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 of miRNAs on Pain related Genes in Endometriosis

        ( Jae Yen Song ),( Mee Ran Kim ),( Hugh Taylor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9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5 No.-

        Objective: Two of the problems with endometriosis are pain and infertility. The objectives is to show how endometriosis controls pain-related gene in humans. Methods: I selected up or down-expressed genes more than two fold differences between mice brain of endometriosis and those of control. I search the number of valid gene found in the four parts of the brain. I found a reported gene associated with pain, mainly in humans or mice, and another condition was to see target gene of microRNA related to endometriosis through two database. At first, I confined to microRNA 125, 150, 342, 451, 3613, Let7b as microRNA associated with Endometriosis. I transfected those miRNAs into human SH-SY5Y cell line, which is human BM neuroblast. Using RNA from the cell line, create a cDNA and evaluate the Candidate gene by the RT-PCR. And then using protein extracted from cell line, western blot was performed to check out candidate genes. Results: The most commonly found lesion is the insula area among amygdala, cerebral cortex, hippocampus and insula. Among these genes, 14 pain-related gene could be extracted. The RT-PCR repeated in several batche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RD2 in the group treated with microRNA 125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AC1. As with the RT-PCR results, the group that transfected microRNA 125 mimc increased the Western blot density and the group that transfected microRNA 125 inhibitor decreased the Western blot density. And also microRNA 150 inhibitor decreased the Western blot density. But it is not shown from the RT-PCR results. Conclusion: We confined two target genes which interact with endometriosis-related microRNAs. Also we showed how to control those genes. We could use microRNAs as pain regulator caused by endometriosis.

      • KCI등재후보

        열성홍조 치료를 위한 SSRI와 SNRI의 이용

        송재연 ( Jae Yen Song ),김미란 ( Mee Ran Kim ),김장흡 ( Jang Heub Kim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2

        호르몬 치료 받기를 꺼려하거나, 60대 이상의 여성이 지속적이고 심한 열성홍조를 호소하거나, 유방암의 병력이 있는 여성에서 열성홍조의 치료를 위해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이외의 치료를 고려해야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 SSRI/SNRI가 있다. 열성홍조에 관한 메타분석과 임상시험을 종합해볼 때, paroxetine은 일반형에서 30~40%, 서방형에서 60~70% (대조군보다 13~41% 더 효과적) 열성홍조 감소를 보이고, venlafaxine은 30~60% (대조군보다 33%), desvenlafaxine은 30~70%의 효과를 보인다. Fluoxetine과 citalopram은 효과가 덜하며, 각각 20% (대조군보다 13%), 40~50%의 열성홍조 감소를 보인다. Sertraline은 대조군보다는 3~18% 감소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는 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talopram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37.5~150 mg, desvenlafaxine 100~200 mg 군에서는 열성홍조 호전 외에도 수면, 기분, 활력지수, 삶의 질 향상 등의 부가적인 이점이 있었다. Citalopram 20 mg, fluoxetine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75~150 mg, desvenlafaxine 150 mg이 효능과 부작용 두 측면을 모두 고려할때 추천할만한 용량이다. 그러나 SSRI/SNRI는 tamoxifen이 중간 활성물질인 endoxifen로 전환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tamoxifen을 복용하는 유방암 환자에서는 SSRI/SNRI을 사용하면 안 된다. 억제 정도는 paroxetine이 가장 강하고, fluoxetine, sertraline, citalopram, venlafaxine 순서이다. 또한 유방암 환자에서 paroxetine을 사용할 경우 유방암 관련 사망률의 증가가 보고되어, 유방암에서는 paroxetine의 사용이 추천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호르몬 치료를 받을 수 없는 여성에서는 차선책으로 SSRI, SNRI가 유용하게 시도될 수 있다. For postmenopausal women who fear hormone therapy, women 60 years of age with continuous, severe hot flushing or women with a history of breast cancer, we should conside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NRIs) as therapeutic agents. Base on the results from a meta-analysis and clinical trials regarding hot flushing, paroxetine and the conetrolled-release formultation of paroxetine have been shown to effectively reduce hot flushing by 30~40% and 60~70%, respectively, and 13~41% more reductions as compared to placebo. Venlafaxine reduced hot flushes by 30~60% (133% reductions compared to placebo), and desvenlafaxine reduced hot flushes by 30~70%. Fluoxetine and citalopram were shown to be less effective than paroxetine and venlafaxine, by 20% (113% reductions compared to placebo) and 40~50%, respectively. Sertraline reduced hot flushes 3~18%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but was considered ineffective. Citalopram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37.5~150 mg), and desvenlafaxine (100~200 mg) not only reduced vasomotor symptoms, but demonstrated additional beneficial outcomes with respect to sleep disturbances, mood, the vigor index,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Citalopram (20 mg), fluoxetine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75~150 mg), and desvenlafaxine (150 mg) are recommended at the corresponding doses after weighing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se medications. SSRIs and SNRIs were shown to interrupt the conversion of tamoxifen into the active metabolite, endoxifen, and thus SSRIs and SNRIs must not be used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are taking tamoxifen. Paroxetine suppressed vasomotor symptoms most potently, followed by fluoxetine, sertraline, citalopram, and venlafaxine.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68-74)

      • KCI등재

        월경 주기에 따른 IGF-1과 -2의 혈중농도와 난소에서의 발현

        송재연 ( Jae Yen Song ),위지선 ( Ji Sun Wee ),조현정 ( Hyun Jung Cho ),국일영 ( Ill Young Kook ),조현희 ( Hyun Hee Jo ),김미란 ( Mee Ra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강창석 ( Chang Suk Kang ),김장흡 ( Jang Heub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임기 여성에서 생리 주기에 따른 혈액과 난소에서 IGF-I과 IGF-II의 농도 및 발현 변화를 알아보고, FSH, LH, Estradiol과 어느 정도 연관성을 가지고 작용하는지 살펴보며, 또한 인간에서는 IGF-I과 IGF-II중 어느 쪽이 인간의 난소 기능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월경주기와 난소기능이 정상인 가임기 여성 80명의 정맥혈을 채혈하여 IGF-I, IGF-II, FSH, LH,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였고, 14예의 난소조직을 얻어 IGF-I과 IGF-II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연령은 20세에서 45세 사이였고, 평균은 32.6±9.15세이었다. 월경주기는 27-29일 사이였다. 결과: 1. 정상적인 가임기 여성의 월경주기에 따른 IGF-I의 농도는 평균 204.43±50.92 ng/mL 이었고, IGF-II의 농도는 평균 1381.56±292.56 ng/mL 이었다. 2. 월경주기에 따른 IGF-I과 IGF-II의 혈중 농도 변화는 규칙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았고, 상호 연관성도 없었다 (P=0.19). 3. 월경 주기에 따라 FSH, LH, estradiol의 혈중 농도와 IGF-I, IGF-II의 혈중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FSH와 IGF-II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48). 4. 정상 난소 조직에서 IGF-I은 1차, 2차, 성숙 난포, 황체 및 난소 간질에서 발현되었고, 백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5. 정상 난소 조직에서 IGF-II는 1차, 2차, 성숙 난포 및 황체에서 발현되었고, 난소 간질과 백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6. 정상 난소 조직에서 전반적으로 IGF-II가 IGF-I보다 더 강하게 발현되었다. 결론: IGF-I과 IGF-II는 난소에서 생성되며, paracrine 및 autocrine 작용으로, 월경주기에 따른 난포의 성숙과 분화에 관여하며, IGF-I보다 IGF-II가 FSH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월경주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We designe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 effects and secretory pattern of IGF-I and IGF-II in human serum and changes in expression of IGF-I and IGF-II in human ovarian tissues during menstrual cycle, and to know which one is more important on human ovarian function between IGF-I and IGF-II, related to FSH, LH and estradiol. Methods: IGF-I, IGF-II, FSH, LH and estradiol levels were measured in 80 serum samples by ELISA from normal reproductive women. We also examin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IGF-I and IGF-II in the ovarian tissues of 14 normal reproductive women. The mean age was 35.6±9.15 years-old, ranged from 20 to 45. The average menstrual cycle was 27 to 29 days. Results: 1.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 of IGF-I was 204.43±50.92 ng/mL, and that of IGF-II was 1381.56±292.56 ng/mL. 2. The regular pattern or relationship on serum IGF-I and IGF-II concentrations were not observed (P=0.19). 3. To cross-correlation of serum concentrations of FSH, LH, estradiol and IGF-I, IGF-II, IGF-II was thought to effect on human ovarian menstrual cycles, affected by action of FSH (P=0.048). 4. In the normal reproductive ovaries, w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GF-I in primary, secondary, mature follicle, corpus luteum and stroma, but not in corpus albicans. 5. In the normal reproductive ovaries, w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GF-II in primary, secondary, mature follicle, and corpus luteum but not in corpus albicans and stroma. 6. Strong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observed in ovaries for IGF-II, rather than IGF-I. Conclusion: IGF-I and IGF-II were produced by ovarian tissues, and participated in ovarian folliculogenesi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s by paracrine, autocrine functions. IGF-II, rather than IGF-I, was thought to effect greater on human ovarian menstrual cycles, affected by action of FSH.

      • KCI등재

        폐경 여성의 골밀도에서 제지방의 중요성

        송재연 ( Jae Yen Song ),송록 ( Rok Song ),조현희 ( Hyun Hee Jo ),권동진 ( Dong Jin Kwon ),유영옥 ( Young Ok Lew ),임용택 ( Yong Taik Lim ),김장흡 ( Jang Heub Kim ),김진홍 ( Jin Hong Kim ),김미란 ( Mee Ran Kim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폐경 여성에서의 신체 구성 (body composition) 중 체지방, 제지방과 골밀도 (bone mineral density, 이하 BMD)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폐경기 클리닉에서 모집한 지원자 중 건강한 폐경 여성 55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을 측정하고 체질량 지수를 산출하였다. 골밀도와 체조직 분포는 최근에 개발된 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이하 DXA)를 이용하여 요추와 양측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나이는 57.19±6.13세 (범위 50∼77세), 평균 신장은 156±5 cm, 체중은 57.82±5.80 kg, 평균 체질량 지수는 23.73±2.42였다. 폐경 여성에서 남성형 지방량의 비율이 여성형 지방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의 경우 남성형 지방과 총체지방량이 양측 대퇴골의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좌, 우측 팔, 다리 몸통 각각과 양측 팔, 다리, 몸통, 여성형 체지방량은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제지방량의 경우 좌, 우측 팔 각각과 양측 팔의 경우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좌, 우측 각각의 다리, 몸통, 양측 다리, 몸통의 경우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신체 지방량 중 남성형 지방량과 총지방량의 비율이 낮을수록 골밀도가 높고, 제지방량중 다리, 몸통의 제지방량이 높을수록 골밀도가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lean body mass for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both femurs was measured with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in 55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ges 50∼77 years. Candidates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patients who visited the menopausal clinic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Lean body mass and fat mass were assessed in both arms and legs and in the trunk.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both femur necks and trochanters was measured using DXA. Results: The mean patients age was 57.19±6.13 (range 50∼77) years, height was 156±5 cm, weight was 57.82±5.80 kg, and body mass index was 23.73±2.42. In postmenopausal women, the percentage of android fat mass (42.84±0.12%) was higher than that of gynoid fat mass (39.57±4.37%).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MD of both femurs and both android fat mass and total fat mass. The fat mass in the arms, legs, and trunk and the gynoid fat mas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D. The lean body mass in the legs and trunk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although the lean body mass of the arms did no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MD increases as android and total fat mass decrease, and that BMD increases as the lean body mass of the legs and trunk increases.

      • KCI등재

        폐경 전, 폐경 여성에 있어서 체 성분과 골밀도와의 연관성

        정재은 ( Jae Eun Chung ),황성진 ( Sung Jin Hwang ),김민정 ( Min Jung Kim ),송재연 ( Jae Yen Song ),조현희 ( Hyun Hee Cho ),권동진 ( Dong Jin Kwon ),유영옥 ( Young Oak Lew ),임용택 ( Young Taik Lim ),김은중 ( Eun Jung Kim ),김장흡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폐경 전과 폐경 여성에서의 신체구성 (body composition) 중 체지방, 제지방 및 다른 인자와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 경부 (femoral neck), ward 삼각주, 대퇴골 전자부위 (trochanter), 대퇴골 전체 (total) 골밀도 (bone mineral density, BMD)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재료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성모병원 건진 의학과 건진 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여성 394명을 대상으로 체 성분 및 지질, 공복혈당, 혈압, 골밀도 등을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 기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를 이용하여 요추 골밀도와 대퇴골 경부, ward 삼각주, 대퇴골 전자부위, 대퇴골 전체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bioimpedence 기계를 사용하여 체 성분을 분석하였다. 골밀도와 각 변수들과의 연관성은 통계적 분석 SPSS (for windows 13.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bivariable correlat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교란변수 보정을 위해서는 부분상관분석 (partial correlat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나이는 49.5±9.8세였고, 이중 51.5%인 203명이 폐경 전 여성, 48.5%인 191명이 폐경 여성이었다. 폐경전 여성에서 나이와 체중을 보정하고도 요추 골밀도 및 대퇴골 경부, ward 삼각주, 대퇴골 전자부위(trochanter), 대퇴골 전체 (total) 골밀도는 근육량, 제지방량, 부위별 근육량, 기초대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복부지방률, 체지방량, 허리둘레, 체지방률, 총 콜레스테롤 등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폐경 여성의 요추 골밀도와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부위별 근육량 중 몸통과 하체 근육량, 근육량, 제지방량, 기초대사량 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지방량, 체지방률, 이완기 혈압에 대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폐경 전, 폐경 여성에서 요추 및 대퇴골 특히 경부 골밀도는 체 성분 중 제지방량, 근육량, 부위별 근육량, 골격근육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둘레 등 중심비만과 연관 있는 인자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Objective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metabolic parameters, and lumbar and femur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f 394 females who participated in a medical check-up program,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fasting glucose levels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ioimpedence method and the BMD of the lumbar spine, femur neck, trochanter, ward`s triangle, and total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The mean age was 49.5±9.8 years, and among the subjects, 203 (51.5%) were pre-menopausal and 191 (48.5%) were post-menopausal women. Skeletal muscle mass, fat-free mass, lean body mass, and basal metabolic rat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umbar and femur spine BMD, even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weight in pre-menopausal women. The abdominal fat ratio, fat mass, waist circumference, percent fat, and total cholestero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umbar and femur spine BMD, even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weight in pre-menopausal women. The lean body mass in the legs and trunk, skeletal muscle mass, and fat free ma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neck, unlike the lean body mass of the arms did not,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weight in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 In pre- and post-menopausal Korean women, body composition, lean body mass, fat -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were positive correlates, and fat mass and percent fat were negative correlates with the lumbar spine and femur BMD.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29-3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