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의 핵심성공요인 관련 연구 분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양미 ( Yang Mi Koo ),서정희 ( Jeong Hee Se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의 핵심성공요인인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에 관련된 연구의 동향과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과 발전을 위한 연구와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에 게재된 초등 사이버가정학습 핵심성공요인에 관련된 논문 총 25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이 25편의 논문에 대해 핵심요인별, 연구방법별 논문 편수의 빈도 분석과 세 가지 핵심요인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논문 편수는 시스템 및 콘텐츠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순으로 많았다. 연구방법별로는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반 이상의 연구에 혼합연구방법이 적용되었으며,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또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한 양적연구가 주된 연구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핵심성공요인별로 주요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교과 특성을 고려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블랜디드 러닝 전략을 구안하고 적용하거나 자율적인 콘텐츠 활용 및 교사가 사이버가정학습을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 측면에서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 이후 동일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콘텐츠나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의 한계를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교사의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에 대한 지식과 역량으로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성공적 운영의 성패를 좌우하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주체는 교사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이버가정학습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연구와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results of 3 key success facto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eacher, system and content, from existing research on Cyber Home Learning (CHL) for primary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CHL services. For this, 25 CHL-related research articles, either those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dexed list or candidates for inclusion in the list, were select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 key success factors and research methods and content analysis related to 3 key success factors were conducted. Research indicates the most frequent article to be ``system and content`` that followed by ``teache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in the order. The mixed research method has been applied in more than half of those studies and the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were applied in relation to system and content. The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in terms of 3 key success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s suggested to apply for the effective use of CHL service for primary students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Second, increased work pressure on teachers and a lack of awareness of the CHL service and capability of the CHL service operation have been presented as obstacles in terms of teacher. Functions to support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exciting and varied content are required from the aspects of system and content. Thir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and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to use the CHL services are most important and these can overcome the limits of the CHL content and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and service direction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CHL services are presented.

      • KCI등재

        혼합형 학습 도입과 정착을 위한 대학의 조직문화와 기능에 관한 연구

        구양미 ( Yang Mi K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대학의 면대면 강의에 온라인 학습을 연계한 혼합형 학습은 기존의 대학교육체제를 변화시키고 혁신하는 데 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기능적 특성이 혼합형 학습의 도입과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규명하고, 혼합형 학습이 대학에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교육기관의 문화와 기능을 변화시키기 위한 혼합형 학습의 촉매 역할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프랑스 R 대학에서 혼합형 학습을 실시하는 학부의 3개 수업과 평생교육대학의 1개 수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료는 혼합형 학습 도입과 정착에 관련된 조직문화와 기능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교수회의 및 교수자들의 교수활동에 대한 참여관찰, 이메일과 행정문서 수집, 담당 교수자 및 행정관리자와의 반 구조화된 면접, 4개 수업의 학생들 대상의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료는 Gather Thurler가 제시한 교육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여섯 가지 문화와 기능에 따라 주제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R 대학의 조직문화와 기능적 특성이 교수자들이 혼합형 학습을 도입하고 실행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변화와 혁신의 시도로서 혼합형 학습의 도입과 정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 변화와 혁신을 추진함에 있어서 문화와 기능적 변화가 필수적이며,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는 노력이 실천의 주체인 교수자는 물론 대학의 다양한 구성원들과 공유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전과 목표를 공유한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과 전략이 요구된다. Blended learning combines the face-to-face lecture and online learning as a catalyst for the change and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peration of education institutes as major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The conditions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Blended learning into higher education are conducted in this work. We have chosen four Blended Learning courses, three undergraduate courses from R university and one course from a lifelong-learning university in France. For the holistic analysi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fun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the data consist of the observations on instructional activities, the collection of emails and document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and the surveys with students in these courses. We performed thematic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six cultures and functions for the revolu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proposed by Gather Thurler. The results show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function of R Univers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Blended Learning not in the way to encourage its implementation but in a negative way. It implies that the transition of culture and function is critical for the drive the revolution of higher educations and the effort should be made by not only instructors but all members of institutions. New programs and strategies are required to organize and develop communities that shares visions and objectives for the change and innovation.

      • KCI등재
      • KCI등재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진화와 역동성

        구양미(Yang Mi K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클러스터 생애주기 분석을 기반으로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진화 경로와 역동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업체수와 고용자수 변화를 중심으로 구로공단의 발생-성장-유지-쇠 퇴의 생애주기를 구분하고 시기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업체수와 고용자수가 급증하였고, 소규모 기술집약 중소기업과 지식기반 서비스기업이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성장과 구조재편을 주도하였다. 이것은 지식산업 센터(아파트형공장) 증가로 가능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지식기반 클러스터로의 변환의 생애주기 모습을 보 여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 evolutionary path and the dynamics of the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cluster life cycles. From the mid 1960s to the late 1990s, the life cyc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Guro Industrial Park) are examined as emergence-growth-sustainment-decline focused on the number of firms and employees. After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firms and employees increases rapidly and the active actors of the growth and restructuring are transformed to the technology-intensive SMEs and knowledge-based service firms. Knowledge industry centers (apartment-type factories) help evolve into the life cycle of transformation as knowledge-based clusters after the mid 2000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량 기반 무크 서비스를 위한 학습․운영 서비스 요소 분석

        정미강(Mi-Khang Chung),구양미(Yang-Mi Koo) 한국기업교육학회 201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0 No.3

        무크는 고등교육 지원에서 더욱 확장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전문심화 교육과정을 서비스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러한 무크서비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는 해외 무크의 전문 프로그램들의 서비스 요소를 파악하고자 ‘역량’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Udacity, edX, Coursera 3개의 무크 플랫폼에서 9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이들의 서비스들을 10개의 학습서비스 및 10개의 운영서비스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성인 또는 대학생이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역량인 공통역량, 전공 분야의 심화 역량인 학술역량, 직업인으로서 필요한 전문적인 역량인 직업역량의 3개 주요 역량에 맞춰 서비스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9개의 프로그램은 각 역량에 따라 전략적으로 학습과 운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최종 도출된 역량별 서비스 요소를 토대로 역량 기반 무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무크의 전문적인 서비스의 발전에 실질적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OOC services are revolutionizing from just free offering higher education to professional and intensive courses that learners, employers and society demand. However, there is almost no study about services that such MOOCs provide in domestic papers. So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service components of professional programs of MOOCs. For analysis, we adopt the concept of ‘competency.’First, we selected 9 programs from Udacity, edX and Coursera, and classified their services into 10 learning and 10 operating service components. And then we drew MOOC service components according to 3 competencies - foundational competency needed as adult or university students in society, academic competency in higher education, and job competency needed to employees in the workplaces. Finally, we suggested service strategy for MOOC based on competenc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practically applied to various professional and intensive programs of domestic MOOCs.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SNS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효과: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준 ( June Lee ),구양미 ( Yang Mi Koo ),이윤옥 ( Yun Oug Lee ),김지경 ( Ji Kyoung Kim ),임진숙 ( Jin Sook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1

        SNS는 인터넷상에서 친구, 동료 등 지인과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인맥을 형성함으로써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로서 학령기 학생들의 상당수가 SNS를 이용함에 따라 최근 학교 현장에서도 활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교육이 기본적으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때, SNS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학교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검토될 수 있다. 하지만, 본래 교육 목적으로 개발되지 않은 SNS가 공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 교육에 이용되고 있는 방법과 교육적 효과 및 역기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는 적절하게 사용될 경우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면대면 의사소통의 장을 확장하고 상호작용의 빈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전문가나 타 학교 학생 등 외부 인적 자원과의 교류를 촉진함으로써 교육의 기회 및 다양성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NS는 수업 외에도 알림장 사용과 같이 학급경영을 효율화하는 등 교과교육 외의 영역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SNS가 학생들의 불건전 정보접촉이나 상호비방, 교사의 업무 과다 등 역기능적 측면의 활용도 일부 드러났다. 따라서, 교사의 지도하에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활동으로 활용 범위를 제한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SNS has increased in K-12 school recently.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research studies, it is not obvious whether the use of SNS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using SN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for teachers and students who used SNS in elementary school.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s of SNS,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improved and their interest in learning also increased. In addition, SNS was helpful for recording learning processes, providing instant feedback,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and creating an positive classroom atmosphere. During interviews, teachers acknowledged that SNS was an effective tool for review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Moreover, students admitted that sharing ideas and learning material were positive sides of using SNS. However, certain adverse effects of using SNS were found such as slandering other people, accessing obscene contents, increasing teachers` burden, and disturbing students`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