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신부전환자와 만성간염환자의 정신병리에 관한 비교 연구

        영재,옥종한,공진,김용관,김정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Objectives: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examin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hospitalized medically- ill patients, there were few studies in examin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non-psychiatric outpatients or comparative studies among the disease categories. Therefore, we wanted to explore 1) psychopathologies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those with chronic hepatitis, 2) differences of psychopathologies by severity, 3) differences of psychopathologies by the duration of illness, and 4) psychiatric consultation. This was the second series of the whole project. Methods:From March to April 1999, 38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26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who visited the medical outpatient department are included in the subject group and 116 persons who visited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September 1999 are included in the control group.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and inquired what they thought the causes of their illness were. We evaluated the patients with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ck depression inventory, Symptom checklist-90-Revision. Results:In state anxiety, 62.2%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fell into the anxious group, which is somewhat greater than the 52.0% of those with chronic hepatitis. The rates in both subjec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16.7%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were depressed, which is somewhat greater than the 9.1% found in chronic hepatitis. The rates in both subjec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When the state anxiety scores were compared during the duration of the illness, it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during the early phase of disease in both the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and the chronic hepatitis patients. In the depression, the scor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in the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when the duration of illness was between 1 to 5 years compared to other duration groups, while the patients of chronic hepatiti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constant. Most frequently, 36.2%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24.3% of those with chronic hepatitis thought the cause of their illness to be psychological , but the rates of psychiatric consultation in both subjects are 5.7%, 7.7% respectively. Conclusions:Our results suggest that proper psychiatric interventions are not being conducted yet and more cooperative and integrative roles are required among psychiatrists and internists. 연구목적: 불안, 우울에 관하여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았으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나 질환계 통별 비교연구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1) 내과 외래환자들의 정신병리, 2) 질환의 경중 도에 따른 정신병리의 차이, 3) 이환기간에 따른 정신병리의 차이, 4) 정신과 자문 현황을 알아보기로 하 였다. 본 연구는 전체 내과 외래환자에 대한 연구의 두 번째 과정으로써 만성신부전환자와 만성간염환 자를 비교해보기로 하였다. 방 법: 1999년 3월부터 4월까지 본원 내과외래를 방문한 자 중 만성신부전환자 38명과 만성간염환자 26명 을 대상군으로 하였으며 1999년 9월에 본원 건강검진센타를 방문한 116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STAI, BDI, SCL-90-R, 환자가 생각하는 발병원인 등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에 병록지를 검토하였다. 결 과: 상태불안의 측면에서 만성신부전군의 62.2%가 상태불안군으로 이는 만성간염군의 52.0%에 비해 약간 높았으며 두 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우울의 측면에서 만성신부전군의 16.7%가 우울군으로 이는 만성간염군의 9.1%에 비해 약간 높았지만 두 군 모두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이환기간에 따른 상태불안의 비교에서 만성신부전군과 만성간염군 모두 이환 초기에 불안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환기간에 따른 우울의 비교에서 만성신부전군은 이환 1년에서 5년 사 이에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만성간염군은 기간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환자 자 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발병원인에 대한 질문에 가장 높은 빈도로 만성신부전군의 36.2%, 만성간염군의 24.3%가 심리적인 원인이라고 답할 만큼 환자들이 심리적인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반해 정신 과 자문율은 두 군에서 각각 5.7%와 7.7%에 불과하였다. 결 론: 저자들의 결과로 근거하여 환자들이 겪고 있는 정신과적 문제에 비해 현재 적절한 정신과적 개입이 이 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들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정신과 의사와 내과 의사가 보다 협력적이고 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표준 영상의 압축/ 복원을 위한 양자화/ 역양자화 기능 모듈의 설계 및 구현

        이연성,공진홍 광운대학교 신기술연구소 1997 신기술연구소논문집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표준 영상 데이타의 압축/복원을 고성능으로 처리하기 위한 양자화/역양자화 기능 모듈에 대한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논한다. 기능 모듈의 성능은 SOG(Sea Of Gate) 구현을 통하여 20 MHz와 50 MHz의 클럭 속도에서 동작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the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functional module is presented, which aims at the high performance of data compression/decompression in the standard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The design, implemented in SOG (Sea Of Gate), has been verified at the clock speeds of 20MHz and 50MHz(in proces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지성애,윤현숙,박은영,지명,문수강,공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6 유아교육학논집 Vol.1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04 five-year-old children; 52 boys and 52 girls. The Object-Control Motor Ability Test and The Self-Regulation Ability Test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It used t-test and co-relation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score of the boy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 in object-control motor ability while the score of the girl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in self-regulation ability. It also reveal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boy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ose abilities in the girls group. 본 연구는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만 5세 남아 52명, 여아 52명 총 104명이었으며 ‘대상통제운동능력검사’와 ‘유아 자기조절능력 평정지’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과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통제운동능력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자기조절능력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성별에 따른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남아의 경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아의 경우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