        빈부간에 소득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 빈곤가정 유아교육ㆍ보호에 관련된 국가차원의 대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에 근거하여 빈곤가정 유아교육ㆍ보호정책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향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가정의 빈곤이 유아의 인지적ㆍ정의적ㆍ사회적ㆍ신체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빈곤가정 유아교육ㆍ보호의 의의와 접근방법, 주요 선진국들의 빈곤가정 유아교육ㆍ보호정책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빈곤가정 유아교육ㆍ보호정책의 문제점 11가지를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 5가지, 유아교육ㆍ보호 프로그램ㆍ행정지원ㆍ재정지원의 개선방향 13가지를 마련하였다. Today, the economics of poverty homes is difficult. The nation has to effort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f poverty hom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education and care policies for early childhood of poverty homes. For achieving this purposes, this study analyzes the theories and the research results which are related the poverty homes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he practices of education and care policies for early childhood of poverty homes in the primary foreign nations which are America, Sweden, Norway, Dutch, Great Britain, France, Italy, Israel.<br/>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ents eleven problem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ies of poverty home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irteen improvement directions in early childhood program level, administrational support level, financial support level by nation. For improvement directions of programs, First, the early intervention system for healthy development of 0~2 years old should be serviced. Second, the home visitors who ar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professional service to the early childhood and parents of poverty homes. For improvement directions for administrational supports system, First, the supports system for parents of the poverty homes should be strengthened. It included parenting functions, parents education program, job training and entertainment etc.. Second, the institutions which are relat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should be coordinated, cooperated in plan, administration tasks. For improvement directions of financial supports system, First, the nation government and provincial government must have more finance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f poverty homes. Second, the family support services must be provided more than the financial supports.

      • 제2분과 : 도시생태 ; 저에너지 벽면녹화 구현을 위한 식재기반재별 에너지저감 성능 분석

        권기욱 ( Ki Uk Kwon ),김원태 ( Won Tae Kim ),김정호 ( Jeong Ho Kim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최근 도시의 발달로 건물과 불투수포장면의 증가는 도시열환경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으로 도시열섬현상이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도시열섬완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으며, 녹지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도심에서는 녹지 확보 공간이 불충분하여 벽면녹화 등의 건축물 녹화가 최선의 대안으로 여겨진다. 특히 벽면녹화는 도시환경 개선뿐 아니라, 건물의 에너지 절감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건물의 벽면은 거의 무기물로 되어있어 열전도율이 높아 냉난부하가 커지게 된다. 냉난방부하를 낮추기 위한 노력들이 현재이루어지고 있으나 저에너지 벽면녹화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시대적 흐름과 일치하는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저감을 위한 친환경적 해결방안인 벽면녹화에서 식재기반재별 에너지저감 성능을 분석하여 저에너지 벽면녹화시스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식재기반에 따른 에너지저감 성능 분석을 위해 연구대상 지는 충북 충주시에 Test-Bed를 조성하였다. Test-Bed는 가로 1.3m, 세로 2.0m, 폭 0.6m 규모의 철골구조물로 식재기반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식재기반 조성은 Control의 개념인 콘크리트 블록 CT, 무기성기반재인 IP, 식물체의 유기물로 구성된 CC, 상토를 기반으로한 BC, 마사토를 기반으로한 GC로 구성하였다. 공시식물은 세덤류인 기린초, 흰꽃세덤과 피복율이 양호한 잔디로 선정하였다. 조사분석방법으로는 식재기반의 증발량은 관수 후 중력수를 제거한 후 부터 저울을 이용해 무게변화를 측정하였고, 표면온도는 열전대(T-type)를 기반재에 설치하고 Data Logger(GL-820, GRAPHTEC)로 일일 30분 단위로 저장하였다. 열전도율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평균온도 20℃에서 시험방법 KS L 9016:2010을 통해 측정되었다. 열관류율 분석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중부지역의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외벽은 0.36 W/㎡·K 으로 규정되어있으며, 식재기반재는 건물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법적기준 재료에 식재기반을 결합한 두께를 100mm로 정하여 열관류율 값을 산정하였다. 건물에너지 저감 성능 분석에 이용된 시뮬레이션은 국제적으로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는 Design Builder 3.0(Energy Plus 7.0)을 활용하였으며 기상은 중부지역의 충주기상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적용 모델의 건물은 3층 규모로 설정하였으며 연면적 1,200㎡, 창면적 210㎡, 실의 냉난방 온도는 냉방26℃, 난방 22℃로 하였고 냉난방기기는 터보냉동기와 온수보일러를 적용하였다. 재료별 검토는 법적기준 대비 3가지 재료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BC의 경우 IP의 열전도율 값의 차이가 없어 제외하였다. 식재기반별 증발량지속시간 측정 결과, IP 62시간, CC 62시간, BC 64시간, GC 65시간을 유지하였으며 GC가 가장 긴 유지시간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재기반재별 일일 증발량 특성으로는 1일차에는 수분함보유량이 높아 오전부터일평균에 가까운 량을 증발하였으며, 재료별 증발량이 가장높은 시간은 11시~17시 이었다. 봄철 표면온도 측정결과는 11시에 CT > IP > GC > CC > BC 순이었으며 CT와 식재기반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4시에는 CT > IP > BC > GC > CC 순으로 나타났으며 CT와 식재기반간의 유의차를 보였다. 또한 봄철 표면온도일일 변화는 일사가 높아지는 오전 9시 이후 부터 CT의 표면온도가 다른 식재기반재에 비해 높아졌으며, CT가 식재기반재에 비해 1.1~2.5℃ 높게 나타났다. 여름철 표면온도 분석결과 11시에 IP > CC > CT > GC > BC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반재별 유의차가 나타났다. 온도가 가장 높아지는 14시에는 기반재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강한 일사로 인해 표면온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7시에는 CT > IP = CC > GC > BC순으로 나타났으며 기반재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름철표면온도 일일 변화는 IP, CC보다 CT의 온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15시 이후 CT온도가 높게 나타나며 20시 이후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식재기반재별 온도저감 결과 봄철 11시 BC > IP > GC > CC 순으로 나타났으며, 14시에는 IP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17시의 경우 IP가 다른기반재 보다 높은 온도저감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여름철의 경우 11시에 BC > GC > CC > IP 순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일 변화는 13시부터 식재기반재에서 온도차이가 나타났으며 15시에 가장 큰 온도저감을 보였다. 에너지저감성능평가를 위해 우선, 측정한 열전도율값과 열관류율 값은 CC > IP > BC > GC 순이었다. 에너지 성능시뮬레이션 적용 결과, 식재기반재별 냉난방피크 에너지사용량은 법적기준대비 GC > IP > CC 순이며, 저감율은 0.88%, 0.94%, 1.01%이었다. 연간 냉난방부하는 법적기준대비 GC > IP > CC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저감율은 각각 10.85%, 11.81%, 13.34%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법적기준 외벽의 단열성능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벽면녹화 식재기반재 적용에 따른 연간부하의 저감효과는 최소 10.85%이상 확보는 가능하나 기반재별 차이는 최대2.49%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대도심지의 지역별, 건물용도별, 창면적비별 적용에 따른 추후 연구를 통해저에너지 식재기반재의 실제 적용 후 에너지 저감량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제3분과 : 하천 및 도시녹지 ; 도심 오피스건물의 옥상녹화 조성 유형별 건물에너지 절감 비교 연구

        권기욱 ( Ki Uk Kwon ),김원태 ( Won Tae Kim ),김정호 ( Jeong Ho Kim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급격히 증가한 세계의 에너지 소비에 따른 문제로 에너지 공급의 어려움과 자원의 고갈, 환경에 심각한 영향이 발생하면서 국제적으로 에너지 사용량 절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선진국에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부과되면서 에너지 절약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도심은 건물축물 및 불투수포장면 증가로 도시 열환경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도시열섬현상이 발생하기 이르렀다. 도시열섬 완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지만 바람길과 녹지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녹지 확보가 지상을 중심으로 넓게 이루어진다면 가장 양호하겠지만, 녹지 확보공간이 불충분한 도심지역에서는 옥상녹화 등의 건축물 녹화가 최선의 대안으로 여겨진다. 특히 옥상녹화는 도시환경 개선뿐 아니라, 건물에너지 절감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옥상녹화는 옥상에 녹지의 창출과 더불어 건물 외피의 성격으로 외단열 형태이며, 이는 건물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까지의 옥상녹화는 주로 생태적측면의 연구와 기온저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저에너지 건축물 및 도시 조성 차원에서 건물에 미치는 에너지 절감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옥상녹화시스템에 대한 열성능 시뮬레이션의 필요성과 대략적 방법론이 제시되어 에너지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졌으나, 대부분 토양과 식재만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대도심 건축물의 주를 이루고 있는 오피스건물에서 옥상녹화 유·무에 따른 건물에너지절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지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오피스 건물을 대상으로 옥상녹화시스템이 건물에너지절감에 미치는 영향 및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대도시 지역의 건물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있는 옥상녹화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EnergyPlus7. 2를 이용하였다. EnergyPlus는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에너지사용량 평가에 유용한 툴로서 국내외에서 타당성이 검증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다. EnergyPlus는 기존 해석 도구인 DOE-2, BLAST, COMIS의 장점을 통하여 개발된 도구로서 CTF(Condcuction Transfer Function)과 CFD(Conduction Finite Difference), HAMT(Combined Heat and Moisture Transfer) 등과 같은 벽체 열전달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존 해석 도구에서 불완전했던 실내 온도 예측과 같은 점이 보완되었다. EnergyPlus는 상세 에너지 해석이 가능하며 해석기간 동안 수시로 변화하는 건물의 실내외 조건, 벽체의 축열부하를 고려하여 매 시간당 에너지균형(Energy Balance)을 계산하기 위해 유한차분법, 응답계수법 등과 같은 수치해석 방법을채택하고 있다. 일정 시간 간격으로 외벽을 통한 관류열, 시간에 따른 실내 현열 및 잠열, 발열, 환기 및 침기에 의한열손실/취득, 일사, 천공복사, 내벽체간 복사, 주위건물 음영, 건물 내·외부 대류 열전달 등, 여러 가지 열전달 경로를통하여 동시에 발생되는 열부하를 통합하여 계산한다. 적용모델의 건물은 3층 규모로 설정하였으며 연면적 1, 200㎡, 창면적 210㎡ 이며, 옥상녹화유형별 에너지절감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식재층 재료, 토양층 재료, 배수판재료, 단열재 적용 유무 등을 고려하여 5개 type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외 옥상녹화가 미적용된 type을 포함하여 총 6개type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미적용 대비 옥상녹화의 에너지절감효과 및 옥상녹화시스템별 에너지절감 차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옥상녹화시스템 유형은 저관리경량형으로 type B, C, D, E를, 관리중량형으로 type F를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type별 구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옥상녹화가 미적용된 type A는 콘크리트 210㎜, 단열재 110㎜이고, 이외 5개 type에서도 건물구조는 type A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type B 구조는 식재층(100㎜)+GBblock(100㎜)+방근시트(2㎜)+배수판(50㎜), type C 구조는식재층(100㎜)+펄라이트(70㎜)+부직포(2㎜)+화산석(80㎜)+sedemblock(80㎜), type D 구조는 식재층(100㎜)+펄라이트(115㎜)+부직포(2㎜)+배수판(35㎜), type E 구조는식재층(100㎜)+마사토(85㎜)+펄라이트(30㎜)+부직포(2㎜)+배수판(35㎜), type F 구조는 식재층(100㎜)+마사토(300㎜)+펄라이트(30㎜)+부직포(2㎜)+배수판(35㎜)으로 구성하였다. 적용건물의 설정조건으로는 냉·난방 설정 온도각각 22℃, 24℃, 공조방식은 Fan-coil unit 방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난방기(Heat Generation)와 냉방기(Chiller)의성능 계수는 각각 0. 83, 1. 67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조명설계는 사무공간으로 목표조도 400lux, 조명부하 5 W/㎡·100lux이며, 창면적비율은 30%, 재실인원 0. 11 people/㎡, 인체발열 123 W/person, 환기량 10 l/s·person, 급탕 0. 2 l/㎡·day, 건물운용 24시간(근무시간 9:00~18:00)으로 설정하였으며, 기상데이터는 중부지역의 충주지역의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옥상녹화 면의 열관류율(U-Value)은 type A 0. 332 W/㎡·K, type B 0. 25 W/㎡·K, type C 0. 281 W/㎡·K, type D 0. 287 W/㎡·K, type E 0. 284 W/㎡·K, type F 0. 271 W/㎡·K로 분석되었다. 열저항성(R-Value)은 type B > type F > type C > type E > type D > type A 순으로 나타났다. 건물부하는 시시각각 변화하지만 이것이 최대가 되는 시각에 대해서만 열량을 계산하며, 이것을 최대부하시간(Peak Hour)에 대하여 행한 부하계산을 최대부하계산법(Peak Load Design)이라 한다. 피크부하 중 난방피크부하량은 type A > type D > type E > type C > type F > type B 순이며, 미적용 유형인 type A 대비 type B, C, D, E, F 유형은 약 0. 6 ~ 0. 9% 절감효과가 예측되었다. 또한, 냉방피크부하량은 type A > type E > type D > type C > type B > type F 순이며, type A 대비 type B, C, D, E, F 유형은약 1. 1 ~ 1. 2% 절감효과가 예상되었다. 연간냉·난방부하량은 type A > type E > type D > type C > type B > type F 순이며, type A 대비 type B, C, D, E, F 유형은 약 1. 14~ 1. 18% 절감효과가 예측되었다. 연간에너지사용량은 type A > type D > type E > type C > type F > type B 순이며, type A 대비 type B, C, D, E, F 유형은 약 0. 5 ~ 0. 9% 절감효과를 보였다. 최상층의 에너지성능분석을 한 결과, 난방피크부하량은 type A > type D > type E > type C> type F > type B 순이며, 미적용 유형인 type A 대비type B, C, D, E, F 유형은 약 1. 3 ~ 2. 1% 절감효과가 예측되었다. 또한, 냉방피크부하량은 type A > type E > type D > type C > type B > type F 순이며, type A 대비 type B, C, D, E, F 유형은 약 1. 2 ~ 1. 5% 절감효과가 예상되었다. 연간피크난방부하량은 type A > type D > type E > type C > type F > type B 순이며, 미적용 유형인 type A 대비 type B, C, D, E, F 유형은 약 6. 0 ~ 9. 0% 절감율을 보였으며, 연간피크냉방부하량은 type B > type A > type F > type C > type E > type D 순이다. type B를 제외한 유형에서는 냉방부하저감을 보였으나, type B는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단열성으로 인해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 결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옥상녹화 적용에 따른 에너지저감효과는 냉방시기 보다 난방시기에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향후 다양한 옥상녹화시스템 및 유형별 조성에 따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평가 평가준거체계의 개선방향 탐색

        권기욱(Kwon Ki-U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시설평가 평가준거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보육시설의 질 및 평가준거체계에 관련된 이론들을 규명하고, 주요 외국 보육시설평가의 평가준거체계들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보육시설평가 평가 준거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BR>  연구 결과, 보육시설평가의 평가준거체계는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 실현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개선방향으로 평가영역 및 평가부문의 선정을 보육시설체제 전반으로 확대하고, 평가지표의 양을 증가시키고 내용을 구체화하며, 평가지표의 가치를 영유아프로그램 목적 성취에 적절성에 관련하여 판단하고, 평가지표의 가치 판단을 영유아프로그램별로 실시하고, 평가준거체계에서 가중치를 합리적으로 반영할 것을 제안한다.   Today, the nations in world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the child care center evaluation is operating by the nations each oth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evaluation criteria system of child care center evalua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ies which are related the qualities of child care center, theories which are related the evaluation criteria system, and the evaluation criteria systems of child care centers in America.<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unded five problems of the evaluation criteria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five improvement strategies for evaluation criteria system of child care centers evaluation. As follow;<BR>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system of child care center evaluation have to involve all areas rather than some areas of child care center systems. Second, the amount of evaluation criteria have to be more than now in numbers. Third, the evaluation indicators have to be written in details. Forth, the evaluation indicators have to reflect the appropriateness for the child care centers purposes. Fifth, the weighting of evaluation criteria have to be reflected.

      • KCI등재

        소나무좀 피해 저감을 위한 천연식물추출물 함유 파스형 수목 보호 황토조성물 개발 연구

        권기욱(Ki-Uk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수목생육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수목 해충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지고 감수성이 높아져 수목 해충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방제 효과 나타낼 수 있는 천연식물추출물을 도출하고 방제 효과 등을 검증하여 소나무좀 피해 저감을 위한 파스형 수목 보호 황토조성물을 개발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총 3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실험방법으로는 천연식물추출물 9개 유형 중 최적 물질 도출, 식물추출물 함유 황토조성물 최적 배합 비율 도출, 수목 보호 파스형 황토조성물 제조 공정 도출을 수행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소나무좀의 기피 및 살충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천연식물추출물은 데리스 및 님 오일 액상을 혼합한 유형에서 가장 양호한 소나무좀 기피율 및 살충율을 보였다. 둘째, 천연식물추출물 함유 황토조성물 배합 비율은 황토조성물 내 천연식물추출물을 20%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셋째, 파스형 수목 보호 황토조성물 제조 공정은 약제층과 점착층이 혼합되어 소나무좀에 직접 접촉 및 잔효 독성효과가 발현된 PM C가 양호하였다. The resistance to tree pests has decreased, and the susceptibility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nd rapid changes in the growth environment of trees, resulting in increased damage from tree pest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d verify a patch-type tree protection loess composition to reduce the damage from pine beetles by deriving natural plant extracts that can exhibit optimal control effects and verifying the control effec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nd the experimental method was performed to derive the optimal material among nine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derive the optimal blending ratio of the loess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and deriv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tch-type loess composition for tree protection.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avoidance and insecticidal rate of the pine beetle. The natural plant extract showed the best avoidance and insecticidal rates of pine beetles in the mixed type of derris and neem oil liquid. The blending ratio of the natural plant extract-containing loess composition was the best when the natural plant extract comprised at least 20% of the loess composition. Thir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s-type tree-protecting loess composition, the PM C type, in which the drug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were mixed, showed direct contact with pine beetles and residual toxicity effects.

      • KCI등재

        장애영유아 교육,보육재정지원제도 개선방향

        권기욱 ( Ki Uk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 교육·보육재정지원제도를 규범적 차원에서 문제점을 규명하고, 개선방향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상 관련된 이론들을 규명하고, 선진 외국들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장애영유아 교육·보육재정지원제도의 문제점은 개별화교육계획과 재정지원의 연계성 부족, 관련서비스 재정지원 부족, 장애영아 교육 및 개별가족서비스 지원 재정부족, 위험 영유아 재정지원의 부족, 장애영유아 보육재정 지원 단가의 부족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향으로 장애유아(3~5세) 교육·보육재정을 개별화교육계획에 근거하여 지원하며, 장애영유아 교육·보육재정은 특수교육에서 특수교육 및 관련서비스로 확대하고, 장애영아(0~2세) 교육재정 및 개별가족서비스를 위한 재정을 확충하고, 장애의 위험이 있는 영유아에게도 재정지원을 확대하며, 장애영유아 보육경비 지원을 현실화할 것을 제시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education and care finance system for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For achieve this purposes, this study analyzes the theories and the research results which are related the education and care principles, the education and care finance principles for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the education and care finance system for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in the primary foreign nations which are America and Canada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ents five problems of the education and care finance systems for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Those problems are as follows : First, the related services funds for those are lack. Second, the linkage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with finance support system is shortages. Third, the finance support systems does not meets their unique needs. Fourth, the same mounts money are provided same institution and ages. Fifth, the fund does not provided of risk infants and early childhoo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five improvement directions of education and care finance systems for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For improvement directions of education and care finance systems, First, the funds of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should be based o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Second, the education and care funds must be provided for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Third, the care expenses for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ctualized. Fourth, the funds for infants education and individualized families support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ifth, the funds of infants and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risk infants and early childhood.

      • 워터스크린 적용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저감 및 외부열환경 분석

        권기욱 ( Ki-uk Kwon ),송원석 ( Won-seok Song ),김정호 ( Jeong-ho Kim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최근 우리나라의 지구온난화, 도시열섬 그리고 폭염 등의 기후변화는 여름철 냉방 전력의 소비 급증을 야기해 블랙아웃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등 전력 수급에 국가적 문제가 발생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으로 2012년도부터 여름철 실내 온도를 28℃로 제한하였으며, 에어컨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호흡기와 피부질환도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폭염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점차 심화되고 발생시기의 불확실성이 가중됨에 따라 그 피해는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무더운 여름철 도시민의 불쾌지수를 가중시키고, 냉방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상승을 유도하며, 도시민의 생활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 현상의 원인으로는 대지에서 아스팔트로의 토지 피복의 변화와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인공구조물의 벽면은 낮 시간동안 열을 축적하고 밤 시간동안 축적된열에너지를 다시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도시기온이 상승한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물입자의 증발잠열을 이용한 증발냉각시스템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증발냉각시스템 연구는 외부열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건축물 에너지저감 효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증발냉각시스템유형인 워터스크린을 개발 적용하여 건축물에너저감 및 외부열환경 분석을 통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에너지 도시조성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워터스크린 적용에 따른 에너지저감 및 외부열환경 분석을 위하여 연구대상지는 충북 충주시에 Test-Bed를 조성하였다. 실험구는 가로, 세로, 높이 각각 1.7m, 1.7m, 1.8m 크기의 콘크리트벽돌 구조물로 조성하였으며, 적용 유무에 따른 검증을 위하여 각각 2개를 조성하였다. 워터스크린은 가로, 세로, 각각 2.0m, 2.0m의 크기로 건축물을 보다 크게 조성 설치하였다. 물분사 노즐은 Coolnet(社NETAFIM, Israel)을 적용하였으며, 미세한 고정식 분무장치로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인 4bar에서 90micron의 평균 분사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노즐은 5개를 상부에 설치하여 하부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조성하였다. 실험구 유형은 Control의 성격인 Case A, 건축물과 워터스크린의 거리가 0.5m인 Case B, 건축물과 워터스크린 거리가 1m인 Case C로 3가지 유형으로 조성하였다. 조사분석방법으로는 건축물과 워터스크린 사이와 워터스크린 외부를 측정하였다. 또한 건축물 에너지저감을 분석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표면온도 및 내부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외부열환경분석은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 등 자동기상관측기(Weather Stations 2000 Series, Spectrum Tech- nologies Inc, USA), 기류는 열선 풍속계(Air velocity meter 9545, TSI, USA)를 이용하였으며, 흑구온도, 습구온도, 건구온도는 측정지점에 흑구온도계와 건·습구온도계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열쾌적지표로는 습구흑구온도지수(WBGT, Wet-Bulb Globe Temperature), 예상온열감(PMV, Predicted Mean Vote), 일반적 온열기후지수(UTCI,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를 측정하였으며, 습구흑구온도지수는 흑구온도, 습구온도, 건구온도 등을 고려하여 산출하였으며, 예상온열감과 일반적 온열기후지수는 기온, 상대습도, 풍속, 평균복사온도, 착의량, 대사량 등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건축물 외부 표면온도 변화 결과 Case A > Case C > Case B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의 성격인 Case A 대비워터스크린 적용 유형에서 약 1~2℃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내부 표면온도 변화 결과 Case A > Case B > Case C 순으로 분석되었다. Case A 대비 Case B, C에서 약 0.5℃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및 워터스크린 사이 열환경 분석결과, 기온의 경우 Case A > Case C > Case B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인 Case A 대비 Case B와 Case C에서 약 2℃이상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습도의 경우 Case B > Case C > Case A 순으로 나타났으며, Case A 대비 Case B, Case C에서 약 20%이상 높게 분석되었다. WBGT, PMV, UTCI의 경우 Case A > Case C > Case B 순으로 나타났다. 워터스크린 외부 열환경 분석 결과, 기온의 경우 Case A> Case C > Case B순이었으며, 상대습도의 경우 Case C> Case B > Case A 순으로 나타났다. WBGT, PMV, UTCI의 경우 Case A > Case B > Case C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워터스크린 적용에 따른 건축물에너지저감 및 외부열환경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향후 워터스크린의 분사량 및 물입자 크기에 따른 건축물에너지저감 및 열환경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제3분과 : 하천 및 도시녹지 ; 생태복원하천의 유형별 생태적 특성 및 평가 연구

        서유환 ( Yu Hwan Seo ),권기욱 ( Ki Uk Kwon ),박범수 ( Beom Soo Park ),김정호 ( Jeong Ho Kim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생태하천복원의 방향은 이·치수 관점에서 하천구역을 정비하는 사업과는 달리 하천의 자연성을 최대한 살리고, 하천의 다양한 기능과 가치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물리적구조와 생물적 기반의 회복을 유도하며, 나아가 자연적 물순환 시스템 회복 및 유역개념을 고려한 하천의 종·횡적생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현재 생태복원하천사업은 하천시설과 생태계에 대한 관리 패러다임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로 많은 문제점들이 파생되고 있다. 즉, 많은 생태복원하천사업들이 생물과 인간의 조화를바라는 새로운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복원된 하천을 중심으로 유형별로 구분하여 이에 따른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하천의 구조적측면과 생태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자연성 평가를 통해복원 후 가치를 산정하고 향후 복원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지로는 2011년부터 2012년 생태복원하천 21개소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생태복원하천의 유형구분은 물리적 측면, 생태 기능적 측면, 이용적측면을 고려하였다. 물리적 측면에서는 물흐름 다양성, 구조물 유무, 하도정비 및 자연성 정도, 저수로 호안공 특성, 제외지 토지이용 등을 고려하였으며, 생태 기능적 측면에서는 서식처 조성 및 구성요소, 하천유량 및 변경도, 자생종 우점비율 및 층위구조, 관리유무 등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용적 측면은 과도한 이용시설 유무, 잔디밭 조성 유무, 친환경 재료, 환경교육 프로그램 조성 유무를 고려하였으며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도시자연형, 도시경관형, 농촌자연형, 기타 등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도시자연형의 경우 자연하천과 같은 물리적 구조로 복원할 수는 없지만, 생물 다양성 및 자연성 가치가 높고 호안, 하도, 선형의 복원시 자연적 측면을 최대한 고려하여 복원한 유형이었으며, 도시경관형의 경우 저수호안을 중심으로 재료 및 식생측면에서 복원이 이루어졌으나, 둔치를 중심으로 경관 및 이용적 측면을 고려한 초본식재지와 산책로가 조성된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농촌자연형 유형은 농촌지역에 위치하면서 하천구조와 생태계의 복원시 다양성, 자연성, 서식성을 최대한 복원하였으며 도입 이용시설은 환경교육 목적으로 최소한을 도입한 유형이며, 마지막으로 기타 유형의 특징으로는 생태하천 복원 측면보다는 치수적 측면에서 접근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생태적 특성 및 평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태적 특성 결과 중 도시자연형 유형은 21개 대상지 중총 5개소였으며, 습지자생식물이 넓게 분포하면서 다양한 야생생물이 출현 또는 서식 잠재성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도시자연형의 생태복원하천은 기존의 버드나무군락, 달뿌리풀군락 등을 최대한 보전하면서 훼손지를 중심으로 복원하였으며 다양한 생태습지를 복원한 하천 및 저수호안을 중심으로 자생식물군락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고 있었다. 이중 둔치부문은 이용시설을 최대한 억제하여 다양한 자생초본군락이 복원되어 생태네트워크 및 추이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도시자연형과 달리 저수호안을 중심으로 식생측면에서 복원이 이루어져있는 도시경관형의 경우 총 7개소로 구분되었으며 도시지역내를 관통하는 하천의 특성상 생태적 복원 측면과 이용적 측면이 동시에 고려된 생태하천 복원유형으로서 저수호안 및 하상을 중심으로는 생태적 측면에서 복원이 이루어졌으나, 둔치에서 고수호안을 중심으로는 경관적 측면과 이용적 측면이 고려되어 복원된 유형이나 하천전체 구간이 모두 경관형으로 형성된 것은 아니며 상류 혹은 하류부문 중심으로는 기존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이 양호한 상태였다. 마지막으로 농촌자연형은 도시자연형과 마찬가지로 총7개소 하천 유형이 나타났으며, 습지자생식물이 넓게 분포하면서 다양한 야생생물이 출현하였다. 도시자연형 복원유형과 적용기법이 유사하지만, 주변 농촌 경관과 산림 등과직접적 연계되어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처 역할을 수행할수 있는 상태로 조사되었다. 농촌자연형 생태복원하천은 기존의 자생식물군락을 최대한 보전하면서 훼손지를 중심으로 복원하였으며, 특히 주변의 양호한 농촌자연생태와 인접하여 생태계 추이대 및 야생동물의 서식공간으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태교육 및 체험시설은 이용객들이 접근할 수 있는 구간을 중심으로 복원되었으며, 수질정화원, 생태습지 등과 연계하여 자연친화적으로 조성되었다. 이러한 유형별 생태계 특성 분석을 통한 자연성 평가기준을 정립하고자 생태하천복원의 자연성 및 건강성 평가는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과 생태하천복원 기술지침서 등을 참고하여 최대한 객관적 기준을 정립하여 평가항목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생태복원하천은 하천의 자연성과 생태적 건강성 회복이 우선이므로 복원사업을 계획하고 진행할 경우 다양한 생태적 요소들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정립해야하는데 이는 하천의 자연성과 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 측면에서 하천의 구조적 측면, 생태학적 측면을 동시에고려한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생태하천복원 후 자연성 평가를 위한 가치산정을 위해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물흐름 다양성, 하도자연성, 식생자연성, 어류이동성, 생물서식성, 수질정화, 제외지 토지이용, 생태교육 및 체험 등 총 8개 부문으로 나누어 각각 최고 1등급에서 최저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도시자연형 하천의 경우 물흐름 다양성 2등급, 하도자연성 2~3등급, 식생자연성 3등급, 어류이동성 3등급, 생물서식성 2등급, 제외지 토지이용 2등급, 수질정화 4등급, 환경교육 및 체험 2등급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시경관형 하천은 각각 2~3등급, 3~4등급, 2~3등급, 2등급, 2~3등급, 3~4등급, 2~3등급, 2~3등급으로 평가되었으며, 농촌자연형 하천도 각각 3등급, 2~3등급, 3~4등급, 2~3등급, 3~4등급, 3~4등급, 2~3등급, 3~4등급으로 나타났다. 물흐름 다양성의 경우 도시자연형 > 도시경관형 > 농촌자연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도자연성은 농촌자연형 > 도시자연형 > 도시경관형 순으로 평가되었다. 식생자연성과 어류이동성은 도시경관형 하천이 가장 등급이 양호하였으며, 생물서식성, 제외지 토지이용에서는 도시자연형 하천이 가장 양호한 상태로 평가되었다. 수질정화 항목 중 조성전·후 BOD 절감율에서 도시자연형의 경우 11~30%로 4등급으로 나타났으며, 도시경관형과 농촌자연형은 각각 2~3등급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환경교육 및 체험 항목에서는 도시자연형 2등급, 도시경관형 2~3등급, 농촌자연형 3~4등급으로 도시자연형하천이 가장 높은 등급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자연성을 위해 선정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반복적 평가를 통해 보완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구체적 항목 도출과 항목에 맞는 등급설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도심 오피스건물의 옥상녹화 조성 유형별 건물에너지 절감 비교 연구

        김정호 ( Jeong Ho Kim ),권기욱 ( Ki Uk Kwon ),주창훈 ( Chang Hun Joo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과학회 201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3 No.8

        This study, the urban energy used office building green roof type composition of the target by analyze building energy reductions. Green roof is total 6 types(type A~F) were selected, EnergyPlus the energy simulation programs were used. Top floor of green roof types evaluation, the reduction of the cooling peak load type E(1.26%), type D(1.30%), type C(1.37%), type B(1.45%), type F(1.49%), and heating peak load is type D(1.32%), type E(1.40%), type C(1.47%), type F(1.69%), type B(2.13%) order. Annual cooling load of heating load is reduced more than about 1% effect. The heating load reduction ratio for a maximum of 9% respectively. Cooling peak load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type F >type B >type C >type D >type E in the order and in the case of peak loads heating type B >type F >type D >type E >type C order. Annual total energy use reduction of 1.07 to 1.22% and earn, type B in the best good. In primary energy use reductions in the presence of a green roof were in the 4249~4876 kWh/yr. Annual CO2 emissions reductions of unapplied type A were analyzed on average 469.78 k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