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반농양으로 오인된 Mayer-Rokitansky 증후군 1 례

        강정배,이근영,강성원,한창황,이승용,진형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2

        저자들은 최근 질에서 점액성 농을 배출하는 합병증을 유발하는 중복 자궁과 일측 신이형성증, 동측의 무공성 질, 잔뇨관을 가진 Mayer-Rokitansky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Mayer-Rokitansky syndrome is a rare congenital malformation which is term now commonly used for the association in phenotypic female patients of unilateral renal agenesis with uterus didelphia and ipsilateral imperforated vagina. The group of malformation would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in embryologic development, arising as the rewult of defective formation and faulty differentiation of the Mullerian duct and Wolffian duct. Recently, a case of Mayer-Rokitansky syndrome misleading to pelvic abscess in a 16 years old female was experienced at our department.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임신성고혈압 산모의 태반상 혈관변화와 도플러파형의 비교 연구

        강정배,이근영,강성원,한창황,남장현,성근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8

        저자들은 1988년 5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8주에서 42주사이에 제왕자궁절개술을 시행한 정상임신 31명과 임신성고혈압 환자 33명의 산모 64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도플러검사에 의해 산모의 자궁 궁형동맥과 태아의 제대동맥 도플러파형검사와 수술시 태반상 조직생검을 실시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합병증이 없는 정상산모에서 나선형동맥이 생리적 변화가 있었으며 임신성고혈압에서는 이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나선형 동맥에 생리적 변화(physiological chamge)를 보인 군에서 태아 제대동맥의 혈류파형 S/D ratio는 2.37±0.30으로 병리적 변화(pathological change)를 보인 군 S/D ratio 3.35±0.65보다 낮았다.(p$lt;0.01) 3. 나선형 동맥의 생리적 변화를 보인 군에서 산모 궁상혈류파형의 R.I.는 0.46±0.08로 병리적 변화를 보인 군 R.I. 0.62±0.10보다 현저히 낮았다.(p$lt;0.001).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s of 64 pregnant women of cesarean section performed for the period of amenorrhea 28 weeks and amenorrhea 42 weeks, at Hallym university Kang Nam Sacred Heart Hospital from May, 1988 through December, 1990. The 64 patients were studied who manifested 33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31 normal term pregnancies. The uterine arcuate artery and umbilical artery blood flow velocity wave form examination were obtained all patients before cesarean section and placental bed biopsies obtained in all patients at cesarean se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ssociation of physiological change of the spiral artery with uncomplicated pregnancy and their absence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has been confirmed. 2. The physiological change of spiral artery of normal pregnancy shows low S/D ratio of fetal umbilical artery velocity (2.37±0.30) (Mean±S.D.), pathological invasion of spiral artery shows high S/D ratio of fetal umbilical artery (3.35±0.65)(Mean±S.D.) (P$lt;0.01). 3. Physiological changes of spiral artery of normal pregnancy shows low R.I. of caternal uterine arcuate artery veolcity (0.46±0.08)(Mean±S.D.), pathological changes of spiral artery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shows high R.I. of arcuate artery velocity (0.62±0.10)(Mean±S.D.)(P$lt;0.001). These data indacate that abnormal doppler waveform in arcuate artery correlates pathologic invasion of spiral artery.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질환의 임상적 고찰

        강정배,김홍배,이근영,강성원,이경석,허진숙,서찬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1986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강남성심병원에서 융모성질환으로 진단되고 추적관찰된 63례를 대상으로 연령, 출산횟수, 임상증상, 최종 선행임신, 병기, 치료방법, 수술적응증, 화학요법에 따른 부작용, 차기임신 등에 대해서 임상적 분석 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만 총수 15,681명에 대한 융모성종양의 발생빈도는 1:209이었다. 2. 호발연령은 20~29세로서 66.7%로 가장 많았고, 40세이상의 고연령증도 20.0%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3. 임신횟수는 2회이하가 58.7%로 가장 많았고, 분만횟수도 1회이하가 73%로 가장 많았다. 4. 임상증상으로는 질출혈이 79.4%로 가장 많았고, 자궁 이상확대 30.1%, 과오조 28.6%, 복통 27% 등으로 나타났다. 5. 선행임신에는 유산이 3예(37.5%), 비임신이 3예(37.%)였으며 정상만삭 임신도 2예(25.0%)로 나타났다. 6. Hammond classification으로 분류하였을 때, 비전이가 53예(84.1%)(경쾌율 94.3%)였으며 전이가 있었던 10예(15.9%)(경쾌율 70%)의 환자중에 7예(11.1%)(경쾌율 57.1%)가 `Poor prognosis`에 속하였다. 7. `Bagshow prognostic scoring system`으로 분류하였을 때, 저위험군이 23예(36.5%)(경쾌율 95.7%), 고위험군이 14예(22.2%)(경쾌율 71.4%), 중등도위험군 26예(41.3%)(경쾌율 96.2%)였다. 8. `FIGO staging system`으로 분류하였을 때, Stage I이 50예(79.4%)(경쾌율 96%)였고, Stage III가 10예(15.9%)(경쾌율 70%)였다. 9. 병리학적으로 분류하였을 때, 포상기태가 80.1%, 부분기태가 6.3%, 파괴성기태가 1.6%, 융모암은 11.1%였다. 10. 치료는 흡인소파술후 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35예(55.6%)로 가장 많았고, 흡인소파술만을 시행한 경우가 17예(27%), 자궁적출술후 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9예(14.3%)였다. 11. 수술적응증은 고령 다산부가 53.8%로 가장 많았고, 자궁천공으로 인한 자궁적출술이 23.1%였다. 12. 화학요법의 독성에는 간세포기능장애, 위장관증상, 백혈구 감소증, 탈모증 등이 있었다. This repor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who were treated at Kangnam Sacred Hear Hospital from Jan. 1, 1986 to Dec. 31, 1994. A retrospective review of hospital chart, we were studied 63 cases with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b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outcome of man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cidence of the gestational trophblastic disease compared with delivery was one per 209 deliveries. 2. The most frequent age & parity was 20 to 29 years old(66.7%) & 0 to 1 times(73%). 3. The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vaginal bleeding(79.4%), excessive uterine enlargement (30.2%), hyperemesis(28.6%), abdominal pain(27.0%) and etc. 4. The antecedent pregnancy preceding the diagnosis of a malignant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were abortion(37.5%), term pregnancy(25.0%), no pregnancy(37.5%). 5. We divided the patient by the Hammond classification system : nonmetastasis(53 cases), metastasis(10 cases). 6. WE divided the patient by the Bagshawe WHO prognostic scording sytem : low risk(21 cases), middle risk (27 cases), high risk(15 cases). 7. We divided the patient by the FIGO staging system : stage 1(50 cases), stage II(2 cases), stage III(10 caes), stage IV(1 case). 8. The treatment regimens were consisted of D & E only(27%), D& E with chemotherapy (55.6%), an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chemotherapy(14.3%). 9. The side effects after chemotherapy were hepatotoxicity(39.1%), gastrointestinal problem(37%), leukopenia(15.2%) and etc.

      • Poster 발표 : 논문 4; 장애아동 교육에 필요한 스마트러닝 콘텐츠 요구도 조사

        강정배,김창걸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2013 No.1

        교육의 변화를 주도하는 ICT기술의 발전은 교육분야에 스마트러닝 이라는 교육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스마트러닝은 많은 장점이 있어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특수교육분야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교육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장애학생의 교육에 필요한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아동 교육에 적합한 스마트러닝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장애학생의 콘텐츠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지, 어떠한 교육과정에서 스마트러닝 콘텐츠를 요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학생의 콘텐츠 구성요소는 장애특성에 관계없이 고르게 장애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교육과정상에서는 누리과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 액내 IL-6와 TNF-α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강정배,이영경,Kang, Jeong-Bae,Lee, Young-Kyeong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1

        목 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인 면역학적 인자 중 세포-매개성 면역계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중이 없는 환자의 복강 액을 채취하여 면역 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IL-6와 TNF-${\alpha}$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확진된 환자 또는 불임검사를 위해 진단적 복강경을 시행한 34명을 연구군으로 등록하였으며 본 연구 이전에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거나 복강경 시술이나 개복수술과정에서 자궁내막증 소견과 증상이 없는 환자 3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 군의 복강 액을 추출한 다음 30분 이내에 $400g{\times}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검사용기에 모아 밀봉한 후 $-70^{\circ}C$ 냉동실에 보관하여 IL-6와 TNF-${\alpha}$의 농도를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R & D Systems, Minnepolis, MN)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복강 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연구군에서는 $38.9{\pm}19.7pg/ml$으로 대조군의 $22.4{\pm}10.2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2), TNF-${\alpha}$의 농도도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20.6{\pm}8.6pg/ml$로 대조군의 $6.2{\pm}3.5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2. 자궁내막증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에서 IL-6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1), TNF-${\alpha}$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IL-6은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TNF-${\alpha}$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4. IL-6과 TNF-${\alpha}$ 모두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병기 I과 II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병기 III과 IV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증인 환자의 복강 액에서 IL-6와 TNF-${\alpha}$가 증가하여 자궁내막증의 생성과 유지,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불임의 유발 요인으로 여겨지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자궁내막증과 각종 cytokine과의 상호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nfertile women. Methods: This study is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enrolled thirty-four women with lapa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and thirty-seven women with no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s in peritoneal fluid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mong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with infertile and fertile women, and then also compared according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s: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matched normal controls. Cyclic variations in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peritoneal fluid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among of infertile women than in fertile wome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and endometriosis stage III and IV was noted. Conclusion: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 to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KCI등재

        제왕자궁절개술시 경막외마취가 산모자궁동맥 및 태아제대동맥 도플러파형에 미치는 영향

        강정배,김홍배,이근영,강성원,허진숙,김중석,원임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2

        Objective: To study the effects of maternal epidural anaesthesia on the maternal uterine circulation and the fetal umbilical placental circulation by using Doppler ultrasound techniques. Study Design: Twenty-seven patients delivered by elective caesarean section under lumbar epidural anaesthesia were studied. All had a normal pregnancy with no indication of fetal compromise and no indication of maternal disease. Each patient received a 1 litre intravenous crystalloid infusion over 20~30 minutes before an epidural bupivacaine injection. The uterine and fetal umbilical artery velocity waveforms were recorded. And then intravenous cannula and an epidural catheter were inserted. The local anaesthetic agent were injected through the epidural catheter(0.5% bupivacaine 10ml, 20% lidocaine 10 ml). At achieve sensory blockade to the T-4 level after the injection of the anaesthetic agent, the uterine and fetal placental circulation flow velocity-time waveforms were again recorded by using Doppler ultrasound(Multigon 500A, 4 MHz). Significance was tested by means of the paired student t-test. Result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Before ana- esthesia, S/D ratio of fetal umbilical artery was 2.48±0.50. Following anaesthesia, S/D ratio of fetal unbilical artery was 2.24±0.40, p$lt;0.005).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Before anaesthesia, S/D ratio of maternal uterine artery was 2.29±0.41. Following anaesthesia, S/D ratio of maternal uterine artery was 1.95±0.25, p$lt;0.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beneficial fetal effect from the improved maternal uterine perfusion after epidural anesth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