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하의 의미를 지니는 ‘-탱이’ 파생어

        곽유석 형태론 2023 형태론 Vol.25 No.2

        ‘-탱이’는 ‘비하’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미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탱이’는 ‘비하’의 의미 외에도 ‘강조’, 나아가 ‘애정, 친밀함’과 같이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탱이’의 의미가 ‘비하’로부터 ‘강조’, ‘애정, 친밀함’으로 확장되는 것은 이와 같은 의미들이 대상에 대한 화자의 평가를 반영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탱이’라는 형식의 생성 과정은 이것이 지소사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볼 때 가장 합리적으로 설명된다. 이는 범언어적으로 지소사 또한 ‘비하’를 비롯한 ‘강조’나 ‘애정, 친밀함’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리고 ‘-탱이’가 ‘-땡이, -팡이, -퉁이, -잡이, -쟁이, -태기, -두라지, -둥아리, -둥이’ 등과 같이 형식과 의미가 유사한 접미사와 어기를 공유하여 유의어를 형성한다는 점도 주요한 근거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semantic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taeng-i'. ‘taeng-i’ is widely used as a suffix in ‘pejoration’. However, aside from the meaning ‘pejoration’, it is also used in ‘emphasis’, even for ‘affection’ and ‘intimacy’, presenting positive connotations. Like so, the meaning of ‘taeng-i’ can include from ‘pejoration’ and ‘emphasis’ to ‘affection’ and ‘intimacy’ because of their commonality in which the speaker uses such words to evaluate a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 most reasonable explanation of how the term ‘taeng-i’ was created is that it derived from diminutive. This is to say,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diminutives also include meaning from ‘pejoration’ and ‘emphasis’ to ‘affection’ and ‘intimacy’. Moreover, there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that ‘taeng-i’ shares the base with other similar suffixes in its form and meaning such as ‘ttaeng-i, pang-i, tung-i, ‘jab-i, jaeng-i, tae-gi, du-la-ji, dung-a-li, and dung-i’ to form synonyms.

      • KCI등재

        한국어 완전중첩의 단위와 의미

        곽유석 한국어의미학회 2018 한국어 의미학 Vol.62 No.-

        In the discussion on full reduplication phenomenon in Korean, full reduplication is defined as operation to form word, and the case where stem or root is full reduplication is mainly discussed. In practice, however, it is not uncommon to find that the combination of verb and ending, or the combination of noun and particle, is reduplicated. They are distinguished from general syntactic expressions in that they can not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hole by the meaning of the constituents and are phonologically independent.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full reduplication can be applied to syntactic units such as the combination of verb and ending, and the combination of noun and particle based on construction grammar.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expressed through full reduplication in Korean is mainly ‘plural, repetition, emphasis’.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y can be systematically explained in terms of iconicity and semantic extension. The meaning of ‘plural’ and ‘repetition’ seems to be formed based on iconicity in the process of referring to various objects and situations. And the meaning of ‘emphasis’ can be seen as being extended from this.

      • KCI등재

        한국어의 습관상에 대한 일고찰

        곽유석 한국어의미학회 2020 한국어 의미학 Vol.68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comprehensively how the habitual, a kind of grammatical category, is realized in Korean. In Chapter 2, reviewed the prior studies and confirmed that ‘habitual’ can be defined as expressing some characteristic situations, via some actions appearing repeatedly over a long, different periods of time. In Chapter 3, after revealing that there are ‘-곤 하-’ and ‘-어 버릇하-’ as mark of Korean habitual,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s which they form e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tructions by ‘-곤 하-‘ could not represent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repeated, the truth and the general situation, such as permanent attribute. Also they could not co-occur with the expressions that specified a particular short time point or how many times the situations was repeated. Furthermore, although the constructions by ‘-어 버릇하-’ are similar in many ways to the constructions by ‘-곤 하-’,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at the subject should be animate and it mainly represents a situation in which the subject actively performs an action in that it is a relatively less grammaticalizated expression.

      • KCI등재

        한자어 반복형의 형성 방식

        곽유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4

        In this paper, we have critically examined the view that Sino-Korea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tive-Korean, was considered to AB in AABB by parallel-reduplication. As a result, there are only 37 Sino-Korean AABB repetition that are used in contemporary Korean, and the newly formed Sino-Korean AABB repetition by parallel-reduplication hardly appears. it is concluded that parallel-reduplication is not a productive process. In previous researches, it was observed that Sino-Korean began to affect with ABAB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in contemporary Korean. However, in fact, it was confirmed that Sino-Korean ABAB repetition appeared in Korean in the previous period. This shows that the affecting of Sino-Korean AB with ABAB existed even before the contemporary Korean. The affecting of Sino-Korean AB with ABAB should be regarded as general rather than exceptional phenomenon in the grammar system of Korean in that reduplication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irrespective of word type.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에서 한자어는 고유어와 달리 AB가 AABB로 竝列 重疊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보았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 AABB 反復形은 37개에 불과하며 병렬 중첩을 통해 새롭게 형성된 한자어 AABB 반복형도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共時的으로 병렬 중첩은 生産的인 과정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선행연구들에서는 현대 한국어에서 고유어의 영향을 받아 한자어도 ABAB로 重疊되기 시작했다고 보았으나, 실제로 諺簡 자료를 비롯한 국어사 자료들을 검토해본 결과 이전 시기의 한국어에서도 한자어 ABAB 반복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한자어 AB가 ABAB로 중첩되는 것이 현대 국어 이전 시기에도 존재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자어 AB가 ABAB로 중첩되는 것은 한국어의 문법체계 내에서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라 오히려 일반적인 것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비망라성을 나타내는 표지의 형식과 의미

        곽유석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7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병렬 구문의 비망라성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지의 특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비망라성을 ‘담화 상황에서 상정되는 집합의 요소들을 모두 포괄하지는 않는 성질’로 정의하고, 비망라성 표지의 유형으로 ‘어휘적 표지’와 ‘형태적 표지’를 상정하였다. 3장에서는 어휘적 표지로는 ‘등, 등등, 따위’를, 형태적 표지로는 ‘이며, 이니’ 및 ‘-거나, -든지’를 제시하였다. 이때 어휘적 표지는 자립적이고 최종 병렬항 다음에 분포하며 비망라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반면에 형태적 표지는 의존적이고 개별 병렬항에 결합하며 비망라성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는 차이가 있다. 4장에서는 비망라성 표지가 화자의 부정적인 가치 판단을 반영하는 경우와 완화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례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명사 병렬구성의 의미와 형태

        곽유석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form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ominal coordinate constructions on the level of morphology. In Chapter 2, three criteria for discrimination are set: wordhood, listedness, and naturality. And the expressions that meet these criteria are presented. Also, paying attention to what the speaker's motivation is to use these expressions, the speakers use nominal coordinate constructions to express superior concepts from the coordinands.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ominal coordinate constructions and tried to divide subtypes by paying attention to how the meanings of the coordinands constituting nominal coordinate construction are reflected in the meanings of the whol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et up juxtapositional coordinate constructions with features of [+compositionality] and [+coherence] and fusional coordinate constructions with features of [-compositionality]. Expressions with the features of [+compositionality] and [-coherence] were subdivided into four categories: multifunctional coordinate constructions, intermediate coordinate constructions, additive coordinate constructions, and multiply coordinate constructions through definitional test sentences. In Chapter 4, we looked a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nominal coordinate constructions, noting that some of the coordinands were abbreviated when forming coordinate constructions. As a result, in order to form a abbreviation,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a common element should exist among coordinands, but also structural and semantic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together. In addition, when all o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can be seen that the abbreviation phenomenon is somewhat productive. 본고에서는 형태 층위에서 나타나는 명사 병렬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형태적․의미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단어성’, ‘등재성’, ‘자연성’ 이상의 세 가지 판별 기준을 상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표현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는 화자의 동기가 무엇인지에 주목하여, 화자들은 하위 개념을 나타내는 요소들로부터 그들의 상위 개념을 표현하고자 명사 병렬구성을 사용한다고 보았다. 3장에서는 명사 병렬구성의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면서, 병렬구성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의 의미가 그 전체의 의미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주목하여 하위 유형을 나누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합성성], [+정합성]’의 특성을 지닌 병치적 병렬구성, ‘[-합성성]’의 특성을 지닌 융합적 병렬구성을 상정할 수 있었으며, ‘[+합성성], [-정합성]’의 특성을 지닌 표현들은 정의적 시험문을 통해 다기능적 병렬구성, 중간적 병렬구성, 가산적 병렬구성, 승산적 병렬구성 이상의 4가지로 세분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4장에서는 명사 병렬구성의 형태적 특성을 살펴보면서, 병렬구성을 형성할 때 병렬소의 일부를 생략하여 축약된 형태로 사용되는 것들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축약형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병렬소들 사이에 공통된 요소가 존재해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조건과 의미적인 조건까지도 함께 만족시켜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축약 현상이 어느 정도 생산적으로 나타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