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전남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 여대생과 교육대학원생의 혈액성상 비교

        박희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년생이 19.6세, 3년생이 21.7세,교육대학원생이 29.8세 였다. 신장과 체중은 2년생이 161.2㎝, 54.2㎏, 3년생이 160.5㎝, 49.6㎏, 교육대학원생이 159.5㎝, 55.8㎏으로 나타났다. 신장은 교육대학원생, 3년생, 2년생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중은 3년생, 2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높았고, 3년생은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함량 및 AI지수는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총 단백질 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lasma nitrogen urea(PUN)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p<0.05) Uric acid(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otal bilirubin 함량도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Glutamate oxaloacetate trsaminase(GOP)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phosphokinase(CPK)함량도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서로 낮은 경향으로 특히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Alkaline phosphatase(ALP)함량은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특히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무기질 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5). 또한 calcium(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뇨 중 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뇨 중 K는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뇨 중 Na는 3년생, 교육대학원생, 2년생 순서로 높았고, 3년생은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뇨 중 Cl도 교육대학원생, 2년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교육대학원생에 비하면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신장은 낮으나 체중이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Urinary chlorine 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뇨 중 amylase, 총 단백질, BUN, UA, TBIL, 뇨 중 UA, 무기질, C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sophomor : S, n=20), Third years: T, n=20)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E, n=20) were obser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 mean anthrophometric values for S group, T group and E group were heights of 161cm, 160cm and 159cm, respectively, and weights of 54㎏, 49㎏ and 55㎏, respectively, weights of the 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e E group. The mean BMI(body mass index, ㎏/㎡) and body fat rate(%), which are obe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E groups than the T group. Mean blood LDL-cholesterol, AI(altherogenic index), urinary chlorine levels of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T groups. But, mean blood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bililubin, inorganic phosphorous, calcium and urinary amylase, uric acid levels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lower then the S and T groups. As a result, the age went up effected the biochemical nutrtional status for the subjects.

      • 청소년의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박은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해 이를 진로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진로의식의 실태를 조사, 분석한다. 둘째, 중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실태를 변인별로 분석한다. 셋째, 중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한다. 넷째, 중학생의 직업 세계의 이해 정도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학생들 대부분이 진로 교육 시작 시기는 중학교 때나 그 이전부터 해야 한다는 생각과 진로교육이 매우 필요하다는 생각이 절대 적이었으나 현실적으로는 대부분 진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실정이었고,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에 대한 정보도 학교를 통해서보다 학교 외에서 찾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장래 진로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자신의 적성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나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자신의 적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이 진로에 관한 선택을 할 때는 출세나 돈보다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직업을 원하고 있어 직업에 대한 가치관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 결정에 있어 가장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학업성적을 꼽아 아직도 우리사회는 인재선발에 있어 학벌을 중요시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넷째, 진학 결정에 있어서는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보다 대학입시에 유리한 인문계 고등학교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장래의 직업을 얻기 위해 대학교 이상의 고학력을 요구하는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다섯째, 미래 직업에 대해서는 막연히 추측하고 있어 구체적인 진로 교육이 강화 되어야겠고, 3D현상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은 느끼지만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져 직업에 대한 귀천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This report is for the datum of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ult of adolescent's view for career and cognition of career education. Followings are the topics of this report. First, analyzing the cognition about the career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education. Third, analyzing the actual society condition of choosing career. Fourt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students' comprehensibility of the career.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port. First, students aware that the critical period of the career education begins from middle school and its importance. However, they have hardly received the proper education of career and not sufficiently. Furthermore, they receive the information from outside of the school. Second, even though students aware their own future career and their aptitude, the chances of systematic guidance is rare. Third, students seem to have positive attitude in choosing future career. They prefer the aptitude and ability to money and success . However they consider getting good scholar is very important to get a job. This means our society still consider academical sectarianism as important mean. Fourth, most middle school students hope go on to academic high school rather than vocational school. This indicates scholarly attainment is very important in this society. Finally, students have ambiguous philosophy in choosing future career. This means that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s necessary. Also students aware of the 3D phenomenon but they avoid choosing those jobs. This means there is a biased mind choosing jobs.

      • 사회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서미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lays weights on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concern, ability and aptitude, can be the adequate one demanded by modern society if it is properly applied to its purpose.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however, has many problems as originally intended curriculum is not carried out properly due to the crippled operation connected with the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hereafter "KSAT") in real application. Although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ill be enacted in 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ways of improvement of the problems by making close examination on the problems of the school field in practice of the 7th curriculum. Especially the problems will be examined into 3 parts : Theory, School field, and Curriculum. For this study, documents research and online interview of active teachers and students were used as a method.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re viewed in the 1st part of chapter 1. The need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subject education and also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 of general social studies are considered in the 2nd part. In the chapter 3, articles of mass media, and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 on KSAT in each aspects are analysed followed by present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7th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shows that 7th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s closely related to KSAT, leading students to choose the subject for a higher score in KSAT than for acquiring academic knowledge as their school year is ascended. The last 4th chapter is made up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bout textbook centered cramming education which can not hold individual differences for it puts provider in importance. The second part mentions that even if the 7th curriculum, compared to others, considers highly the choice of a student who is a user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centered education, it is still changed by various social atmosphere and educational policy. Despite the fact, directions to enhance the national curriculum are shown in this part. The summary of the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Too many elective courses(11 courses) of social studies of KSAT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ake teachers and students confused in the school field. The present way of KSAT bring about 3 problems in the school field. Firstly, students prefer courses which can give them relatively higher score and too many elective subjects make teachers hard to teach. Secondly, each schools has many variations in selecting courses. Thirdly, teachers and students tend to neglect the social studies of grade 10 for it is not included in KSAT. In order for improvements, curriculum should have enough time to introduce the in-depth elective courses of social studies applied to both grade 11 and 12, as a result, it will widen student's choice and change their minds on course selection. Moreover, it is required to keep the balance of demand and supply of teachers and have institutes to build up the expertise. Also, students will get more new knowledge if enough aids are prepared in the classroom. Not only this but reedit of textbook that contains real situation centered content is needed for students to be educated. In addition, the policy on KSAT should be stable and consistent. Recent researches show that too many changes of national curriculum make teachers and students confused. 11 courses of social studies are thought to be excessively split up. As subjects such as politics and economy, law and society, and society and culture have some overlapping contents, it can be a good way to unify these subjects. It is also necessary that in case of a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the various kinds of textbook should be published in order to meet diverse view and materials not being biased. In conclusion, the problem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ust be fixed for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hich is being raised an issue. 학생의 흥미, 관심, 능력 적성을 고려하는 것을 중요시 하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제대로 그 목적에 맞게 적용될 경우에는 현대가 요구하는 적절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 다만, 학교현장에서의 교육과정은 실제 적용에 있어서 대학입시와 연관되어서 파행 운영되어 원래 의도한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못하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2010년에 제 8차 교육과정의 제정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어서 아직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이론중심, 현장중심, 교육과정 중심의 세 부분으로 규명하여 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현장 교사들과 학생들과의 온라인상 인터뷰를 통하여 의견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제 2장 제 1절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고찰하였고, 제 2절에서는 교과교육의 필요성 및 현황, 일반사회교육의 개념과 성격에 대해서 고찰 하였다. 제 3장에서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대한 언론매체의 보도 자료와 현장교사들과 학생들의 의견을 각각의 관점에서 알아보고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은 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체제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로인해 학생들이 과목을 선택할때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문적인 지식 습득 보다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의 높은 점수를 위한 선택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4 장에서는 교육이 공급자 위주로 경직되어 학생들의 개인차를 수용하지 못하는 교과서 중심의 주입식 교육, 입시 중심의 교육에서 7차 교육과정은 수요자인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훨씬 높인 교육과정이지만 아직도 여러 가지 사회적인 분위기와 교육정책에 따라서 달라지는 현실에 대하여 개선이 될 수 있는 점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7차 교육과정하에서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사회 탐구 과목은 11과목으로 지나치게 많은 선택과목으로 인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들 모두 혼란스러움을 야기 시키고 있다. 현재의 대학수학능력 시험 방식이 학교 현장에서는 4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첫째,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과목을 선정해서 시험을 보고자 하며 선택과목이 너무 다양해서 교사의 지도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둘째, 학교마다 과목선택에 여러 가지 변수를 가지고 있다. 셋째, 10학년 사회 즉 1학년 사회는 학생들도 교사들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이유로 소홀히 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11, 12학년에서 적용되는 사회과 심화 선택 과목에 대한 충분한 소개의 시간을 교육과정에 포함 시켜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과목 선택 방식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가져와야하고 교사들의 수급을 조정하고 전문성을 길러줄 기관이 필요하며 it 기자재 등의 충분한 확보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습득과 실제 상황위주의 내용으로 꾸며진 교과서의 개편으로 인한 교육을 하여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의 사회탐구 과목을 선정할 때 밑받침이 되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안정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대한 안정적이고 변화가 적은 정책이 필요하다.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하여 나왔듯이 지나치게 잦은 교육과정의 변화는 학교와 학생 모두에게 혼란을 초래한다. 사회과 11개 과목은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있다는 생각이 든다. 정치와 경제, 법과 사회, 사회. 문화등 일정부분의 성격들이 비슷한 교과서의 경우 통합을 고려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본다. 또한 단종의 교과서의 경우는 한쪽의 시각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시각과 자료를 접할 수 있게 다양한 종류의 출판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개편이 거론되고 있는 제 8차 교육과정의 경우도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의 개선에 대해 많은 연구과제가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 피아노 곡 감상교육에 대한 고찰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중심으로

        김혜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음악 교육은 개개인의 타고난 능력을 계발시키고 전인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으로 바뀌면서 음악과 수업은 선택과목으로 전환되었고, 대학 입시를 앞둔 고등학생들에게 음악 교육이 얼마나 많은 심미적인 안정감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우리는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을 이해하고자 음악 교육의 기본이 되는 음악 감상의 정의와 필요성, 고등학교 음악 감상의 목표 등 이론적인 측면을 제시하였고, 피아노 감상곡을 중심으로 수업 제시안을 작성하여 수업을 실시해 보았다. 수업 및 평가는 목포 여자 고등학교 2학년 문과 4개반 141명에게 2주에 걸쳐 총16시간 실시했으며, 그에 따른 이해도 측정과 더 나은 감상 수업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에서 고등학교 음악과는 다양한 악곡과 음악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풍부한 음악적 감수성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생활 속에서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여 음악을 생활화 하는데 목표를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피아노 감상곡은 악곡의 범위가 넓고, 시대적 음악적 특징이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므로 작품 감상에 있어 악곡이 다양하여 쉽게 감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피아노 작품은 교과서 작품의 중복으로 인해 시대적 분류가 고르지 않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음악지도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라는 교육 목표에 거리가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내용 또한 저자의 주관적 견해의 다름으로 인하여 음악적 요소의 불균형과 악보제시가 불충분 하였다. 또한 작곡가들은 서양의 작곡가로 편중되어 있었다. 넷째, 수업 제시안에 따른 수업 결과, 단위 시수가 절대 부족함을 알았다. 단위 시수 부족으로 많은 곡을 감상 할 수 없기에 피아노 감상 학습 지도안을 시대별로 1곡씩 제시하여, 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각 시대별 본시 학습 1차시의 감상수업을 하였다. 그리고 수업 후 평가지 작성을 하여 음악적 요소의 이해정도와 음악적 감흥을 알아보았다. 다섯째, 학생들은 감상을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하고, 발표와 평가지 작성을 통하여 음악을 이해하며 음악적 성취감과 충족감을 느끼는 기대이상의 모습도 보여 주었다 여섯째, 음악과의 교육 목표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는 참신한 감상악곡의 선택, 교사는 학생들의 관심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노력과 다양한 음악 감상 방법을 택하여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감상 수업을 제공하여야 한다. <Abstract> Music education plays a great role in helping students develop their inborn gift and live a whole-personality life. Nevertheless, under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music has been changed into an optional subject, while our high school students obliged to enter college do not seem to be aware of the potential value of music for development of their aesthetic stability.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the music appreciation or essence of music education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reby, suggesting the theoretical goals of music education for our high school students, together with a music pedagogics focused on appreciation of piano music work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141 second-grader students from 4 classes of Mokpo Girls' High School to test the pedagogics for their better understanding of music and appreciation of piano music works for 16 hours over 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ims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musical talents and creativity through appreciation of diverse music works and musical activities and further encourage them to sharpen their musical sense and develop a desirable value system. To this end, the curriculum presents the guidelines for appreciation of the music works from diverse cultural spheres and times, so that students can appreciate roles and values of music and thereby, internalize music in their life. Second, since the piano music works for appreciation edited in the textbooks are very diverse with their phased and systematic musical characteristics having various historical backgrounds, they may well be easily appreciated by students. Third, because the piano music works for appreciation are not appropriately distributed among periods due to their redundancy in the textbooks, they seem to be much distanced from the goal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ppreciation of the music works from diverse periods and cultural spheres". In addition, since authors' views of music differ among textbooks, musical elements are unbalanced with insufficient number of scales. Moreover, Western composers' works overwhelm the Korean works. Fourth, as a result of testing the pedagogics, it was found that the classroom hours fell short absolutely. Thus, students could not well appreciate a sufficient number of music works. Therefore, the researcher presented a work from each period and thereby, encouraged students to appreciate each of the works chronologically, and then, evaluated their understanding of musical elements and their appreciation of music. Fifth, students were urged to appreciate music in an active and positive way and then, present their opinions and evaluations; many students c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music, having more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fulfillment than expected. Sixth, it was deemed necessary for our music teachers to select some fresh music works conducive to motivation of students, while developing more effective and progressive ways to help students appreciate piano music works better.

      • 어린이 피아노 초급 교재 선택과 음악교육의 연계성 조사 연구

        조은경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0년대에 조기교육의 열풍과 함께 2000년대에는 학습자의 연령층이 낮아지게 되자 피아노 기초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져 피아노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움직임들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음악학원에 도입되어 활용되는 교재를 선택, 분석하여 교재 선택과 음악교육이 어떠한 연계성을 갖는지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어린이의 창의적인 음악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피아노 학원에서 기초 교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교재를 선택하여 광주광역시, 목포시내 소재한 음악, 피아노 학원 136군데를 무작위로 선정, 전화 설문 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로 몇 가지를 언급해보면, 첫째, 초급 교재에서 독보력(악보읽기), 박자와 리듬 교육이 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피아노를 연주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악보를 해석하는 능력인데 여기에 정확성을 요구하는 독보력(악보읽기), 박자와 리듬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초급교재에서의 화음 조성, 선율, 음악이론, 템포, 음악성 향상, 전체적인 만족도는 음악교육에 큰 도움을 주지 않고 있음을 알았다. 음악교육의 방법으로 피아노를 통해 도움을 받고자 한다면 피아노 학습에서 소리를 듣고 구별할 수 있는 능력,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 밑바탕이 깔려있는 것에 정확한 독보와 리듬, 박자를 인식하고 반복학습의 음악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초급교재에서의 음악성 향상 교육은 별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았다. 음악성은 선천적인 음악성과 후천적인 음악성으로 구분되는데, 우리가 음악교육을 시키는 궁극적인 목적인 후천적인 요소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를 보면 충분한 선행학습(듣고, 부르고, 인식하는 것)이 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넷째, 초급교재에서의 음악이론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단편적이긴 하지만 음악교육에 많은 효과가 보여짐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피아노를 통한 음악교육을 진정한 삶의 일부분으로의 활용보다는 시험에 비중된 교육으로 인식되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악보를 보고 단순한 연주만을 하는 데에 음악교육이 목적을 두는 거 같아 안타까웠다.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은 독보력(악보읽기), 음악이론을 중심으로 음악성을 향상시키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어린이 피아노 초급 교재 선택에 따라 어떠한 것을 배우는지 논자는 설문 조사를 통해 파악했으며 교재 선택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창작과 음악성을 중시하고 통합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전인교육의 장이 열리길 바란다. Since 1990's, the earlier education has been boomed, and in 2000 the age for learning was lowered. In such circumstances, people's awareness of and concern about piano education are stronger, while various efforts to improve quality of piano education are more a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piano textbooks used currently by private piano institutes and thereupon, analyze them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textbooks and music education and thereby, suggest some desirable piano pedagogics for younger children's creative mus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the textbooks used most in common by private piano institutes and then, sampled 136 private piano institutes in Gwangju and Mokpo randomly to interview them over phone. The data analyzed were processed for percentages calculated down to the first decimal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organized to help children read the scores and understand beats and rhythms. Performing piano require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basic scores at least, but it may require more precise comprehension of scores, beats and rhythms.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sample textbooks are not much useful to children's understanding of harmonics, melodies, music theories and tempo as well as development of their music talent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music. If music education can be assisted by piano lesson, children should develop their ability through piano lesson to discern sounds and sing the scores. To do so, children can comprehend scores, rhythms and beats correctly, which requires a repeated music education.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not much helpful to improvement of children's music talent. Music talent may be divided into inborn and acquired ones; music education should aim to improve the latter talent, but private piano lesson does not seem to conduce much to improvement of such an acquired music talent because it is little preceded by listening, singing and cognition. Fourth, although the music theories shown in the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not systematic but fragmental, they seem to be much effective for music education. Children and their parents seem to regard piano music education not as parts of genuine life but as means of higher performance at school. So, it is a regret that the current piano lesson focus on children's ability to read the scores for performance. Currently, our music education aims to help children improve their ability to read scores and understand music theories to enhance their music talent. All in all,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used as well as of their effects on music education. Lastly, it is hoped that both teachers and learners will be aware of not only importance of textbooks but also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music talent, which will require an integrated and futuristic whole-personality education.

      • 피아노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수연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Piano instruction which is becoming more common these days thanks to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and standard of liv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music education. It is comprehensive and overall music instruction which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every fundamental concept of music and go through gradual development in music. It is also related very closely to school music instruction and is highly valued in the aspect of the education for personality development through purifying emotions. However, the real situation is totally different from what we expect. The piano instruction is focusing too much on merely drilling a skill and the circumstance is so inferior and there are not enough proper materials for the efficient lessons. Also, due to the uniform way of teaching which does not consider each student’s ability and character, the fact is that the desirable piano instruction has not been achieved, which means that the present piano instruction fails to teach students the true nature of music. Therefore, this study is now trying to figure out using questionnaire how piano instruction influences on personality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o piano instructors a desirable direction that piano instruction has to take. In this study, 200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at least three years of piano learning were give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by the subjects. They were calculated as a percentage an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compare each category effective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study shows that students whose parents have deep concern and high expectation about their children’s piano instruction began their first piano lesson earlier than other students. It means that the starting perio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ents’ interest in piano instruction. Second, piano instruction is helpful for student in establishing desirable personality. It allows students to share sympathy with others, exchange feelings and keep good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Third, students who have learned how to play the piano since they were young have more chances to be exposed to classical music and are better in controlling their emotions. Also, they are mentally stabl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tarting period for piano instruction is crucial in development of student’s personality. Fourth,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instructions are not well achieved and special music classes are uniform and out-dat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it is very necessary that new instruct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which allows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and continuously so that their academic performance will be improved. Fifth, proper curriculum for each age group and the same level students should be figured out and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also revised to make teachers more qualified and professional, which allows them to teach in a more systematic way. Also, piano instructors should continuously study up-to-date piano instruction trend and the appropriate way of teaching through participating in as many seminars and workshops as possible. Sixth, aesthetic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hich helps students realize the beauty of music and enjoy it, using duo, trio, chamber and accompaniment as well as solo play. As you can learn from this study, piano instruction is highly valued as a way of developing personality as well as instructing music to students. Hence, piano instruction should be advanced to the right direction and do a role as aesthetic education which is helpful for students to keep sound state of mind and establish good pernality. 시대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보편화된 피아노교육은 음악교육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피아노교육은 음악의 모든 기본 개념을 경험하고 점진적인 음악적 성장을 이루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음악교육으로서 학교 음악교과 수업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정서의 순화를 통한 인성 교육적 측면에서도 그 가치가 높다. 그러나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을 살펴보면 단순히 기능을 연마하는 방법에 치우치고 있으며 효율적인 수업을 위한 자료들이 구비되지 않은 열악한 환경, 학생들의 재능과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획일적인 교수법 등으로 그 본질을 잘 드러내지 못해 바람직한 피아노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중학생을 대상으로 피아노교육이 인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피아노지도자에게 바람직한 피아노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과거 피아노를 3년 이상 배운 경험이 있는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각 항목별로 집계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또한 항목들 간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노교육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큰 학부모의 자녀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더 일찍 피아노를 시작함으로서 학부모의 가치관에 따라 피아노교육의 시작시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피아노교육은 상대방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감정을 교류하여 가족이나 친구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바람직한 인격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운 학생들은 클래식 음악을 더 많이 접하고 자신의 감정 조절에도 익숙하여 정서적으로 안정되었다. 따라서 인격형성에 있어 피아노를 시작한 시기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시창 및 청음교육이 미흡하고 음악특강 또한 획일적이고 진부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적절한 수업시간 분배가 이루어져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다섯째, 연령별 수준별로 필요한 학습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해 대학교 교과과정이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피아노지도자들이 세미나와 워크샵 등을 통해 최근 피아노교육의 동향에 적합한 형태의 수업과 교수법 등을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 여섯째, 독주곡 뿐 만 아니라 듀오나 트리오 그리고 실내악이나 반주 등의 수업이 병행되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길 수 있는 심미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듯 피아노교육은 음악교육으로서 뿐 만 아니라 인격교육으로서도 그 가치가 높다. 따라서 피아노교육이 심미적 교육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여 아름다운 심성을 기르고 올바른 인격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중학교 과학영재교육의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송용복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ntroduce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in middle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need and the institutional content of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in middle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and scientific teachers who were involved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of Chon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Most of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have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preschool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ey also considered the proper guidance program to the gifted. However, most of schools have not provided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due to lack of the program and teacher's excessive work.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was required in both national and individual aspects. In the national aspec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gifted would have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high value of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On the other hand, by developing their latency it would help them evoke self-realization. Many gifted students have complained about the club activities ignoring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They represented their opinions that the school education does not provide the chance to develop their abilities in math and science. Thus the school should offer the education programs with high quality to stimulate their creative thinking. Gifted students want to take special classes which are designed to accelerate their grades and to facilitate their competence. For that reason, educational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should be implemented in regular schools to enhance their possibility. Professional division for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set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in order to guide incumbent teachers how to teach the gifted, and in order to administrate training programs for incumbent teachers.

      •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의 개발

        정봉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educational methods have been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 The emergence of internet has opened the age of information for education which can overcome the place and time restrictions of education and supply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required at any time and any place.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equipments at the field of education establishes the effective remote education system through internet and then students can study at any place and any time according to their own abilities and conditions. While existing remote education systems have been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and common people, this thesis has embodies the remote education system for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implemented remote education system, this thesis ha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dividual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can be evaluated through formative evaluation and the individual learning suitable to each level can be provided. Second, the interactive educ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s possible through the various educational media using internet escaping from existing text centered education and then learning effects can be enhanced. Third, the learners'participation i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ners can be enhanc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dynamic learning materials using HTML through Java script and CGI. Fourth, learners'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can be increased by· easy question and answer beyond time and space by installing Q/A and free notice board.

      • 북한의 중등교원양성제도 연구

        신철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간의 이질화의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북한 고등중학교의 교원양성제도에 있어 교원에게 있어 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그 특징은 어떠한가를 개관함으로써 북한교육의 현실파악에 도움을 주고, 남북통일에 대비한 한국교육의 새로운 과제를 모색하여 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궤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북한의 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은 무엇이며 그 선발 과정은 어떠한가? 2. 북한 교원양성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3. 남북한 교원양성제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북한의 교원양성제도 전반을 개략적으로 고찰하고 남한의 교원양성제도와 비교하기 위하여 이에 관한 문헌자료와 연구보고서, 정부간행물 등의 자료를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논문을 종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북한의 학제와 교육체제, 교사교육에 대해 개관하고 제3장에서는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원의 사회적 지위와 선발과정을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는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원양성과정을 기술하고 이에 따라 제5장에서 남북한의 중등교원 양성제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북한에서 교원이라는 직업은 사회·경제적으로 우대 받는 직업이며, 준박사 학위를 갖는 교원이 점차 증가하는 등 그 학력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교원들이 학생 지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으로 그 조건이 개선되고 있다. 2. 북한에서는 교육의 발전에 따라 교원의 자질에 대한 요구도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정규 사범대학을 나오지 못한 교원은 이에 상응하는 학교의 교원으로 임용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인민학교 교원과 고등중학교 교원은 반드시 사범대학과 교원대학을 졸업해야 하며, 기타 대학 졸업생은 사범교육 전공의 주요 과목을 이수해야 교육사업에 종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각급 각 종류의 교원진급은 반드시 시험을 거쳐야 하는 등 자격조건을 엄격히 하고 있다. 3. 북한의 교원은 보육원 양성소, 교원대학, 사범대학, 김형직사범대학, 일반이공과대학 부설 사범과 등에서 양성되는데, 고등중학교 교원은 사범대학에서 양성되며 사범대학은 고등중학교 졸업생과 제대군인 그리고 현직 교원 중에서 대학 미 졸업자를 모집하고 수업연한은 4년이다. 4. 북한은 철저한 당성을 가진 자로서 학문의 탐구성과 발표를 제한하고, 혈족에 의한 연고제를 시행하는 등 국가적인 통제 속에서 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북한의 당의 추천 심사를 거쳐야 하므로 유능한 교사 양성이 사실상 어렵고 학문의 독창성도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원양성제도 전반에 걸쳐 남북 간에는 이질성이 매우 심화되어있다. 그 이념적 배경에서도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체제유지를 위한 정치사상 교육 그리고 김일성, 김정일 우상화 교육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교육체제 및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직장이나 군대 생활 후 진학할 수 있는 진로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교육의 질 관리가 철저하고 기초 지식·기술 교육이 발달되어 있으며 교육과 정치가 미분화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지적 할 수 있다. 결국 북한은 국가발전에 있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교사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면서 교사 양성제도의 개혁에 관심을 쏟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남한보다 오히려 교육, 교사, 교원제도에 철저한 제도와 체제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교원양성의 목표로 볼 때, 철저하게 주체사상과 공산주의적 정치 사상성의 주입과 공산당성에 두는 것이 교사 양성의 기본조건으로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들이 지적, 도덕적 육체적으로 발전되고 사회주의적, 공산주의적인 건설자로 교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는 내용을 교원양성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중등교원은 직업혁명가로서 그에 걸 맞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고 비교적 높은 교육수준을 바탕으로 좋은 사회적 대우를 받으며 활동하고 있다. 즉 ‘스승’이나 ‘교육전문가’라 할 수 있는 우리의 현실과는 달리 ‘직업적 혁명가’로서 오로지 후대들의 교육에 혼신의 힘을 다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동질성을 회복하고 한민족 공동체 형성에 이바지하며, 통일 한국사회의 새로운 교원제도의 모형을 구조화시키기 위해서는 남북한 교원제도를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하고 각각의 장점을 취합한 새로운 교원제도 체계를 수립하는 노력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