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문화경관 연구 - 충청남도 천안을 사례로 -

        이행열 ( Lee Ha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2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1915)』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조선환여승람(朝鮮寰與勝覽)』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천안편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명승시선』이 발간된 시대적 상황을 검토해 본 결과 1894년에 발발한 ‘청일전쟁(淸日戰爭)’에 대한 기억이 기록된 내용으로 발간되었으며, 한일강제합방(1910) 이후의 조선총독부 ‘동화주의 교육’과 궤를 같이 하였다. 저자인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에 대하여는 서문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명승시선』에서 각 명승고적을 기술하는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곳은 ‘안성도(15줄)’로, 일본의 ‘청일전쟁’과 같은 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곳이었다. 『여지승람』과 『환여승람』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명승고적은 천안의 경우 모두 13개소가 된다. 대부분 내용이 비슷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기술되었다. 다만 ‘홍경원’과 ‘성환역’은 기존의 명승고적이 가지고 있는 조선의 산수관에 대한 층 위에 ‘정유재란’ 또는 ‘청일전쟁’이라고 하는 새로운 전쟁의 역사층을 덧씌워서 전혀 새로운 명승고적의 ‘장소성’으로 전환시켜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새롭게 기술된 명승고적 중 ‘안성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첫 패배를 안겨준 ‘안성천전투’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본문 중에 시노부 순페이의 시를 소개하여 장소성과 시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강조하여 시 감상의 묘미를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기술되었다. 반면 조선의 시는 모두 10편으로 제목과 소재가 대부분 역사적 장소와 연관되며, 내용 또한 그러한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때 시 감상의 묘미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실제 구성은 전혀 페이지를 달리함으로써 그러한 맥락 관계가 무시되었다. 이러한 명승고적들이 가지는 장소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장소의 위치, 의미, 규모, 주변의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여행자를 위한 서비스 공간, 조망과 휴식 또는 회고를 위한 공간, 예불 또는 추모를 위한 사찰공간, 방어와 보호를 위한 성곽시설, 또는 임금의 어가공간 그리고 옛날 전쟁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공간으로는 은둔과 동학농민의 투쟁공간이 함께 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안이라는 지역의 문화경관으로서의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점을 토대로 하여 지역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cenic Spots by utilizing the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 地勝覽)』 and 『Joseonhwanyeoseungnam(朝鮮寰與勝覽)』 to interpret 『Joseonmyeongseungsiseon(朝鮮名勝詩選, 1915)』.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 when 『Joseonmyeongseungsiseon』 was published, it documented the Japanese’s memories of ‘Sino-Japanese War(淸日戰爭)’ in 1894, which implies the ‘policy of assimil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1910).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Narushima Sagimura(成島鷺村)’ can be found in preface. In the 『Joseonmyeongseungsiseon』, it dedicates most of the part in describing the Scenic Spot especially in ‘Anseong Do (15 lines)’, where has the memories of war such as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number of Scenic Spots, commonly mentioned in both 『Sinjeungdonggukyeoji seungram』 and 『Joseonhwanyeoseungnam』 in Cheonan province are 13 in total. Most of the content contains a similar structure. But ‘Honggyeongwon(弘慶院)’ and ‘Seonghwanyeok(成歡驛)’ has both the common Joseon Dynasty landscape point of view, and the additional historical context which are about the ‘Jeongyujaeran (丁酉再亂)’ or ‘First Sino-Japanese War’ consequently enlightens the ‘placeness’ of the Scenic Spots. Among the newly described Scenic Spots, ‘Anseongdo(安城渡)’ is the part that focuses on the memory of the ‘Anseongcheon Battle’ that gave Japan its first defeat in the Sino-Japanese War. Especially, by introducing the poetry of ‘Sinobu Shunpei’ it maximizes the appreciation through emphasizing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placeness and the poem itself. While the Joseon Dynasty poems are 10 pieces in total and their title and the subject matters are all related to historical spots, and the appreciation also maximizes when fully interpreted with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However, it’s contextual meanings are neglected by dividing the actual structures into separate pages. When looking at the location of famous historic sites, they come in many different types, considering the location, meaning, size, and conditions surrounding them. It appears as a service space for travelers, a place for sightseeing, relaxation or return, a temple space for paying respects or memorial services, a fortress facility for defense and protection, or a fishing area for wages, and an old battlefield.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area is diverse as the cultural landscape of Cheonan, given that the battle space between the hermitage and the Donghangnongmin(東學農民) is shared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local cultural assets based on these poi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문화경관 연구 - 충청남도 천안을 사례로 -

        이행열,Lee, Hang-Lyoul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cenic Spots by utilizing the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and "Joseonhwanyeoseungnam(朝鮮?與勝覽)" to interpret "Joseonmyeongseungsiseon(朝鮮名勝詩選, 1915)".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 when "Joseonmyeongseungsiseon" was published, it documented the Japanese's memories of 'Sino-Japanese War(淸日戰爭)' in 1894, which implies the 'policy of assimil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1910).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Narushima Sagimura(成島鷺村)' can be found in preface. In the "Joseonmyeongseungsiseon", it dedicates most of the part in describing the Scenic Spot especially in 'Anseong Do (15 lines)', where has the memories of war such as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number of Scenic Spots, commonly mentioned in both "Sinjeungdonggukyeoji seungram" and "Joseonhwanyeoseungnam" in Cheonan province are 13 in total. Most of the content contains a similar structure. But 'Honggyeongwon(弘慶院)' and 'Seonghwanyeok(成歡驛)' has both the common Joseon Dynasty landscape point of view, and the additional historical context which are about the 'Jeongyujaeran(丁酉再亂)' or 'First Sino-Japanese War' consequently enlightens the 'placeness' of the Scenic Spots. Among the newly described Scenic Spots, 'Anseongdo(安城渡)' is the part that focuses on the memory of the 'Anseongcheon Battle' that gave Japan its first defeat in the Sino-Japanese War. Especially, by introducing the poetry of 'Sinobu Shunpei' it maximizes the appreciation through emphasizing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placeness and the poem itself. While the Joseon Dynasty poems are 10 pieces in total and their title and the subject matters are all related to historical spots, and the appreciation also maximizes when fully interpreted with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However, it's contextual meanings are neglected by dividing the actual structures into separate pages. When looking at the location of famous historic sites, they come in many different types, considering the location, meaning, size, and conditions surrounding them. It appears as a service space for travelers, a place for sightseeing, relaxation or return, a temple space for paying respects or memorial services, a fortress facility for defense and protection, or a fishing area for wages, and an old battlefield.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area is diverse as the cultural landscape of Cheonan, given that the battle space between the hermitage and the Donghangnongmin(東學農民) is shared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local cultural assets based on these points in the future.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1915)"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조선환여승람(朝鮮?與勝覽)"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천안편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명승시선"이 발간된 시대적 상황을 검토해 본 결과 1894년에 발발한 '청일전쟁(淸日戰爭)'에 대한 기억이 기록된 내용으로 발간되었으며, 한일강제합방(1910) 이후의 조선총독부 '동화주의 교육'과 궤를 같이 하였다. 저자인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에 대하여는 서문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명승시선"에서 각 명승고적을 기술하는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곳은 '안성도(15줄)'로, 일본의 '청일전쟁'과 같은 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곳이었다. "여지승람"과 "환여승람"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명승고적은 천안의 경우 모두 13개소가 된다. 대부분 내용이 비슷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기술되었다. 다만 '홍경원'과 '성환역'은 기존의 명승고적이 가지고 있는 조선의 산수관에 대한 층 위에 '정유재란' 또는 '청일전쟁'이라고 하는 새로운 전쟁의 역사층을 덧씌워서 전혀 새로운 명승고적의 '장소성'으로 전환시켜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새롭게 기술된 명승고적 중 '안성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첫 패배를 안겨준 '안성천전투'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본문 중에 시노부 순페이의 시를 소개하여 장소성과 시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강조하여 시 감상의 묘미를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기술되었다. 반면 조선의 시는 모두 10편으로 제목과 소재가 대부분 역사적 장소와 연관되며, 내용 또한 그러한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때 시 감상의 묘미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실제 구성은 전혀 페이지를 달리함으로써 그러한 맥락 관계가 무시되었다. 이러한 명승고적들이 가지는 장소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장소의 위치, 의미, 규모, 주변의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여행자를 위한 서비스 공간, 조망과 휴식 또는 회고를 위한 공간, 예불 또는 추모를 위한 사찰공간, 방어와 보호를 위한 성곽시설, 또는 임금의 어가공간 그리고 옛날 전쟁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공간으로는 은둔과 동학농민의 투쟁공간이 함께 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안이라는 지역의 문화경관으로서의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점을 토대로 하여 지역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전통 사찰원림의 문화경관 특성 -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구획 및 원림의 가치를 중심으로 -

        신현실 ( Shin¸ Hyun-sil ),이행열 ( Lee¸ Ha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중국 서남지역의 서장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원의 공간구성과 원림의 형태에 관하여 그 가치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중원과 인도를 통해 유입된 불교가 서장의 민간신앙과 열악한 환경을 통해 융합되는 과정을 당대의 역사, 문화,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던 사원의 공간구획, 건물배치 및 원림을 통하여 장전불교와 장전불교사원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장전불교 사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 장전불교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를 통해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과 원림에 대한 가치를 도출하였다. 첫째, 서장은 만년설과 녹지가 공존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서장의 대표적 장전불교 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사원은 토속신앙과 불교의 자타불이와 만다라에 근거하여 계곡과 산맥에 기대어 자연에 순응하는 형태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둘째, 대상지들은 크게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어 진다. 상부는 예불을 위한 건물들이 위치하고 하부는 수행을 위한 공간과 원림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은 크게 2가지 형태로 존재하였다. 셋째, 수행하는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보리수를 식재하여 석가모니와 같이 수행을 통해 이집의 분별에서 벗어나 배진합각의 진리의 세계로 벗어나자는 이상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사원 주변 수림을 조영하여 명상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원림이 존재하였다. 수림들에는 상록 침엽수림이 주로 식재 되어 있다. This study studied the value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emple and the form of the garden located in the Seojang area in the southwestern regions of China. The value of the Lama temple was looked into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maism and Lama temple through the spatial organiz ation, building arrangement, and garden of temples that served as the center of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of the time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Buddhism introduced through China’s central districts and India with folk beliefs in Seojang through the poor environment. To this end, the value of the space and garden of the Lama temple was deriv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First, due to the unique environment in which ice caps and green areas coexist,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in Seojang,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form of leaning against valleys and mountain ranges based on folk beliefs and Buddhism's Jatabuli(自他不二) and mandala.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Second,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Buildings for worship are located in the upper space, and spaces for practice and garden are located in the lower space.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Third,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ractice space, the garden had an ideal structure to plant bo tree to escape from the two false obsession and go to a world of truth that is with the Buddha behind the world through practice like Sakyamuni, and there was a garden around the temple where meditation and exchange took place.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are mainly planted in the for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