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진로발달단계에 따른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관우,김동주 한국직업재활학회 2012 職業再活硏究 Vol.22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strategies to activat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acteristics at each of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by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disabled people’s employment according to age and comparing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among the age groups. Based on the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stages, we divided career development into the exploration stage (17∼30 years), the establishment stage (31∼44) and the maintenance stage (45∼64).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46 sampled out of 4,566 people who replied to the 2010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excluding 420 who were aged 65 or older. They were analyzed comparatively through logistic regression in the aspects of demographic factors, health and disability factors, human resource factors, etc. As to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at the exploration stage, overall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was higher in household heads,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was higher in those who did not need much help for daily life. As to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at the establishment stage,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was higher in men who were household heads and non‐beneficiaries, those whose disability was mild, and who did not receive much help for daily life. Lastly, as to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at the maintenance stage, most of the variables were influential factors. That i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was higher in men who were household heads, did not have a spouse, and were not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ciaries, and according to disability and health factors, it was higher in those who had mild disabilities, did not need much help for daily life, had external physical disabilities, sensory disturbances or mental disorders rather than internal disabilities, and had high overall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Academic qualification generally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but those with certificates showed a higher probability.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을 진로발달단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진로발달단계별 주요 변인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시기별 특성에 맞는 장애인 취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uper의 진로발달단계이론을 근거로 탐색기, 확립기, 유지기로 구분하여, 2010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에 응답한 4,566명 중 65세 이상 420명을 제외한 4,146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요인, 건강 및 장애 요인, 인적자본 요인 등의 측면에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탐색기 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구주일수록, 일상생활의 전반적 만족도가 높고 일상생활에서의 도움이 작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확립기 장애인의 경우는 남성이면서 가구주이고 비수급자일수록 그리고 장애정도가 경증이고 일상생활에 도움을 적게 받으면서 일상생활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지기에서는 대부분의 변인이 영향요인으로 인구학적 요인에서는 남자이면서, 가구주이고 배우자가 있으며 국민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 경우에 취업할 확률이 높으며, 장애 및 건강 요인에서 장애의 정도가 경증이면서 일상생활의 도움이 필요 없을수록, 내부 신체장애보다 외부 신체장애, 감각장애, 정신장애일수록, 일상생활의 전반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고, 학력은 대체로 취업 가능성을 감소시키나 자격증이 있을 경우 취업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Mil-BART : 국방 표준 자연어 데이터셋을 활용한 군사 도메인에 특화된 사전학습 언어모델

        고관우,김한석,이수진 한국정보기술학회 202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

        특수 전문 분야에서 AI 기술 적용에 대한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방 분야는 전문성과 보안이라는 높은 장벽 때문에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 분야 AI 개발 여건 조성을 위해 구축을 추진 중인 국방 표준 자연어 데이터셋을 처음으로 적용해 군사 도메인에 특화된 Mil-BART 모델을 제안한다. Mil-BART 모델은 범용 말뭉치를 사전학습한 언어모델 BART의 토크나이저에 군사교범에서 추출한 토큰 49,107개와 국방논단에서 추출한 토큰 55,350개를 추가하여 구축하였다. Mil-BART의 성능 평가를 위해 군사 문장(군사교범 및 국방논단)과 비군사 문장(일반 뉴스)에 대한 이진분류 및 다중분류 실험을 진행한 결과, Mil-BART의 이진분류 재현률과 F1-score가 BART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방논단과 일반 뉴스에 대한 이진분류 재현률과 F1-score가 2%P 정도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in specialized domains is very active around the world. But, the defense domain has not been studied much due to the high barriers of expertise and security. In this study, we propose a Mil-BART model specialized in military domains by applying the defense standard natural language dataset, which is being built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AI development in the defense domain. The Mil-BART model was constructed by adding 49,107 tokens extracted from the Military Manual and 55,350 tokens extracted from the Defense Argument to the tokenizer of BART, which is a pre-trained language model based on generic corpor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il-BART, we conducted binary and multi-class classification experiments on military sentences(military manual and defense argument) and non-military sentences(general new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il-BART outperforms BART in Recall and F1-score of binary classification, especially improving Recall and F1-score of the binary classification for defense argument sentences and general news sentences by about 2%P.

      • KCI등재

        대학생자녀세대와 부모세대의 생활문화에 대한 인식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고관우,남진열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7 No.-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Jeju lifestyle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generation on the awareness of elderly care in Jeju. A total of 211 college students and 214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current research, SPSS/Win 22.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the college students’and parents’ generation displayed progressive tendencies, but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more progressive. Second, The recognition on the Jeju lifestyle was generally more positive in the college student. The Jeju female culture and family events culture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the college student. The awareness of elderly care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the college student. finally, the result of the elements of effect on the awareness of elderly care, the college student generation had a higher awareness of elderly care with a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main building and subordinate building cultures. The parents’ generation had a higher awareness of elderly care with a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Jeju female culture and mutual-aiding culture, and also in men.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의 대학생(자녀)세대와 부모세대가 인식하는 제주생활문화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는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2017년 5월1일부터 20일까지이며, 대학생(자녀)세대 211명, 부모세대 214명의 데이터가 최종분석에서 사용되다. 분석방법은 SPSS for Win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제주지역 대학생세대와 부모세대는 진보적 성향이 나타난 가운데 대학생세대가 좀 더 높았다. 둘째, 세대 간 제주생활문화와 노인부양인식 차이검증 결과 대체로 대학생세대가 부모세대 보다 긍정적 경향을 보였으며, 제주 여성문화와 경조사문화에서는 유의하였다. 반면 궨당문화는 대학생과 부모세대 모두 평균이하로 부정적 인식경향을 보였다. 노인부양의식에서는 대학생세대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노인부양의식의 영향요인에서는 대학생세대는 안거리밖거리문화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아지며, 부모세대는 남성일수록 제주 여성문화와 상부상조(수눌음)문화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이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관우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via awareness of alienation. The subjects include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ged 50 or older in the Jeju region.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otal 29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the subjects scored mean 3.04 and 3.08 points in life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alienation, respectively. Their scores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were mean 2.77, 2.93, 2.46, and 2.41 at public institutions,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private organizations, respectively. Secondly, the path analysis results show that both psychological distance on public institutions(β=-.161) and o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β=-.247) had direct effects on their awareness of alienation. Their awareness of alienation(β=-.293) had direct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Finally, psychological distance on public institutions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had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via awareness of alienation.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고령장애인의 심리적 거리감이 소외감을 매개로 삶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만50세 이상 고령장애인을 대상으 로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분석에는 294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와 소외감은 각각 전체평균 3.04점과 3.08점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은 공공기관 평균 2.77점, 노인여가시설 평균 2.93점, 장애인복지이용시설 평균 2.46점, 민간단체 평균 2.4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공공기관에 대한 거리감(β=-.161)과 장애인복지이용시설에 대한 거리감(β =-.247)이 소외감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소외감(β=-.293)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공공기관의 심리적 거리감과 장애인복지이용시설의 심리적 거리감은 소외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고령장애인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장애인의 SNS 활용인식이 장애극복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의 구조관계를 중심으로-

        고관우 한국장애인개발원 2022 장애인복지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people’s perception of the use of social media and overcoming disability through the mediating factors of health strength and self-esteem. For the research, the second panel survey on “the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onducted in 2019 by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was utilized. The data from 831 registered disabled people who had responded to both perception of the use of social media and health strength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89.2% of the survey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been communicating vocally with complete sentences. 80% of them had been contacting family members once or twice a week. Second, the most used social media platform was Kakao Story (37.2%), followed by Facebook (25.9%) and Band (21.9%). 90% of them had spent less than one hour online per da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self-efficacy showe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overcoming disability, while no significant nor mediating effect was found on health strength and self-esteem. Perceived usefulness showe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overcoming disability, and a significant indirect positive effect was found on overcoming disability through the mediating factors of health strength and self-esteem. As a result, perceived usefulness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overcoming disability through health strength and self-esteem.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SNS 활동과 이용을 통해 지각하는 SNS 활용인식이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장애극복에 미치는 구조적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 삶 패널조사’ 2차 데이터 자료 중 SNS 활동인식과 가족건강성에 모두 응답한 등록장애인 831명의 패널데이터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주요 의사소통은 음성(완전한 문장)이 89.2%였으며, 가족과 연락빈도는 1주일에 1~2회 이상이 80%였다. 둘째, 주요 활용 SNS는 카카오스토리(37.2%), 페이스북(25.9%), 밴드(2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은 장애극복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어 매개효과가 없었다. 하지만 인지된 유용성은 장애극복에 부(-)적인 직접효과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장애극복에 정(+)적인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인진된 유용성은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장애극복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제주지역 대학생의 취업 준비 활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고관우,남진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3 탐라문화 Vol.0 No.4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 상태와 취업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주지역 2∼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13부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부분 청년실업의 원인으로 일자리는 있으나 마음에 드는 일자리 부족을 들었으며, 안정적인 공무원(공기업)을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87.8%가 취업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구직예상기간도 58.8%가 2년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 실태를 보면 대부분 인터넷(86.5%)을 이용해 정보를 습득하고, 친구(26.6%)나 선배(23.7%)에게 주로 취업상담을 하며, 취업준비비용도 10만원 이하가 56.9%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8.5%가 전공과 희망직장이 일치한다고 하였지만, 희망직장의 채용조건과 취업준비내용은 62.3%가 불일치하였다. 셋째,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지각 수준은 여성, 3학년, 인문사회계열, 중상층에서 스트레스 수준의 평균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공-희망직장 일치도는 취업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취업가능성은 학업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취업스트레스에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채용조건-취업준비내용은 취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This study is to grasp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level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tress. The number of 313 university students(2nd∼3rd)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means of the SPSS WIN 18.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1)it has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have picked out lack of favorite work positions among other reasons for youth unemployment though there are some work positions, and that they preferred stable public officials. 2)Most of the students acquired relevant information from internet, and they mainly consulted friends or superiors. While 58.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ir majors and desired job positions were corresponding, only 37.7% of them admitt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employment conditions and employment preparation contents. 3)The employment stress levels perceiv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in average were generally high in female students, juniors,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students with higher than middle grades. 4)As for affecting factors in employment stress, the levels of correspondence between majors and desired job positions and employment possibility have turned out to be crucial as the former have negative effect on all the sub-areas and the latter on all the sub-areas except study stress while employment conditions and employment preparation contents had no effect.

      • KCI등재

        섭식 향상 활동 프로그램이 중증장애아동의 구강기능과 생활자립기능 향상에 관한 연구

        고관우,김동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0 재활복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섭식 향상 활동 프로그램이 중증장애아동의 구강기능과 생활자립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가정과 비슷한 제주시 소재 J중증장애인생활시설의 중증장애아동 중 장애인복지법상 장애 1급 판정을 받고 중복장애로 인하여 독립적인 섭식행동과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아동 4명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1일부터 2009년 3월 21일까지, 매주 3회씩 식사가 이루어지는 생활관에서 점심 또는 저녁시간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섭식 향상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12.0을 사용하여 비모수검정인 Wilxocon 검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섭식 향상 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구강기능은 Z값은 -1.841이고 p값 .033으로 사례 아동 4명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섭식 향상 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KISE 발달척도 -생활자립영역은 Z값이 -1.826dlrh p값이 .034로 아동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섭식 향상 활동 프로그램이 중증장애아동의 생활자립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섭식 향상 활동 프로그램이 중증장애아동의 구강기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일상생활에 필요한 적응행동을 향상시켜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eeding improvement activity program on the oral functions and living independence of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To achieve this, 4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who have trouble in daily life and independent feeding activities due to double disabilities, judged as first-grade disability by disabled people's welfare law, were selected amo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living in J Severe Disabled People's Institute located in Jeju. It was executed one and a half hours every lunchtime or dinnertime in the living center, 3 times a week from December 1, 2008 to March 21, 2009 (16 week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eeding improvement activity program, oral functions assessment and KISE scale of development-life independence domain were used to execute pre- and post-examination, and non-parametric Wilcoxon test method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the oral functions assessment before and after executing the feeding improvement activity program, the value of Z is -1.841 and p value is .033,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4 children's cases. Second, examining the KISE scale of development-life independence domain before and after executing the feeding improvement activity program, the value of Z is -1.826 and p value is .034,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4 children's cases, which indicates that the feeding improvement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eating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In conclusion, the feeding improvement activity program improves the oral functions of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and moreover promotes adaptative behaviors necessary in daily living, which makes it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disabled children.

      • KCI등재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가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관우(Ko, Kwan-Woo),황경수(Hwang, Kyung-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는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만족도와 장애인들의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의 차량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최종분석에는 총81부가 사용되었다.수집된 자료는 SPSS18.0을 이용하여,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분석결과,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이유로 휠체어 리프트 차량이라는 응답이 제일 많았으며,특별교통수 단 만족도의 수준에서도 휠체어와 관련된 안전성이 가장 높았다.반면 이용절차와 관련된 편리성은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특별교통수단 만족도 중 안전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만족감과 의식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따라서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를 높이고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권 확보를 위한 휠체어 리프트 차량 추가 지원과 안전 운행 및 이용절차의 개선이 필요하다. It is a research study to look at th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s are using a specific transportation system, and displays to see what e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survey of disabled persons in a moving vehicle assistance support Jeju vulnerable road users, using the final 81. Analysis, STS reason to use that vehicle wheelchair lift is the most common response, STS safety-related satisfaction was highest in the wheelchair. However, satisfaction of convenience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procedure was the lowest. The more stable satisfaction of STS is high,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satisfaction and the food, clothing and housing)was confirm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tilization procedures and safe operations and additional support of the wheelchair lift car to ensure rights of mobilit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실천체계에 따른 복지주체별 역할에 관한 연구

        고관우(Ko, Kwan Woo),남진열(Nam, Chin Yeol),김상미(Kim, Sang M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6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복지주체별 역할인식 및 역할수행 수준, 역할정립에 필요한 전달체계 구축원칙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지역복지서비스 실천체계로서 복지주체별 역할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제주지역 공공과 민간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복지주체별 역할과 역할수행 수준인식은 대체로 동일하게 나타난 반면, 도청과 행정시청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둘째, 복지주체별 전달체계 구축원칙 방향은 서비스 제공측면에서 공공의 경우 광역일수록 전문성을 바탕으로 통합성이, 읍면동일수록 접근용이성을 바탕으로 전문성 원칙이 제시되었고, 민간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접근용이성 원칙이 제시되었다. 네트워크 측면에서 공공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역특성 원칙이, 민간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통합성이 제시되었다. 자원개발 측면에서 공공은 전문성과 통합성이, 민간은 평등성, 전문성, 지역특성이 중요 원칙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실천체계에 따른 전달체계 구축 원칙은 서비스제공과 자원개발 추진체계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접근용이성이 강조되었고, 네트워크 추진체계는 통합성이 가장 우선 적용원칙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내용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 주체의 역할 방향을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the role, level of role performance,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welfare delivery system of welfare subjects for effective delivery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orkers working at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Jeju.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First, While community welfare subjects generally see the same level of roles and performance as well, Jeju-do and city office were different. Second, the result of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a delivery system of welfare subjects in the practice system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In terms of providing services, the public applied importance in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in metropolitan areas. and accessi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eup, myeon, and dong. The private applied importance in professionalism and accessibility. In terms of network, the public applied importance on professionalism and regional specificities, and the private applied importance on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In terms of resource, the public applied importance on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and the private applied importance on equality, professionalism, and regional specificity. Third, the result of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a delivery system in the practice system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Accessibility was emphasized in the system of initiating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and providing services based on professionalism. The system of initiating a network was displayed as the foremost priority.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role of welfare subjects is presented as a diagram.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고관우(Ko, Kwan-Woo),남진열(Nam, Chin-Yeol)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1

        본 연구는 실질적인 주 양육자로서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관련된 국내의 양적연구를 분석하고, 관련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 또는 장애아동관련 전문학술지 19종과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선정기준에 맞는 18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관련된 양적연구는 전문학술지 논문 6편과 학위논문 12편으로 2010년을 전후하여 최근에 발표되기 시작하였고, 학문분야별로도 특수교육(교육심리)학적 접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또한 장애아동의 장애유형에서도 단일 장애대상 어머니 보다는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장애아동 어머니를 연구하고 있어 장애유형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와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에서 인과관계분석은 10편으로 장애수용 변수는 대부분 독립변수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의 심리적 단계별 적응과정에 필요한 여러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연구의 방향과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analyze th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disabled children mother’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2)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of related studies. A number of 18 journals and 19 theses regarding disability and the disabled kid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the studies impor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mainly focused on the disabled children mothers’ acceptance of disability. They were published around 2010 and made from the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or educational psychology. Except this education related area,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so far. Their main focuses went on the mothers’ acceptance of disability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types or variances of disability. Additionally, they fail to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mothers might have in experiencing th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Their research design also lacks the relation variables of the levels of those mothers’ acceptance in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to disability. Finally, suggestive remarks have been made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