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민화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 이우환의 민화론과 민화 컬렉션

        서윤정(Yoonjung Seo) 한국민화학회 2019 한국민화 Vol.- No.10

        모노파의 선구자이자 철학자, 미술 이론가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어 현재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이우환 (1936- )은 조선의 민화를 소개하는 글을 여러 차례 일본어로 기고하여 일본에서의 한국 민화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이 뿐 아니라 그가 수집한 한국의 민화는 2000년대 초반에 프랑스를 비롯하여 호주등 서구의 미술관과 박물관에서 전시되어 서구에서의 한국 민화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는 데 기여를 했다. 그러나 이우환이 수집했던 민화의 내용이나 민화에 대한 조형적 관점, 이우환의 작품 활동과 그의 민화 컬렉션의 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우환이 수집했던 민화에 대한 조형적 관점, 이우환의 작품 활동과 그의 민화 컬렉션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이우환이 수집했던 민화의 경향과 그의 민화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이우환이 1970년대 이후 수집하여 2001년 프랑스 기메 국립동양박물관에 기증했던 127 여점의 작품과, 이를 서구의 대중들에게 소개했던 중요한 전시인 『한국의 향수 Nostalgies coréennes』 (프랑스 기메 국립동양박물관 Musé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 2001)와 『한국의 꿈 Korean Dreams』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립미술관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2009)를 분석하여 이우환이 소장했던 민화의 다양한 면모를 소개하고, 그의 민화관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이우환이 집필했던 한국 민화에 관한 중요한 저서인 『李朝의 民畵: 構造로서의 繪畵』(열화당, 1977)와 일본 코단샤(講談社)에서 1975년과 1982년 출간된 민화 도록인 『李朝民畵』와 『李朝の民畵』에 실린 저술에 반영된 이우환의 독자적인 민화론을 조명하고자 한다. Lee Ufan, who is an internationally renown artist of Mono-ha, philosopher, and critic, is also known as an avid collector of Joseon Minhwa (folk painting). Lee established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Korean Minhwa since the 1970s and wrote interesting articles on this topic, reflecting his own aesthetic and views on Korean art. Lee wrote important essays on Minhwa based on his collection and these were published in Korean, Japanese as well as Western languages, which calls for artistic importance of Minhwa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and contributes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genre among an international audience. Lees collection, including approximately 100 paintings and 27 screens, were donated to the Guimet Museum of Asian Art in 2001 and introduced to a Western audience through exhibitions held in Paris and Sydney such as “Nostalgies coréennes” and “Korean Dreams.” Despite its significance, Lee’s collection of Joseon Minhwa has not received scholarly attention it deserv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Lee’s collection, his understanding of and perspective on Korean Minhw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interest in Minhwa and his artistic activities. The works of art donated to the Gumiet Museum of Asian Art and two important exhibitions based on Lee’s collection will be thoroughly investigated, along with Lee’s treatise on Minhwa published in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

      • 조선시대 전래된 태평천국 시기 연화(年畵) 화조화

        김헌주(Kim Hun-ju) 한국민화학회 2019 한국민화 Vol.- No.10

        본 논문은 중국 양류청 연화 화조화의 등장 배경을 토대로 조선에 전래된 시기와 경로, 구입 주체와 소비층 그리고 조선 민화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에 중국 연화 화조화가 전래되어 있었지만 구별이 쉽지 않아 최근까지 민화로 취급하였다. 일부 연화에 표시된 화점명인 ‘대염증’을 통해서 비로소 중국 양류청 연화로 알려지게 되었지만 그의 전래양상과 민화에 대한 영향은 논의되지 않았다.태평천국 시기부터 양류청에 등장한 연화 화조화는 연화의 한 화목으로 정착되었고 이후에도 계속 생산되다가 조선에까지 전래되었다. 태평천국은 중국의 전통문화를 배척하고 우상숭배를 금지하였다. 이 때문에 회화에는 인물을 묘사할 수 없었고 전쟁도조차 인물이 없는 그림이 등장하였다. 태평천국 벽화는 대부분 인물 묘사 없는 화조화가 많이 제작되었으며 양류청에서도 인물 묘사가 필요 없는 연화 화조화가 등장하였다. 태평천국의 평등주의와 민중화 정책도 벽화와 연화 제작에 영향을 주었다. 연화 〈종종득괴〉에 표시된 간지 ‘갑신년’은 1884년임을 입증하였다. 연화 화조화는 이 시기를 전후해서 조선에 전래되었다. 때마침 취항하기 시작한 조청 간 증기선 ‘부유호’로 해상을 통해 인천으로 들어왔다. 연화를 구입한 주체는 조선 상인이다. 천진은 이미 외국에 개방되었고 외교관과 조선 상인들도 이곳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다양한 연화 중에서 화조화만 전래된 것은 조선인의 정서와 수요에 부합하고 이질적이지 않은 요소만 수용했기 때문이다. 연화 화조화는 일부 민화 화가의 관심을 끌어 소재와 구도를 차용하여 그리기도 하였지만 조형상 민화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다. 중국연화와 구별되는 민화 고유의 특징을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민화 소비시장에서 연화는 화조화가 저변으로 확대하는 역할을 하였다. 손과 붓으로 그리는 민화보다 목판으로 인쇄되어 제작되는 연화는 민화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이다. 근세기 조선과 중국은 제국주의의 침탈, 전통적 문화와 가치의 붕괴, 경제 사회적 혼란, 민중혁명 등의 공통적 역사 과정을 겪었다. 당시 중국에서 연화 화조화가 등장하였듯이 조선에서도 민화 화조화가 대종을 이루었다. 19세기 조선 민화 화조화의 양상을 유사한 역사적 배경과 연화 화조화의 전래를 통해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중국 연화와 우리 민화와의 관계를 규명해 가는데 실마리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Chinese folk Nian Hua of Yangliuqing,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the timing and path of the transfer to Joseon, the buying entity, the consumers and the influence on the Joseon Folk Painting Although Flower Bird Paintings of Chinese folk Nian Hua have been transferred to Korea, they were not easy to distinguish, so they were treated as Folk Painting of Korea until recently. It was only known as the Nian Hua of Chinas Yangliuqing, through the name of the Nian Hua shop Dailianzeng shown in some paintings, but his influence on Folk Painting and the aspect of transferation was not discussed From the time of the Taiping Kingdom of Heaven Flower Bird Paintings of folk Nian Hua that appeared in the Yangliuqing were settled as a catalogue of Nian Hua, which continued to be produced and transferred to Joseon Dynasty. The Taiping Kingdom of Heaven rejecte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banned idol worship. Because of this, paintings could not be described human figure. Even war paintings were the same. A lot of Flower Bird Paintings have been painted without human figures on mural in Taiping Kingdom of Heaven era. Yangliuqing also had appeared Flower Bird Paintings of Nian Hua that did not require character portrayals. The Taiping Kingdom of Heavens egalitarianism and popularization policies also affected the production of murals and Nian Hua. The year of Gapsin, which is shown in Nian Hua 〈Zhongzhong Dekui〉, proved to be 1884. The Nian Hua were handed down to Joseon around this time and entered Incheon via sea via the inter Joseon-Cheng steamboat Fuyouhao that began sailing at the right time. It was the Joseon merchants who bought the Nian Hua. Tianjin has already been opened to foreign countries, and Joseon diplomats and merchants were also operating there. Among the various Nian Hua paintings, only Flower Bird paintings were handed down because they were consistent with the sentiments and demands of the Joseon people and only accepted non-heterogeneous elements. Some of Folk Painting painters were attracted by Flower Bird Paintings of Nian Hua. So that they borrowed materials and compositions from them. But their influence on the Folk Painting is limited, and ret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 that are distinct from Chinese Nian Hua until now. However, the Nian Hua played a role in the Folk Painting consumption market, in which the Flower Bird Paintings was expanded to a lower level. Because Nian Hua which is printed by wood plate is cheaper than a hand-and-brush drawn Folk Painting, In recent centuries, Joseon and China have undergone a common historical process such as the erosion of imperialism, the collapse of traditional culture and values, economic and social chaos, and the popular revolution. Just as Flower Bird Paintings of Nian Hua appeared in China at that time, Flower Bird Paintings of Folk Painting were popular in Joseon. We hope to provide a new opportunity to look at the patterns of the Joseon Folk Painting in 19th century. Through similar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transfer of Flower Bird Paintings of Nian Hua, we expect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Nian Hua and Korean Folk Painting.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 1889-1961)의 ‘민화(民畵)’에 대한 재고 - 민화 개념을 한국미술사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

        원세진(Won, Se-jin)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민화(民畵)’라는 용어는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 1889-1961)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나, 용어에 대한 분분한 이견이 오랜 기간 있어왔다. 본고는 현시점의 한국미술사에서 민화의 개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재고(再考)한다. 야나기 사상 전반에서 민예(民藝)와 이로부터 비롯되는 민화의 개념을 해석하여 보이면서 향후 변화와 향방을 보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학계에서 논의되어온 민화의 용어와 개념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야나기 미학 사상 전반에 비추어 민화라는 용어의 본의(本義)를 풀어낸다. 민화의 본의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것이 유개념(類槪念) 민예로부터 세분화되어 만들어진 종개념(種槪念)이라는 것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야나기 사후 점층되어 온 용어 제문제(諸問題)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야나기는 시대적 조류의 차원에서 동양의 미 개념을 새롭게 구명(究明)하고자 하였다. 민예와 불교미학(佛敎美學)을 넘나들며 독자적인 미론(美論)을 구축해나갔다. 어떤 지식이나 학문에 속박되지 않고, 무심(無心)으로 미추(美醜)의 분별에서 방황하지 않기에 불가사의한 놀라운 화경이 펼쳐질 수 있었던 것을 야나기는 밝혔다. 야나기는 하수품(下手品)을 통해 진정한 아름다움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타력(他力)에 의해 저절로 아름다워지는 아름다움이었다. 단순한 이지적(理智的) 사상, 분석적 지성만으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의 미 즉 불이미(不二美)의 원(願)을 야나기는 민화에서 읽어내었던 것이다. ‘Minhwa(民畵; Folk painting)’ is the term which was called by Yanagi Muneyoshi(柳宗悦, Yanagi Sōetsu, 1889-1961) for the first time, but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term for a long time. This paper reconsiders how we could interpret the concept of Minhwa in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The purpose of it is interpreting Mingei(民藝; Folk craft) from Yanagi’s overall ideology and the concept of Minhwa from this. In addition, it shows the directionality and changes hereafter. This paper organizes various results of research about the term and concept of Minhwa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academia, and interprets the real meaning of the term in Yanagi’s overall ideology of aesthetics. To know that, firstly we have to understand that Minhwa is the specific concept which is made from the generic concept, Mingei. The problems of the term which have been created after Yanagi’s death are organized as three big parts in this paper. Yanagi desired to newly look into the concept of eastern beauty in tide of the time. He had developed distinctive theory of beauty through Mingei and Buddhist Aesthetics. Minhwa was not restricted to any knowledge or study because it was made by absent-mindedness(無心) and borderless between beauty and ugliness. Accordingly, Yanagi discovered the fact that there could be mysterious and marvelous scene in Minhwa. He desired to find the meaning of real beauty through Getemono(下手品; common objects). It was beauty itself by other-power(他力). He could find the beauty which is in inaccessible with intellectual ideology and analytical intelligence, desire(願) of the one undivided beauty(不二美) from Minhwa.

      • 장인의 예술에 대한 경의(敬意): 소호 김철순(小好 金哲淳, 1931-2004)의 민화 수집과 민화론

        유미나(Yu, Mina) 한국민화학회 2020 한국민화 Vol.- No.13

        이 연구는 소호 김철순의 민화 수집과 민화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김철순은 1960-70년대에 조자용·김호연·이우환 등과 함께 민화의 가치를 알아보고 민화의 수집과 연구에 몰두했던 인물이다. 김철순은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였고 귀국해서는 언론·무역업 등에 종사하는 한편 민화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민화가 지니는 한국적 고유성과 격식을 뛰어넘는 파격적 아름다움을 통찰하고 그 가치를 알아보았던 것이다. 김철순의 민화 수집은 1960년대 말 3년 동안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단번에 국내 주요 민화 수집가로 발돋움하였다. 1970년대 초부터 각종 민화 전시회에 소장품을 출품하였고, 민화 관련 강연과 집필을 이어나갔다. 글을 쓰면서 자신을 ‘미술사가,’ ‘미술평론가,’ ‘민화연구가’ 등으로 소개하였던 점을 통해 김철순이 미술사학 전공자로서의 자의식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그는 굴지의 종합예술잡지 『공간』지와 주요 민화 도록의 글을 통해 민화론을 발표하였다. 그의 민화론을 보면 민화란 기본적으로는 정통의 화법을 배우지 못한 민간 화공들의 소박하면서도 자유로운 필치 때로는 대범한 시도가 돋보이는 그림으로 생활과 밀착된 실용화라고 보았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름난 대가는 아니되 도화서 화원이나 화승이 그린 것으로 보이는 정통 양식의 정교한 그림도 논의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후자를 김철순은 원화(院畵)라 칭했고 민화의 범주에 십장생, 오봉산일월도(일월오봉도), 책거리 등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작품들과 도교·불교·무속·유교 등의 종교화를 포함시켰다. 김철순은 민화의 분류를 논하면서 주제별·화제(畵題)별 분류를 먼저 시도하였지만, 이는 서양 사람이나 일본 사람들이 보는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며 반성하였다. 그리고 민화의 고유한 조형성과 예술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장인들의 예술의욕이 담긴 양식에 따른 독자적 분류법이 필요하다고 보고, 다섯 가지―꿈의 민화, 사랑의 민화, 믿음의 민화, 실상(實相)의 민화, 깨달음의 민화―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김철순이 말한 민화의 특성론과도 연결된다. 그는 민화의 매력으로 이들 요소를 열거하기도 하였다. 김철순은 자신의 예술적 감수성과 미술사학 전공자라는 학문 배경을 토대로 1970-80년대 민화 수집·연구가로서 민화의 가치를 알리고 이른바 민화 ‘붐’이 조성되는 데 주요 역할을 했다. 그의 민화 수집과 연구는 21세기 민화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화·확산될 수 있는 초석을 다졌다고 할 수 있다. Kim Cheolsoon(1931-2004) was one of the collectors and researchers in the 1960s and 70s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originality of Minhwa(民畵), the Korean folk paintings. Minhwa refers to the paintings that were produced by nameless painters and consumed by the people from all classes mainly to decorate their houses between the 19th and the 20th centuries Korea. Because of the relatively low prices they were regarded as cheap and expendable paintings and were rather neglected by collectors. The first to take interest and collect them were foreigners from Japan, Europe and America from late 19th through early 20th centuries. It was not until the latter half of the 1960s that the Korean collectors began to value those paintings and started to collect and do research. Kim Cheolsoon was one of those collectors who were fascinated by the unique and creative styles of minhwa paintings and were convinced they represent the individuality of Korean arts. Kim Cheolsoon’s collection began after he returned from his study in Germany where he majored in the History of Art at the University of Munich between 1959 and 1964. It seems his collection was done rather intensively in three years toward the end of the 1960s, and was revered as one of the largest minhwa collectors in Korea in the 1970s. He was invited to various minhwa exhibitions in the 1970s and 80s to show part of his collections. Also, he opened an art gallery in Insadong Seoul and hosted a number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inviting artists who tried to adopt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rom Minhwa. In the meantime, he continued his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and tried to find a rightful place for minhwa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He wrote many papers which were published in art magazines, newspapers, and books. He was one of those who played a key role in arousing the so-called ‘minhwa boom’ in the Korean art world in the 1970s and 80s. His collection and research of minhwa layed the basi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o conduct further studies of minhwa.

      • KCI등재후보

        19세기 말-20세기 초 민화의 수집 · 보존 활동과 민화 명칭의 쟁점 검토

        신정숙(Shin, Jung-sook)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6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가 우리 민족의 회화를 ‘민화’라고 명명한 이래 논란이 제기되면서 현재까지 민화 명칭에 대한 뚜렷한 결론을 맺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민화가 민중의 그림, 격이 낮은 서민의 그림이라는 의견과 궁중화까지 포함하는 화려한 채색화라는 의견까지 다양한 견해가 아직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의 대중이 수용하는 민화는 이미 그 경계를 넘어서고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민화의 개념 규정이 결론을 맺어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고 본다. 그래서 ‘민화’ 명칭의 ‘시작’과 그 ‘끝’을 찾아서 그 결론을 찾고자 하였다. 사회주의적 공예운동을 펴고 있던 야나기 무네요시는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통해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던 예술을 부정하고, 민중의 공예운동을 펼쳤다. 일본 ‘민중의 공예적 회화’의 뜻으로 ‘민화’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나, 차츰 조선에서 공예의 이상을 발견하였다. 해방이후 민화 ‘민’에 대한 오랜 논쟁에서 조자용의 넓은 의미의 ‘민’의 개념, 인간 본연의 민성으로 해석하고, 정초에 임금, 사대부, 농부 등 누구나 이러한 민성을 바탕으로 민화 그리기에 동참하며, 생활공간을 꾸몄는데, 이는 “국민 전체가 참여하여 국민적인 멋을 표현한 그림”이 민화라고 정의를 내렸다. 야나기 무네요시 ‘민화’ 명명 이전에 광통교 일대에서 ‘속화’가 외국인들에게 판매되고 있었다.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민화는 조선과 통상조약을 맺은 외교관련 서구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수집하여 박물관에 전시하면서, 역으로 우리 민화가 대중에게 널리 유통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당시 문인화 취향 사대부의 차별 속에서도 채색화 ‘속화’는 민간에서 광범위하게 판매되어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자용과 이우환의 채색화 민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은 오늘날 민화의 위상을 제고하는 데 기여한 바가 크다. 여러 민화관련 논쟁을 살펴 본 바에 의하면, 민화의 명칭은 이미 너무 대중화되어 다른 용어로 대체하기에는 시기를 놓쳤다고 본다. 그래서 ‘민화’ 명칭을 그대로 쓰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고 제안한다. 단, 전통민화는 오방색의 전통 안료를 기반으로 하여 그 정체성을 지키고, 현대 민화는 무제한적인 상상력과 자유를 허용하여 민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나라의 영문명칭, ‘고려(KOREA)’와 고려시대, 국어명칭 ‘한국’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신라의 민화’, ‘고려의 민화’, ‘조선의 민화’, ‘한국의 민화’ 등으로 시대 구분을 관형어로 붙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As the controversy has been raised since the Japanese Yanagi Muneyoshi named the paintings of our nation as minhwa, there has been no clear conclusion about the name of the folk painting to date. This is because various opinions have not been found yet, including the opinion that folk paintings are paintings of the people, the paintings of low-income people, and the opinion that they are colorful paintings including royal paintings. However, in terms of the fact that folk paintings accepted by the modern public are already beyond its boundarie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of folk paintings has reached a stage where conclusions should be made. So, I tried to find the conclusion by finding the start and the end of the minhwa name. Yanagi Muneyoshi, who was engaged in the socialist craft movement, denied the art that was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privileged class through the influence of William Morris and carried out the craft movement of the people. The term minhwa was coined in the meaning of manifactual painting of the people in Japan, but gradually found the ideal of crafts in Joseon. After liberation, in the long debate on the folk painting min, it was interpreted as the concept of min in the broad sense of Cho Ja-yong, the human nature, and at the beginning, everyone including king, master, and farmer participated in drawing folk paintings based on these folk paintings and decorate the living space. Before the naming of Yanagi Muneyoshi minhwa, specification was sold to foreigners in Gwangtonggyo area. The folk paintings that are being conveyed today are collected and exhibited in museums by foreign-related Westerners who have signed trade treaties with Joseon, and we have found that the folk paintings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to the public. Even in the discrimination of the literary and literary tastes of the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ed painting specification was widely sold in the private sector. The efforts to protect the colored folk paintings of Cho Ja-yong and Lee Woo-hwan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enhancement of the status of folk paintings today. According to various folk painting debates, the name of folk painting has already become so popular that it has missed the time to replace it with other terms. So, it is reasonable to write the name minhwa as it is. However, traditional folk paintings should be based on traditional pigments of five colors to keep their identity, and modern folk painting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lk paintings by allowing unlimited imagination and freedom. In order to avoid the confusion of the English name, KOREA and Koryo, the Korean name, Sillas folk painting, Koryos folk painting, Chosuns folk painting, Korean folk painting, etc., it would be better to attach the age classification as a formal language.

      • 20세기 민화의 제작과 유통 일면 고찰 - 전주역사박물관 김철순 기증민화를 중심으로

        박근아(Park, Geunah)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4

        조선 후기의 서화 애호풍조가 민간에 점차 확산됨에 따라 19세기 서울 도심에서는 광통교를 중심으로 민화(民畵)를 포함한 각종 서화가 유통되었고, 지방에서도 이전 시기보다 활발하게 화단이 형성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20세기에 들어서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시장을 통한 서화 거래가 더욱 증가하였으며, 민화는 방문 또는 벽장문에 바르는 도배지나 병풍 형식의 장식 그림으로 유통ㆍ소비되었다. 본고는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김철순 기증민화 중에서, 인쇄 민화와 연관성을 보이면서 화격(畫格)과 솜씨가 자유분방하고 소박한 필치의 민화 네 점을 중심으로 20세기 민화의 제작과 유통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단순하고 재미있는 그림, 해학적인 그림, 소박한 그림으로 보고 넘길 수도 있지만, 면밀하게 살펴보면 20세기에 대량 제작되어 대중적으로 유행한 인쇄 민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에 더해 민화의 주된 형식이었던 병풍, 그리고 일제강점기 농촌(農村)의 부업(副業)에 주목하여 당시 신문기사 등을 1차 자료로 삼아 민화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인쇄 민화를 그대로 모방하여 그리거나 여러 인쇄 민화에서 취사선택하여 재구성한, 그러나 필력(筆力)이 뛰어나지 않은 민화 영모ㆍ화조도는 농촌에서 부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생필품으로써 농촌에서 소비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해 보았다. As the trends of love for painting and calligraphy had spread gradually among the general public in the late Joseon period, various painting and calligraphy pieces including folk paintings were distributed around Kwangtong Bridge at the heart of Seoul, and art circles tended to form more actively than before also in other regions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arrival of the 20th century, the trade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pieces had increased not only in Seoul but also in other regions, and folk paintings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as the decorating picture of wallpaper on the room door or the closet door, or the folding screen.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an aspect of bird and flower painting, a folk painting of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4 folk paintings that showed a relationship with printed folk paintings as well as freewheeling but simple brush strokes in styles and skills, among folk paintings donated by Kim Cheolsoon, in the Jeonju Museum of History. Although these might be overlooked as just simple and interesting paintings, witty paintings or rustic paintings, it could be seen upon scrutinization that the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printed folk paintings that were mass-produced and distributed among the general public in the 20th century. Moreover, by focusing on the folding screen, a main form of folk paintings, and a side job of rural commu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ewspaper articles and other relevant documents were analyzed as the primary data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with folk paintings. Through this analysis, a possibility was suggested that folk painting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which were drawn to imitate the printed folk paintings as they were or reproduced with selections from multiple printed folk paintings but with low skills, were consumed in rural community as daily necessities produced as a side job there.

      • 꽃의 판타지: 민화 꽃그림 연구

        정병모(Chung Byungmo) 한국민화학회 2020 한국민화 Vol.- No.13

        매화인가, 모란인가? 가난한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매화와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꽃의 세계관이 민화에서 하나로 만났다. 일반 사람들은 민화 꽃그림에서 선비의 온화한 삶을 동경하고 풍요로운 삶에 대한 열망을 드러냈다. 게다가, 인생의 가혹한 현실은 꿈같은 세상을 통해 이겨낼 수 있었다. 민화의 이미지 스펙트럼이 넓은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다. 민화의 꽃은 단순한 식물이 아니라 사람과 공감을 이룬 또 다른 실체였다. 사람들은 꽃을 삶의 일부로 생각했다. 그들은 식물을 가족처럼 여겼고, 돌에서 사자, 호랑이, 사람들의 모습을 발견했다. 꽃의 세계는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들을 통해, 우리는 사람들의 애니미즘 신앙과 휴머니즘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민화의 꽃은 매우 장식적이었다. 시대가 늦을수록, 점점 더 많은 꽃과 상서로운 동물들이 장식용으로 활용되었다. “민화의 보물은 꽃그림이다”라고 할 만큼 민화에서 가장 인기가 높았던 모티브였다. 민화 책거리는 제작시기가 늦을수록 꽃으로 장식되었고, 문자도는 점차 꽃장식이 늘어났으며, 산수화도 꽃그림과 조합을 이뤘다. 꽃은 장식적인 역할을 할 뿐더러 길상을 염원하기도 했다. 민화에서 꽃은 장식화의 절정을 차지했다. 우리는 민화 꽃그림에서 장식적인 패턴을 읽을 수 있다. 깊이있는 공간 대신에 평면적인 표면을 선호했고, 꽃과 줄기는 전통적인 아라베스크 모양으로 그려졌다. 민화와 디자인은 같은 장르가 아니지만, “패턴”은 민화 그림을 감상하기 위한 중요한 암호였다. 꽃그림에서는 낭만적인 세계가 자유롭게 드러난다. 민화 꽃그림은 고전적인 궁중화 꽃그림의 엄격한 규칙에 사로잡히지 않았고, 사실주의와 양식을 따르는 원칙도 없었다. 어떤 규범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표현되었고, 평범한 꽃은 개성, 신비감, 그리고 순수성을 부여받았다. 민화 꽃그림을 통한 환상은 전통적이면서도 새롭고 현실적이고 꿈과 같은 세계였다. 사람들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받았고, 꽃 이미지에서 세상을 살아갈 행복의 근원을 찾았다. Is it a plum blossom or a peony? The world views of the plum blossom that symbolized contentment even in poverty and the peony that symbolized wealth and status meet as one in folk drawings. Through folk drawings of flowers, we admired the gentle life of the Sunbi (scholar)and exposed the desire for an abundant life. Moreover, the harsh reality of life could be escaped through a dream-like world. This is how wide the image spectrum of folk paintings are. Flowers of folk paintings are not just plants but meaning giving entities. The people thought of the flowers as part of their lives. They treated plants as family and found images of lions, tigers, and people inside stones. The world of flowers explains the stories of people’s lives. Through them, we can see the people’s animism faith and humanism world. The flower of the people’s paintings was very decorative. In the latter period of folk painting, more and more flowers and auspicious animals were used to reveal and decorate motifs. “The folk painting’s treasure is the flower” was a saying that revealed the popularity of the flower. Near the end of Chaekgeori (Paintings of books and things), flowers became more common and Moonjado (Ideographs) were changed to flower characters, landscapes pictures contained more flowers than scenery, and flowers became more popular and colorful in depicting decorative motifs. Not only were they decorative, but flowers were also symbolic of good fortune. In folk paintings, flowers provided the final touch as decorations. We can read the patterns of flower folk paintings’ decorative features. Surface instead of depth was preferred and the flower and the stem were traditionally drawn in an arabesque shape. The painting and design of folk flower paintings had no one genre. The “pattern” is an important password for admiring folk flower paintings. In such paintings, a romantic world is freely revealed. Flower paintings were not restricted to the strict rules of classical court paintings and there were no principles for realism and style to follow. Free from limits, flower paintings were expressed in freedom and the plain flower was given individuality, a sense of mystery, as well as purity. The fantasy of the flower in folk paintings was a world that could be both traditional and new, real and dream-like. The people received positive energy and found the source of happiness to live in the world from the images of flowers.

      •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 어민화(漁民畵)를 통해서 본 민화의 민속학적 접근

        이윤선(Lee Yoonsun) 한국민화학회 2016 한국민화 Vol.- No.7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에 어민화(漁民畵)가 있다. 절강성 무형유산 1호로 지정되었다. 어민들이 직접 그리고 향유하는 그림이었다. 1950년대 공산주의 프로파간다 기능을 했던 농민화의 영향을 받아 재창조된 장르로 보인다. 본고는 중국의 어민화를 사례 삼아 민속학적 범주에서 어떻게 민화에 접근하고 그 의미들을 드러낼 것인가 주목했다. 어민화를 대상으로 하니 자연스럽게 섬과 바다에 주목하게 되었다. 민화에 대한 개념이나 의미는 야나기 무네요시 이후로 많은 주의주장들이 있었다. 하지만 민속학자들이 접근하는 민화논의는 거의 없다. 한국에는 아직 어민화라는 개념이나 접근이 없다. 하지만 당신도 등 어민과 관련된 전통적인 그림들이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서양화중에서도 민화적 기법이나 철학을 가진 작품들이 생겨났다. 이들을 총체적으로 중국의 어민화라는 개념을 차용해 해석할 여지가 있음을 밝혔다. 다종다양한 민속의 범주 속에 나타나는 기능화(機能畵)로서의 민화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민화의 기능성을 중요시 한다면 응당 이것은 당대 시민들의 수요와 연계되어야 하며 장르를 뛰어넘는 접근방식이 실험되어야 한다고 봤다. 본고에서 소개한 중국의 어민화는 한국 민화가 향후 실험하거나 혹은 전통적인 민화 범주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한중을 넘어선 동아시아 전반의 연관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이것이 중국의 어민화를 소개하고 분석함을 통해서 얻어낸 본고의 성과라 할 수 있다. There ar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in Chinese Zhoushanqundao(舟山群島). They are designated as the first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Zhejiang Province. They are the pictures drawn and enjoyed by the fishermen themselves. It seems that they are recreated genre under the influence of farmers’ paintings which functioned as the communist propaganda in 1950s. Taking an example of the folk paintings of the Chinese fisherman, this paper focused on how to approach to the folk paintings in light of the folklore category and how to disclose their meaning. As the objects of analyzing being th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I naturally came to pay atention to islands and sea. There were many isms and arguments about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the folk paintings since Yanagi Muneyoshi(柳宗悅). However, there are few arguments on it approached from the folklorists. In Korea, there is no concept and approach of th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However, there are traditional paintings about fishermen like Dangshindo (堂神圖, painting of the folk god). In modern times, among western style paintings have emerged works which have the skill and philosophy of the folk paintings. It is explained that they can be interpreted by generally borrowing the concept of Chines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It seems to be worthwhile to look at the folk paintings as the functional paintings which appear in the various categories of folklore. If we think highly of the function of the folk paintings, it seems to be necessary that they have to be connected to the contemporary people’s needs and therefore, approaches surpassing the genres have to be experimented. Chines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dealt in this paper are useful for the later experiment with Korean folk paintings and for analyzing their categories. We need to bear in mind the relatedness of the whole East Asia which surmounts Korea and China. This could be the outcome of this paper which introduces and analyzes Chinese folk paintings of the fisherman.

      • 민화 초본에 대한 연구 -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신도 초본을 중심으로 -

        이다정(Lee, Da-jeong)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민화의 특징을 설명할 때는 대개 ‘민화는 장식적 필요에 의해 그린 그림이다. 민화는 토속신앙과 세계관이 반영된 그림이다. 민화에는 주술적 신앙이 반영되어 있다. 민화는 집단적 감수성의 표현이다. 민화는 뽄그림이다.라고 말한다. 이는 민화의 한 종류인 무신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무신도는 신당(神堂)을 ‘장식하기 위해’ 그려진 그림으로, ‘무속’이라는 ‘토속신앙과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고, ‘신앙’이라는 ‘집단적 감수성’이 표현되어 있으며, 초본’으로 같은 구도와 형태의 무신(巫神)을 ‘반복적으로’ 그린 그림이다. 이를 통해 무신도 또한 민화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무신도 초본 또한 민화 초본의 한 종류로 인식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민화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합의된, 민화의 특징 중 하나인 ‘민화는 ‘뽄’그림이다’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민화 초본(草本) 중 무신도 초본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우선 무신도 초본의 연구 현황과 현재 남아 있는 무신도 초본의 현황을 살펴보고,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신도 초본의 형태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신도 초본이 무신도 연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무신도 초본을 통해 무신도 제작 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다는 점과, 무신도 초본에 남겨진 명문을 통해 무신도 초본의 제작 시기를 추정해볼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신도 초본이 무신도 연구에 많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When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folk paintings are usually painted by decorative needs. Folk paintings reflect folk beliefs and worldviews. Folk paintings reflect magical beliefs. Folk paintings is an expression of collective sensitivity. Minhwa is an ‘Bon painting, he says. This applies equally to Musindo, a type of folk painting. Musindo is a painting drawn to decorate the shrine, reflecting the folk belief and worldview of shamanism, expressing the collective sensitivity of faith, and drawing the same composition and form of Musin repeatedl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Musindo can als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olk paintings, and the first copy of Musindo should also be recognized as a type of folk painting first copy.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oposition tha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hich were agreed on based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on folk paintings, “Folk paintings is a ‘Bon’ painting”, we intend to attempt a study on the Musindo first copy among folk paintings.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Musindo first cop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Musindo first copy, and analyze the form of the Musindo first copy, owned by the Gahoe minhwa museum.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usindo first copy owned by the Gahoe minhwa museum, on the study of Musindo.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 process of making Musindo first copy can be inferred through the inscription of Musindo first copy, and the timing of the production of Musindo first copy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inscription left in the abstract of Musindo first cop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firm that the Musindo first copy owned by the Gahoe minhwa museum, can provide a lot of data for Musindo research.

      • 민화 연구의 역사와 전망

        고연희(Kho Yeounhee) 한국민화학회 2017 한국민화 Vol.- No.8

        민화에 대한 연구와 수집의 역사를 보면, 20세기 전반에는 외국인이 異國의 특이고 화려한 예술로 관심을 가졌다. 특별히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는 ‘民畵’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민예론(民藝論)에 입각하여 가치를 제시하며 ‘朝鮮民畵’의 수집과 연구를 주장했다. ‘민화’의 용어를 국내에 통용시킨 이는 60년대의 건축가 조자용이다. 그는 호랑이그림을 ‘韓虎’라 칭하여 부각했다. 이 시기 ‘韓畵’와 ‘韓民畵’, 혹은 ‘겨레그림’의 용어로 민족성을 강조했다. 80년대에는 사회경제학적 담론의 형성 속에서 민화는 민중(民衆) 예술로 조명되면서 문자도를 매개로 한 민화 연구가 촉구되었다. 90년대 민화는 미술사학적 연구대상이 되었다. 민화의 세부 주제를 일반회화사의 해당 주제에 연결하여 양식사를 바탕으로 한 회화사 속에 자리매김하는 방법으로 소상팔경, 구곡도, 호랑이 그림 등이 논의되었고, 모란병, 요지연, 십장생 등 민화병풍의 뿌리가 왕실이라는 점이 논의되었으며, 중국 년화와의 비교가 시도되었다. 2000년대 민화 연구는 빠른 속도로 심화, 확대되었다. 세부 주제로는 금강산도, 경직도 및 각종 화훼영 모화의 주제, 고사인물도와 소설 등 서사적 주제에 대한 양식적, 도상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사상과 무속, 문학과 결부된 학제적 연구가 나왔다. 책거리와 문자도는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궁궐화와 민화의 관련문제도 제도적 구조의 문제에서 해석되었다. 민화라는 용어의 문제가 논의되고, 민화 제작과 유통의 실제, 화승의 역할, 민화의 지역성, 민화 작가, 국내외 수집의 영역에 이르는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일본의 영향과 무명화가의 개성 등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근현대회화 연구자들의 협조도 성과가 있었다. 앞으로 민화연구는 더욱 활발하리라 예상하고 기대한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foreigners had interests in Minwua as an exotic culture of art. Yanagi Muneyosi from Japan named Minwua as ‘Minwua’ which means folk painting, the production of unenlightened people of the lower class, suggesting the value of Minwua based on his theory of folk art. Jo Jayong in the 1960s succeeded to Yanagi’s suggestion, and insisted on the value of Minwua in a strong sense of nationalism. In the 1980s, Minwua’s value became changed into the production of the public, the subjugated class in a socialistic sense. However, in the 1990’s, art historians did not agree to the nationalistic or the socialistic view above. Instead, they regarded Minwua as a part of the history of style. In doing so, they revealed that roots of some Minwua were royal traditions. Also, there were comparative studies with folk paintings of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2000s and 2010s, the research on Minwua became subdivided and deepened. More subjects were studied in the method of style-history and iconology. The relationship to royal art was researched in the institutional structure of society and economy at that tim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by some scholar of literature, folklore, and philosoph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various aspects of Minwua, researchers would employ the methods of the New Art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