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인 여성의 댄스스포츠 참가가 신체이미지와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곽효정,이종길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7 體育科學硏究誌 Vol.25 No.1

        The background variances in the test were age, education level, married/single, income, and independent variance is participating vs. not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Self body image and self expression were set as methodological variance and independent variance each. Weight, health condition, body shape related scales were adopted to diagnose the self physical image using paper survey. Self expression is assessed with survey questions related to proactive expression, ethical expression, altruistic expression, direct expression scales. The survey was consisted of 5 questions for each category so that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was 20. One-way ANOVA, ANC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ze statistical the data. According to such methodology and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explains followings, First, the change of self body image of participants in Dance sport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compared to non-participants. Also, the participants showed meaningful increase of score in weight, heath condition, body shape related factors which are the lower elements of self body image. Next, the change of increase in self expression of participants was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compared to control group.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dance sports, self body image, and self expression was supported with meaningful result which was strengthened wi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elf body image on self expression. Therefore, the study of this paper presents the strengthened self expression through improved self image which is visualized by Dance sports.

      • 이혼가정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곽효정 한국미술치료학회 2002 美術治療硏究 Vol.9 No.2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에서 여성가구주의 비율이 15%에 달하고 있으며 사별로 인한 편모가족은 1960년과 1990년 사이에 2.6배 정도로 증가하는 반면 이혼 가구주 수는 5배나 증가하여 이혼가정의 아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지고 있다(최선남 • 현온민, 1998). 이혼으로 인하여 부부는 아동문제, 경제적인 문제, 정서적인 혼란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부모의 이혼은 어린 아동에게 매우 충격적인 경험이므로 원만한 인격형성과 성장발달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에 상당한 손상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Rogenberg는 이혼, 별거가정의 아동들은 일반 가정의 아동들보다 대부분 자아개념이 낮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김태현. 1991). 우리 나라에서도 일반 가정의 아동에 비해 이혼 가정의 아동의 자아개념이 낮게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양연순, 1994). This study intends to report the cases helpful to cases with and troubleshoot lots of difficulties in home, school, church community by improving the low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y with fine art therapy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hild A and B are siblings and 8-year-old girls as Pllpils at 2nd grade in elementaty school respectively. In home and church community, 2 children often read their mom’ s face with keeping her unseparable. They are also left out in the cold from their cornrades in church and school community. even showing the attitude of speechless nodding to the question of teachers. Upon the first visit to church, they were speechless and expressed their mind with nodding or shaking their head until next 3 months After 3 months, they also expressed little of voluntary speech or actions Due to these problems, the test was proposed to this researcher and lt was perfonned for 2 hours at 2 times per week (totalIy 19 times). After fine arts therapy, 2 children had an enhanced self-esteem and sociability in home, school and church community respectively.

      • KCI등재

        청소년 우울이 인터넷 게임중독과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곽효정,강상준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환경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의 경로분석을 통해 청소년 우울이 인터넷 게임중독과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보유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환경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인터넷 게임중독과 SNS 집착 및 금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족환경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우울을 매개로 하여 SNS 집착 및 금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가족환경 스트레스보다 우울, 인터넷 게임중독, SNS 집착 및 금단에 있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우울, 인터넷 중독 간 영향요인에 대해 경로분석을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athways of stres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youth depression 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owned smartphon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SEM are as follows. First, both stress affect depression, and it directly affect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NS obsession. Second, both stress have indirect effect SNS obsession with depression as a medication. Third, school life stress has a greater effect on depressi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NS obsession than family environment stress. The difference of study is path analysi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아동의 어머니 간 상호작용 종단적 분석 :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쉼 시간을 중심으로

        곽효정(Hyo Jung Kwak),심현섭(Hyun Sub Sim),이수복(Soo Bok Leeb)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가 일상에서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이 아동의 비유창성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일반아동·어머니 집단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호작용 놀이 상황에서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 6쌍과 일반아동·어머니 집단 6쌍의 발화를 두 차례(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수집하여 아동의 ND와 AD 빈도,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 그리고 말더듬아동 어머니 집단과 일반아동 어머니 집단 간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쉼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은평가시점에서 아동 AD 빈도가 어머니대화차례 발화시간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말더듬아동대화차례쉼시간, 어머니대화차례쉼시간과 부적상관관계를보였다.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AD 빈도는 어머니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더듬 발생 및 지속과 관련 있는 아동과 어머니 간 상호작용 종단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말더듬아동·부모의 상호작용 치료를 통해 학령전 아동이 만성적 말더듬으로 발전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ly, the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and frequency of disfluency which young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showed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Methods: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5 year old CWS (male 2 and female 4), an age-matched group of CWNS (male 3 and female 3), and their mothers. Frequencies of normal disfluency (ND) and abnormal disfluency (AD), and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and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were measured two times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over the course of one year. Results: At initial visit,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frequency of A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and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both between two parent groups and between two child groups at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In the CWS group, at initial visi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requency of AD and mother’s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Frequency of A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of mothers and that of children. After 12 month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AD and mother’s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study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WS · mothers interactions can help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o identify the interactional factors related to the recovery or persistence of stuttering and to enhance the efficacy of parent · child interaction therapy for C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