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GaN계 발광다이오드의 습식식각을 이용한 ITO 표면 형상화에 따른 광 추출 효율 증가

        강지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LEDs) have been intensively developed and utiliz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traffic lights,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 light units. The most ambitious target is solid-state lighting, replace fluorescent lamps. To improve the light-output-power blue LEDs, maximum efforts have to be includes to increase both the internal and extraction efficiency. Recent crystal growth technology has improved the internal efficiency, while the extraction efficiency still remains low because of the total reflection at the surfaces of LEDs. A large frac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is reflected at the surface, because of th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between the semiconductor and air. Thus, the internal light has difficulty escaping into the air from the semiconductor and the critical angle of the total reflection is as small as approximately 23°. The light which fails to emit from the LED is absorbed by semiconductors and electrodes. Therefore, much work has focused on improving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ne method that has been suggested for increasing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an LED by shaping the LEDs appropriately into hemispheres of truncated inverted pyramids, for example. Although this approach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efficiency, it makes the LEDs quite costly. It also makes the processing more complicated and expensive. Another approach to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GaN-based LED is to roughen its upper surface of side surfaces by etching to destroy the planar nature of the surface, enabling the light to exit more effectively. In this study, improvement of light output of InGaN/GaN-based LEDs with surface textured ITO electrodes by selective wet-etching and nanotextured ITO electrodes using ITO nanosphere by wet-etching. The first, experiment of surface textured ITO electrodes by selective wet-etching.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all grown on sapphire substrates by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To fabricate LED devices(315×315μm²), mesa etching was carried out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ITO p-type contact layers were deposited by electron-beam evaporator. 4μm hole pattern on an ITO layer was formed by standard lithography and wet etching technique. The output power of 10s, 20s, 30s etched LED was 3.6%, 14.2%, 9.8%, respectively, which a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LED. The second, experiment of surface nano-textured ITO electrodes and GaN by ITO nanospher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all grown on sapphire substrates by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To fabricate LED devices(315×315μm²), mesa etching was carried out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ITO film layers were deposited by electron-beam evaporator. ITO nanosphere on GaN layer was formed by wet etching. Two different types were designed. Type 1 is ITO nanosphere for etch mask of GaN surface. Maximum light output power 21% was observed at the entire surface area of GaN textured LED. Type 2 is ITO nanosphere for nanoroughness of ITO electrodes. The output power of transparent surface roughed LEDs about 7~11% which are higher than that conventional LED.

      • 제2언어습득 과정의 상호작용 유형과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강지혜 慶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학습에서 짝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밝히고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찾아 이들이 학습자의 제2언어지식의 습득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짝 활동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발화특징을 분석하여 상호성과 동등성을 기준으로 상호작용 유형을 구분하였다. 자극회상기법을 활용한 사후인터뷰를 통하여 상호작용 직후 학습자들의 인식, 태도, 감정요인과 같은 정의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상호작용 유형과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바탕으로 각 학습자들의 문법, 어휘에서의 언어지식이 그들의 현재 수준보다 한 단계 나아가 발달했는지에 초점을 두고 지식의 전이현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다섯 가지의 특징적인 상호작용 유형이 발견되었다. 상호작용 유형은 짝과의 상호작용을 할 때 조력요청, 조력제공, 비조력 형태의 발화와 학습자 개개인의 발화특징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주도와 수용-의존과 수용형, 협력-협력형, 지배-수동형, 수동-수동형, 지배-지배형의 다섯 가지 유형이 본 연구에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주는 정의적 특성들이 있었다. 상호작용 유형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발화 특징이지만 발화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정의적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상호작용을 할 때 상대방과 자신의 성격과 실력인식, 상호작용에 대한 만족과 역할인식, 상호작용에 대한 흥미, 친밀감과 같은 상호관계, 의사결정과 과제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과 느낌이 상호작용 유형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상호작용 유형과 정의적인 특성들이 학습자의 문법, 어휘지식의 습득과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상호작용이 지배-수동형의 일부 수동형 학습자의 언어지식의 전이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상호작용 유형은 학습자의 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지만 아주 미흡했음이 증명되었다. 짝의 도움제공과 자신의 실력향상, 역할에 대한 인식과 같은 정의적인 특성들은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주었으며 언어지식의 습득과 관련이 있었다. 짝의 도움이 인지적인 도움으로 새로운 어휘 습득과 문법의 향상에 상당한 도움이 되었음을 언급한 학습자 대부분 올바른 언어지식의 전이로 실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상호작용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실력과 짝의 실력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상호작용 과정에서의 역할을 달리 하였으며 이는 상호작용 유형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결국 언어지식 습득에 차이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실은 제2언어지식의 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호작용 유형만으로 결정되지 않으며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따라 언어지식의 습득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상호작용 유형과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은 모두 제2언어지식 습득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drew upon oral interaction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mong Korean English learners to identify the types of interaction that feature peer interactions and then explored the learn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association with their verbal interaction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their second-language acquisition. By focusing on the learners’ pair activitie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features of their speech acts to categorize interaction types in terms of mutuality and equality. Conducting post-interaction interviews through the use of the research method of stimulated recall, the researcher extracted the learners’ affectives such as awareness, attitude, and emotion, immediately after the respective interactions in pairs. Built on the interaction type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knowledge transfer was also examined in order to see any improvement in the learners’ linguistic knowledge of grammar and vocabulary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ir immediately preceding leve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encapsulated as follows. On the basis of such criteria as help requests, help offers, nonassistive speech acts, and individual speech-act features, first, the researcher’s observation on student interaction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five distinct types of interaction: (a) initiation and receptiveness-dependence and receptiveness, (b) collaboration- collaboration, (c) dominance-passiveness, (d) passiveness-passiveness, and (e) dominance-dominance. Seco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interaction types. Although speech-act features directly affected the formation of interaction types, affec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impact speech-act features. Specifically, factors that served as the determinants of the formation of interaction types were (a)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ir own personality and language proficiency as well as those of their counterparts while engaging in pair activities; (b) interests in the interaction and mutuality such as rapport; (c) satisfaction with the interaction and perceived roles; and (d) the learner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making decisions and task types. Third, interaction type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germane to the learners’ acquisition of grammar and vocabulary. Interactions with peers positively influenced some of the passive learners in the dominance-passiveness interactions. Except for this interaction type, language acquisition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in most other types.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learners’ perceptions of their peer’s contribution, their own improvement, and their role exerted influence over interaction types and were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linguistic knowledge. Some improvements were made for those learners who perceived their peer’s help as cognitive, which was conducive to acquiring new vocabulary and improving grammar. The role in the interaction process was based on the learners’ perceptions of their own abilities relative to those of their peers; thus, it became the crucial factor in constructing interaction types which eventually led to a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linguistic knowledge. Finally, the most noteworthy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interaction types were not the only factors that influenced second-language acquisition, and that learn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were also pivotal to determining the extent to which L2 knowledge was acquired. Hence, both were influential in second-language knowledge acquisition.

      • 조건을 달리한 문제 상황에서 예비 교사들의 일-운동에너지 정리 적용 형태 조사

        강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조건을 달리한 문제 상황에서 예비 교사들의 일-운동에너지 정리 적용형태를 조사하여 일과 에너지 관련 교수 학습지도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운동에너지 정리에 대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K 대학의 일반물리 수강생 2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모두 11문항으로 주어진 질문에 대한 응답을 선택한 후 응답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에서 선택형 문항은 정오로 채점하고 그에 따른 서술형 응답 이유는 유사한 유형끼리 구분하여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학생들이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검사도구의 유형을 위치에 따라 힘이 변하는 그래프를 제시한 상황, 바닥에 놓인 물체를 이동시킬 때 마찰 조건을 달리한 상황, 한번 힘을 가해 밀 때 나중 운동 상태가 다른 상황, 물건을 들어 올리는 상황, 정지해 있던 엘리베이터가 올라갈 때 나중 운동 상태가 다른 상황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일-운동에너지 정리에 대한 적용은 높지 않았다. 문제를 해결할 때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사용한 학생의 상당수는 조건을 달리한 문제 상황에 따라 잘 적용하고 있었다. 일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알짜일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 마찰의 유무가 영향을 주고 있었고, 몇몇 학생들은 운동에너지 변화량과 속력 변화량을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일-운동에너지 정리의 사용보다는 힘이나 거리 등에 초점을 두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자신이 선택한 답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서술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일-운동에너지 정리와 관련된 학습 지도 시에 운동에너지 변화량과 속력 변화량의 차이를 인식시키며 일-운동에너지 정리에서의 일이 알짜일을 의미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다양한 상황을 통해 이해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Dalcroze 솔페즈 교수법을 적용한 피아노수업이 음악성 및 정서함양에 미친 효과 검증

        강지혜 한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외의 피아노 교육은 예술적인 기본 소양을 기르고 긍정적인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어린 학습자들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어린 피아노 학습자가 음악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역량을 키우는 목적의 구조적이고 실질적인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여 피아노 교사들은 학생들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교육 음악현장의 중심이 되는 초등학생들의 음악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개발하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피아노수업이 음악성 및 정서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이루어졌다. 효과적인 연구를 위하여 피아노수업의 주제 선정 후, 현재 피아노교육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작품을 활용하여 음악 요소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12차시의 Dalcroze 솔페즈 교수법을 적용한 피아노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피아노수업지도안은 학생들의 음악성 향상을 위하여 초견과 청음, 이론, 연주 그리고 창작의 영역을 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별히 본 수업지도안은 Piaget의 발달이론에 근거하여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초등학생 학습자에게 적합한 Dalcroze 솔페즈 교수법을 근간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지도안을 Dalcroze 국제공인자격증 소지자 5인에 의해 내용 타탕도를 검증한 후,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였고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음악 교육 배경에 따른 음악적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정서지능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의 경우 집단 간 차이가 있었을 때 Scheffe 사후검정을 통해 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구 대상자에 음악성과 정서 영역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들의 학년과 피아노 교습 기간, Dalcroze 수업 기간이 음악성과 정서 영역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학생들의 음악성에 있어서 음악 적성과 초견, 청음, 이론, 연주, 창작 영역에서 수업 참여 전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이 향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정서 영역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정서지능 그리고 자아존중감 검증 결과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비추어 볼 때, Dalcroze 솔페즈 교수법을 적용한 피아노수업은 학생들의 음악성과 정서 함양에 효과적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초 사교육현장에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업 지도안을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음악성 향상과 더불어 심리·정서 영역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이 20명의 소수인 것과 편의집단이며 단일집단 설계에 의해 적용된 것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후속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확장하여 검증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Recently, piano lessons have been used to develop basic artistic groundings and cultivating positive emotions to a wide range of people from children to adul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practical and structured lesson model for children to study music continuously that piano teachers have much trouble from teaching them.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practical and structured lesson model for children studying music continuously. Hence, this study develope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musica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majority in the private education field, and verified the developed piano lesson's effectiveness in musicality and emotional cultivation. For this study, after selecting subjects for piano lessons, a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usical elements from current textbooks in the private education field. Based on this analysis, the plan of Dalcroze Solfège Applied 12 Piano Lessons was developed. The plan was designed to have even experiences in sight reading, aural training, theory, performance, composition, and improvisation for musicality improvement. Particularly, this plan was developed based on the Dalcroze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are in the concrete operational stage of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plan was validated by 5 Dalcroze licensees before being applied.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seek changes in musical aptitude, academic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vary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usical education backgroun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sult of one-way ANOVA, Scheffe's method was used for post hoc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ngth of piano lessons and the length of the Dalcroze Method produced a positive change in a participant’s musicality, emotions, and grades. Concretely, for participants' musicality, musical aptitude, sight reading, aural training, theory, performance, composition, and improvisation showed much improvement compared to pre-participation. Their emotions, academic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showed meaningful changes in the test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Dalcroze Solfège applied piano lessons was recognized to be effective in a student’s musicality and emotional cultivation. Thus, it was considered to have positive contributions on students' musicality and psychological emotion when the developed plan was applied in the basic private education field. Lastly, this study is limited to a single study group of 20 participants and convenience sampling. Thus, it is expected to be verified with diverse participants in the succeeding studies.

      • 실업자 직업훈련이 재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지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Because of rapid technological change, globalization, and flexible labor market, unemployment and unstable employment become unavoidable social risks. Meanwhile, decline of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aging become threats of welfare state financing. As a resul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ALMP) among welfare states because it can better replace the expansion of passive cash benefits. Job training, one of the ALMPs, aims not only to help reemployment of unemployed person but also prevent them from the poverty by increasing wage and employment stability of low-skilled and low-wage worker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job training affecting on reemployment performance of the unemployed,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training by comparing between former low-income workers and non-low-income workers. Following these analyses, the study showed how job training in Korea play the role in supporting better labor market transition of low income workers who are known as workers with experiences of low paid job and unemployment repeatedly as well as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job training policy in Korea.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training, this study used data from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4-17(2011-2015). The selected subjects ar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unemployment during 2011-2015. Logit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raining participation increases reemployment probability, and muli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raining participation increases reemployment income and employment duration. In addition, Two-Stage-Least-Squred (2SLS) regression using instrument variable was applied to consider the problem of selection bias which can arise from selection of job training. Next,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 of former job income level on moderating relationship between job training and reemploy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reemployment probablity. However, job train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variation of reemployment income and it also had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duration. Thus, it can be implied that existing job training is helpful for reemployment and staying in the labor market. However, it did not a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such as income or employment stability. Second, the effect of training on reemployment performance appeared differently between low-income workers and non-low-income workers. Specifically, the effect of training on employment rate was higher in low-income workers than non-low-income workers. Train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come of non-low-income workers, whereas i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ncome of low-income workers. The analysis of employment duration showed that training appeared to have more negative effect on low-income workers’ duration than non-low-income workers. To conclude, among job training particiants, former low-income workers were more likely to get jobs faster than non-low-income workers.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low-income work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such as income and stability through the job training. Although job training is expected to help them escape from low income situation, existing job training in Korea does not seem to achieve enough level.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training seems not enough to make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Since private training providers have increased after changing the training policy into an account system, evaluation and monitoring on training organization and training course should be reinforced. In addition, training outcome is currently evaluated only from short-term employment rate. Thus, qualitative aspects of employment such as wage and employment reten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in order to motivate training organizations to make efforts in increasing the long-term quality of employment of training participants. Second, training participants had shorter duration of employment, which implies that many of them get jobs that did not meet their expectations after training. Therefore, public employment services should provide information that enable the unemployed to choose a training course that has a long-term potential in the labor market. A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s that help the unemployed to find job that match to the training field and skill level after the training. Third, former low-income workers seem to be burdened with livelihoods. Thus, they were unlikely to have enough job search as well as had the lower reservation wage. Also, because low-income workers have low human capital level and feel pressures from the cost that can be made during the training, as a result, their training outcomes may become lower. Therefore, training policy targeting low income workers is needed. Considering their low human capital levels, they not only need training for skills in a specific field, but also general vocational 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ort of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Also, due to their economic situations, the training support benefits should be extended to cover other expenses such as textbooks and training allowance. Fourth, there is need to improve overall labor market policy as well as job training policy for low income workers. Public employment services that link training with employment should help low-income workers to find jobs which can sustain long-term wage increasing and stable employment, and should provide continuous support to manage their long-term careers rather than the temporary suppor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raining businesses in order that low education level or previous job career does not play role as obstacle against reemployment. At the same time, unemployment benefits that exclude many low-income workers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enable the unemployed to have the effective job search. 빠른 기술의 변화와 세계화로 인해 노동시장은 유연화되었고 실업과 고용불안정은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제성장 저하와 더불어 저출산 고령화의 인구구조 변화로 복지재정은 위협을 받게 되었고, 복지국가들은 기존의 현금급여 확대를 대신할 적극적노동시장정책에 주목하고 있다. 이 중 특히 직업훈련은 실업자의 재취업을 도울 뿐 아니라 저숙련∙저임금 근로자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소득 상승과 고용안정을 통한 빈곤예방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업자 직업훈련이 실업자의 재취업 및 재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 효과가 이전 일자리 소득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직업훈련이 저소득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는 저소득 근로자의 더 나은 노동시장 이행을 돕는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앞으로 직업훈련 정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14-18차(2011년-2015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좌제 전환 이후의 직업훈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해당 시기의 실업자를 대상으로 직업훈련 경험 여부가 취업확률을 높이는지 보기 위해 로짓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재취업 소득의 변화가 양(+)의 값으로 크게 나타나는지, 고용유지기간이 더 길게 나타나는지를 보기 위해 다항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직업훈련 선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택편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이용한 2SLS추정법을 활용하였다. 이어서 직업훈련이 재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이전 일자리 소득 수준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은 재취업확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재취업 소득의 변화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고용유지기간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재의 직업훈련이 실업자의 재취업을 촉진시키며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소득이나 고용의 안정성과 같은 질적인 수준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업훈련이 재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저소득 근로자와 비저소득 근로자 간에 다르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직업훈련의 재취업 확률을 높이는 효과는 비저소득 근로자에 비해 저소득 근로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직업훈련은 전직 비저소득 근로자의 재취업 소득 변화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직 저소득 근로자에게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유지기간을 살펴보았을 때도 직업훈련은 비저소득 근로자에 비해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유지기간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즉, 직업훈련을 받은 실업자 중 이전 일자리 소득수준이 저소득이었던 실업자는 비저소득이었던 경우에 비해 더 빨리 취업하지만, 취업의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키기는 더욱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업훈련은 전직 저소득 근로자가 저소득을 벗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직업훈련은 충분한 수준이 아니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의 질이 생산성 향상을 끌어낼만큼 충분하지 못해 훈련의 역할이 단순히 실업자를 노동시장에 재진입하게끔 하는 것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계좌제 전환 이후 민간에서의 훈련제공자가 많아진 만큼 훈련기관과 훈련과정에 대한 평가와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는 취업성과를 단기적인 취업률로만 평가하고 있는데, 임금이나 고용유지와 같이 질적인 측면 역시 평가지표로 포함하여 장기적인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방안도 고려할만 하다. 둘째, 직업훈련을 받은 사람의 고용유지기간이 짧다는 점을 미루어 봤을 때, 직업훈련 후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일자리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선 훈련 전에 훈련생이 장기적으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분야의 훈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담이 이루어져야 하며, 훈련 후에는 훈련 분야와 숙련수준에 맞는 일자리로의 취업을 돕는 고용지원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전직 저소득 근로자의 경우 생계유지에 부담을 느껴 실업기간을 줄이는 대신 충분한 탐색기간을 갖지 못하고, 동시에 의중임금(reservation wage)을 낮추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훈련과정에서도 저소득 근로자는 기존의 낮은 인적자본 수준과 훈련기간 동안 발생하는 비용 부담으로 인해 훈련성과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전직 저소득 근로자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훈련정책이 필요하다. 훈련과정에서 기존의 낮은 인적자본 수준을 고려하여 특정분야의 기술을 배우는 훈련 뿐 아니라 일반적인 직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이 동시에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내일배움카드제의 지원 한도를 늘려야 한다. 또한 이들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해 교재비 등을 포함한 훈련비용 지원을 강화하고 충분한 훈련수당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저소득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훈련정책 뿐 아니라 이와 관련한 통합적인 노동시장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 훈련 후 취업과 연계해주는 고용지원서비스는 저소득 근로자가 장기적인 임금 상승과 안정적인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일자리 탐색을 돕고, 일시적인 지원이 아니라 장기적인 노동경력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재취업에서 낮은 학력이나 이전 일자리 경력이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도록 기업 관계자들의 훈련에 대한 인식 개선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훈련을 마치고 충분한 탐색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실업부조 등의 형태로 생계비를 지원하는 소득보장정책이 동시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셸리의 생태학적 상상력 : 『풀려난 프로메테우스』연구 : a study of Prometheus unbound

        강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study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Percy Bysshe Shelley's Prometheus Unbound. Shelley, who criticizes materialism and defends human mental power, learns what love is through his imagination and he thinks that all mankind can go beyond what we dream. To be set free from the irrationalities of reality, Shelley is born again as an emblem of humankind and he reflects his own will onto Prometheus. From the introduction of this story, Prometheus has bound himself to a lifeless earth. Together with the cold earth supporting Prometheus, they share their fate on a painful journey to recover life. There is a deep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thoughts and unbound Prometheus recovering his life together with the Earth. It is because there were side effects not only to na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rationality and industry, but also to humans in the 19th Century, in Shelley's time. Thus, Shelley reflects nature to the earth, humans to Prometheus and imagines liberating restrained humans. In other words, this is a dream of restoring destroyed nature by civilizations in those days. Shelley was known as a vegetarian and his attitude is also reflected in Act Ⅳ. After being set free from his absurd spirit, Prometheus realizes the unity of nature and humanity through a life of simplicity. Thus, what does a deep ecological life mean to the readers of the 21st century? The divers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we face are much more serious now. Today, readers must reconsider their attitude towards nature, by looking at the root of the issues instead of holding onto a flawed sense of idealism. One of the keys that Shelley described in his work would be the deep ecological imagination and the simple life. Humans and nature are inseparable. When nature is dry and struggling, humans also suffer from that pain as we are a part of nature. In addition, these ecological thoughts promote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technological world to transform their ideas on nature. In other words, ecological imagination makes peopl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Also, it makes changes and promotes an ecologically responsible pattern of life. Hence, Shelley in the story takes great pain to achieve a utopian world where mankind and nature can live in harmony through ethical relationships through his literature.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 영국은 혁명과 반혁명으로 점철된 격렬한 변화의 과정과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 그리고 예술사조로서 낭만주의는 프랑스혁명과 영국이 주도했던 산업혁명의 역사적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퍼시 비쉬 셸리(Percy Bysshe Shelley)는 이러한 혁명의 시대 전반에 거의 일치되는 시기를 치열하게 산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본연의 의도를 상실한 이중혁명(프랑스 혁명, 산업혁명)의 성쇠는 셸리와 같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었다. 특히 산업혁명의 끔찍한 폐해는 낭만주의 자연시인들에게 자연을 재고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는데, 18세기 이후 자연은 더 이상 시인들이 풍월만 할 수 있는 자연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꽃을 피운 낭만주의 운동은 프랑스 혁명의 폭력성과 산업혁명에 따른 자연오염에 대한 대응으로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셸리에 관한 논의는 급진적 개혁자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키는 경향이 주를 이루었다. 당시 셸리가 살던 영국은 대외적으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변화가 요구되었던 암울한 상황이었고 대내적으로는 인습, 형식, 부당한 권력, 허위 등으로 이루어진 사회질서가 새로운 사상과 개혁을 방해하고 있던 시기였다. 셸리는 그의 상상력을 작품에 투영하여 부조리한 사회 현실에 좌절하지 않고, 현재의 억압으로부터 풀려나기 위해 미래의 가능성을 열었다. 즉, 셸리는 당시의 역사적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면서 자신을 포함한 모두의 노력으로 사회를 변모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진 것이다. 그러한 셸리의 이상주의적 희망은 그의 작품 속에서 유토피아 도래의 필요성과 인간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사회 창조의 당위성을 재인식시킨다. 셸리의 작품에 나타난 희망적 유토피아 건설은 최근 환경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생태학적 상상력에 관한 고찰로 이어진다. 생태학적 상상력은 근본적으로 현재의 환경위기와 관련하여 현대비평을 보다 실질적이고 윤리적인 책임감을 갖는 방향으로 재 정향 하려는 움직임중의 하나이다. 19세기부터 서서히 시작된 환경의 오염은 현재 자연과 인간을 속박하고 있으며 암울한 미래를 예상하게 하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기에 셸리의 생태학적 상상력은 현재 처한 인류의 자연 환경적 관점에서 셸리의 시를 고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셸리가 당대의 자연을 어떠한 모양으로 표현해냈는지 가늠하게 한다. 작품『풀려난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Unbound)에서 셸리는 물질주의를 비판하고 인간 정신 능력을 옹호하는 상상력을 통해 인류가 꿈꾸는 이상세계를 희망한다. 셸리는 현실의 부조리들로부터 해방되기 위해 인류의 표상으로 다시 태어나고 그런 자신의 의지를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에 투영시킨다. 이 극의 시작부분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생명력이 없는 대지(The Earth)에 속박되어있고 그를 지탱하는 차가운 대지는 프로메테우스와 함께 생명력을 찾기 위해 고통스러운 여정을 함께한다. 프로메테우스가 해방되어 대지와 함께 생명력을 찾는 것은 생태학적 사고와 깊은 관계가 있다. 프로메테우스의 속박의 원인은 문명 또는 이성으로 상징되어지는 불이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셸리가 살던 19세기는 이성과 산업의 발달로 자연은 물론 인간에게도 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그리고 그러한 부작용의 원인인 이성은 바로 프로메테우스가 훔친 불의 원형에서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셸리는 자연은 대지로 인간은 프로메테우스에 투영해 속박된 인류를 해방으로 이끄는 상상력을 펼치는 것이다. 즉, 이것은 셸리가 인간의 문명으로 인해 파괴되어지는 당대 자연의 해방을 꿈꾸는 것이기도 하다. 셸리는 채식주의자(vegetarian)로 알려져 있는데 이 극의 Ⅳ막은 이러한 생태주의자로서의 셸리의 실천적인 삶을 대변 해준다. 자신의 온갖 부조리한 마음으로부터 해방된 프로메테우스는 수수한 거처(a simple dwelling)에서 자연과 인류의 합일을 이루어낸다. 그렇다면 이 작품 Ⅳ막에서 펼쳐진 심층 생태주의적 삶이 21세기를 살아가는 독자에게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 것일까?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문제는 당대의 환경보다 더 위험한 수준에 도달해있다. 그러한 만큼 현대의 독자는 이미 상실되어진 자연을 미화시키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근본적인 자연에 대한 인간의 실천적인 태도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러한 하나의 열쇠가 셸리가 그의 작품에서 드러낸 심층 생태학(Deep Ecology)적 상상력일 것이다. 인간과 자연은 더 이상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자연이 메마르면 인간 또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학적 사고는 과학과 문명세계에 사는 사람들에게 자연에 대한 생각의 전환을 도모하게 한다. 즉, 생태학적 상상력은 우리로 하여금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근본적인 변화를 꾀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생태학적 삶의 실천을 도모하게 하는 것이다.

      •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강지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에 위치한 공립 단설 S유치원 특수학급에 재원 중인 자폐성 장애 유아 중 표현언어와 수용언어가 2년 이상 지체된 유아 한 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대상 유아의 자발화가 발생할 때마다 자발화 빈도를 기록하는 사건기록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상황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과 중재는 대상 유아에게 익숙하고 매일 반복되는 유치원 일과 중 특수학급 자유선택활동 시간, 점심시간, 바깥놀이 활동에서 실시하였으며, 중재 종료 후에는 중재 상황과는 다른 통합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시간, 도서관 이용 시간, 신체활동실에서 중재 효과의 일반화를 측정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2주 후에는 기초선과 같은 환경에서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폐성 장애 유아에게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화의 발생 빈도를 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중재 상황과 다른 상황에서도 기초선 기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일반화되었다. 셋째,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종료한 지 2주 후에 대상 유아의 자발화 빈도를 측정한 결과 해당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상과 같이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성 장애 유아에게 익숙하고 반복적인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 안에서 제공되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대상 유아의 자발화 발생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일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화 발생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 나고야의정서 관련 특허의 법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강지혜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구상의 모든 생물 유전자원은 인류에게 주어진 ‘유산’이었다. 그러나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생물 유전자원이 더 이상 무한하지 않은 유한한 자원임을 깨닫게 해주었다. 그리고 한정된 생물 유전자원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국제적 여론을 바탕으로 나고야의정서가 탄생하였다. 그러나 생물다양성협약 부속 의정서인『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그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는 생명공학기술 및 특허 강국인 선진국과 유전자원 원산국인 개발도상국간의 입장 차이가 크고 가입 당사국이 유전자원 원산국인 개발도상국에 편중되어 있어서 ‘골격 협약’의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나고야의정서 및 나고야의정서 관련 특허의 국제(내)법의 고찰을 통하여 유전자원과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 특허의 충돌 쟁점을 분석하고 법·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의 분석을 통해서 나고야의정서의 법리적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발명가가 나고야의정서 관련 특허를 여러 국가에서 출원·등록할 경우 발생 가능한 다자간 지식재산권협약의 충돌 쟁점을 분석하였다. 법적 구속력을 가진 WTO TRIPs와 나고야의정서의 핵심 쟁점을 분석하고, WIPO IGC, PCT, PLT의 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동향 및 의제를 분석하였다. 셋째, 양자간 협정인 나고야의정서의 접근 및 이익 공유(Access and Benefit-Sharing: ABS) 체계는 해당 국가 간 법·정책의 분석 및 협상을 통해서 의제를 해결해야한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 관련 주요 국가의 입법례를 분석한 뒤 FTA 지식재산권 협정상의 나고야의정서 관련 특허의 정합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전술한 다자간·양자간 협정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FTA와 유전자원 관련 국내법의 개정 방향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국제(내) 기구의 협력방안에 대한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나고야의정서의 ABS 체계와 국제 지식재산권 협약의 충돌 쟁점 분석 및 법·정책적 개선방안은, 나고야의정서 관련 국내 법률(안)과 특허법 및 국제 지식재산권 협약의 조화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불어 나고야의정서와 특허 관련 국내(외) 법의 충돌 간극을 좁히기 위한 개선 방안은, 생물다양성협약 본연의 목적인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바람직한 수단이 될 것임을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