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吳貞姬 소설에 나타난 環境의 修辭學

        박경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4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as the intersection of the rhetoric of using the environment to tell stories and the rhetoric of telling stories about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s a strategy of constructing a narrative by representing the environment in a certain way through the environmental rhetoric. In “The Gray of the Morning(未明)”, the place that has been neglected by humans and the non-human ecosystem that is formed there function as the environmental rhetoric. This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lluminates the human body shaped by its material interaction with non-human ecosystems, and constitutes a narrative in which the character’s self and perception of the world are changed and her wounds are healed. In “Paroho(破虜湖)”, the place destroyed by humans and the history of non-humans that has accumulated there function as the environmental rhetoric. This rhetoric of the environment constitutes a narrative in which the character seeks a new language that can tell the self and the world, by representing the history of non-humans and showing how the character accepts the sign of non-humans, which humans cannot define.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shows that literature is form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which is an active agent of meaning-making. 박경진, 2023,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환경의 수사학, 어문연구, 200 : 277~311 이 글에서는 오정희 소설에서 환경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과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의 교차점으로서 ‘환경의 수사학’이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환경의 수사학은 환경의 수사를 통해 환경을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면서 서사를 구성하는 전략이다. 「미명」에서는 인간에 의해 방치된 장소와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비인간의 생태계가 환경의 수사로 나타난다. 「미명」에서 환경의 수사학은 비인간의 생태계와 물질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인간의 몸을 조명하며 인물의 자아와 세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그의 상처가 치유되는 서사를 구성한다. 「파로호」에서는 인간에 의해 파괴된 장소와 그곳에서 축적되는 비인간의 역사가 환경의 수사로 나타난다. 「파로호」에서 환경의 수사학은 비인간의 역사를 재현하며 인물이 인간이 규정할 수 없는 비인간의 기호를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인물이 자아와 세계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를 모색하는 서사를 구성한다. 환경의 수사학은 문학이 환경과 불가분한 관계에서 형성되고 환경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만들어 내는 주체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식중독 경험 및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조사

        박경진,천석조,박기환,홍종해,김정원,Park, Gyung-Jin,Chun, Seok-Jo,Park, Ki-Hwan,Hong, Chong-Hae,Kim, Jeong-Weon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8 No.3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 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중(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l 3은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Korean consumer on food safety. A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from 1,040 adults randomly selected from each province and large city of Korea. Therefore, 12.4% of the subjects experienced foodborne illness at least once a year and 0.3% was hospitalized due to the illness. General restaurant (37.2%) and home (21.2%) were the main causative place of foodborne illness, and the most frequently associated foods were meat and meat products (41.7%) and fish and fish products (18.7%). Regarding the causative agent of foodborne illness, the respsondents were aware of Cholera (75.5%), Vibrio gastroenteritis (73%), Shigellosis (65.5%), Bacillary dysentery (65.5%) and Salmonellosis (47.5%) very well; however very few were aware of Listeriosis (9.9%) and brucellosis (8.3%) and ever believed they were not food-related illness. Whe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ased on 3 models (Model 1: Knowledge about the pathogens associated food and water, Model 2: The awareness of food safety, Model 3: Attitudes and behavior about foodborne disease prevention and measure)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the causative agent of foodborne ill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evious experience of foodborne illness (OR: 1.714) followed by education level (OR: 0.536) and married status (OR: 0.527). The awareness of food safety was significatly related with education level (OR: 0.702). Education (OR: 0.816) and gender (OR:0.650) we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awareness of the practice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However, the previous experience of foodborne illness and food safety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food safety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suggesting that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borne illness do not affect the real practice of food safety.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등 과학 및 환경 교과서의 기후변화 관련 텍스트 내용 비교

        박경진,정찬미,유은정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2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동일한 기후변화라는 주제를 다룰 때 과학 교과서와 환경 교과서가 어떻게 차별화되어 있는지 파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발간된 중등 과학 교과서 15종(중학교 3학년 과학 4종, 고등학교 통합과학 5종, 지구과학Ⅰ 6종)과 환경 교과서 4종(중학교 환경 2종, 고등학교 환경 2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설명 텍스트에 대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교과서는 환경 교과서에 비해 1개의 단어가 평균적으로 사용된 횟수, 단어 간의 평균 연결 정도, 네트워크의 평균 밀도가 크게 나타났다. 두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과 현상’ 측면과 ‘기후변화 대응’ 측면을 중요한 내용 요소로 제시하고 있었다. 한편, 과학 교과서는 기후변화 관련 내용 요소 중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천문학적) 요인을 구분하여 강조하고 있었으며, 환경 교과서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는 실천 노력과 관련된 내용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실천 노력 측면을 보다 강조하고 있었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과학 및 환경 교과서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Clinical Utility of Reticulocyte Hemoglobin Equivalent in Diagnosing Iron Deficiency Anemia

        박경진,Moon Jung Kim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2021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And Quality Assuran Vol.43 No.3

        Background: Iron deficiency anemia (IDA) is one of the major global public health problems. Reticulocyte hemoglobin (Hb) equivalent (Ret-He) has been proposed as an early index for IDA.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Ret-He in Korean patients with ID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tility of Ret-He as a diagnostic index in Korean patients with IDA. Methods: Laboratory data, including complete blood count and iron metabolism marker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total, 507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ased on Hb and iron index: iron deficiency (ID, n=21), IDA (n=254), non-IDA (n=150), and healthy control (HC, n=82).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power of Ret-He. Results: The Ret-He levels from the ID and IDA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the non-IDA and HC groups (P -value <0.0001; median Ret-He: 32.2 pg for ID; 29.7 pg for IDA; 33.9 pg for non-IDA; and 34.5 pg for HC). The area under the curve of Ret-He was 0.851 at a cutoff of 32.3 pg, by which IDA was discriminated from HC (sensitivity of 72% and specificity of 90%).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Ret-He could be an alternative hematologic index for the diagnosis of IDA. Further prospective clinical studies are warranted to validate the clinical utility of Ret-He and to integrate it into the diagnostic algorithm for I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