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해양문화와 무역

        윤용혁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해양문화재 Vol.14 No.-

        Flow of people and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oceans is absolutely critical in shaping the cultural sphere in East Asia. In this sense, studies and research on true nature of maritime culture in 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trade are key to understanding East Asia in the world. This paper takes a comprehensive look into how the maritime culture unfolded historically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rade, keeping in mind the theme of the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the Base Ports of East Asia and Maritime Culture>.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served as a geographical foothold for expanding maritime exchanges and the world of the oceans in East Asia, connecting China to Japan. The role that Baekje (百濟; one of the three ancient kingdoms) played in further spreading its culture continued through trading activities of Jang Bo-go(張保皐) in the 9th century, for which geopolitical factors that the Korean Peninsula had become the main driving force. After the 11th century, increased activities of merchants from the Song Dynasty(松商) helped expand the economic sphere of East Asia. With this, an intermediary role that the Korean Peninsula played decreased significantly, which means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waters in East Asia.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trading activities in Ryukyu(琉球) were booming, which acted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East Asia, in other words, between Year 2023 marks the 700th anniversary of sailing and sinking of the Sinan ship, which presented a great opportunity for research into Korean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It is also the year that marks the 900th anniversary of the visit to Goryeo of Seogeung, an envoy from the Song Dynasty. I think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2023 as the “Year of Research into Maritime History in East Asia” and start preparing for it in order to put together historic nature of the ocean in East Asia and create a new driving force for future research. 동아시아 문화권이 형성되는 데는 해양을 통한 사람과 문물의 유통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교역이라는 측면에서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실체를 확인하는 조사와 연구 작업은 동아시아 세계를 이해하는데 절대적인 관건이 된다. 본고는 2020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동아시아 거점항과 해양문화>라는 국제학술세미나의 주제를 염두에 두면서, 무역을 통한 한반도 해양문화의 역사적 전개를 총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동아시아 해양 교류 및 해양 세계의 확대에 있어서 고대의 한반도는 중국와 일본을 연계하는지리적 발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백제(百濟)가 담당하였던 문화 확산 기능은 9세기 장보고(張保皐)의 무역 활동으로 이어졌다. 그것은 한반도가 갖는 지정학적 요소가 큰 동력이 되었다. 11세기 이후에 송상(松商)의 활발한 활동은 동아시아 경제권을 확대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반도가 갖는 중계적 역할의 기능은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동아시아 해역 세계의확장과 다원화를 의미한다. 15, 16세기에는 류큐(琉球)의 교역활동이 활성화하였다. 이는 동아시아의 남과 북, 즉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를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한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아시아의 해역 세계는 차츰 다원적으로 확산되고, 광역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2023년은 한국 수중 문화유산 연구에 획기적인 기회를 제공한 신안선의 출항과 침몰 700 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해는 송 사신 서긍의 고려 방문 90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동아시아해양의 역사성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의 새로운 동력을 만든다는 차원에서 2023년을 ‘동아시아해양역사 연구의 해’로 설정하고 지금부터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태안의 굴포유적 명칭 검토와 역사적 가치

        문광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0 해양문화재 Vol.13 No.-

        The Korean premodern dynasties ran the states based on spot goods such as rice and beans collected from the people. This grain was transported to Gaegyeong or Hanyang, the capitals of the two dynasties, Goryeo and Joseon by ships. Grain collected from the southern areas, the main areas of grain produ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had to be transported to the capitals via the western sea. Anheungryang, Taean was the place that vessels most frequently sank. Therefore, Goryeo and Joseon governments carried out large-scale engineering works that connected Cheonsu Bay to Garolim Bay to establish new transport policies for grain paid as a tax. It was Gulpo construction work of Taean. Gulpo construction work of Taean was done five times from Injong of Goryeo to Sejo of Joseon. Gulpo was opened in a form of transporting grain in vessels after storing water in Taejongdae Reservoir. But it was closed because it could not be utilized. And the rest Gulpo construction works of 4times all ended in failure. Nevertheless, this work was the political projects that a lot of labor and finances were input at the national level and a historical event which has been kept told until now beyond the Joseon Dynasty by reason that the historic sites remained. The Gulpo historical site of Taean has its historical value in that it was the longest project led by the premodern state, the onlly Gulpo historical site in Korea, and the repository of the tax shipping system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For these reasons, a lot of research results have accumulated and local governments such as Chungnam-do and Taean-gun moved to designate and preserve this as a cultural asset. By the way, the name of this Gulpo construction work arranged by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was not properly set. As the result, there were names such as ‘Taean Jogeo’, ‘Anheungryang Gulpo’, ‘Gajeok Canal’, and ‘Taean Gulpo Canal.’ Therefore, this writing tried to ascertain the name of Gulpo Historical Site of Taea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under the Established Rule No. 167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uidelines for Granting Historical Site Names and suggest it to use this in the future as the cultural asset name. For this, it checked that there was the Gulpo Historical Site's own name in various kinds of bibliographic data including village records and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s well as books published by governments such as 『History of Goryeo』,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Journal of the Royal Secretariat』. 'Taean Gulpo' and 'Anheung Gulpo' were found from them. Among them, it is feared that 'Anheung Gulpo' is confused with an areas of Taean Anheungjinseong Fortress,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No. 560. This thesis suggested naming it Taean Gulpo Historical Site', continous interest in it, and a necessity of establishing research plans by considering historical research and all the situations. 한국의 전근대 왕조는 백성에게서 거둔 쌀과 콩 등의 현물을 바탕으로 국가를 운영하였다. 이러한 곡물은 선박을 통해 고려와 조선 두 왕조의 수도인 개경과 한양으로 수송되었다. 한반도의 주요 곡물생산지인 남부지역에서 징수한 곡물은 서해 바다를 경유해야만 했는데, 그 중 선박의 침몰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곳이 태안 안흥량이었다. 따라서 고려와 조선정부는 새로운 세곡운송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천수만과 가로림만을 잇는 대규모 토목공사를 추진했는데, 그것이 바로 태안의 굴포공사였다. 태안의 굴포공사는 고려 인종대부터 조선 세조대까지 무려 5차례 추진하였다. 태종대 저수지에 물을 가둬두고, 배의 곡물을 옮기는 형태로 굴포가 개통되기는 했지만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4번의 굴포공사는 모두 실패로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사는 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노동력과 재원을 투입한 정책사업이었고, 그 유적이 잔존했다는 이유로 조선시대를 넘어 현재까지 회자되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태안의 굴포유적은 전근대 국가가 주도한 최장 프로젝트였다는 점, 국내 유일의 굴포유적지라는 점, 고려와 조선시대 조운제도의 寶庫라는 점 등의 역사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간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충남도와 태안군 등 지자체에서도 이를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런데 고려와 조선시대 추진된 이 굴포공사에 대한 명칭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했다. 그 결과 ‘태안 조거’, ‘안흥량 굴포’, ‘가적운하’, ‘태안 굴포운하’등의 명칭이 난립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문화재청예규 167호 ‘사적 명칭 부여 지침’에 의거하여 태안의 굴포유적 명칭을 고증하고, 이를 향후 문화재명으로 사용하기를 건의하였다. 이를 위해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관찬사서를 비롯하여 읍지, 문집 등 다양한 종류의 문헌자료를 통해 태안의 굴포유적의 고유명칭이 존재했음을 확인하였다. ‘태안굴포’와 ‘안흥굴포’가 그것이다. 그 중 ‘안흥굴포’는 현재 국사사적 560호인 태안 안흥진성이 있는 지역과 혼동할 우려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고증과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태안의 굴포유적 명칭을 ‘태안굴포 유적’로 명명할 것과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태안 안흥진성의 역사적 위상과 가치

        문경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0 해양문화재 Vol.13 No.-

        This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installing Anheungjin, the changes in its historic status, historic and cultural value. Its original objectives of installing Anheungjin were that it was directly connected in seaway with Ganghwa-do on the way to Hanyang and to protect the tax carrier passing by Anheung Headland. Especially, the role of Anheungjin has been strengthened while the defense of Hanyang was weighted after struggling Japanese Invasion and Manchu War. The building up of the castle is estimated around 16th century when the year of 1587 (Wanli 11) inscribed stones were found from Anheungjin Castle is considered. But it had lost its roles for a while and installation of new base was decided on 1653, in 1656-1657, the castle still remained to date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is study estimated the old Shinbungyo and Manho Site at Gusu Mountain as the camp of Anhangryang Manho in early Choseon Dynasty, and estimated the Daechung Site at Neungheo Pier as the site of the new military base had been established by Lee Geo at King Hyojong's era. It was confirmed that the original name of Shinjin-do had been named as Booeok-do, but called as Shinjin-do while new military base was installed during era of King Hyojong. For the evidence, the old map possessed at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suggested. Finally, this paper suggest for the castle to keep and control more systematically by appointing it as a historic remain in the viewpoint of its high historic and cultural value on the basis that the procedures of installing and closing of Anheungjin were remained in details, the well-kept rampart provides the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and building skill of naval port, a plenty geographical names and stories related to tax carrying and it bears comparison for the tourism site owing to its beautiful landscape. 이 글에서는 안흥진이 설치된 배경과 안흥진의 역사적 위상 변화, 그리고 역사·문화재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안흥에 수군이 처음 배치된 것은 왜구 침입이 극심했던 고려 후기였다. 이후 1370년(공민왕 20)에는 안흥량에 진수군(鎭戍軍)이 배치되고, 조선 건국 초기에는 안행량만호(安行梁萬戶)가 파견되기도 하였다. 그 후 세종 시기에는 소근진첨사가 수군을 나누어 지키는 안흥량수(安興梁戍)가 설치되었으며, 1595년 경에 제진(諸鎭) 중의 하나가 되었다가 1609년에는 거진(巨鎭)으로 승격되었다. 안흥진이 본래 설치된 목적은 한양의 길목인 강화도와 직접 뱃길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과 안흥량을 지나는 조운선을 보호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한양 방비책이 중요해지면서 안흥진의 역할 역시 강화되었다. 따라서 진성이 축조되었으며, 방어영으로 승격되고, 군량미를 비축하는 등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으나 청과 일본의 정세가 안정되면서 기능이 약화되었다. 안흥진성에서 1587년(만력 11) 명문이 새겨진 성돌이 발견된 것을 보면 처음 성이 설립된 것은 16세기 경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왜구의 침입이 잠잠해지면서 주목받지 못하다가 양난 이후인 1653년에서야 신진(新鎭) 설치가 결정되었으며, 1657년에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진성이 완공되었다. 한편, 본고에서는 그동안 진행된 발굴성과와 지명 및 전언 등을 토대로 신진도에 남아있는 구신진분교와 구수산 만호터를 조선 초 안행량 만호의 주둔지로 추정하고, 능허대의 대청터를 효종 때 이저가 건립한 신진의 터로 추정하였다. 신진도의 본래 명칭에 대해서는 본래 부엌도[廚端島]라고 불리다가 효종 대에 신진이 설치되면서 신진도라고 불리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근거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충청도읍지』 등의 지리지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안흥진 고지도, 『조행일록』, 『을해조행록』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 글에서는 안흥진의 설치와 폐지 과정이 매우 상세히 남아있다는 점, 성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수군진성의 구조나 축성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조운과 관련된 지명이나 이야기가 매우 풍부하다는 점,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관광지로도 손색이 없다는 점 등을 근거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는 점에 주목하여 사적 지정 등을 통해 좀 더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형고기바구니 연구와 보존처리

        장윤정,김진옥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8 해양문화재 Vol.11 No.-

        바구니는 물건을 담고 운반하는 도구로서 짚, 풀, 나무 등의 재료로 결어 만들어진다. 육지와 해안가에서 모두 사용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형태와 크기가 달라진다. 그 중 대형고기바구니는 대나무로 제작된 항아리 모양의 바구니이다. 과거에 바다에서 잡은 고기를 운반하거나 바닷물에 임시로 보관할 때 사용했으며, 특히 부산과 통영에서 장어를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다. 대형고기바구니는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①재료손질 ②밑바닥 짜기 ③옆면 짜기 ④입구 감기 ⑤힘대 넣고 마무리하는 순서로 제작된다. 얇은 대나무가 촘촘히 엮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대나무 사이사이로 바닷물이 순환된다. 이는 물고기가 보관될 수 있는 환경을 자연스럽게 조성해준다. 그래서 고기바구니에 보관된 고기는 다른 고기보다 건강하고 싱싱하게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자연재료인 대나무로 제작되기 때문에 수명을 다 하고도 자연으로 되돌아가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플라스틱 수족관과 플라스틱 통발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형고기바구니의 수요는 감소했고, 현재는 박물관 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최근 국립해양박물관에서는 한 점의 대형고기바구니를 보존처리 하였다. 바구니는 먼지와 이물질로 오염되고, 염분에 의해 손상을 입었으며, 바구니의 금속끈은 부식된 상태였다. 건식 및 습식세척 등의 과정을 거쳐 보존처리하고 적절한 온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에 보관하였다. 자연의 섭리와 조상들의 지혜로 제작된 고기바구니는 충분히 전승되고 기록될 가치가 있다. 이 연구가 토대가 되어 남아있는 대형고기바구니가 잘 보전되고 연구되길 희망한다.

      • KCI등재

        중국 내 섬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변화

        宁波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해양문화재 Vol.17 No.-

        섬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정책은 지속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국제 정세와 중국 경제건설 변화와 상호작용하는 역사적인 과정이다. 중국은 이와 관련해 1949년부터 권리 보호 단계, 개발 및 건설단계, 생태개발 단계의 3단계를 겪어 왔다. 본 논문에 언급되는 섬은 일반적으로 해양의 섬을 지칭한다. 중국에는 500㎡ 이상의 면적을 가진 섬이 7,300개 이상 있으며, 전체 섬의 해안선 길이는 14,000km로, 그중 대부분은 양쯔강 어귀 남쪽에 분포되어 있다. 전체 섬의 93%가 본토 섬에 속해 있고, 66%는 연안도이며, 사람이 거주하는 섬도 400개 이상이다.01) 이들 섬의 인구밀도는 국가 인구밀도의 5 배 이상이다. 중국에는 “세계 섬 분류의 모든 유형에 해당하는 많은 수의 섬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02) 섬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정책은 지속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국제 정세와중국 경제 건설 변화와 상호작용하는 역사적인 과정이다. 국가 품질기술감독국(bureau of quality and technical supervision)에서 발행하는 국가표준용어 – 해양지질학(National Standard Terminology – Marine Geology)에서는 이 섬들을 “500㎡ 이내 지역에 산재해있는 작은 토지”라고 규정하고 있다. 1982년 체결된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121조에서는 “섬이라 함은 바닷물로 둘러싸여 있으며, 밀물일 때에도 수면 위에 있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 지역을 말한다.”라고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은 2가지 측면에서 이를 간략히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18~19세기 목포진의 역할과 서남해 수군 네트워크

        정세훈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해양문화재 Vol.17 No.-

        본 연구는 18~19세기 목포진의 인적구성과 재정을 통해 그 역할을 살펴보고, 서남해 수군 네트워크에서 어떤 역할과 위치를 가지고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왕조실록』, 『경국대전』과 같은 중앙 사료들을 바탕으로 하면서 『무안읍지』 「목포진사례성책」 등 목포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사료들을 분석하여 구체성을 더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선 초기 해방체제 구축 과정에서 설진된 목포진의요해지성을 시작으로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 후기 도서지역에서 일어나는 변화들과 관련하여 목포진의 기능변화를 서남해 네트워크라는 틀 속에서 분석하였다. 고려 말부터 증가해온 왜구의 침입은 연안항로를 마비시키고 내륙 군현까지 위협하는 문제를 일으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 개창 초기부터 수군력을 바탕으로 한 해방체제 구축 노력이 있었다. 목포진 또한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영산강 하구에 설치된 해양 군사기지였다. 목포진은 전라도 서남해역을 관장하는 전라우수영이 거쳐 간 요해지 중 하나로, 병선을 정박하기 용이했으며 서남해의 연안항로와 유달 봉수대가 함께 입지한 해양 군사적 요지였다. 목포진을 구성하는 요소는 진성, 병선, 요망대, 봉수대 등 관방시설과 그 시설을 이용하는 만호와 진속, 병졸들이었다. 특히 진속과 병졸들의 경우 현황과 급대에서 그 역할뿐만 아니라 조선 사회 전반에만연했던 대립, 고립의 운영이 여실히 드러났다. 그리고 요망대와 봉수대의 경우 수직하는 별장과 군졸, 보인이 있었고, 그 수적 비중은 목포진에 있어 상당한 부분이었다. 조선 후기 들어서면 왜구의 침입이 줄어들고 황당선이 출몰하는 한편 도서지역에 입도하는 사례가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관리 기능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졌다. 목포진 예하의 요망군이 주둔한나주 소관 도서지역에는 새로이 수군진이 설치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 지역에 발생한 표류선 조치를 전라우수영에 직접 보고하는 독자성을 보였다. 목포진이 이들 도서지역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은 고문헌들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목포진의 경우 그 상황이 더욱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목포진의 설진과정과 맡은 역할을 살펴보면서 전라도 서남해의 해방체제에서 목포진이 갖는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설진 이후 계속 제진인 만호진의 위치를 고수한 목포진이 그 지위와는 다르게 19세기까지 서남해 도서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금(金) 중도(中都) 동개양방유적(東開陽坊遺蹟) 출토 고려청자 변화

        李永强,王繼紅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해양문화재 Vol.17 No.-

        동개양방(東開陽坊)은 금나라 중도(中都) 내 황성의 동남쪽에 위치하며(그림 1), 유적은 대략 현재의 북경시 서성구(西城區) 백지방(白紙坊) 동가(東街)의 남측, 우안문(右安門) 내대가(內大街) 동측에 위치한다(그림 2). 2020년과 2021년에 북경시고고연구원(原 북경시문물연구소)은 금 중도 동개양방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조사를 2년 연속으로 진행하였다. 발굴면적은 10,000평방미터이고, C1·C2·C4·AB 등 4개 구역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이번 발굴조사의 성과는 매우 풍부하며, 특히 도자기의 수량이 가장 많은데, 그 중에는 22점의 고려청자편이포함되어 있다. 이들 고려청자는 금대와 원대 두 시기로 나뉘며, 비색(翡色)청자·회청(灰靑)청자·상감청자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비색청자는 5점으로, 분별이 가능한 기종으로는 향로·자판[瓷板 혹은 상(床)]·반(盤) 혹은 세(洗)01)가 있고, 회청청자는 15점으로, 분별이 가능한 기종으로는 완(碗)·반(盤)·뚜껑[器蓋]·통형잔(筒形盞)·기물 족부[器足]·사두(渣斗)02)·향로·집호(執 壺)03)가 있다. 상감청자는 2점으로, 분별 가능한 기종으로는 편호(扁壺)와 완(碗)이 있다. 비색청자·회청청자·상감청자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