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ICT 리터러시 수준 차이 원인 분석

        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2010년 이후 지금까지 측정된 중학생의 ICT 리터러시 수준에서 매년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2015년 ICT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에서는 중학생 전체의 1%를 표집하여 ICT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내용을 기초로 성별 간 ICT 활 용 습관의 차이와 ICT 리터러시 수준 점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들이 남학 생보다 문서 작성 및 편집하기, 숙제나 공부를 위해 정보 검색하기, 학습을 위한 온라인 백과사전에 접속하기, SNS를 이용한 의사소통, 소식을 얻기 위한 인터넷 사용에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는 ICT 리터러시 점수와도 다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ICT 활용 습관을 고려하여 ICT 활용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cause that girl’ ICT literacy score was hiegher than boy’s score in middle school after 2010. KERIS had sampled 1% of who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measured their ICT level. Therefore, I analyzed the correlation by gender between ICT literacy score and the using habit of ICT based on that result. As a result, the girl’s score was higher than the boy’s score in field of creating or editing documents, searching information for homework and study, accessing to on-line dictionary for study and enjoying SNS. Also, that difference between girl and boy had little correlation with ICT literacy score. Therefore, I proposed educational method for ICT literacy learning based on the difference of habit to use ICT between boys and girl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에 관한 법률 제정을 위한 시론

        안성훈,조경국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3

        현재 지방자치단체는 소송수행 사무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첫째,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소송에 관하여 법무부장관의 포괄적인 지휘를 받는다. 둘째, 민사소송과 당사자소송의 경우 국가나 상법상 회사 등이 비교적 자유롭게 소속 직원에게 소송수행을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지방자치단체는 소속 직원에게 소송수행을 하게 할 방법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이 타당한가? 지방자치단체의 소송에 대한 국가의 지휘권은 행정과 소송사무의 통일적 처리를 목적으로 하지만 거기에는 우등한 상급기관이 열등한 하급기관을 지휘·통제하겠다는 전제가 숨어있다. 그러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서로 소송전략이 충돌하기도 하고, 대립하는 당사자로서 싸우기도 한다는 점에서 상하의 관계라고 할 수 없다. 국가의 소송지휘는, 전자의 경우에는 행정적 간섭이며, 후자의 경우에는 이해충돌이 된다. 또한 지방자치제도는 지방자치단체 고유의 의사결정권한을 보장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소송역량 또한 발전하였다. 그렇다면 지방자치단체의 소송에 대한 국가의 지휘권은 타당성이 적다. 한편, 국가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유롭게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지정할 수 있고, 민간 회사 등의 경우 지배인이나 사내변호사를 활용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지방자치단체는 오로지 민사소송법의 예외 규정이 아니면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활용할 수가 없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적 제한 및 사무배분이 다를 뿐 행정권한을 행사한다는 점, 각자 헌법과 법률상의 조직근거를 갖는다는 점, 독립된 법인격을 가진다는 점에서 같고, 특히 소송에 임해서는 각자가 동등한 당사자가 될 수 있으므로, 소송수행자 지정 권한에 있어 이들을 다르게 취급할 이유가 없다. 그럼에도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지위는 고사하고 민간 회사의 지위보다 못한 대우를 받고 있는데, 이는 국가에 대하여 불합리한 차별취급이다. 이러한 상황은 해석으로 극복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므로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에 관한 법률(가제)을 제정하는 방식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그 내용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이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지정하되 적어도 한 명 이상은 변호사 자격을 갖춘 직원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무의 종류를 불문하고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법무부장관의 소송지휘권을 일괄삭제하되, 예외적으로 국가적으로 통일적 사무처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일정분야의 업무에 관해서만 소송지휘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두면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과 국가행정의 통일성 모두가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local governments are heavily constrained by their litigant practices. First, local governments are under comprehensive control of the Minister of Justice in respec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Second, whereas the central government or the company can designate their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in the case of civil and party suits, the local governments have very limited methods to make their employees perform litigations. But is this restriction reasonable?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over administrative litigation by local governments is aimed at uniformly handling administrative and litigant affairs, but there is a premise that superior institutions will command and control inferior institutions. Howeve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not in a high-level and low-leve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lso, litigation strategies clash and fight as opposing parties. The central government's directions in litigation are administrative interference in the former, and conflict of interest in the latter. In addition, the local autonomy guarantees the decision-making authority unique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litigation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has also developed. If so, the central government's command over local governments' lawsuits is less valid.Meanwhile, the central government is free to designate its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under the Act on Litigation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and in the case of private companies, its employees can be used as litigation performers relatively freely by using managers or in-house lawyers. Local governments, however, cannot use their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unless they comply with the exception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re is no reason to tre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ifferently in their power to appoint litigation performer, as they have separate legal basis, and have independent legal status, especially since each can be an equal party in a lawsuit. Nevertheless, local governments are treated less than the status of private companies, let alone the status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is unreasonable discrimination against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ituation seems difficult to overcome by interpretation. Therefore, it should be resolved by enacting a law, tentatively named, the Act on Litigation to Which the Local Government is a Party. In this regard,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shall have his or her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but at least one of them shall include those who are qualified as lawyers. In addition, the Act also excluded the general authority for the directions of the Minister of Justice in relation to the litigation concerned. And only exceptional cases can be ordered when it comes to certain areas of work that are deemed necessary for a unified office handling by the central government. This would ensure both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unity of state administration.

      • KCI등재

        개인교수형 웹 코스웨어의 학습구조 설계 및 구현

        안성훈,김동호,김태영,Ahn, Sung-Hun,Kim, Dong-Ho,Kim, Tae-Yo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0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3 No.2

        The good courseware must have the me끼ts of computer and must be designed according to principles of instruction. Therefore, we propose a model of learning structure for tutorial web courseware on the basis of elaboration theory that can give us the suitable design strategies of contents for web courseware. This model is suited to the level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because it is constructed of six factors - epitome, precedence learning, basis learning, depth learning, summarizer, synthesizer. We also make a tutorial web courseware to apply this model and evaluate effects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tutorial web coursewares. 좋은 코스웨어란 컴퓨터라는 매체가 가진 장점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고 수업설계의 원리에 따라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정교화 이론에 따라 개인교수형 웹 코스웨어의 내용구조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개요정리, 선수학습요소, 기본학습, 심화학습, 요약정리, 종합정리 등의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수준별 학습이 용이하고 개별학습에 적합하다. 또한, 제시한 모델을 개발에 실제 적용하여 개인교수형 웹 코스웨어를 제작하고, 기존의 개인교수형 웹 코스웨어와 비교하여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핵심 역량 중심 2015 개정 초·중학교 SW교육과정 분석

        안성훈,이상현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9 창의정보문화연구 Vol.5 No.1

        In this paper, we analyzed 2015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art and middle school’s information subject based on core competency. As a result, in 2015 revised curriculum for practical art subject,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was well reflected in all achievement criteria and learning objectives. Also,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convergence ability were well reflected. In 2015 revised curriculum for information subject,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was well reflected in all achievement criteria and learning objectives as like practical art subject. However, there were fewer learning elements to develop self-management ability. Therefore, it is proposed in this paper that the learning elements and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SW curriculum, which can further enhance cooperative capabilities, self-management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본 논문에서는 역량 중심의 교육 흐름에 맞추어 핵심 역량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정보 교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핵심 역량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에는 정보처리활용 역량이 모든 성취기준 및 학습 목표에 잘 반영되어 있었으며, 문제해결과 창의·융합 역량을 기르기 위한 내용도 잘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에는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정보처리활용 역량이 거의 모든 학습요소에 나타났으며, 프로그래밍의 과정에서는 창의·융합 역량 및 협동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주 되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관리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학습 요소는 적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W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협동 역량, 자기 관리 역량, 의사소통 역량을 더욱 증진 시킬 수 있는 학습 요소와 교수·학습 활동 및 평가 내용이 포함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정보 관리시스템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직원의 의식 조사 연구

        안성훈,Ahn, Seong-Hu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8 No.1

        In this paper, I survey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EIMS(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have been used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 investigate of the opinion of school personnel for the effect of EIMS. I specially research on the effect and problem of NEIS. The research method which I used is a questionnaire. After I divide the school into the city and the suburban, into the NEIS model school and the other school. I sample school personnels. The collecting data is analyz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cumulative percentage, and chi-square test. In this paper, I survey the actual condition, the effect and the problem of management of EIMS and propose a improvement measure. I hope a improvement measure which I propose in this paper helps them to manage the EIMS in the further.

      • KCI등재
      • KCI등재

        학생의 ICT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문제 중심 학습(PBL)의 효과에 관한 연구

        안성훈,Ahn, Seong-Hu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6 No.2

        In this paper, I survey the field which students use ICT and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students' ability in using ICT. Also, I apply it and prove its' effect. Because Problem Based Learning treats ill-structured problem which reflects actuality, Students can pick up the actual knowledge and become verse in general principle or concept which can transmit resemble problem or situation. Therefore, I hope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ich I propose in this paper has an effect to improve students' ability in using ICT. 본 논문에서는 ICT 활용 교육에서 학생들의 ICT 활용 범위를 알아보고, 학생들에게 ICT 활용 능력을 효과적으로 습득시켜줄 수 있는 문제 중심 학습(PBL)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탐색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문제 중심 학습은 실세계를 반영한 비구조화된 문제를 다루므로 사실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유사한 문제나 상황에 전이될 수 있는 일반적인 원리나 개념의 숙달이 가능해 ICT 활용 능력 함양과 같은 실기교과의 교수-학습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