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口誦되던 향가의 記錄과 그 변모에 대하여

        박재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is paper examined how hyangga as transcribed in Samguk yusa in the late 13th century differed from the original songs that were performed orally in the Silla Kingdom. Hyangga recorded in Samguk yusa contain not only the voices of the people of Silla, but also the language of the Goryeo people. In several works, written elements from Goryeo instead of Silla are found. Uido (矣徒) in “Pungyo,” gyogyeon (敎遣) in “Heonhwaga,” yeoha (如可) in “Cheoyongga,” and baekhoeun (白乎隱) in “Dosolga” are a few example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al and literal characteristics of extant hyangga songs in Samguk yusa. As hyangga songs were incorporated into the text, editorial intervention filled the gap between the original songs and the transcription. Editors inserted comments into the songs or removed exclamations and expressed them through special phrases, such as hugu (後句), or erroneously altered certain characters during transcription 박재민, 2022, 구송되던 향가의 기록과 그 변모에 대하여, 어문연구, 196 : 111~146 본고는 13세기 후반 편찬된 三國遺事 에 ‘記錄’된 鄕歌와 원래 신라에서 ‘口誦’되던 향가의 차이를 고찰한 결과물이다. 시간적 거리 측면에서 살필 때, 삼국유사에 기록된 향가는 신라인의 목소리만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려인의 어법도 섞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지 않은 작품들에서 신라가 아닌 고려의 借字表記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風謠」의 ‘矣徒’, 「獻花歌」의 ‘敎遣’, 「處容歌」의 ‘如可’, 「兜率歌」의 ‘白乎隱’ 등이 본고가 지목한 고려 기록의 흔적들이다. 삼국유사 향가에 남아 있는 口述的 특성과 文字的 특성에 대한 고찰도 진행하였다. 구술이 문자로 정착되면서 작품과 정착 사이에는 거리가 생기게 되는데 그 틈에 편집자적 개입이 생겨남을 보았다. 그 개입은 노래 속에 주석을 넣는다거나, 감탄사를 없애고 後句 등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실행되었다. 또 기록 과정에서 문자들이 잘못 변질되기도 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석가> 발생시기 再考

        박재민 한국시가학회 2003 韓國 詩歌硏究 Vol.14 No.-

        본 논문은 고려가요로 알려진 〈정석가〉를 악곡분석과 문헌 수록 상태를 통하여 조선성종조의 노래로 추정해본 결과물이다. 우선, 그간 별개의 악곡으로 알려져 있던 〈정석가〉와 〈서경별곡〉의 악곡을 선율 비교를 통하여 유사 악곡임을 밝힌 후, 이 중, 〈정석가〉와 〈서경별곡〉에 후행하였음을 입증하엿다. 후, 조선 세종조에 창작된 〈화태〉의 악곡이 〈서경별곡〉을 모태로 하고 있다는 점, 그 〈화태〉의 일부가 다시 〈정석가〉에서 발견된다는 점을 들어 〈서경별곡〉→〈화태〉→〈정석가〉의 영향관계를 추론하였다. 문헌 수록 정황으로 살펴서는 세종조의 『대악후보』와 성종대 이후의 악서들이 참조가 되었다. 〈정석가〉는 세조대의 악곡적 상황을 비교적 상세히 보여주는 『대악후보』에서는 보이지 않는 반면, 성종이후의 기록인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금합자보』『악학편고』등에서야 비로소 다량 분포되어 나타나는데, 이로 성종시대를 기점으로 〈정석가〉가 발생하였음을 재추론하였다. 『대악후보』에 〈정석가〉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것은 세조 당시에는 〈정석가〉가 존재하지 않았기에 생긴 현상으로 풀이된다. 성종때 있었던 〈서경별곡〉의 改詞논란도 살폈다. 〈서경별곡〉은 가사의 불건전성으로 인해 성종이 그의 신하들에게 가사를 고치도록 명령한 사실이 있는데, 악곡을 이어받은 것으로 믿어지는 〈정석가〉에 그 〈서경별곡〉노랫말의 일부가 나타난다. 이 때, 사용된 어휘, 통사는 〈서경별곡〉의 그것을 그대로 차용하였음을 짐작케 하는 강한 흡사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상, 〈정석가〉는 성종조에 〈서경별곡〉을 rocks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노래로 추정된다. This thesis is based on a hypothesis assuming that Cheongsokka, a piece of Koryo Kayo, which is a pattern of lyrics from Koryo Dynasty, originated from the Seong Jong reign of Chosun Dynasty drawing upon the analysis of the lyrics and study of a canon of literature.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lyrics of Cheongsokka and Seokyung Byulkok, it was verified that Seokyong Byulkok had preceded Cheongsokka chronologically. In addition, the fact that Hwatae, originating from the Se Jong reign of Chosun Dynasty, is the one evolving from Seokyung Byulkok provided evidence for the hypothesis that Seokyung Byulkok had affected Hwatae and Hwatae affected Cheongsokka. For the study on relevant literature. Taeak Hubo from the Se Jong reign and other musical archives after the Seong Jong reign were extensively reference. Cheongsokka was not mentioned in Taeak Hubo whereas extensively referred in such archives as Akjang Kasa. Shiyoung Hyanakbo. Koumhab Jabo and Akhak Pyungo, which again supports the hypothesis Cheongsokka originated from the Seong Jong reign. In Taeak Hubo, the lyrics of Tong Tong, Jeongubas, Cheongkwacheong and Seokyung Byulkok, which are no better than Cheongsokka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the work and the order of lyrics, are referred. The reason might be that Cheongsokka had not existed during the Se Jo reign. This study also probed the argument that Seokyung Byulkok had been revised during the Seong Jong reign. This work had been ordered to be revised once by Seong Jong due to its vulgar lyrics of which part is referenced in Cheongsokka. The vocabulary and grammar of the work are also highly similar with those from Seokyung Byulkok. In summary, this study is based on a hypothesis that Cheongsokka is a piece of lyrics that originated from a course of absorbing the notes and lyrics of Seokyung Byulkok in the wake of being revised during the Seong Jong reign.

      • KCI등재

        위천에 서식하는 밀어(Rhinogobius brunneus)의 초기생활사

        박재민,한경호 한국수산과학회 202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6 No.1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early life cycle of larvae and juvenile Rhinogobius brunneus found in Wicheon, Nakdong River, Korea, were investigated. The fertilized eggs were 2.20×0.68 mm (long×short) in diameter. The eggs began hatching approximately 104 h after fertilization at water temperatures of 17.3–20.5°C (mean 18.9±1.6°C). The newly hatched yolk-sac larvae were 3.71±0.06 mm in total length (TL), with an unopened anus. Three days after hatching, the preflexion larvae were 4.37±0.16 mm in TL with yolk absorption. Twenty days after hatching, the flexion larvae were 6.50±0.22 mm in TL and the tip of the notochord was bent upward. Twenty-seven days after hatching, the postflexion larvae were 11.8±0.63 mm in TL, and the tip of the urostyle was bent at 45°. Forty days after hatching, individuals measured 18.5±0.93 mm in TL and were considered as juveniles as the number of fins became constant for each part. All the postflexion larvae had detached fins. Additionally, the melanophore was observed to be distributed on the head, centrum of the body, and dorsal fi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rphology from the water stream.

      • KCI등재

        <鄭石歌> 註釋 再考와 文學的 向方 (1) -‘三同 ․ 삭삭기’를 中心으로

        박재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2 고전과 해석 Vol.12 No.-

        본고는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전하는 「정석가」에 나타난 난해구인 ‘三同’과 ‘삭삭기’의 의미를 수록 당대의 문헌을 통하여 검증하고, 문학적 향방을 가늠해 본 결과물이다. 그간 이 두 어휘는 ‘三同’의 경우는 ‘세 묶음’, ‘삭삭기’의 경우는 ‘바삭바삭’ 등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파악은 현행어에만 의존한 것이었기에 재고의 여지를 지니고 있었다. 이로 본고는 당대 문헌 자료의 조사를 통해 이 두 어휘에 대한 ‘당대적 의미’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그 결과, 『석보상절』에 나타난 ‘곳 동’, 『노걸대언해』에 나타난 ‘삭삭한 뼈(脆骨)’ 등을 접할 수 있었고, 이를 근거로 ‘三同’과 ‘삭삭기’의 의미가 각각 ‘세 송이’·‘보드라운’일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풀이가 문학적 해석에 줄 영향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간 우리는 ‘바삭바삭한’이 주는 ‘메마르고 부정적인 느낌’, ‘꽃 삼백 송이’가 주는 ‘지나친 조건’의 느낌 등으로 인해 정석가의 정서를 필요 이상으로 ‘頑惡하게’ 파악한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본고의 해석에 따를 때, 노래의 이 구절들은 보다 雅趣있게 해석할 여지를 지니게 되어 정석가의 전체적 미감에 대한 재고를 요청해 볼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s of ‘samdong(三同)’ and ‘saksaki(삭삭기)’, the most cryptic words in <Jeongseoka(정석가)>. ‘Samdong’ and ‘saksaki’ have been translated as ‘three bunches’ and ‘dry’ respectively. However, these translations lack reliability because they only depend on contemporary linguistic forms. Investigating the meanings of the words of their time is required. This paper searched for the usage of the words through ancient books such as ≪Seokposangjeol(석보상절)≫ and ≪Nogeoldaeunhae(노걸대언해)≫ and verified that ‘samdong’ and ‘saksaki’ refer to ‘three flowers’ and ‘soft’ respectively. The literary meanings based on the new translation were also discussed. <Jeongseoka> has been interpreted as expressing harsh emotions, invoked by the words ‘samdong’ and ‘saksaki’, which were believed to convey negative feelings of excessiveness and barrenness. On the contrary, <Jeongseoka> implies more elegant emotions upon my new transl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rgued that the aesthetic value of <Jeongseoka> should b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