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밀실측 디지털데이터를 적용한 경관 계획 및 조경설계도면 작성기법 연구

        ( Shin,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6 No.-

        본 연구는 항공사진 촬영기법을 통한 정사영상 촬영과 도면작성 및 조경 설계분야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자 진행된 연구로 경로비행 상태를 모니터링 한 결과 ±1m오차범위의 고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Waypoint 지점에서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점으로 보아 소형 UAV를 이용한 조경설계 정사영상 데이터 구축 및 도면제작이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째, 경로비행 결과 Waypoint를 따라 확보된 디지털 데이터를 3D 형태의 메쉬데이터로 구축한 결과 정밀한 DEM과 DSM을 구축할 수 있으며, DXF파일로 추출함으로써 수치지형도보다 정밀한 지형분석이 가능하였다. 둘째, RTK 측정 데이터와 정사영상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3D 맵핑을 통한 디지털 공간정보 데이터의 신뢰성이 확인되었으며, 초소형 UAV를 이용하여 고해상 정사영상과 DSM 제작이 가능해지는 등 운용의 용이성과 장비의 기동성 측면에서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사영상데이터 기반 도면을 작성한 결과 일반 수치지형도보다 정밀하며, 종합적인 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해지면서 조경설계 분야에 즉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사분석 방법이 정밀하고 경제적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3차원 지형정보 제공, 경관영향평가, 현상변경에 따른 변화예측 등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ctual cases of the possibility that ortho image using aerial photography could be applied to the field of drawing and landscape desig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flight path status, it is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ortho image data and the drawing of the landscape using the small UAV are efficient because the altitude of the error range of ±1m is stably maintained and accurate photography is performed at the waypoint. First, digital data obtained along the waypoint as a result of flight path can be deployed as mesh data in 3D form, enabling precise DEM and DSM to be built. If this is extracted as a DXF fi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ore precise topographical analysis tha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Second, the reliability of digital spatial information data through 3D mapping has been ver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RTK measurement data with ortho image data. Since high-resolution ortho image and DSM can be produced using small UAV, which are analyzed to be reasonable in terms of ease of operation and mobility of equipment. Third, as a result of drawing based on ortho data,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data more precisely than the general digital topographic map, and it can be applied immediately to the landscape design field. In addition, as the survey analysis method is precise, economical,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analysis becomes possible, various fields can be applied such as providing 3D terrain information, landscape impact evaluation.

      • 동시성 공유정신병 : 일란성 쌍생아 자매의 역할반전 Case Formulation of Role Reversal

        신화식,유희정,김헌수,김현실,민병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5 울산의대학술지 Vol.4 No.1

        The twin sisters case of folie simultanee is reported here in this paper. A case of folie simultanee is described as two or more people becoming psychotic simultaneously and sharing the same delusion. The results of psychodynamic approach for this case are as follows. 1. There are a variety of conflicting hypotheses on the orgin of the disorder, ranging from the etiological explanation of organic factor to various psychodynamic approach. In this case, there is no evidence of hereditary factor on the laboratory findings and family history. Therefore the authors stressed that the psychodynamic formulation of the disorder is on the importance .of the etiological rol. It seem significant to describe that the etiology is multidimensional and includes factors such as character structure formation in processing of object relations,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ners, socio-environmental conditions and hereditary predisposition. 2. There are two issues in folie simultanee. The one is related to diagnosis. It is consider to distinguish the inductor from the recipient. The other is subject to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separate the inductor and recipient by admitting the inductor for a psychiatric center or not. Furthermore, the inductor and recipient's weak ego state should be recognized in planning various psychiatric treatments. 3. It could be found in the role reversal phenomenon between the inductor and recipient during long-term course.

      • 人蔘 Saponin成分이 흰쥐 膽膵液 分泌에 미치는 效果에 관한 硏究

        愼鏞會,李炫實,朴鍾大,趙台淳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0 論文集 Vol.41 No.2

        The effect of saponins including water extract of Panax Ginseng was studied on the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and cholate output and amylase activity in rats. The saponins tested were crude saponin, panaxadiol (PDS), panaxatriol (PTS). After single or two weeks administration of the samples, pancreaticobiliary juice of rats were collected for 8 hrs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animals with single administration, pancreaticobiliary juice volume(PJV) was not significanty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JV of animals from 4 to 6 hrs after two weeks administration of water extract (500mg / kg / day) or crude saponin(50mg / kg / day). (2) Cholate output was increased dose-dependently from 1 to 5 hrs after the single administration of PDS, PTS. On the other hand, after two weeks administration of crude saponin (50mg/kg/day), the cholate output of the animal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3) amylase activity in the juice were intermittently increased in single administration of water extract, crude saponin and PTS(100mg / kg). After two weeks adminis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mylase activity of animals treated with P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19세기 수산 조항의 광한루기에 나타난 조경요소의 역할과 의미

        ( Hyun Sil Shin ),( Yao Hua Che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0 No.-

        본 연구는 19세기에 쓰여진 수산 조항의 소설 광한루기 내용을 중심으로 각 공간에 표현된 묘사를 통해, 선인들의 경관관을 추출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산 조항의 광한루기는 과거 소설 속의 경관이미지 추출이라는 1차적 분석결과 이외에도, 비평을 곁들인 서술구조로 내재된 의미를 간접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조선시대 식자층의 경관관을 유추할 수 있다는 자료면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광한루기의 기술방법을 보면 춘향전의 무대가 되는 곳의 묘사에 있어 지리적으로 그 위치를 가늠 할 수 있으면서도 지세를 평가하는 작자의 묘사법이 나타나고 있으며, 장면의 사실적 경관묘사로 이야기의 해당 장면 구성요소를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하게 시각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또한, 인물을 표현함에 있어서도 이를 화목의 자태로 빗대어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수산 조항의 화목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춘향전내 등장인물의 심리상태를 적절히 묘사하는 문장법을 보이고 있다. 셋째, 광한루기는 춘향전의 남녀 간의 사랑을 위주로 한 공간을 표현하는 데 적절한 공간을 조경요소를 통하여 구현한 것으로, 이의 배경에는 조선시대 식자층의 화목을 즐겨하는 취미와 주공간 묘사를 통해 그들이 향유하고자 했던 품격있는 경관의 요소들을 현실공간에 구현한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추후, 본 기초연구 내용 결과에 대한 규명 관련 문헌류의 심도 있는 고찰과 비교·분석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draw the landscape view of forgoers through the description on each scene based on the novel, 『Gwanghanrugi』 written by Susan Jo Hang in the 19th Centu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usan Jo Hang`s 『Gwanghanrugi』 is found to be valuable not only for the first analysis to draw scene images from novels in the past, but as a material to analogize the landscape view of the past`s educated forgoers indirectly explaining embedded meanings in description structures along with criticism. Second, 『Gwanghanrugi』`s description method describing a scene of『Chunhyangjeon』 shows his illustration style enabling to analogize the geographical location while evaluating the geographical feature as well. Also, realistic landscape descriptions on scenes provide readers detail visions of components of scenes in the story as if the readers are in the location. In descriptions of characters, detail comparisons with flowers or trees are employed so that description techniques based on Susan Jo Hang`s in-depth knowledge regarding trees for properly explaining the psychological statuses of characters appear in 『Chunhyangjeon』 are demonstrated. Third, 『Gwanghanrugi』 implements adequate spaces to express the spaces for th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in 『Chunhyangjeon』. In the background of such implement, a meaning is found to implement the space components in the real space desired to enjoy by the scholars by adding their hobby to enjoy flowers and trees through major space compositions. In the future, in-depth reviews, analyses,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documents regarding the clarification of the result of this basic research.

      • 운보의 집 정원의 원형경관 및 공간변화양상

        ( Hyun Sil Shin ),( Yao Hua Chen ),( Won Ho Lee ),( Dong Hyun Kim ),( Jae 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5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3 No.-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의 원형경관 및 공간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정원의 소유권 이전에 따른 공간의 특성을 시기별로 분류하고 문헌분석 및 인터뷰, 현장조사 등을 통해 정원조영 실제와 각 시기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보의 집 조영 및 조영자의 자연관을 살펴본 결과 운보의 집은 그의 모친과 부인을 기리며 산수애호의 성향을 펼쳤던 장소로 그의 예술관과 함께 정원의 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대칭형과 나열형으로 나타나는 민화에서의 화법은 운보의 집 정원에 대칭형 점경물 배치와 둥근향나무의 열식 등 조경기법에 적용되었으며, 정자의 향이 부인의 묘를 바라보는 점 또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유주의 변화에 따른 공간특성을 시기별로 구분한 결과 3시기로 분류되었다. 1기는 운보 김기창이 운보의 집 정원을 조성했던 시기에 해당하며, 2기는 운보 김기창의 작고 이후 (재)운보문화재단이 소유함에 따라 원형경관이 변형되는 시기를 들 수 있다. 3기는 공간의 성격이 변화되는 시기로 정원의 소유가 외부인으로 이전됨에 따라 정원공간이 공원의 성격으로 변모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original scenery and place change aspect for the garden of Unbo``s House through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s by the transfer of garden to each period, looked into the actual of building a garden and change aspect for each time, and then made conclusion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to see building Unbo``s House and the builder’s nature view, Unbo``s House was the place for memory of his mother and wife and performing his tendency for loving hills and rivers, and affected to his point of view for art and building a garden. Unbo’s Babo Sansu and the aspect of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symmetric type and array type are seen remarkably. The same method was also applied to Unbo``s House such assymmetric position of ornaments, Another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ppeared in Unbo``s House, for deciding the direction of the pavilion there is what the place was created toward the tombs of the builder’s mother and wife. Second, It was divided as 3 periods after grou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following owners’ chang by each period. 1st period belongs to the time that Unbo Kim, Ki-Chang built the garden, 2nd period can be the time of original scenery change due to owned by Unbo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fter the death of Unbo Kim, Ki-Chang. 3rd period is the time that the character of the place has changed, and by the garden’s ownership transfered to outsiders garden place changed to the character of a park and continued up to now.

      •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가치발굴

        ( Shin Hyun-sil ),( Lee Kyung-mi ),( Jin Hye-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8 No.-

        본 연구는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예비 잠재자원을 추출하고 각 정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라도 지역 민가정원의 역사성은 조선 중기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정원들은 대종가의 형태가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등록문화재를 넘어 국가지정문화재에 버금가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었다. 현존 민가정원들은 대부분 조영자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일상관리를 통해 전반적인 주거형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과거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정원의 입지는 대부분 배산임수 지형을 바탕으로 동족촌 인근 또는 농지로 사용되는 넓은 평야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집성촌이나 전통마을, 주요 역사문화자원들과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전통공간에 대한 통합적 보호 속에서 현재까지 그 모습이 이어져 올 수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 가옥의 배치는 二자형, ㅁ자형, ㄱ자형, 축선형, 병렬형 등이 확인된다. 각 공간들은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건조물을 기준으로 공간의 위계를 설정하였으며, 가옥의 배치와 조합을 통해 정원 공간의 성격을 부여하였다. 특히 축선형 가옥은 가옥 내부에서 정원 조망에 용이하도록 지형을 활용하거나 건조물 일부를 덧달아 조성한 사례가 확인된다. 넷째, 전라도 민가 정원 대부분 노거수가 현재까지 생육하고 있어 가옥의 오랜 역사를 짐작케 한다. 또한 향토 수종을 중심으로 전통재식 방법에 따라 수목들이 식재 되었고 각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개화 특성 및 수목이 지닌 상징성, 계절감을 고려한 수종의 선정 및 식재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분석 결과 각 민가정원 모두 조영자의 후손들이 실제 거주함으로써 역사성과 주거 형태가 유지되고 있었으며, 집성촌 기반 정원의 입지선정 및 정원의 배치, 향토수종 중심 소규모 정원의 조성, 대형 연못 조성, 외부 수림과의 유기적 연결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유주의 노령화, 현대적 생활공간으로 개조, 부지 또는 건조물의 매매에 따른 변형, 소유주나 관리인력이 상주하지 않는 정원의 변형 등의 위협요인에 대해 시급한 정비가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 보존관리를 위해서는 초기 조성형태로의 시기적 분류, 민가정원으로서의 가치 강화 등의 중장기적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tracted preliminary potential resources from unregistered private gardens of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ach garden, resulting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rivate households in Jeolla Province vary from the mid-Joseon period to the modern era, and some gardens had historical characteristics comparable to thos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s the house of the head family continued to the present. Most of the existing private households are inhabited by descendants of the creator, and the overall change in residential type was not seen through daily management, allowing us to infer the past. Second, most of the gardens were located near a clan village or on a large plain used as farmland, based on the feng shui thought, with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In addition, it has been able to continue to the present day in the integrated protection of traditional spaces, adjacent to clan villages, traditional villages, and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ird, the subject houses to investigation are arranged in 二-shaped, ㅁ-shaped, ㄱ-shaped, axis-type, and parallel-type. Each space was constructed based on a relatively flat terrain and the hierarchy of the space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 space were given through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houses. In particular, the axis-type houses have been constructed by utilizing terrain or adding some of the buildings so that they can easily view the garden from inside the house. Fourth, most of the private house gardens in Jeolla-do have grown old trees so far, which gives us an idea of the long history of the house. In addition, trees were plant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farming methods, focusing on local species, 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trees were selected and planted considering the symbolism and seasonality of the trees.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unregistered garden of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the descendants of the creators of each private home are actually living, so historicality and residential type are maintained.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the location selection and the placement of gardens based on clan villages, the creation of small gardens centered on native species, the formation of large ponds, and the organic connection with external forests. However, urgent maintenance is required for threats such as aging owners, remodeling modern living spaces, changing sites or buildings according to sales, and transforming gardens without owners or management personnel. In addition, mid- to long-term measures such as time-based classification into the initial form of creation and strengthening the value as a private garden should be considered for continuous preservation management.

      • KCI등재

        중국 전통 사찰원림의 문화경관 특성 -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구획 및 원림의 가치를 중심으로 -

        신현실 ( Shin¸ Hyun-sil ),이행열 ( Lee¸ Ha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중국 서남지역의 서장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원의 공간구성과 원림의 형태에 관하여 그 가치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중원과 인도를 통해 유입된 불교가 서장의 민간신앙과 열악한 환경을 통해 융합되는 과정을 당대의 역사, 문화,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던 사원의 공간구획, 건물배치 및 원림을 통하여 장전불교와 장전불교사원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장전불교 사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 장전불교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를 통해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과 원림에 대한 가치를 도출하였다. 첫째, 서장은 만년설과 녹지가 공존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서장의 대표적 장전불교 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사원은 토속신앙과 불교의 자타불이와 만다라에 근거하여 계곡과 산맥에 기대어 자연에 순응하는 형태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둘째, 대상지들은 크게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어 진다. 상부는 예불을 위한 건물들이 위치하고 하부는 수행을 위한 공간과 원림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은 크게 2가지 형태로 존재하였다. 셋째, 수행하는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보리수를 식재하여 석가모니와 같이 수행을 통해 이집의 분별에서 벗어나 배진합각의 진리의 세계로 벗어나자는 이상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사원 주변 수림을 조영하여 명상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원림이 존재하였다. 수림들에는 상록 침엽수림이 주로 식재 되어 있다. This study studied the value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emple and the form of the garden located in the Seojang area in the southwestern regions of China. The value of the Lama temple was looked into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maism and Lama temple through the spatial organiz ation, building arrangement, and garden of temples that served as the center of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of the time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Buddhism introduced through China’s central districts and India with folk beliefs in Seojang through the poor environment. To this end, the value of the space and garden of the Lama temple was deriv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First, due to the unique environment in which ice caps and green areas coexist,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in Seojang,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form of leaning against valleys and mountain ranges based on folk beliefs and Buddhism's Jatabuli(自他不二) and mandala.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Second,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Buildings for worship are located in the upper space, and spaces for practice and garden are located in the lower space.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Third,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ractice space, the garden had an ideal structure to plant bo tree to escape from the two false obsession and go to a world of truth that is with the Buddha behind the world through practice like Sakyamuni, and there was a garden around the temple where meditation and exchange took place.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are mainly planted in the forests.

      • KCI등재

        인물관계로 본 ‘운보의 집’ 정원의 조영과정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 조영과 관련된 인물의 사상과 주요행적 및 정원조영에 미친 직ㆍ간접적 영향 등을 인터뷰와 관련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조영에 미친 관련 인물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보의 집 정원 조영에 직접적 관련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화재와 전통예술 분야의 대표적 인물들로 전통공간에 대한 전문가적 식견과 풍부한 경험으로 운보의 집을 전통공간으로 창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운보의 집 정원조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운보 김기창은 부지선정, 입지선정 및 주요 정원식물 식재와 전통조경시설물의 설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혜곡 최순우는 김기창의 부탁을 받아 와본 김동현을 설계자로 추천하고 전체계획에 관여한 인물이다. 와본 김동현은 주택설계 및 공간설계와 연못 등 주요시설물 설계를 담당하였다. 둘째, 간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부인 우향 정래현은 김기창이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노산 이은상, 화가 이석호는 운보의 집에 현판을 지어주었다. 이 글의 주제들은 창작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랜 기간 운보와 함께 한 김형태와 운보의 아들 김완은 운보의 집 정원 변화과정을 지켜보고 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셋째, 인물들이 조영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으로 운보 김기창은 철저한 기록정신과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부지선정과 정원의 향 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술세계에서 드러난 전통산수에 대한 인식, 전통 점경물 등의 상징성 부각에 영향을 주었다. 혜곡 최순우는 그의 전통적 의식과 경험을 운보의 집 조영에 반영하였으며 와본 김동현은 연경당을 모티브로 한 전통건축의 기본틀을 적용하면서도 장애에 대한 배려와 독창적 변화를 주었고, 동궁과 월지 발굴을 통해 습득한 연못의 입수시설 등을 전통조경 설계에 반영하였다. 노산 이은상과 이석호는 운보의 집 공간에 내재된 고유의 장소성을 완성시킨 인물들이다. 김형태는 운보의 집 정원공간 변화에 관여하였고 운보의 아들 김완은 김기창에 이어 운보의 집을 경영하였다. The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basic data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s of the garden in Unbo's House. Through interviews and related data comparison analysis the ideas and major events of the person involved in establishing a garden in Unbo’s House. Also, deriv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se people on garde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directly related to garden in Unbo's House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Based on their expertise and abundant experience in traditional spaces, they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on of Unbo's House as a traditional space. Unbo Kim, Gi-Chang who directly influenced Unbo's House gardening, which affected the site selection, loc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major garden plant plants and traditional landscaping facilities. Hyegok Choi, Soon-Woo recommended Wabon Kim, Dong-Hyun at the request of Kim Ki-Chang and was involved in the overall plan. Housing design, space design and desig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pond were confirmed Wabon Kim Dong-Hyun. Second, Kim, Gi-Chang’s wife Jeong, Rae-Hyun, who motived to construct a garden. Nosan Lee, Eun-Sang and Korean artist Lee, Seok-Ho were created a signboard and board of the Pillar to encourage simple life in paintings. The themes of the article motived image as creative. In addition, Kim, Hyeong-Sik and Kim, Wan who son of Unbo, has been with Unbo for a long time, watching and influencing garden changes in Unbo's House. Third,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garden by character are as follows. Unbo Kim, Ki-Chang had a thorough record-setting spirit and his longing for his mother and wife affected the selection of the site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garden. His art world with the symbolic emphasis of traditional landscape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and especially plant materials. Choi, Sun-Woo reflected his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n the construction of Unbo's House. Kim, Dong-Hyun applied the basic framework of a traditional building based on Yeonkyongdang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He also reflected o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design the facilities of ponds acquired through excavation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Gyeongju. Nosan Lee, Eun-Sang and Lee, Seok-Ho completed their unique place in Unbo's House. Kim, Hyung-Sik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 while Kim Wan ran the Unbo’s House which he inherited from Kim, Ki-Cha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