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공위성 및 해수면 온도 합성장 자료를 이용한 해수면 온도 추정 알고리즘 개발

        김정원,강분순,김영택,김정현,김현승 한국수로학회 2023 한국수로학회지 Vol.12 No.2

        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는 대기와 해양간의 열속, 수증기 등의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로서 대기와 해양 예보에 주요 입력 자료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2021년도부터 자료동화 및 이상해황 탐지 등에 해수면 온도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 해수면 온도 합성자료(KHOA SST)를 생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 해수면 온도 합성자료를 입력 자료로 사용하고 조화분해 기법과 MOS(Model Output Statistics) 기법을 적용하여 해수면 온도 추정 자료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알고리즘 개발에 사용된 기반자료는 5년 분량의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해수면 온도 자료와 1년 분량의 KHOA SST 자료이다. COMS 자료를 기반으로 조화분해한 알고리즘의 검증 결과는 관측 자료와 평균 제곱근 오차가 1.569℃, 상관계수는 0.987로 산출되었다. KHOA SST 자료를 기반으로 조화분해한 알고리즘의 검증 결과는 관측 자료와 평균 제곱근 오차가 0.969℃, 상관계수는 0.992로 산출되었다. 평균 제곱근 오차 결과가 상이한 이유는 과다하게 긴 기간의 자료를 이용할 경우 푸리에 계수의 평균(a0)이 과거의 수온 값과 함께 계산되어 최근의 수온 상승 현상을 반영하지 못하여 평균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Sea Surface Temperature(SST) is a key input to atmospheric and ocean forecasts, a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heat flux and exchange of water vapor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ocean. In order to use SST data for data assimilation and detection of abnormal oceanic conditions,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KHOA) has been producing SST composite data(KHOA SST) since 2021.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lgorithm to calculate estimative SST data using the KHOA SST as input data and applying the harmonic analysis and the Model Output Statistics(MOS) method. the base data used to develop the algorithm wer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COMS) data in 5 years and KHOA SST data in 1 year.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harmonic analysis-based algorithm using the COMS data showed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1.569℃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87℃ with the observed data.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harmonic analysis-based algorithm using the KHOA SST data shows a RMSE of 0.969℃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2℃. The reason for the different root mean square error, the lowered average(a0) of the Fourier coefficients in calculating data of excessively long periods not considering recent rise of SST, the lowered average(a0) made SST lower.

      • KCI등재후보

        현장관측을 통한 부산항 항내 중력외파 특성 분석

        이보형,김영택,강분순,송용식,김정현 한국수로학회 2023 한국수로학회지 Vol.12 No.2

        중력외파는 주기 30초∼5분인 파랑으로 항만 내로 전파되어 증폭될 경우 대형선박의 하역작업을 중단시켜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항내 신선대 부두 남측(W1)에서 약 4개월간, 북빈물량장대체부두 전면(W2)에서 약 6개월간 수압식 파고계를 사용하여 파랑관측을 수행하였으며, 단주기파와 중력외파를 산정하고 각각의 특성과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부산항 항내에서 관측된 중력외파는 파고 0.05m 미만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0.1m 이상인 파고는 2% 미만이다. 주기는 정점 W1에서 40∼50s가 40.92%, 정점 W2에서 50∼60s가 40.92%로 출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정점 W2보다 W1에서 주기가 더 긴 중력외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고 0.1m 이상인 중력외파는 단주기파 파고 0.5m 이상, 첨두주기 7s 이상인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단주기파 파고 증가에 따른 중력외파 파고 증가량은 정점 W2보다 정점 W1에서 크게 나타났다. 태풍 힌남노 통과시 단주기파 파고는 정점 W2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중력외파 파고는 W1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Infra-gravity waves (IGWs) have periods of 30 seconds to 5 minutes. If IGWs are propagated and amplified in the harbor, they can disrupt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large ships, resulting in economic losses. In this study, in-situ observations in Busan Port were conducted at the south side of Shinsundae pier (W1) for about 4 months and the front of Bookbin Lighter Wharf (W2) for about 6 months, and short-period waves and IGWs were analyzed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Most of the IGWs observed in the port of Busan are less than 0.05 meters in height, and more than 0.1 meters in height are less than 2%. Periods of 40 to 50 seconds are the highest frequency at W1, and 50 to 60 seconds are the highest frequency at W2, indicating that IGWs with longer periods occur at W1 than at W2. IGWs with wave heights greater than 0.1 m occur mainly when the short-period wave heights are greater than 0.5m and the peak periods are greater than 7 seconds. The increase in IGWs waves due to the increase in short-period waves was larger at W1 than at W2. During the passage of Typhoon Hinnammor, short-period waves were higher at W2, but IGWs were higher at W1.

      • KCI등재

        동해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 특성 및 분류

        신홍렬,김인권,김대혁,김철호,강분순,이은일,SHIN, HONG-RYEOL,KIM, INGWON,KIM, DAEHYUK,KIM, CHEOL-HO,KANG, BOONSOON,LEE, EUNIL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2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 특성 및 동한난류와의 관계를 울릉분지 주변 해역에서 1993년부터 2017년까지의 CMEMS (Copernicus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rvice) 위성 고도계 자료 및 국립수산과학원(NIFS)의 CTD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동한난류와 연결되어 있는 분포는 전체 소용돌이 숫자의 81%를 차지하며,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동한난류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형태는 7%에 불과하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동한난류로부터 형성될 당시에는 그 내부에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의 해수특성을 보유하지만, 월동을 하는 경우에는 내부구조가 크게 변한다. 겨울에는 해수면 냉각에 의한 수직 대류에 의해 소용돌이의 내부에 $10^{\circ}C$, 34.2 psu의 표층 균질층이 만들어지며, 초봄에 최대 약 250 m 수심까지 깊어진다. 여름에는 소용돌이는 수심 100 m 이내의 상층에 성층구조, 하층에는 겨울철에 만들어진 균질층이 남아있는 구조로 변화한다. 1993년부터 25년 동안 62개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생성되었다. 매년 평균 2.5개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발생하였고, 평균 수명은 259일(약 8.6개월) 이었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평균 크기는 동서방향으로 약 97 km, 남북방향으로 약 109 km 이다. 위성 고도계 자료를 사용한 경우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평균 크기가 CTD 수온 단면 자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1~25 km 작게 산정된다.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lleung Warm Eddy (UW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were analyzed using the CMEMS (Copernicus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rvice) satellite altimetry data and the CTD data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near the Ulleung Basin from 1993 to 2017. The distribution of the UWEs coupled with EKWC accounts for 81% of the total number of the UWEs. Only 7% of the total eddies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EKWC. The UWE has the characteristic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water inside of it when it is formed from the EKWC. However, when the UWE is wintering, its internal structure changes greatly. In the winter, surface homogeneous layer of $10^{\circ}C$ and 34.2 psu inside of the UWE is produced by vertical convection from sea-surface cooling, and deepened to a maximum depth of approximately 250 m in early spring. In summer, the UWE changes into a structure with a stratified structure in the upper layer within a depth of 100 m and a homogeneous layer made in winter in the lower layer. 62 UWEs were produced for 25 years from 1993 to 2017. on average, 2.5 UWEs were formed annually, and the average life span was 259 days (approximately 8.6 months). The average size of the UWEs is 98 km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109 km in the north-south direction. The average size of UWE using satellite altimetric data is estimated to be 1~25 km smaller than that using water temperature cross-sectional data.

      • KCI등재

        동해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의 이동 특성

        김재민,최병주,이상호,변도성,강분순,KIM, JAEMIN,CHOI, BYOUNG-JU,LEE, SANG-HO,BYUN, DO-SEONG,KANG, BOONSOON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2

        인공위성이 관측한 해수면 높이 자료를 활용하여 울릉분지 일대에서 발생하는 냉수성 소용돌이들을 1993년부터 2015년까지 Winding-Angle 방법을 이용하여 탐지하고 분류하였다. 냉수성 소용돌이들 중에서 동한난류 사행의 첫 번째 골에서 형성되어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의 주경로로부터 남서쪽으로 떨어져 나온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Dokdo Cold Eddy, DCE)를 구분하였고, 그 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이 관측한 수온과 염분 자료와 Hybrid Coordinate Ocean Model의 수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DCE 중심 근처에서 수온과 유속의 수직구조를 살펴보았다. DCE는 23년 동안 총 112개 발생하였고, 이 중 39개의 DCE가 서쪽으로 이동하여 한국 동해안 근처 연안에 도달하였으며, 평균 이동 거리는 250.9 km, 평균 수명은 93일, 평균 이동 속도는 3.5 cm/s였다. 나머지 73개의 DCE는 동쪽으로 이동하거나 생성된 위치 주변을 맴돌다가 소멸하였다. DCE 아래 50~100 m에서 수온(T)과 염분(S)이 주변보다 낮아(T < $5^{\circ}C$, S < 34.1) 등온선들과 등염선들이 돔(dome, 반구형으로 된 지붕 모양) 구조를 보였다. 또한 DCE의 중심에서 평균 38 km 떨어진 곳에서 10 cm/s 이상의 해류가 표층부터 수심 300 m까지 반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흐른다. 동한난류가 이안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울릉도 북쪽에서 울릉도를 끼고 시계방향으로 흘러서 사행을 시작하고, 울릉도 동쪽에 위치한 사행의 첫 번째 골이 남서쪽으로 깊이 파고들면, 해류사행의 마루와 마루가 연결되고 골 부분이 독립적으로 떨어져 나와 반시계방향 순환을 형성하면서 DCE가 생성된다. DCE가 서쪽으로 이동할 때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Ulleung Warm Eddy, UWE)의 가장자리를 따라 우회하여 시계방향으로 U 모양을 그리며 한국 동해안 쪽으로 이동한다. DCE가 연안 부근에 도달하면, 동한난류는 냉수성 소용돌이 보다 더 남쪽에서 이안하고, 냉수성 소용돌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우회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연안에서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가 약화되고 약 30일 후에 소멸하면, 동한난류가 다시 한국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흘러서 본래의 경로를 회복한다. DCE는 열과 염을 북쪽에서 남쪽으로 꾸준히 수송하고 울릉분지 남서쪽에 냉수해역 형성에 도움을 주며, 양의 상대와도를 가지고 와서 동한난류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쪽으로 이동하는 DCE 중에서 일부는 연안 냉수성 소용돌이와 병합되어 울릉분지 서쪽에 넓고 긴 냉수해역을 만들고 반시계 방향의 순환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병합된 소용돌이는 북쪽에 UWE를 남쪽에 동한난류로부터 분리시킨다. The cold eddies around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were identified from satellite altimeter sea level data using the Winding-Angle method from 1993 to 2015. Among the cold eddies, the Dokdo Cold Eddies (DCEs), which were formed at the first meandering trough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and were pinched off to the southwest from the eastward flow, were classified and their migration patterns were analyzed. The vertical structure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flow velocity near the DCE center were also examined using numerical simulation and observation data provided by the 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respectively. A total of 112 DCEs were generated for 23 years. Of these, 39 DCEs migrated westward and arrived off the east coast of Korea. The average travel distance was 250.9 km, the average lifespan was 93 days, and the average travel speed was 3.5 cm/s. The other 73 DCEs had moved to the east or had hovered around the generated location until they disappeared. At 50-100 m depth under the DC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 < $5^{\circ}C$, S < 34.1) were lower than those of ambient water and isotherms made a dome shape. Current faster than 10 cm/s circulates counterclockwise from the surface to 300 m depth at 38 km away from the center of DCE. After the EKWC separates from the coast, it flows eastward and starts to meander near Ulleungdo. The first trough of the meander in the east of Ulleungdo is pushed deep into the southwest and forms a cold eddy (DCE), which is shed from the meander in the south of Ulleungdo. While a DCE moves westward, it circumvents the Ulleung Warm Eddy (UWE) clockwise and follows U shape path toward the east coast of Korea. When the DCE arrives near the coast, the EKWC separates from the coast at the south of DCE and circumvents the DCE. As the DCE near the coast weakens and extinguishes about 30 days later after the arrival, the EKWC flows northward along the coast recovering its original path. The DCE steadily transports heat and salt from the north to the south, which helps to form a cold water region in the southwest of the Ulleung Basin and brings positive vorticity to change the separation latitude and path of the EKWC. Some of the DCEs moving to the west were merged into a coastal cold eddy to form a wide cold water region in the west of Ulleung Basin and to create a elongated anticlockwise circulation, which separated the UWE in the north from the EKWC in the south.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통합 해류도 분석

        박경애,이재연,박재진,이은일,변도성,강분순,정광영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3

        Oceanic current maps introduced in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can offer a valuabl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learn about rapid climate change and the role of currents associated with the global energy balance problem. Previously developed oceanic current maps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under the 2007 and 2009-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tained various errors in terms of scientific accuracy. To resolve these problems, marine experts have constructed a unified oceanographic map of the ocea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Since 2010, this process has involved a continuous, long-term consultation procedure. By extensively gathering opinions and through verification process, a representative and scientific oceanic current map was eventually constructed.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oceanic current maps, targeting the comprehens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These maps were incorporated into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ceanic current maps of fiv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six earth science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in high school in 2019. Although all the oceanic current maps in the textbooks were unified based on the proposed scientific oceanic current maps,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omission of certain oceanic currents or the use of a combination of dotted and solid lines. Moreover, several textbooks were found to be using incorrect names for oceanic curr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oceanic current maps, produced by integrating scientific knowledge, should be visually accurate and utilized appropriately to avoid students’ misconception.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해류도는 급변하는 기후변화와 지구상의 에너지 균형에 대한 해류의 역할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해류도는 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 전문가들은 2010년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토론과정을 통하여 2015년에 한반도 주변해의 통일된 해류모식도를 완성하였다. 광범위한 의견수렴과 검증과정을 통하여 과학적인 해류모식도로서의 대표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교육용 해류모식도도 제작하였다. 이 교육용 해류모식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부터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를 다루고 있는 2019년 출판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 5종,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 6종에 사용된 해류모식도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모든 해류도가 제안된 해류도를 기반으로 모두 통일되어 있으나, 해류도에서 일부 해류들을 생략하거나, 점선과 실선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통일된 해류명칭과 다른 잘못된 해류명칭을 사용한 교과서도 다수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오개념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학적 지식을 통합하여 제작된 해류도가 다양한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정확히 작성되고 활용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관측 기반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과학교과서 황해 및 동중국해 해류모식도

        박경애,박지은,최병주,이상호,신홍렬,이상룡,변도성,강분순,이은일,PARK, KYUNG-AE,PARK, JI-EUN,CHOI, BYOUNG-JU,LEE, SANG-HO,SHIN, HONG-RYEOL,LEE, SANG-RYONG,BYUN, DO-SEONG,KANG, BOONSOON,LEE, EUNIL 한국해양학회 2017 바다 Vol.22 No.4

        현행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해류도는 1930년대 일본 과학자에 의한 대규모 해양 관측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이다. 현재 해양학자들의 과학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이 해류도들은 상당한 오류를 가지고 있고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 새로운 해류도 제작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는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과 복잡한 지형, 바람, 조류의 영향으로 계절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하나의 해류도로 표현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해 및 동중국해의 해류도 작성에 유의해야 할 주요 항목으로 쿠로시오해류의 동중국해로의 유출입과 북상 경로, 대마난류의 기원과 대한해협으로의 유입, 대만난류의 경로, 제주난류, 양쯔강 유출류의 흐름 양상, 황해 난류의 북상 범위와 경로, 그 외 중국연안류, 한반도 서해안의 서한연안류, 보하이해 해류 등 16가지를 선정하여 이에 기반을 두고 학회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2014년부터 3년 동안 학회, 전문가 토론회, 자문회의를 통하여 해양학계 과학자들의 오랜 기간 동안 심도 있는 논의와 여러 차례 수정을 통하여 황해와 동중국해에 대한 최종 해류도를 제작하였다. 최종 해류도는 이 해역 해류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여름과 겨울을 대표하는 해류도, 여름과 겨울의 표층과 저층 해류도, 그리고 계절과 깊이에 상관없이 황해 및 동중국해를 대표할 수 있는 하나의 표층해류도 등 총 7개로 제작되었다. 이 해류도들은 향후 동해와 북서태평양 해류도와 연결하여 중등학교 교과서 및 고등교육, 나아가서는 과학 전문가를 위한 해류도로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ost of oceanic current map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have been made on the base of extensive in-situ measurements conducted by Japanese oceanographers during 1930s. According to up-to-date scientific knowledge on the current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YES), such maps have significant errors and are likely to cause misconceptions to students, thus new schematic map of ocean currents is needed. The currents in the YES change seasonally due to relatively shallow water depths, complex terrain, winds, and tides. These factors make it difficult to construct a unified ocean current map of the YES. Sixteen major items, such as the flow of the Kuroshio Current into the East China Sea and its northward path, the origi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its path into the Korea Strait, the path of Taiwan Warm Current, the Jeju Warm Current, the runoff pattern of the Yangtze River flow, the routes of the northward Yellow Sea Warm Current, the Chinese Coastal Current, and the West Korea Coastal Current off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selected to produce the schematic current map. Review of previous scientific researches, in-depth discussions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expert discussions, and consultations for three years since 2014 enabled us to produce the final ocean current maps for the YES after many revisions.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the ocean currents, we made seven ocean current maps: two representative current patterns in summer and winter, seasonal current maps for upper layer and lower layer in summer and winter, and one representative surface current map. It is expected that the representative maps of the YES, connected to the current maps of the East Sea and the Northwest Pacific Ocean, would be widely utilized for diverse purposes in the secondary-school textbooks as well as high-level educational purposes and even for scientific scholarly experts.

      • KCI등재
      • KCI등재

        초고해상도 둥지격자 수치모델을 이용한 울릉도-독도 해역 해양순환 모의

        김대혁(Daehyuk Kim),신홍렬(Hong-Ryeol Shin),최민범(Min-bum Choi),최영진(Young-Jin Choi),최병주(Byoung-Ju Choi),서광호(Gwang-Ho Seo),권석재(Seok-Jae Kwon),강분순(Boonsoon Ka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2 No.6

        지역해양수치모델(ROMS)을 이용하여 동해 및 울릉도-독도 해역의 해양순환을 모의하였다. 동해 3 km 격자 수치모델과 HYCOM 9 km 격자 자료를 사용하여 울릉도 1 km 격자 수치모델, 울릉도-독도 300 m 격자 수치모델들을 서로 단방향 둥지격자화 기법으로 구축하였다. 그 과정에서 상위모델과는 다른 수심 자료 및 내·외삽 방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개방 경계자료의 왜곡에 대한 보정방법을 제시하였다. 구축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2018년 울릉도-독도 지역에서 수평해상도가 300 m인 초고해상도 해양순환 모의 결과를 산출하였다. 초고해상도 수치모델은 같은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초기장 및 개방 경계자료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이 나타났다. 따라서 수치모델 결과를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로 추정한 유속 자료 및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온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HYCOM 자료를 경계장으로 사용한 둥지격자기법 결과는 1km 격자모델 보다 300 m 격자모델 결과에서 RMSE, Mean Bias, Pattern Correlation, Vector Correlation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동해 3 km 수치모델을 사용한 결과에서는 1 km 모델의 결과가 300 m 결과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수온 수직단면도에서는 수평해상도가 고해상도 일수록, 등온선의 골과 마루의 수직구조가 뚜렷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울릉도-독도 300 m 모델은 상위모델에서 재현되지 않았던 섬의 지형 효과에 따른 카르만 와열이 나타났다. The ocean circulation was simulated in the East Sea and Ulleungdo-Dokdo region using ROMS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model. By adopting the East Sea 3 km model and the HYCOM 9 km data, Ulleungdo 1 km model and Ulleungdo-Dokdo 300 m model were constructed with one-way grid nesting method. During the model development, a correction method was proposed for the distortion of the open boundary data which may be caused by the bathymetry data difference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models and the interpolation/extrapolation method. Using this model, a super-high resolution ocean circulation with a horizontal resolution of 300 m near the Ulleungdo and Dokdo region was simulated for year 2018. In spite of applying the same conditions except for the initial and boundary data, the numerical models result indicated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area. Therefore, these results were compared and verified by using the surface current data estimated by satellites altimeter data and temperature data from NIF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They suggest that in general, the improvement of the one-way grid nesting with the HYCOM data on RMSE, Mean Bias, Pattern correlation and Vector correlation is greater in 300 m model than in the 1 km model. However, the nesting results of using East Sea 3 km model showed that simulations of the 1 km model were better than 300 m model. The models better resolved distinct ridge/trough structures of isotherms in the vertical sections of water temperature when using the higher horizontal resolution. Furthermore, Karman vortex street was simulated in Ulleungdo-Dokdo 300 m model due to the terrain effect of th islands that was not shown in the Ulleungdo 1 km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