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三國時代 中央集權的 王權의 登場에 따른 支配理念의 採擇

        金炳坤(Kim Byong-Gon) 한국사연구회 2002 한국사연구 Vol.117 No.-

        In the dissertation. I could explain about Buddhism which enhanced the King power accumulation during the Shilla kingdom in contrast with Koguryu(高句麗) and Pyekche(百濟) cases. Koguryu had used the worship of God of Heaven(天神信仰) show the meaning of the son of heaven(天帝之子ㆍ皇天之子) from some inscription on stone monument as a tool of royal authority. On the while, Pyekche had tried to change the traditional beliefs that sacrifice for the heaven and the mother earth(祭天祀地) into more sophisticated foreign religions such as Buddhism(佛敎) and Confucianism(儒敎) to create King-orientated national building enterprise with transfer the capital at two times. The Kings of Shilla had targeted Buddhism as a national religion. Also. Shill a had filled insufficient aspects of Buddhism into Confucianism (儒敎). Therefore, Kim's clan of Shilla had achieved their royal power through Buddhism-oriented system during Mid-ancient time. For example. King Chin-heung(眞興). King Chin-pyong(眞平). and Empress Chun-deukr (善德) had cemented and enlarged Buddhism through all aspect and in the way of life to enhance their royal leadership. Finally. I insist that. in the ancient state building time. the will of power elites and Kings. and time. space of each nation respectively. should determine and effect the unique patterns of each national building course. And in the case of Shilla. above all. the will and the many different sophisticate policies to catch Buddhist thought in order to build the royal authority was much more important factor than any other external factors such as religion itself and its mechanical sophisticating system.

      • KCI등재

        영양진단 자료로서 칼슘 시비농도에 대한 두 딸기 품종의 결핍증상 발현, 생장반응 및 무기원소 흡수 비교

        김병곤(Byong-Gon Kim),최종명(Jong Myung Choi),김태일(Tai Il Kim)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1

        칼슘 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금향’ 및 ‘선홍’ 딸기를 재배하고 시비 수준이 결핍증상 발현, 생장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비교하여 영양진단 자료로 삼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칼슘이 결핍되면 ‘금향’은 신엽의 가장자리가 기형으로 변하였고, ‘선홍’은 신엽의 끝이 갈변하면서 괴사하였다. 칼슘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금향’ 딸기의 생체중은 2차곡선회귀적으로 증가하였고(y=15.88+1.7641x-0.1190x²), 엽병추출액의 Ca 농도는 직선적으로(y=40.01+9.688x)으로 증가하였다. ‘선홍’ 딸기의 생체중도 2차곡선회귀적으로(y=10.80+2.5174x-0.1945x²) 증가하였고, 엽병추출액의 Ca 농도는 직선적으로(y=44.34+3.5970x) 증가하였다. ‘금향’ 및 ‘선홍’의 생체중이 각각 식물체당 22.42g 및 18.95g에서 2차곡선 회귀의 정점이 형성되었으며, 최대생장량의 90% 생장량을 생장억제를 방지할 수 있는 최저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엽병추출액의 Ca 농도가 79 및 60㎎·㎏<SUP>-1</SUP> 이상을 유지하도록 시비하여야 생장억제를 방지할 수 있다. ‘금향’과 ‘선홍’ 딸기의 지상부 건물중도 2차곡선회귀적으로 증가하였으며(금향 y=3.6926+0.5317x-0.0578x²; 선홍 y=1.8121+0.6008x-0.0475x²) 최대생장량의 90% 생장량을 최저한계점으로 설정하면 건물에 기초한 Ca 함량이 각각 1.45% 및 1.85% 이상을 유지하도록 시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지상부 생장량 및 엽병추출액의 Ca 농도를 고려할 때 ‘금향’이 ‘선홍’보다 Ca 요구도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alcium (Ca) concentration in the fertilizer solution on development of nutrient deficiency symptoms and growth responses in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Keumhyang’ and ‘Seonhong’. To achieve this, Ca concentrations of above ground plant tissue and of petiole sap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nutritional condition of Ca which resulted in decreased crop growth. The Ca deficiency symptoms developed on the young leaves with deformed margin in ‘Keumhyang’ and severe necrosis and tip-burn in ‘Seonhong’. Growth response in fresh weight of ‘Keumhyang’ and ‘Seonhong’ to elevated Ca concentrations in the fertilizer solution was quadratic with the greatest fresh weights of 22.42 g in ‘Keumhyang’ (y=15.88+1.7641x-0.1190x²) and 18.95 g in ‘Seonhong’ (y=10.80+2.5174x-0.1945x²) per plant at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Ca concentrations in petiole sap increased lineally with the equations of y=40.01+9.688x in ‘Keumhyang’ and y=44.34+3.5970x in ‘Seonhong’. When the concentration of Ca which retarded plant growth by 10% was regarded as the threshold level, Ca concentration in petiole sap should be maintained higher than 79 ㎎·㎏<SUP>-1</SUP> in ‘Keumhyang’ and 60 ㎎·㎏<SUP>-1</SUP> in ‘Seonhong’ to prevent the growth suppression. Growth response of dry weight to elevated Ca concentrations in the fertilizer solution was quadratic with equations of y=3.6926+0.5317x-0.0578x² in ‘Keumhyang’ and y=1.8121+0.6008x-0.0475x² in ‘Seonhong’. Tissue Ca contents responded to elevated Ca concentrations in the fertilizer solution and increased lineally in both cultivars. From these equations, lower critical content of Ca was 1.45% in ‘Keumhyang’ and 1.85% in ‘Seonhong’.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ed that ‘Keumhyang’ requires higher Ca in the fertilizer solution for optimal growth than ‘Seonhong’.

      • KCI등재

        新羅 王號 ‘寐錦’의 由來와 性格

        김병곤(Kim Byong-Gon)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4

        지금까지 금석문에서 주로 발견되는 ‘寐錦’에 대해 學界에서는 단순히 『三國史記』 등에 실려 있는 신라 고유 王號에 대한 音相似나 사용 시기의 비교를 통해 尼師今 또는 麻立干의 異稱으로 이해하여 왔다. 그러면서도 많은 학자들이 ‘매금’호의 유래나 성격에 대해 항상 의문을 가지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에 필자는 기존 견해와는 다르게 古代 王號의 作名 方式과 고구려와 신라의 外交的 關係를 중심으로 ‘매금’호의 유래와 성격에 대한 고찰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매금은 신라의 고유 왕호인 麻立干에 대한 前秦의 漢文式 표기인 樓寒과 비교되는 것으로, 고구려가 신라를 신속시킨 이후 ‘麻立干’을 音借하여 한자로 표기하는 가운데 출현한 名號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고구려가 이 과정에서 별다른 근거없이 ‘비단에서 잠다는(비단옷을 두른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寐錦’을 造語한 것이 아니였다. 「中原高句麗碑」에서 확인되듯 4~5세기 高句麗 中心的 天下觀을 소유한 고구려 왕실은 對中國外交關係에서 경험한 冊封 方式을 적용하여 신라를 臣下國으로 책봉하고 의복을 수여한 바 있다. 그런데 당시 이루어진 의복수여에서 고구려는 ‘매금’이라는 명호를 조어했고, 더 나아가 ‘新羅寐錦’, ‘東夷寐錦’이라는 책봉명까지 창출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필자는 ‘寐錦’이라는 책봉명까지 창출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필자는 ‘寐錦’이 신라왕을 指稱한 명호였지만 그것은 新羅의 自稱이라기 보다는 고구려에 의해 표기되기 시작한 他稱이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Until now the academic circles have regarded Maegeum(寐錦) founded on epigraph as a another name of Yisageum(尼師今) and Maripgan(麻立干) through the comparison of synonym and time for use of Samguksagi(三國史記) or Samgukyusa(三國遺事). However, many scholars have doubts on the origin and character of Maegeum. So this paper focuses on the naming method of title of king in old period and the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Goguryeo and Shilla. As a result, Maegeum is to compare with Louhan(樓寒) of Quan Qin(前秦). That is the name that translated Maripgan after Goguryeo submitted Shilla. But Maegeum did not mean that the man who wear silk clothes. According to Goguryeo epitaph located on Joongwong, at that time she had Goguryeo-oriented view of the world. Also she applied the tributary method experienced the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Goguryeo and China, she made Shilla as a tributary nation and gave clothes. In this process she made the term Maegeum(寐錦), Shilla Maegeum(新羅寐錦), and Dongi Maegeum(東夷寐錦). Therefore Maegeum is the term that indicates King of Shilla, but it is the term that made in Goguryeo.

      • KCI등재

        『삼국사기』내 책봉 기사로 본 삼국의 태자제 운영 양상 및 정치적 위상

        김병곤(Kim, Byong-Gon)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본고는『삼국사기』의 태자 책봉 기사를 분석하여 삼국의 태자제 운영양상과 태자의 정치적 위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고구려는 28왕 중 16왕이 태자를 책봉하였다. 출생년이 확인되고 태자를 책봉한 5명의 왕 중 2명이 35세였다. 책봉시 재위 연대는 12~19년 사이였고, 중반기 이후 춘정월에 시행하는 정례화 양상이 보인다. 책봉된 왕자는 장자가 9회, 차자 2회, 3자 1회, 자 4회로 장자가 절반이며 나이는 대체로 10대 초중반이었다. 태자 책봉과 주요 관직 임명 기사를 비교해 보면, 태자의 정치적 위상은 최고위직인 國相이상이었다. 왕권의 성쇠에 따른 태자 위상의 변화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태자 책봉 횟수나 시기의 정례화 그리고 태자의 정치적 위상을 고려해 보면, 삼국 중에서 고구려 왕권의 안정도가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백제는 31왕 중 불과 6왕에 의한 6회의 태자 책봉이 단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책봉시 왕의 연령은 확인된 바 없으며, 재위 연대는 불규칙하다. 책봉된 왕자는 장자 5명, 3자 1명이다. 태자 책봉과 주요 관직 임명의 횟수를 비교해 보면, 태자가 가지는 정치적 위상은 병관좌평과 내신좌평에 미치지 못했다. 곧 백제는 거듭된 전쟁과 정란의 피해 속에 왕권이 미약하여 근친 위주의 정치 운영이 이루어지며, 안정적인 왕위 계승을 보장하는 태자 책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다. 신라는 56왕 중 14왕에 의한 17회의 태자 책봉이 확인되었다. 태자 책봉이 정착되기 이전인 上代27명의 왕들과 下代28명의 왕 중 15명이 無子등의 이유로 책봉이 없었다. 태자 책봉시 현왕의 나이나 재위 연대는 물론 시행 월도 다양하여 의례적인 정례화가 미약했다. 다만 왕계의 변화속에 즉위한 왕들은 대부분 5년 내에 책봉을 실시했다. 태자로 책봉된 17명의 왕자 중 적장자가 11명, 태손 1명, 2자 2명, 불분명 1명, 왕제 1명, 서자 1명으로 적장자 비율이 2/3이다. 책봉시 왕자의 나이는 3세 1명, 5세 3명, 11세 이하 추정 1명, 13세 1명, 20세 이하 추정 1명, 31세 1명으로 대부분 약관이었다. 왕위 계승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왕자가 태어나면 서둘러 책봉했던 듯하다. 태자 책봉과 주요 관직 임명의 횟수를 비교해보면, 태자가 지닌 정치적 위상은 上大等과 侍中을 능가하지 못하였다. 이는 태자가 주로 약관의 나이로 책봉되었고, 下代왕위 쟁탈전이 본격화되며 왕위를 노릴 정도의 정치력을 가진 인물들이 출현하여 태자를 무력화시켰기 때문이다. 이러한 태자 책봉의 양상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신라왕권의 안정도에 굴곡이 심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사적 제259호 강화 선원사(江華 禪源寺)와 신니동(神泥洞) 가궐(假闕)의 위치 비정

        김병곤(Byong Gon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지금까지 史蹟址로 지정된 선원사 터에 의문을 제기하는 모든 논자들은 이곳이 신니동 가궐 터라고 한다. 그러므로 신니동 가궐은 선원사 터의 위치 비정 논쟁에 있어서 대척점과 같지만 이에 대한 고찰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바 없었다. 이에 필자는 문헌 자료를 통해 신니동 가궐의 축조 상황을 고찰한 결과, 신니동 가궐은 元宗5년 元의 親朝 명령을 면하고자 三郞城 假闕과 함께 약 30일 정도의 단기간에 급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될만한 고고 자료를 통해 고려시대 가궐의 축조와 운영을 검토한 결과, 가궐은 사찰의 부속 건물로 조영되었음도 알 수 있었다. 곧 신니동 가궐은 선원사에 부속된 형태로 단기간에 급조된 소형 건물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신니동 가궐터는 선원사 터의 위치 비정에 또 하나의 근거가 된다. 한편 기록의 부재로 논란이 많은 선원사 터를 현재의 사적지에 비정할 만한 근거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江華島내에서 결코 비교될 수 없는 규모를 가진 현재의 사적지야말로 江都第一寺刹이었던 선원사 터일 수밖에 없다. 둘째, 선원사는 건물의 외관을 重創했던 기록이 있는데, 현재 建物址들도 외관에 治石된 長大石을 덧붙여 정비한 흔적이 다수 확인된다. 셋째, 이곳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의 편년이 선원사의 존속 시기인 1245∼1400년 초반과 상당히 일치된다는 점이다. 넷째, 본 寺刹址에서 元나라 불교 미술의 영향을 받은 土製鷲頭片과 후기 密敎의 대표적 만트라 『옴마니반메훔(唵摩尼叭迷모)』이 새겨진 막새가 다수 발견된다는 것이다. 이는 還都이후 몽골 침탈로 강화도가 황폐화되었지만, 기록에 보이는 것처럼 원 간섭기에도 본 사찰이 고려 왕실에 의해 계속 운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현 건물 遺構와 遺物의 잔존 상태 및 조선시대 선원사에 대한 국가 시책을 보면 대체적으로 인멸당한 느낌까지 든다. 이는 武臣 崔瑀의 願刹로 창건되었고, 이후 원 황실의 願刹로 지정받았으며 타도 대상인 고려 왕실의 가궐로 사용되었던 사실이 朝鮮 王朝의 건국 집단에게 용납되지 못하였던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 여섯째, 바로 현재의 터가 일부 논자들에 의해 신니동 가궐터로 비정된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니동 가궐은 선원사의 경내에 부속 건물로 급조되었는데, 이는 당시 가궐 조영의 일반적 경향이자 가장 현실적 선택이었다. 그러므로 현재 사적 제259호로 지정된 곳은 선원사지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현재의 사적지를 포함한 주변의 선원사지로 비정될 수 있는 넓은 영역의 일단에 신니동 가궐이 위치했으며, 반대로 신니동 가궐을 포함한 주변 일대가 선원사의 옛 터였던것이다.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questions the site of Seonwonsa(禪源寺) named a historical site recently. Most researchers have asserted that the site of Seonwonsa(禪源 寺) was the place of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In this respect, it might be true that while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is the point of dispute over the location of Seonwonsa(禪源寺),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illustrated on this controvers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ircumstances of construction of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and found out that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was hastily built within 30 days to avert the Yuan(元) Dynasty`s command which was an attempt to rule over Goryeo(高麗) during King Won.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Gagweol (假闕) was constructed as an annex to the temple through investigat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Gagweol(假闕) with archeological materials. That is, Sinnidong Gagweo(神泥洞 假闕)l was a small building belonging to Seonwonsa(禪源寺). Thus, the place of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may be a piece of evidence in determining the site of Seonwonsa(禪源寺). On the other hand, there is other reliable evidence that supports Seonwonsa(禪源寺) was located in the present place while it is still arguable due to the absence of any record. First, it is undeniable that the present historical site might be the site of Seonwonsa(禪源寺) which is one of the huge temples in Ganghwa island(江華島). Second, as the records shows that the exterior of Seonwonsa(禪源寺) was repaired, there are several marks of repairs attaching the upholing stones in the site, indeed. Third, the chronicle of the relics is coincident with the initial period (1245∼1400) of Seonwonsa (禪源寺). Forth, earthen Chuidupyeon(鷲頭片) affected by Buddist art in Yuan(元) and Maksae(tiles at the edge of eaves) on which Ommanibanmehum(唵摩尼叭迷모) was carved have been discovered in the temple site. It indicates that Seonwonsa(禪源寺) was managed by Goryeo(高麗) although Ganghwa island(江華島) was devastated by Mongolian invasion during the period of Yuan`s intervention. Fifth, it seems that Josean (朝鮮) destroyed the buildings and the relics under the policy on Seonwonsa(禪源寺). In other words, Joseon(朝鮮) were not likely to maintain Seonwonsa(禪源寺) because Seonwonsa(禪源寺) was constructed as a shrine by Choiwu(崔瑀) and then was designated as a shrine for Yuan Dynasty(元 帝國). Moreover, Seonwonsa(禪源寺) was used as a Goryeo(高麗) empire`s Gagweol(假闕) which should be overthrown from the perspective of Choseon(朝鮮). Finally, few researchers argue that the present site used to be the place of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As mentioned earlier,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was hastily constructed as an annex to the temple. It was a natural tendency and a realistic way to build the Gagweol(假闕) in Goryeo Dynasty(高麗 王朝) period.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place named an historical site no. 259 was the site of Seonwonsa(禪源寺). It could possibly suggest that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was located in the partial area of the wide space including the present historical site. On the other hand, the area including the place of Sinnidong Gagweol(神泥洞 假闕) was the site of Seonwonsa(禪源寺).

      • KCI등재

        A Preliminary Study on Tantalum Recycling from Obsolete Condenser by Multidisciplinary Process

        이후인,김상배,김병곤,최영윤,Lee, Hoo-In,Kim, Sang-Bae,Kim, Byong-Gon,Choi, Young-Yoon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2007 資源 리싸이클링 Vol.16 No.6

        폐콘덴서로부터 탄탈륨 음극을 회수하기 위하여 물리적 선별과, 염소가스와 사염화탄소를 이용한 기초 염화반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Stamp mill을 이용한 파쇄, 요동테이블에서의 습식 비중선별 그리고 공기 분급을 통하여 탄탈륨 음극을 98% 회수할 수 있었다. 염소가스를 이용한 TGA분석에서 탄탈륨 음극의 최대 무게 감소는 60%였고, 사염화탄소에 의한 탄탈륨 음극의 염화반응은 탄탈륨 음극을 산화탄탈륨으로 변환한 후가 반응율이 높았다. For recycling of tantalum from obsolete condenser, physical separations and chlorination of tantalum scraps with $Cl_2$ and $CCl_4$ were investigated. The recovery ratio of tantalum from obsolete condenser was 98% by using a multidisciplinary process of crushing by stamp mill, wet gravity separation by the shaking table, and air classification. In the chlorination reaction of non-oxidized Ta anode with $Cl_2$, the highest weight loss ratio is at least 60%, while in the chlorination reaction of Ta anode with $CCl_4$, the reaction rate for the oxidized Ta anode is faster than that of the non-oxidized Ta anode.

      • KCI등재

        생활폐기물(生活廢棄物) 소각(燒却) 바닥재의 자력선별(磁力選別)에 따른 크롬과 니켈의 거동(擧動)

        안지환,엄남일,조계홍,오명환,유광석,한기천,조희찬,한춘,김병곤,Ahn, Ji-Whan,Um, Nam-Il,Cho, Kye-Hong,Oh, Myung-Hwan,You, Kwang-Suk,Han, Gi-Chun,Cho, Hee-Chan,Han, Choon,Kim, Byong-G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7 資源 리싸이클링 Vol.16 No.6

        생활 폐기물은 대부분 유리류와 자기류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iron을 함유하고 있으며 약 $3{\sim}11%$에 달한다. 대부분의 iron은 Ni-Fe와 Ni-Cr-Fe 같은 합금으로 존재하거나, 부식방지와 광택을 위해 Ni와 Cr로 도금된 iron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로에서 소각될 경우 철 재품 표면에 심하게 파손된 $Fe_3O_4$층과 함께 $NiFe_2O_4$와 FeCr_2O_4$을 형성하게 되어 바닥재에 존재하게 되어 중금속산화물 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iron은 자력이 매우 강해 자력선별에 의해 쉽게 선별되며 이러한 효과로 인해 중금속 산화물의 선별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닥재는 다양한 Ni와 Cr 산화물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Ni와 Cr은 강자성을 띈 물질이기 때문에 자력선별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자력선별에 따른 Ni와 Cr의 거동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 밖의 다른 중금속(Cu, Pb, Cd, As)들의 거동 또한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Ni와 Cr은 약 $45{\sim}50%$의 선별율을 보였으며, Cu와 Pb는 $15{\sim}20%$을 나타냈다. 또한 자력선별 전과 후의 바닥재에 대해 Ni와 Cr의 용출량을 확인해본 결과 자력선별 후 바닥재의 용출량이 더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the ferrous material was separated by the magnetic separation before the incineration process, the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bottom ash generated during incinerator in metropolitan area consists of many iron products which account for about $3{\sim}11%$ as well as ceramics and glasses. The formation of $NiFe_2O_4$ and $FeCr_2O_4$ with a $Fe_3O_4-Fe_2O_3$ (similar to pure Fe) on the surface of iron product was found during air-annealing in the incinerator at $1000^{\circ}C$, because Ni and Cr has a chemical attraction about iron is using to coat with Ni and Cr metals for poish or to prevent corrosion. Therefore, Fe-Ni Cr oxide can be formed on durface of the iron product and it can be separated from bottom ash through the magnetic separation. So, in this study, the separation ratio of heavy metals as magnetic separation and mineralogical formation of Fe-ion(heavy metal) in ferrous metals corroded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the separation ratio of Ni and Cr based on particle sizes accounted for about $45{\sim}50%$, and Cu and Pb accounted for below 20%. Also, the leaching concentration of Ni and Cr in bottom ash separated by magnetic separation was lower than that in fresh bottom a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