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월경 주기에 따른 IGF-1과 -2의 혈중농도와 난소에서의 발현

        송재연 ( Jae Yen Song ),위지선 ( Ji Sun Wee ),조현정 ( Hyun Jung Cho ),국일영 ( Ill Young Kook ),조현희 ( Hyun Hee Jo ),김미란 ( Mee Ra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강창석 ( Chang Suk Kang ),김장흡 ( Jang Heub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임기 여성에서 생리 주기에 따른 혈액과 난소에서 IGF-I과 IGF-II의 농도 및 발현 변화를 알아보고, FSH, LH, Estradiol과 어느 정도 연관성을 가지고 작용하는지 살펴보며, 또한 인간에서는 IGF-I과 IGF-II중 어느 쪽이 인간의 난소 기능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월경주기와 난소기능이 정상인 가임기 여성 80명의 정맥혈을 채혈하여 IGF-I, IGF-II, FSH, LH,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였고, 14예의 난소조직을 얻어 IGF-I과 IGF-II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연령은 20세에서 45세 사이였고, 평균은 32.6±9.15세이었다. 월경주기는 27-29일 사이였다. 결과: 1. 정상적인 가임기 여성의 월경주기에 따른 IGF-I의 농도는 평균 204.43±50.92 ng/mL 이었고, IGF-II의 농도는 평균 1381.56±292.56 ng/mL 이었다. 2. 월경주기에 따른 IGF-I과 IGF-II의 혈중 농도 변화는 규칙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았고, 상호 연관성도 없었다 (P=0.19). 3. 월경 주기에 따라 FSH, LH, estradiol의 혈중 농도와 IGF-I, IGF-II의 혈중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FSH와 IGF-II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48). 4. 정상 난소 조직에서 IGF-I은 1차, 2차, 성숙 난포, 황체 및 난소 간질에서 발현되었고, 백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5. 정상 난소 조직에서 IGF-II는 1차, 2차, 성숙 난포 및 황체에서 발현되었고, 난소 간질과 백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6. 정상 난소 조직에서 전반적으로 IGF-II가 IGF-I보다 더 강하게 발현되었다. 결론: IGF-I과 IGF-II는 난소에서 생성되며, paracrine 및 autocrine 작용으로, 월경주기에 따른 난포의 성숙과 분화에 관여하며, IGF-I보다 IGF-II가 FSH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월경주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We designe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 effects and secretory pattern of IGF-I and IGF-II in human serum and changes in expression of IGF-I and IGF-II in human ovarian tissues during menstrual cycle, and to know which one is more important on human ovarian function between IGF-I and IGF-II, related to FSH, LH and estradiol. Methods: IGF-I, IGF-II, FSH, LH and estradiol levels were measured in 80 serum samples by ELISA from normal reproductive women. We also examin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IGF-I and IGF-II in the ovarian tissues of 14 normal reproductive women. The mean age was 35.6±9.15 years-old, ranged from 20 to 45. The average menstrual cycle was 27 to 29 days. Results: 1.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 of IGF-I was 204.43±50.92 ng/mL, and that of IGF-II was 1381.56±292.56 ng/mL. 2. The regular pattern or relationship on serum IGF-I and IGF-II concentrations were not observed (P=0.19). 3. To cross-correlation of serum concentrations of FSH, LH, estradiol and IGF-I, IGF-II, IGF-II was thought to effect on human ovarian menstrual cycles, affected by action of FSH (P=0.048). 4. In the normal reproductive ovaries, w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GF-I in primary, secondary, mature follicle, corpus luteum and stroma, but not in corpus albicans. 5. In the normal reproductive ovaries, w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GF-II in primary, secondary, mature follicle, and corpus luteum but not in corpus albicans and stroma. 6. Strong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observed in ovaries for IGF-II, rather than IGF-I. Conclusion: IGF-I and IGF-II were produced by ovarian tissues, and participated in ovarian folliculogenesi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s by paracrine, autocrine functions. IGF-II, rather than IGF-I, was thought to effect greater on human ovarian menstrual cycles, affected by action of FSH.

      • KCI등재

        각 (脚)이 있는 거대 점막하 자궁근종의 질외 탈출에 의한 자궁내반 (內反)의

        송민종 ( Min Jong Song ),유시현 ( Sie Hyun You ),서민정 ( Min Jung Suh ),국일영 ( Ill Young Kook ),윤주희 ( Joo Hee Y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Uterine leiomyomas are the most common uterine tumors. They are estimated to be present in approximately 20% of all women of reproductive age. They may be present in subserosal, intramural, or submucosal in location within the uterus, or located in the cervix, in the broad ligaments, or on a pedicle. Many studies report that the malignant potential of a preexisting uterine leiomyoma is extremely rare, occuring in less than 0.5%. Uterine leiomyomas may cause a range of syptoms, for example, severe anemia from abnormal uterine bleeding, dysmenorrhea, constipation from rectosigmoid compression, dysuria, frequency, residual sensation due to bladder compression. Patients with those symptoms or cancer phobia should be treated. Rare but severe symptoms associated with uterine leiomyomas are rectosigmoid compression, with intestinal obstruction, thrombophlebitis of lower extremities from venous stasis, polycythemia, ascites, severe pain from torsion and infection of prolapsed pedunculated submucosal myoma and uterine inversion from prolase of pedunculated submucosal leiomyoma. Now we report a rare case of uterine inversion resulted from prolapse of huge pedunculated uterine submucosal leiomyoma, which caused hypovolemic shock due to massive uterine bleeding.

      • KCI등재

        임상적 병기 I-II 자궁내막암 환자의 병기설정 수술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 유무에 따른 예후의 비교

        한찬희 ( Chan Hee Han ),임시연 ( Si Yeon Lim ),국일영 ( Ill Young Kook ),이근호 ( Keun Ho Lee ),남궁성은 ( Sung Eun Namkoong ),박종섭 ( Jong Sup Park ),박태철 ( Tae Chul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임상적 병기 I기 와 II기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시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군과 시행 받지 않은 군을 비교하여 전체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 및 수술 병리학적인 소견을 비교하여 초기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병기설정 수술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 까지 자궁내막암으로 병기설정 수술을 받은 임상적 병기 I기 와 II기인 178명의 환자들의 챠트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통계청 자료를 통해 환자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수술 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간의 전체 생존율, 무병생존율, 및 수술병리학적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 병기 I기인 환자는 160명, 병기 II기인 환자는 18명이었으며, 이중 수술 시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142명, 시행 받지 않은 환자는 36명이었다. 수술 후 병리 조직 소견은 대부분 자궁내막양선암 (93.8%), 분화도 I (56.1%)이었다.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을 시행 받지 않은 환자가 시행 받은 환자에 비해 더 젊고 (평균 나이 40.75세 vs 55.8세), 자궁근층 침범이 덜 한 점 외에 두 군 간의 수술-병리학적인 소견 차이는 없었다. 평균 29개월 간의 추적 기간 동안 두 군간의 전체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Cox regression으로 다변량 분석한 결과 병기 외에는 전체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에 의미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다. 골반 및 대동맥 임파전이도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I 혹은 II인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수술 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의 여부가 전체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젊은 여성과 같은 선택된 경우에 한하여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을 하지 않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linical outcome of staging surgery with and (or) without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BSO) in clinical stage I-II endometrial cancer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8 surgically treated patients in clinical stage I-II endometrial cancer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2004.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were analyzed by using data gathered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clinical outcome was compared between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y with and without BSO. Results: One hundred sixty patients were in clinical stage I, and 18 patients were in clinical stage II. Most of the cases showed endometrioid (93.8%) in histology and G1 (56.1%) in differentiation. BSO was performed in 142 patients. Surgico-pathological features of two group are not different but the group without BSO were younger (40.7 vs. 55.8 years old) and less myometrial invasion than the group with BSO. After mean 39.27 months follow up, we found no difference in OS and DF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BSO and without BSO. No factors except stag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OS and DFS by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The rate of pelvic and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retrospective data in the study reveals that staging surgery with and without BSO does not affect OS and DFS in clinical stage I-II endometrial cancer patients. In limited cases, such as young women, omitting BSO can be considered carefully.

      • KCI등재

        복강경을 통해 진단된 원발성 난관암

        서민정 ( Min Jung Suh ),이성하 ( Sung Ha Lee ),김두만 ( Du Man Kim ),국일영 ( Ill Young Kook ),박세현 ( Sae Hyun Park ),박동춘 ( Dong Choon Park ),김대훈 ( Dae Hoon Kim ),윤주희 ( Joo Hee Y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Malignant neoplasm of the fallopian tube is the rarest of the gynecologic cancers. Vaginal bleeding, vaginal discharge, and pelvic pain are the most common symptoms. Because of these non-specific symptoms, the diagnosis of this Least common neoplasm is rarely made before Laparotomy. The tumor is typically unilateral and has histologic subtypes, endometrioid and serous adenocarcinoma being the most common subtypes. Surgery, clearly the mainstay of treatment, is also the first approach to diagnosis. The procedure of choice is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e had experienced one patient with primary tubal cancer, successfully evaluated with Laparoscopy. And then we intend to report the case of the above patient and have a brief discussion about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