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용작물을 가해하는 주요해충의 분포현황

        준수,김창수,송영은,김주,한종현,신민교,송호준 대한본초학회 1997 大韓本草學會誌 Vol.12 No.1

        This study performed for surveying insect pests which are distributing on medicinal plants in Korea. On the basis of pre-submitted data which were reported artificially, we analyzed the data and arranged the catalogue for surveying on medicinal plants in Korea. We classified it by family centering with host plants and arranged the catalogue of main insect pests by pla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 ; 1. The main insect pests which inflict injuries on medicinal plants showed totals on 539 species in 3 phyla, 4 classes, 14 orders and 105 families. 2. By population, arthopods were topped with 489 species (2 phyla, 11 order and 91 families) followed by nemathelminthes 47 species (1 phylum, 2 orders and 12 families), mollusca 3 species (1 phylum, 1 order and 3 families) etc. 3. Crops which showed relatively wide in host range are as follows ; Tylenchus sp. of nemathelminthes was recorded in 38 species of medicinal plants, Acusta despecta of mollusca was in 25 plants, two-spotted spider mite was in 47, tea-red spider mite was in 46, differentiate grasshopper was in 44, cotton aphid was in 23, and Sitochroa verticalis was in 33 plants.

      • 全北地方의 藥用作物 재배 및 生産現況

        郭晙洙,金昌洙,宋英恩,金柱,朴珍華,韓宗鉉,宋昊俊 圓光大學校 韓醫學硏究所 1997 원광한의학 Vol.7 No.1

        본격적인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지역특화작물의 개발과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절실한 이때 주요 소득원작물의 하나인 약용작물의 재배 및 생산현황을 파악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새로운 작목개발 및 정책 입안 자료로 활용하고자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산량을 기준으로한 전북지방의 주요 약용작물을 특화계수 분석결과 총 31개작목 중 독활, 백지, 양유, 오미자, 지황 등은 핵심품목으로 길경, 두층, 방풍, 작약, 천마 등은 주산품목으로 조사되었으며 강활 등 21개 작목은 비특화 작물로 분석되었다. 재배면적을 기준으로 한결과는 독활, 백지, 양유, 지황 등이 핵심품목으로 길경, 두층, 목단, 방풍, 백출, 오미자, 의이인, 작약 등은 주산품목으로 강활 등 19개 품목은 비특화 작물로 분석되었다. 2. 주요 약용작물 재배 계획면적 조사에서는 당귀, 두층, 오미자, 독활, 천궁 등이 계획 대비 실제 재배면적의 차이가 큰 작목으로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품가격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96 재배면적 조사 결과 전북지방의 주요 약용작물 재배 계획 면적은 총 1,692.7ha였으며 이중 독활이 426ha로 가장 많았고, 길경(283ha), 양유(179ha), 작약(165ha), 두층(154ha), 당귀(113ha), 오미자 의이인, 지황, 산수유, 천궁, 방풍 등의 순이었으며 기타작목으로 백지, 황기, 백하수오 등 28작목이 조사되었다. With the beginning of the new localization era, epoch-making techniques in local agriculture are needed to improve farm income and devlop a locally specialized crops. On the basis of these trends in local agriculture, the status quo of production in medicinal plants which are one of the major income crops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data for developing a new crops and drafting a policy.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analyzed by Location Quotient of production rate in Chonbuk were classified three catagories. 5 items including Aralia continentalis K_ITAGAWA among 31 items were so rted out as a core crops, another 5 items including Platycodon grandiflotum(J_ACQ.) A.DC. were as a main crops and other 21 items were as a non-specialized crops. Analyzed by cultivation area, 4 items were sorted out as a core crops, another 8 items were as a main crops and the other 19 items were as a non-specialized crops. 2. In comparison with the gap between intended cultivation area and real cultivation area, 5 items including Eucommia ulmoides OLIVER were showed more larger than the others. The above mentioned items were assum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price. 3. Farmer's intended cultivation areas of the major medidinal plants in 1996 were surveyed totals of 1.692 ha in Chonbuk. Among them, Aralia corolata was surveyed as the top totals of 426 ha. in area.

      • KCI등재

        전북지방(全北地方)의 항암(抗癌) 약용식물(藥用植物) 분포(分布)

        준수,한종현,송호준,백승화,Kwak, J.S.,Han, J.H.,Song, H.J.,Paik, S.H. 대한한방내과학회 199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1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anticancer medicinal plants in Chonbuk area.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anticancer medicinal plants were reported 40 families and 83 species. 2. The results of classfied, order Tubiflorates which took majority among others, had 4 Family respectively. 3. A number of species classified by orders are as follows; 13 genus and 13 species in Family Compositae, 6 species in Family Rosaceae, 5 species in Family Leguminosae, 4 species in Family Labiatae and Family Polygonaceae and 3 species in Family Ranunculaceae, Family Rubiaceae respectively.

      • KCI등재

        일반논문 : 약선 식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생물영역 교과서의 자원식물 분석

        준수 ( Joon Soo Kwa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6 No.-

        유구한 동양의 음식문화에서 한의학을 기본 바탕으로 하는 약선 식문화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약식동원(藥食同源)의 철학적 바탕에 근거한 우리 전통적 식문화의 기본을 엿볼 수 있는 것으로서 문화사적 가치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식문화는 어린 시절부터 무엇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의 문제와 함께 그것이 생활 일반은 물론 우리의 정신세계에 까지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도록 하여 장차 육체적 및 정신적 기본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관리와 교육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식생활 교육의 기초를 확립한다고 하는 차원에서 학교 교육활동의 기본단위로서 중요한 교과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고려하여 차세대 교육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일환으로 현행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물영역의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식물자원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개편 이후에 출간 되어 사용하고 있는 현행 교과서 17종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행 교과서에는 총 65과(科), 117속(屬)에 139종(種)의 식물자원이 기록되었다. 2. 현행교과서에 수록된 식물자원 중 122종은 약선 식재료로 사용이 가능한 자원식물이며, 17종은 단순 학습 자료로 분석되었다. 3. 수록된 자원식물 중 가장 기재 빈도가 높은 식물은 벼(Oryza sativa L.), 소나무(Pinus densiflora S.& Z.),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Dahlst.)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수록된 식물자원 중 약선 식재료로 이용 가능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본초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열(淸熱) 약재 류가 가장 많았고, 보익(補益)류 약재, 수렴(收斂)약재, 이수소종(利水消腫) 약재 류 등이 다음을 이었다. 5. 학년별로는 3학년에서 가장 많은 식물이 수록되었으며, 그 다음이 5학년이었으나 학년 간 또는 학기 간 난이도에 따른 배치나 선행학습을 고려한 순서의 배치 등은 없었다. 또한 어디에서도 약선 자원식물로서의 활용도나 한의약 분야 또는 식생활 분야 등의 이용방안에 대한 언급은 되어있지 않아서 향후 교과내용 개편작업에 한의약 또는 약선 분야의 전문가들이 적극 참여하여 이를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다수의 약선 자원에 대한 목록만 수록되어있을 뿐 동양 전통의학으로서의 가치나 이용적 측면을 언급한 기록은 전무한 상태여서 이에 대한 논리개발과 교육과정 개편작업에 전문가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 및 의견 개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dicated yacksun herbs recorded materials in biology subject matter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And I analyzed to the herbs by the traditional methods as in oriental medicines. To fulfill this purpose 17 species textbooks that us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was examined. And I made the list that was recorded plants, and herbalogical analysis of th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otal amount of plants that were recorded in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are 139 species, 117 Genera, 65 Families. Among them, 122 species are medicated yacksun herbs, and others are unknown. Oryza sativa L. is the largest in recorded number, and Pinus densiflora S.& Z.,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are followed. "Drugs for clearing away heat" were largest group in the recorded herbs as 35 species, "Drugs for invigorating deficiency" were second group as 23 species, and the third were "Drugs for astringent" and "Drugs for inducing diuresis and excreting dampness" such as in 9 species. Recorded number of medicated herbs in the biology textbook of primary school was the most group in 3 grade as 86 species, and in the next group in 5 grade as 82 species. But there was nothing descriptions that some effects or using methods with medicated yacksun resources. It necessary to take part in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s.

      • KCI등재

        Loss of Arabidopsis PATATIN-RELATED PHOSPHOLIPASE 2A Affects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Fertilization

        준수,송종태,서학수 한국육종학회 2022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Vol.10 No.1

        Doubled haploid (DH) technology enables the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new plant genotypes in ≤ 2 years, which is in stark contrast to the 6-7 years required for conventional breeding. Recently, a few proteins including MATRILINEAL (MTL) were found to trigger haploid induction in monocot plants. However, MTL function in dicot plants remains unclear. Here,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abidopsis PATATIN-RELATED PHOSPHOLIPASE 2A (pPLA-IIα), a maize MTL homolog, on the expression of genes that modulate pollen development and fertilization in Arabidopsis.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showed that transcript levels of four pollen tube growth-related genes and six pollen guidance- or reception-related genes were increased in the ppla-iiα T-DNA insertion mutant compared with the wild type. In addition, transcript levels of four mitosis- and meiosis-related genes, two hormone-related genes, and a calcium pump-encoding gene were also upregulated in the ppla-iiα mutant, whereas expression levels of genes encoding a synergid-secreted peptide (AtLURE1.1) and calmodulin-activated Ca 2+ -ATPase ion pump 9 (ACA9) protein were downregulated in the ppla-iiα mutant compared with the wild typ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LURE1.1 and ACA9 play positive roles in pPLA-IIα-mediated fertilization. Thus, pPLA-IIα controls fertilization through the modulation of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and guidance in Arabidopsis.

      • KCI등재

        문화 :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에 수록된 한약자원 식물 분석

        준수 ( Joon Soo Kwa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2 No.-

        현행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수록된 식물자원 중 한약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자원식물을 파악하고, 적절한 교과편성의 기초정보를 제공한다는 목적 하에 제7차 교육과정 개편 이후 현행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물영역의 교과서에 수록된 한약자원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5종 교과서를 검토하여 목록을 작성하였고, 본초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현행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물영역 교과서에 수록된 식물은 총 43과, 69속에 71종이었다. 2. 조사된 식물 중 68종은 한약자원식물이었고, 나머지 3종은 기타 학습 자료로 분석 되었다. 3. 교과서에 수록된 식물 자원 중 벼(Oryza sativa L.)가 가장 많은 교과서에 기록되었고, 다음은 콩(Glycine max (L.) Merr.), 땅콩(Arachis hypogaea L.) 그리고 감자(Solanum tuberosum L.) 등 이었다. 4. 기록된 한약자원의 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식물의 소속 과 (科)별 종(種) 수를 비교분석 한 결과 화본과에 속하는 자원식물이 총8종류로서 가장 많았으며, 이들은 주로 우리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쌀(Oryza sativa L.), 보리(Hordeum vulgare L.), 옥수수(Zea mays L.), 밀(Triticum aestivum L.),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 사탕수수(Saccharum sinensis Roxb.), 귀리(Avena fatua (L.) var. sativa) 등과 생활 주변에서 많이 관찰되는 대나무(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등이었다. 콩과(科)에 속하는 자원식물은 6종류로 다음 순위를 이었으며, 다음은 가지과, 국화과, 백합과에 속하는 자원식물들이 각각 4종류씩으로 나타났다. 5. 본초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청열(淸熱) 약재류가 가장 많은 19종류였고, 보익(補益)약재류가 17종, 거담(祛痰) 약재류가 7종, 이수소종(利水消腫) 약재류가 6종으로 다음을 이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한약자원에 대한 목록만 수록되어있을 뿐 동양 전통의학으로서의 가치나 이용적 측면, 또는 약재로서의 특성은 물론한약재로서 이용이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사례 등을 언급한 기록은 전무한 상태이며, 학습자의 입장에서 한방 의약자원으로 활용하는 식물임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고 있어서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 증진이나 학습동기 유발은 물론 장차 관련학문 분야의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지도 방법론의 개발과 함께 교육과정 개편작업에 전문가의 보다적극적인 참여 및 자료의 개발과 반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dicinal herbs recorded materials in biology subject matters textbooks of high-schools. And I analysis to the herbs by herbalogical methods as in oriental medicines. To fulfill of this purpose 5 species textbooks that using in the high-schools was examined. And I made the list that was recorded plants, and herbalogical analysis of them. The outcome of the study was as follows : 1. Total amount of plants that were recorded in textbooks of high-schools are 71 species, 69 Genera, 43 Families. 2. Among them, 68 species are medicinal herbs, and others are not. 3. Oryza sativa L. is the largest in recorded number of textbook, and Glycine max (L.) Merr., Arachis hypogaea L. and Solanum tuberosum L. are followed. 4. The multiplicity of species of each Family that decribed medicinal plants were as follows : the Gramineae was the largest group with eight species such as Oryza sativa L., Hordeum vulgare L., Zea mays L., Triticum aestivum L., Zingiber officinale Rosc., Saccharum sinensis Roxb., Avena fatua (L.) var. sativa.. And Favaceae was described six species such as Arachis hypogaea L., Pisum sativum L., Glycine max (L.) Merr., Trifolium pratense L., Phaseolus vulgaris (L.) humilis Alef., Phaseolus calcaratus Roxb. 5. "Drugs for clearing away heat" were largest group in the recorded herbs as 19 species, "Drugs for invigorating deficiency" were second group as 17 species, and next were "Drugs for removing phlegm" and "Drugs for inducing diuresis and excreting dampess" such as in 7 and 6 species.

      • KCI등재

        Pullulan과 Polysaccharides를 이용한 천연화장품용 필 오프 팩의 제조 및 특성

        준수,정소영,이소민,이석주,Sofia Brito,차병선,허효진,Lei Lei,이상훈,조하현,천유연,김예지,김형묵,이미기,병문,빈범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9 No.1

        In this study, for a natural cosmetics market, we sought to explore alternatives that can replace polyvinyl alcohol (PVA) of peel-off packs. A peel-off type pack was prepared by combining pullulan, a water-soluble polysaccharide, and other polysaccharides (sodium hyaluronate, cellulose gum, hydroxy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corn starch), and the pH, viscosity, and stability against temperature of each peel-off type pack were confirmed. The thick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manufactured film were measured for comparison with the PVA peel-off type pack, and applicability, drying speed, and removal degree were measured. Among them, the pullulan-sodium hyaluronate peel-off type pack showed excellent film formation ability to replace the peel-off type pack containing PVA with 5.12% thin film thickness and 4.23% high film tensile strength. When applied to actual skin, the degree of spread of the pack, the usability that can be uniformly applied, and the formation and removal strength of the film when removed after drying were also similar to the peel-off type pack containing PVA.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ilm formed of pullulan-sodium hyaluronate showed enough physical properties to replace the PVA of the peel-off type pack as a natural peel-off type pack. 본 연구에서는 천연 및 자연주의 화장품 시장에 대응하여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이용한 필 오프 팩을 대체할 수 있는 성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용성 다당류인 풀루란(pullulan)과 기타다당류(sodium hyaluronate, cellulose gum, hydroxy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corn starch)와의 조합을 통한 필 오프 팩을 제조하였으며, 각 필 오프 팩의 pH와 점도, 온도별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제조한 필름의두께와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기존의 PVA 필 오프 팩과 비교하였으며, 피부에서의 도포성과 건조속도, 제거성을확인하였다. 그 중 pullulan-sodium hyaluronate 필오프 팩은 5.12% 얇은 두께와 4.23% 높은 필름 인장강도로 PVA 필 오프 팩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필름성을 보였다. 실제 피부에 적용 시 팩의 퍼짐 정도와 균일하게도포 가능한 사용성, 건조 후 제거 시 필름의 형성 및 제거 강도 평가 또한 PVA 필 오프 팩과 흡사한 수준을보였다. 이에 pullulan-sodium hyaluronate 필름은 천연 필 오프 팩으로 PVA 필 오프 팩을 대체할 수 있을정도의 물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저장(貯藏) 한약재(韓藥材)를 가해(加害)하는 주요해충(主要害蟲)의 생태(生態) 연구(硏究)

        준수 ( Joon Soo Kwak ),송영은 ( Yeung Eun Song ),유지성 ( Ji Sung Ryu ),김주 ( Ju Kim ),한종현 ( Jong Hyun Han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0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17 No.2

        저장한약재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을 조사 한 결과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등이 우점해충으로 조사되었으며 지금까지 소홀히 해 왔던 응애류의 발생도 확인하였다. 한약재에 발생하는 우점해충 권연벌레는 6월과 9월 2차례, 화랑곡나방은 상온에서 6월과 8월 2차례, 그리고 응애류는 상온에서 7월과 10월 2차례의 발생 peak를 보였다. 약재 종류별로는 천궁(Cnidium officinale)에서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의이인(율무), 건지황, 백지, 감초, 길경, 당귀 등에 고루 발생하였으나 길경, 오미자, 백출 등에는 비교적 발생이 적었고 황기, 백복령, 두 충 등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한약재를 50℃ 이상 건조 처리한 구에서는 권연벌레는 발생하지 않았고, 40℃이하 건조처리구에서는 8월 이후에는 조사가 불가능 할 정도로 피해가 심하였다. 권연벌레의 먹이선호도조사에서는 천궁, 인삼, 당귀 등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백지 의이인, 건지황, 길경, 양유 등도 식해를 하나, 백출, 백복령, 두충, 갈근 등은 가해하지 않았다. 권연벌레의 성충 수명은 수컷이 11∼24일, 암컷이 5 ∼22일 이었으며 평균 17.7일과 13.2일 이었다. 권연벌레의 산란전기는 1.6일, 산란기간은 7.6일 이었고, 산란수는 59개 정도였다. 권연벌레의 부화율은 97.3%로 매우 높고, 부화기간은 5일 정도였으며, 난기간은 2.7일이었다. 권연벌레의 용화율은 94.4%였으며, 용화기간은 7.3일, 유충기간은 24.7일 이었다. 권연벌레의 우화율은 95.6%였고, 우화기간은 5일, 용기간은 2.7일 정도 였다. 천궁을 먹이로 사육한 권연벌레의 발생 소장은 5월과 7월, 9월등 3차례의 발생 피크를 보였다. 한약재 종류별, 지역별 발생상황 조사에서는 지역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한약재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sts in stored herb medicine with some different condition, and how rearing conditions affect the diversity of species and the density of stored insect pest. From April to October 1999, we were observed monthly from 16 species of herb medicines; Cnidium officinale, Angelica gigas,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Angelica dahurica, Rehmannia glutinosa, Astragalus membranaceus, Glycrrhiza uralensis, Platycodon grandiflorum, Codonopsis lanceolata, Schizandra chinensis, Aralia cordata, Panax ginseng, Pachyma hoelen, Eucommia ulmoides, Atractylodes macrocephala, Paeonia japonica. We used to Tullgren funnel for extract the small insects. The fluctuation of dominant species of stored insect pests were observed. And we serveyed the development, diet preferences, and oth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sioderma serricorne, such as the longevity and fluctuation of each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