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의 대퇴부에 Calcium Metaphosphate로 코팅된 임플란트 매식후 골유착에 관한 비교 연구

        강영주,김기현,이재열,이주민,안상욱,송진우,정유진,신상훈,Kang, Young-Joo,Kim, Ki-Hyun,Lee, Jae-Yeol,Lee, Ju-Min,Ahn, Sang-Wook,Song, Jin-Woo,Jung, Eu-Gene,Shin, Sang-Hu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2 No.6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icacy of osseointegration of three different calcium metaphosphate (CMP) coated implants in the rabbit's femu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rabbits and three different type of CMP coated implants and RBM implan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n the basis of implant surface characteristics. Two implants were installed into the condyle of femur of each rabbit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and 4 weeks after installation. The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radiological examination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implant-bone contact ratios (BIC) and bone area ratio (BA). Results: Two implants were failed to osseointegrate and implant success rate was 95.2%.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inflammatory response in all groups. Fluorescent image at 4 weeks shows that remodeling is slower in RBM group than CMP group. CMP III showed more active remodeling than CMP I, II. In histomorphologic analysis, BIC ratio at 2 weeks was lower than 4 week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atios of CMP coated implants were higher than that of RBM control group but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RBM group and CMP group. In conclusion, CMP coated implant had more clinical availability than RBM implants.

      • KCI등재후보

        장수와 복락, 多子의 고상한 염원 : 19세기 전북지역 묵포도도 전문화가의 활약

        강영주(Kang, Young-ju)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 춘파 강봉훈이 제작한 《묵포도도 10폭 병풍》의 고찰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와 동일시기 동일지역에서 활동했던 호운 서병우와 낭곡 최석환 포도도의 형식과 양식이 춘파의 포도도와 유사함을 살필 수 있었으며 이어 전북지역 포도화풍에 영향을 미친 충청 찰방을 지낸 조선 후기 대표적인 포도화가 휴당 이계호의 생애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전북지역에 활동한 포도그림 화가들의 작품이 당시 중앙화단이나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고유한 형식과 양식이어서 더욱 주목되었다. 이것은 중앙에서 40대 이전 포도그림으로 이름을 떨친 휴당 이계호가 이후 충남 공주지역에서 포도그림 화가로 활약했던 것과 관련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18세기 이전 문인들의 修己 목적이자 인격화된 君子 식물로 인식해 제작 감상되었던 포도도는 이계호에 이르러 포도의 식물학적 특징의 사실적 묘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활달하고 생동감 있는 필치로 화가의 감흥을 표출하고 포도의 길상적 상징까지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변하였다. 더 나아가 19세기 전북지역 포도도 전문화가 최석환은 이계호의 포도도 화풍을 이어받아 대형 병풍에 농묵으로 서예적 용법을 준용하여 빠르고 신속하게 붓을 휘둘러 작화 행위 자체에 흥취를 더했다. 뿐만아니라 그는 포도도에 부귀영화와 다자다산을 상징하는 다람쥐[鼠]를 그려 넣어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상징과 부귀다산의 세속적 상징을 모두 담아내었다. 즉 이계호에서 시작된 묵포도도는 군산 임피의 최석환, 익산의 서병우, 이리의 강봉훈에게 이어지고 이들의 묵포도도를 경험한 근대기 문인서화가인 정술원, 김철수, 허백련에게 전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전북지역에서 활동한 견식있는 화가들이 그린 묵포도도는 조선 포도도의 의미와 가치가 변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This study star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grape painting of Chunpa Kang Bong-hoon(春坡 姜鳳薰), director of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ormat and style of the painting of Houn Seo Byung-woo(湖雲 徐丙于) and Nangok Choi Seok-hwan(浪谷 崔奭煥), who were active in the same area at the same time as Kang Bong-hoon. It the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define the life of Hyudang Lee Gye-ho(休堂 李繼祜), a representative grape pain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died while living in Gongju(公州), Chungcheongnam-do. The works of grape painting artists working in the Jeonbuk(全北) regions drew more attention because they were unique in form and style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central art organizationt or other local art organizationtf at the time. This may have started when Hyudang Lee Gye-ho became the best painter in Gongju, Chungcheongnamdo, and served as a grape painter for decade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rape painters who worked mainly in Jeollabuk-do in the 19th century were first changed by the purpose of training themselves before the 18th century and by recognizing them as personified plants.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grape painting in the 19th century changed in a way that paid attention to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grapes and expressed the artists excitement with lively and lively strokes and included auspicious symbols of grapes. Furthermore, in the 19th century, Choi Seok-hwan took over Lee Gye-hos grape painting style and quickly wielded a brush with a thick ink on a large screen to add excitement to the painting act itself. In addition, a mouse symbolizing wealth and many children(多子) was drawn to include both the ideal human symbol of a man of virtue(君子) and the secular symbol of wealth and fertility in the grape painting.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grape painting, which began in Lee Gye-ho, were handed down to Choi Seok-hwan of the Gunsan Impi, Seo Byung-pyo of Iksan, and Kang Bonghoon of Iri(益山), and to Jeong Sul-won(斗山 鄭述源), Kim Cheol-soo(芝雲 金綴洙) and Heo Baek-ryeon(毅齋 許百鍊), who experienced grape paintings them. Grape paintings, which have symbols of honor and auspiciousness born from the hands of knowledgeable grape painting specialists such as Choi Seok-hwan, Seo Byung-pyo, and Kang Bong-hoon, show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eaning and value of Joseons grape paintings. The next task will be to consider the works of Oh Nam-woon and Kim Hak-soon, who were not clearly revealed in this paper, and artists specializing in folk painting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grape painting in the central art organization or Gyeongsang-do.

      • KCI등재

        정몽주 초상화의 제작과 숭모

        강영주(kang young-Ju)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정몽주 초상화는 서원과 사당, 영당 등에 봉안된 전신 초상화와 문집과 화첩 등에 실린 반신 초상화로 구분된다. 전신 초상화는 배향과 제례를 통해 정몽주를 추모하기 위해 제작되었고 반신 초상화는 조선시대에 화첩으로 장첩되어 선물, 감상, 교화 등을 목적으로 제작되다가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통치의 일환으로 인쇄되어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포은영당의 정몽주 초상화가 현대작이 아니라 1677년 한시각이 제작한 초상화를 1769년 한종유가 1차 보완하고 20세기 다시 2차로 수정한 작품일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총 3폭의 정몽주 초상화를 제작한 한종유가 1768년에 숭양서원에 봉안할 목적으로 제작한 초상화가 가묘(영당)에 봉안된 1769년 본과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다. 1768년 한종유가 제작한 숭양서원 본의 정몽주 초상화는 형형한 눈빛, 강직한 인상, 일부 가감된 의습선 등이 이전 시기의 이모본들과 달라 주목된다. 이는 당시 1677년 한시각 본이 ‘참 모습을 잃어(失眞)’ 다시 제작하게 되면서 한종유가 특별히 포은의 삶과 인품 등이 드러나게 초상화의 ‘전신(傳神)’에 천착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종유가 1768년 숭양서원 본을 제작할 때 포은문집의 간행에 들어갈 ‘초상’을 요청받아 제작했음도 주목할 만하다. 또한 서울대학교 소장 정몽주 반신 초상화 초본은 바탕 재질과 한종유의 초상 양식을 보여주고 있어 18세기 후기에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몽주 초상화는 크게 조선 전반기 대표적으로 ‘핍진(逼眞)’한 이모본이였던 1555년 임고서원 본 초상화 유형과 조선 후반기 1768년 숭양서원 한종유 초상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한철도 일제강점기 숭양서원에 봉안된 1768년 한종유의 정몽주 초상화를 모사하였음을 밝히고 있으며 현대에도 정몽주 초상화를 거론할 때 이한철이 제작한 1880년 본을 대표작으로 내세우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몽주 초상화의 제작 방식과 유형에 따라 초상화의 성격과 숭모 방식이 달라졌던 것이다. The portrait of Jeong Mong-Joo(鄭夢周) is divided into a full-body portrait(全身 肖像畵) enclosed in Seowon, Sadang, and Yeongdang(影堂:The the household shrine where the portrait) is enshrined, and a half-body portrait(半身 肖像畵) in collections of writings and paintings(畵帖). Full-body portraits of th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to commemorate and worship Jeong Mong-ju through orientation and ancestral ri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alf-body portraits we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gifts, appreciation, and edification, but Japanese colonial era was printed and spread as part of colonial rule. In this article, the portrait of Poh-Eun Yeongdang(圃隱影堂) was not a modern work, but a portrait produced by Han Si-Gak(韓時覺) in 1677, which was renovated by Han Jong-Yu(韓宗裕) in 1768 and revised again in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a draft of the portrait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서울大學校) was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 18th century in the style of the background material and work. In other words, the portrait of Jeong Mong-joo can be divided into a portrait type in 1555 and a portrait type of Han Jong-yu in 1768. In Japanese colonial era, portraits of Soongyang Confucian Academy(崧陽書院) became more popular by people traveling between Kaesong(開城),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Lee Han-Cheol(李漢喆) also revealed that he copied Han Jong-yu s portrait. It was found that the adoration method and style of the portrait chang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nd type of portrait of Jeong Mong-Joo.

      • KCI등재

        고려시대 세한삼우도의 상징과 양식 고찰

        강영주(Kang Young-Ju)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고려 전반기 王建陵에 그려진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세한삼우도>와 고려 말기 화폭에 그려진 海涯가 題한 <세한삼우도>의 상징과 양식을 고찰한 연구이다. 이 두 작품은 현존작이 희귀한 고려시대회화 연구에 있어서 소중한 자료이며, 세한삼우를 주제로 한 회화가 당시 중국에서도 드물어 연구가치가 크다. 왕건릉의 세한삼우도는 고분벽화라는 특화된 공간에 표현되어 있지만 주제나 스케일, 표현기법에서 독보적인 가치를 지닌다. 특히 왕건릉의 벽화를 고찰한 결과 고구려의 전통을 이으면서 10-14세기 요, 송, 금, 원대의 고분벽화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경향의 독자적인 벽화양식을 발현해 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왕건릉 벽화는 세한삼우 도상이 文人畵로 일반화되기 전에 장의예술로 등장한 벽화며, 기년작이기 때문에 고려 전반기 왕실의 미의식과 문인화의 면모를 보여주는 기준작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는 유교를 정치 · 사회적으로 활용했으며, 송 · 원과의 상호교류를 통해 유교 서적을 수입했는데,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고려의 문인들은 문인화에 대한 인식을 갖고 애호하게 되었고 시와 그림의 주체자가 되었다. 세한삼우도의 소나무 구성이 雙松을 모티브로 한 ‘歲寒’의 주제임에 착안하여, 쌍송과 梅竹, 竹石 등의 조합을 살펴보았다. 즉 元代 후기의 작품과 고려 회화, 서체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세한삼우도의 도상이 쌍송도를 기본으로 하고 梅竹이나 竹石 등의 소재가 가미되어, ‘곤경의 극복을 혼자보다 사람과 ‘더불어’ 하는 것(同人)’과,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으므로 외롭지 않다(德不孤, 必有隣)’라는 유교적 덕목을 보다 강화시킨 작품으로 해석해 보았다. The Three Friends of Winter(歲寒三友) found in Wang Geon"s Tomb (王建陵), which was built in the early Goryo Dynasty, is the oldest Three Friends of Winter extant in South Korea. Hae-ae"s Three Friends of Winter is the first work drawn on a canvas in the late Goryo Dynasty. Although the Three Friends of Winter in Wang Geon"s Tomb was expressed in a special space as a tomb mural(古墳壁畵), it has matchless values in the aspect of theme, scale, and expressional techniques. Especially, our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tomb murals, built in the Liao, the Jin, the Song, and the Yuan dynasty during 10-14 centuries, supports that the Three Friends of Winter in Wang Geon"s Tomb created an originative style by inheriting the traditional style from Goguryeo kingdom and converging various styles of tomb murals in Northeast Asia. The Three Friends of Winter in Wang Geon"s Tomb is also known as the first mural to antecedently express an artistic style as funerary art before being generalized in a literati painting. The mural of Wang Geon"s Tomb built in 943(1276還葬, 修復) is considered as a standard artwork to reflect the aesthetic sense of the Goryo Dynasty and the true feature of a literati painting. While the Three Friends of Winter in Wang Geon"s Tomb represents Royal art of the early Goryo Dynasty, Hae-ae"s(海涯) Three Friends of Winter possessed by Japanese Myoman-ji is a masterpiece to represent literati paintings in the late Goryo Dynasty. Based on Confucianism to dominate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of the Goryo Dynasty, literary persons were attracted by literati paintings shown in books imported from the Song and the Yuan dynasty and became artists in poetry and painting. This study analyzed combinational expressions of twin pines(雙松), a plum tree and a bamboo, and a bamboo and stone in Hae-ae"s Three Friends of Winter focusing on that its theme is a winter season motivated by twin pines. Specificall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artworks of the Yuan dynasty, paintings of the Goryo Dynasty, and handwriting, this study proposes a novel interpretation of the artwork in the highlighted expression of Deokbugo (德不孤) and Pilyulin (必有隣) which mean overcoming of troubles by not oneself but company and no loneliness of the virtuous because of their followers, respectively.

      • KCI등재

        조선 전반기 묵란화(墨蘭畵) 연구

        강영주 ( Young Ju Kang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1 강좌미술사 Vol.36 No.-

        본 논문에서는 고려~조선전반기 왕공·문인사대부의 묵란화를 고찰하여 묵란화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난초는 古來로 살충과 향기가 갖는 식물학적인 특징으로 인해 숭배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후 孔子나 屈原에 의해 도덕과 충정을 겸비한 ``君子``의 상징으로 고착되었다. 송대 문인들은 회화소재의 뜻과 의미에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에 군자를 상징하던 소나무, 대나무, 매화, 난초, 고목, 石 등을 그림의 소재로 활용했다. 아울러 이들 화목에 대한 관심은 여러 텍스트와 화보의 출간을 낳았으며, 이로 인해 문인들의 작화활동이 활발해졌다. 특히 난초에 관해서는 南宋 趙詩庚의 『金장蘭譜』(1233), 王學貴의 『蘭譜』(1246), 元代孔克齊의 『(靜재)至正直記』 등의 텍스트가 발행되어 난초의 종류와 재배법 및 그리는 방법까지 비교적 상세히 소개되었다. 이 책들은 당시 문인들이 추구했던 寫意표현의 정보와 기술을 제공해 주었다. 우리나라의 묵란화는 묵죽화와 더불어 기록과 작품을 통해서 보면 어지러운 세상에 정치·사회적으로 충정과 선비의 덕이 강조되던 조선중기와 조선말기에 집중적으로 그려졌다. 이는 중국의 남송말 원초와 명말 청초, 청대후기에 나타나는 현상과 유사하다. 때문에 문인화로서 군자를 상징하는 묵란화는 대부분 유학이 정치적 이념으로 작용됐던 고려말부터 조선전반기에 걸쳐 주자 성리학의 실천주제인 왕공·문인사대부에 의해 그려진다. 난초에 대한 인식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있어왔고, 송원과의 대외교류를 통해 난초와 묵란화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었다. 남송의 조맹견이나 원의 선승화가인 보명의 묵란화에 대한 고려말 조선전반기의 기록을 통해서는 당시 문인들의 묵란화 인식 애호 경향을 살필 수 있다. 또한 당시 묵란화는 화면구성과 포치, 난엽, 난화, 화심 등이 유사해 譜本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많아보였다. 그밖에 군자를 상징하는 蘭竹이 짝이 되게 그려지는 것, 병풍으로 꾸며지는 것 등 역시 이 시기 묵란화의 특징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the Ink orchids(墨蘭畵) in the Early of Joseon Dynasty. There are twenties pieces of Ink Orchids that was pain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plants characteristics of a orchids is the pesticides and the smell. Because, From ancient times, orchids was the object of worship. Therefore, the orchids by Confucius(孔子) and Ch`u Yuan(屈原) became a symbol of gentleman(``君子``). A literati gentleman of the Song Dynasty and Yuan Dynasty were interested i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as material of the painting. So they were utilized the material of painting took advantage pine, bamboo, plum, orchids, old tree, stone a symbol of a gentleman. A literati gentleman interested in these subjects had a picture. So that was published several texts and pictorial. Consequently, A literati gentleman of in the Yuan Dynasty were drew pictures as the subject ``gentleman``. Ink bamboos and Ink orchids of our country`s were portrayed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much that were highlighted ``loyalty`` and ``gentleman`s virtues``. Therefore, Ink orchid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painted by the gentry. Korea, Unified Silla Dynasty, which has been recognized from the orchids. And foreign exchange through in the Yuan Dynasty with orchids and ink orchids interest has increased. Consideration of the record for in the early of Joseon Dynasty, Contemporary, The royal family and a literati gentleman is shown love of Ink Orchids for Bo Myeong(普明) monk painter Yuan Dynasty and Jo Maeng-Gyeon(趙孟堅), Jeong Sa-Cho(鄭思肖) of in the of Southern Song Dynasty. Therefore, if we investigate Ink orchids that were painted by the gent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 will understand their Confucian consciousnes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세여과에 의한 비 가열살균 좁쌀약주의 제조 및 저장 중 품질변화

        강영주(Yeung Joo Kang),오영주(Young Ju Oh),고정삼(Jeong Sam K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2

        좁쌀 약주의 가열살균에 따른 품질열화의 대안으로 비 가열공정 시스템인 미세 및 한외여과용 중공사막(hallow fiber membrane) 카트리지(cartridge)의 도입을 통한 좁쌀 약주의 고품질화를 시도하였다. 비 가열살균 좁쌀 약주의 제조 및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0.65, 0.45, 0.2 및 0.1 ㎛의 MF(micro-filtration) 카트리지와 500 K의 UF(ultrafiltration) 카트리지 등 중공사막의 공극의 크기에 따른 제조 공정상의 효용성을 시험하였다. 시험한 모든 막 카트리지에서 미생물 제거 능력은 확인되었으나 여과 속도 및 안전성면에서 0.45 ㎛ 막 카트리지가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장 중 모든 시료에서 환원당 및 색택 변화의 차이가 측정되었는데, 6개월 저장 결과 가열살균 약주가 비 가열 약주에 비하여 투명도(L 값)가 감소하고 황청도(b 값)는 크게 증가하여 색택이 어두워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저장 중 환원당의 감소는 색택이 진해지는 비효소적 갈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화학적 성분에 대한 변화는 가열 살균과 비 가열 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른 좁쌀약주의 품질에 대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가열살균과 비 가열에 대한 품질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비 가열처리 공정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Micro-filtration (MF) or ultra-filtration (UF) system with hollow-fiber cartridge was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commercial foxtail millet Yakju, which has an off-flavour and/or undesired colour after the thermal treatment. The filtration effects of cartridges such as MF (0.65, 0.45, 0.2, 0.1 ㎛) and UF (500 K dalton) wer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Yakju were then evaluated during the 6 months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exclusion ability of microorganism in samples was confirmed in all cartridges, but 0.45 ㎛ MF-cartridge was suitable in the Yakju manufacture due to its superior filtration rate and efficiency. Changes in reducing sugar and colour difference of foxtail millet Yakju untreated or treated by heat (65℃×10 min) were observed during the storage; after 6 months the L-value of thermal-treatment sample was decreased and its b-value, however, significantly increased so that its color became dark, in comparison to non-thermal treatment sample. This decrease of reducing sugar is assumed that color change is associated with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Sensory quality of foxtail millet Yakju produced by non-thermal treatment was better than that of thermal treatm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오미자박과 미강 첨가배지가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γ-aminobutyric acid(GABA) 함량에 미치는 효과

        정윤경,김정한,백일선,강영주,지정현,Jeoung, Yun-Kyeoung,Kim, Jeong-Han,Baek, Il-Sun,Kang, Young Ju,Chi, Jeong-Hyun 한국버섯학회 2017 한국버섯학회지 Vol.15 No.2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흑타리'의 기본배지 조성에 농산물 부산물 유래 첨가용 배지를 추가하였을 경우 기억력 증진물질 중인 하나인 GABA(Gamma-amino butyric acid)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지재료와 첨가수준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흑타리'는 5% 녹차가루 처리에서 발이율과 수량이 현저히 떨어졌고, 다시마가루는 첨가된 전체 처리구에서 생육이 불량하였으며, 10% 녹차박과 오미자박 처리구에서는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녹차박 처리구보다는 오미자박 처리구에서 기능성물질 함량이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첨가 수준에 따른 자실체의 GABA 함량은 무처리 대비 녹차가루는 2%, 녹차박은 10%, 다시마가루는 1% 정도 증가되었으나, 오미자박은 5%, 10%, 15%, 미강은 1%처리구에서 1.2~2.1배 수준까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느타리버섯 '흑타리'의 발이율과 생육 뿐만 아니라 GABA 함량 증가를 고려한 적합 첨가 배지로는 오미자박과 미강처리시 가장 양호했으며, 자실체 GABA 함량은 오미자박 10% 처리구에서 2.1배, 미강 1% 처리구에서 12%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ultivation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the fruit body of mushrooms by adding processed by-products. For the oyster mushroom 'Heucktari',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sea tangle powder, and green tea dregs resulted in very poor primordia formation, fruit body growth, and increased GABA. However, addition of 10% schizandra berry dregs and 1% rice bran to the basal substrate induced 100% and 10% increases, in GABA content in the fruit bodies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without by-product, respectively. In addition, fruit body growth and primordia formation were greatly increased by these treatments. Therefore, GABA content was increased when the substrate was prepared by mixing an appropriate amount of schizandra berry dregs and rice br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