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고정완(Go Jeong Wan),류혜숙(Ryu Hye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및 또래유능성과 정서지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정서지능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G지역 만 5세 유아 208명을 선정하였고, 유아의 기질, 또래유능성, 그리고 정서지능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자료들은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적응성 기질 및 또래유능성과 정서지능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적응성 기질 중 적응성은 또래유능성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정서지능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s young children sociality is emphasized, interest in peer competence is increasing. The study suggested the correlation of temperament,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8 5 - year - old infants in the G region, and their young children temperament,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investiga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mperament and the peer competence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emperament wa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 intelligence in relation to their peer competence should be addressed in childhood education classroom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동기, 교직적성, 교직전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정완(Go Jeong 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동기, 교직적성, 교직전문성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2,3학년을 선정하였으며, 2019년 4월 30일부터 5월 8일까지 총 249명을 대상으로 교직동기, 교직적성, 교직전문성, 교사효능감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직동기, 교직적성, 교직전문성과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동기, 교직적성, 교직전문성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교직전문성이 교사효능감에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발달을 위해서 교직전문성을 함께 발달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ptitude, Teaching Motivation,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n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pre-service teachers college in G city. A total of 249 subjects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2.0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primary outcom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eaching aptitude, teaching motivation,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Second, teaching aptitude, teaching motiv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behavior affected their teaching efficacy. In particular,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be a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teaching aptitude or teaching motivation in their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직선택동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정완(Go Jeong 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직선택동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고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및 영 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2,3,4학년을 선정하였으며 2019년 3월 12일부터 3월 15일까지 총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성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선택동기는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을 증진시켜주고 능동적인 동기를 부여해주면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rospective pre-service teachers’ personality and motivation for teaching influence their teacher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 s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 s motivation and teacher efficacy? A total of 225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3, 4-year college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he personality and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sonalit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 efficacy. Second, the motivation and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tiv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 effica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고정완(Jeong-Wan G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격유형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G지역의 3,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8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중 외향성과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은 교사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교사효능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교사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중 외향성이 강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 증진에 외향적인 성격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외향적인 특성을 함양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factor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To carry out the research, this experiment subjected 22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descriptive method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personality factors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he personality factor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the explanation power of personality factors for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25%, extroversion is one of the most personality factors of infant pre-serve early childhood teacher. Therefore, according to this research, a preserves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extraversion in personality factors is strongly desired.

      • KCI등재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정완(Go Jeong 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 사립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87명을 선정 하였으며, 2019년 1월 14일부터 1월 18일까지 의사소통능력, 정서지능, 또래유능성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은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발달을 위해서 정서지능을 함께 발달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on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87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primary outcom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 s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Second,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ed their peer competence. especially,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a more important variable in their peer compet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in relation to their peer competence should be addressed in childhood education classroom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정완(Jeong-Wan G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sense of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a great influence not only on teaching but also on infa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rospective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happiness influence their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were 264 pre-service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done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ternal happiness, inner happiness, and self-regulated happiness,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happiness,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he sense of happines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 - service teacher "s sense of happiness is a predictor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In conclusion, It is meaningful in seeking way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by enhancing the euphoria of prospective pre-service teachers during school life and strengthening positive aspect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processes of the institutions that train infant teachers.

      • KCI등재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능력과 또래유능성 및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고정완(Go, Jeong-Wa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7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능력과 또래유능성 및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만 3-5세 유아 174명을 선정하였고,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능력, 또래유능성, 유치원 적응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얼굴표정 정서인식능력과 또래유능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인식능력은 또래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얼굴표정 정서인식능력과 유치원 적응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인식능력은 유치원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acial expression emotional awareness ability, peer competence, and kindergarten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174 children enrolled in a private kindergarte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2.0 for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peer competence and facial expression emotional awareness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er compete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facial expression emotional awareness ability. Second, kindergarten adjustment and facial expression emotional awareness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kindergarten adjust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facial expression emotional awareness ability.

      • KCI등재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고정완 ( Go Jeong Wan ),최미숙 ( Choi Mi 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각 23명씩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이야기나누기를 활용한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cott(1992)의 Preventing Injury; A Safety Curriculum 내용을 중심으로 곽은복(2000)이 수정·보완한 것을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안전문제해결사고검사와 Kendall과 Wilcox(1979)가 개발한 SCRS를 유혜정(1998)이 번안하고, 이지현(2001)이 수정한 자기조절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은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총점과 하위 영역인 안전하게 놀이하기, 교통안전 규칙 지키기, 비상시 적절히 대처하기를 향상시켰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 총점과 하위영역인 자기통제력, 충동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ituational role play oriented safety education on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46 five-year-olds, at S kindergarten in G city. 23 children in one class became experimental group and 23 children in the other class became comparative group. Situational role play oriented safety education was applied to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a class involving safety discussion was applied to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s a test instrument, Scott’s (1992) Preventing Injury; A Safety Curriculum scale supplemented y Kwak Eun Bok was used. Also, in order to assess the self-regulation of the children, SCRS (Self-Control Rating Scale) developed by Kendall and Wilcox(1979) and revised by Lee (2001)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variate analysis (ANCOVA) using SPSS 21.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tuational role play oriented safety educ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ing both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erefore,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situational role play oriented safety education provides positive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협동게임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대인문제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Choi, Mi-Sook),고정완(Go, Jeong-Wan),이주화(Lee, Ju-Hwa),임은정(Lim, Eun-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협동게임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대인문제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만 5세 유아 63명으로,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21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협동게임활동, 비교집단은 협동게임활동, 통제집단은 개별게임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협동게임은 협동게임과 개별게임에 비해 유아의 공감능력 전체 및 하위 영역의 기쁨, 공포, 분노에 대한 공감능력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대인문제해결전략 전체 및 하위영역의 긍정적 해결전략과 부정적 해결전략에도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협동게임과 개별게임 집단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협동게임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및 대인문제해결전략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game activities with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s empathy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subjects were 63 five-year-old children at O kindergarten in G city. In experimental group(A), cooperative game activities with storytelling for young children were carried out, in comparative group(B), cooperative gam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carried out, and as for the control group(C), individual gam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empathy abilities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A group and the participants in both B and C groups. The A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B and C group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ies between the A group and the B and C groups. The A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B and C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operative game activities with storytelling tended to increas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pathy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