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를 중심으로 -

        정유경,박성희,권선영,김보일,구정화,Jeong, Yoo Kyung,Park, Sung Hee,Kwon, Sunyoung,Kim, Bo Il,Koo, Joung Hwa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3

        The study examined citizens' information needs, perception and expectations of their public library services in Daejeon. The study analyzed citizens' demands and satisfaction(or dissatisfaction) of library services and facilities to develop comprehensive library plans and detailed strategies to satisfy the diverse users' needs (including non-users' needs) in the middle of rapidly changing socio-technological environments.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by using both quota sampling and online and offline survey methods, and analyzed the 1,383 data through the statistical processes. The study found out the significant results and features,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 and main points to apply the results to developing comprehensive library plans and strategies.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전 대표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급변하는 사회 및 기술 환경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및 대표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전지역의 특성을 조사하고, 대전 시민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인식 및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의 권역별 인구비례 할당을 통한 오프라인 설문조사와 지역대표도서관의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1,383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현단계 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 사항을 조사하고 이용행태를 분석하였고, 대표도서관인 한밭도서관의 서비스와 시설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및 요구사항 또한 분석하였다. 기존 도서관에 대한 불만사항 또는 비이용 요인과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향후 도서관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세우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 및 계획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수학 수업에서 드러나는 교사 지식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서의 "교사 지식의 사중주(Knowledge Quartet)"

        방정숙 ( Jeong Suk Pang ),정유경 ( Yoo Kyung J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Knowledge Quartet (KQ) framework by which we can analyze teacher knowledge revealed in teaching mathematics. Specifically, this paper addressed how the KQ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and employed in the context of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In order to make the framework accessible, this paper analyzed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in teaching her fifth grade students how to figure out the area of a trapezoid using the four dimensions of the KQ (i.e.,foundation, transformation, connection, and contingency).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mathematics educators with a basis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eacher knowledge in teaching mathematics and to induce further detailed analyses of teacher knowledge using some dimensions of the KQ framework.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육 목적 인식 실태 조사

        방정숙 ( Jeong Suk Pang ),정유경 ( Yoo Kyung Jung ),김상화 ( Sang Hwa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初等 數學敎育 Vol.14 No.3

        수학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학습 목표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학을 왜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교육의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합리적·논리적 사고 발달, 실용성, 도구 교과로서 수학을 인식하는 비중이 높은 반면에 세계에 대한 이해, 심미성, 의사소통 및 사회성 발달로서의 수학을 인식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학문적 가치와 관련해서는 교사가 직접 서술한 수학학습의 이유에는 별반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리커트 척도에 의한 응답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교사의 인식은 성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5년 미만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집단에 비해 대체적으로 수학교육 목적을 긍정하는 비율이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교사의 수학교육 목적 인식에 따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to understand why teach mathematics in order to implement the visions and expectations of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her actual classroom.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examining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might understand the purpose of teaching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conceptions of the purpose of teaching mathematics were related mainly to the development of Logical thinking, practical use of mathematics in everyday Life, and a tool for studying other subjects or disciplines. However, teachers did not perceive much other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such as understanding the world, appreciating aesthetic value of mathematics, and developing communicative ability as well as sociality. Whereas teachers did not think of the significance of mathematics as an intellectual field when asked to write down how they would explain students why they had to Learn mathematics, they tended to strongly agree it in the Likert-scale responses. Teachers` conception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but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were relatively negative than others with more experience. Give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issues and implications of teachers` conceptions of the purpose of teaching mathematics.

      • KCI등재

        대학도서관 사서 역량개발 방향 탐색을 위한 직원교육 현황분석

        최윤희,정유경,Choi, Yoonhee,Jeong, Yoo Ky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1

        본 연구는 사서의 자기계발 관심영역을 알아보기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가 한 해 동안 수강한 교육이수내역을 바탕으로 사서 계속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실시한 대학도서관 통계의 직원 교육훈련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사서들의 교육이수내역 30,404건을 대상으로 직원교육의 핵심 키워드를 부여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사서의 선호 교육주제, 대학 규모별, 지역별, 월별 관심 있는 교육주제 등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체 수강강좌의 주제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직원교육 주제는 'DB이용'과 '자료목록'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유형(대학/전문대학)과 규모, 지역 등에서 사서의 교육훈련 관심영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서들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에 비해 '정보자원 및 평가'와 관련된 주제 영역에 관심이 치우쳐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교육이수내역 전수조사를 통해 교육의 주제영역에 따른 현황을 파악한 것으로, 향후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실질적인 관심사를 반영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librarians based on the records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academic librarian's preferences for the topics of continuing education in terms of regional and monthly differences using the 30,404 education records in university and college library statistics of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results shows that 'academic database system' and 'cataloging' were the most preferred topics, and there were topical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librarians in university and college.

      • KCI등재

        국문학 내 문학사회학과 멀리서 읽기 ― 새로운 검열연구를 위한 길마중

        李載然 ( Lee Jae-yon ),鄭瑜炅 ( Jeong Yoo-ky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1 No.-

        최근 미국의 영문학에서는 프랑코 모레티가 제창한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라는 문학내 정량분석을, 기존의 문학사회학적 전통과 디지털 인문학을 잇는 연결고리로 위치시키는 작업이 한창이다. 이러한 해외의 동향을 참조하여, 본 논문은 한국문학 내 문학사회학의 계보 속에 디지털 문학 방법론의 위상을 찾고 앞으로 전개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모색은 본 논문에서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1980년대에 전개된 문학사회학에 관한 논의가 통계기반의 문학생산분석, 신문 및 잡지 매체 연구 및 검열 연구를 거쳐, 디지털 문학연구로 수렴되는 과정을 파악한다. 이 수렴의 연장선상에서, 디지털 문학연구의 텍스트 마이닝 방법 (고빈도어 분석, 공기어분석, 워드 임베딩 등)을 실제 검열연구에 적용하여 OO나 XX와 같은 복자(후세지, 삭제된 글자 대신 표시한 OO, XX와 같은 기호)의 전후 문맥에서 반복되는 의미의 맥락을 살펴볼 것이다. 뒷부분의 시도는 아직 실험적인 단계이고, 논문은 국문학 내 문학사회학적 전개과정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이와 같은 시도를 통해 국문학에서 새롭게 개진할 연구의 향방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Scholars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U.S. have explored a new quantitative analysis called “distant reading” as a way to link the tradition of literary sociology and the emergent field of digital literary studies. Intrigued by such a methodological trend overseas, this paper aims to newly locate the status of digital literary studies in the genealogy of literary sociology in Korea and revisit the old questions in censorship studies with new approaches. This objective is structured in two parts. First, we trace the shifting focus of literary sociology since the 1980s in Korea, from literary productions to periodical studies, censorship studies, and digital literary studies. After tracing this unfolding, we examine the fusejis (i.e. symbols used in the censored words, such as OO, XX) from 1930s Korean magazines through text-mining (word frequency, collocations, and word embedding) and tests whether we can find linguistic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ose symbols. The emphasis is on the first part as the second is still in an experimental stage. Through this attempt we look forward the coming of new approaches in literary sociology in Korea.

      • KCI등재

        도서관의 인스타그램(Instagram)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주,김희숙,정진일,권선영,정유경,Kim, Young-ju,Kim, Hee-sook,Jung, Jin-il,Kwon, Sun-young,Jeong, Yoo Ky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2

        최근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SNS를 활용하여 이용자와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 이중 인스타그램은 최근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NS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도서관 인스타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서관에서의 인스타그램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사람들은 어떤 게시물과 내용에 관심이 있는지, 도서관에서 어떻게 활용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질문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 도서관 인스타그램 운영의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SNS와 인스타그램의 이론적 배경 조사, 선행연구 분석 및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인스타그램에 개설된 국내 도서관의 계정 82개를 대상으로 도서관의 관종, 지역과 인스타그램 계정의 게시물 수, '팔로워' 수, '팔로우' 수, 이미지 등을 수집한 후 각 게시물의 텍스트, 해시태그, 업로드 날짜, '좋아요' 수, 댓글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 인스타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팔로워 증가, 이용자 맞춤 게시물 업로드, 계정 프로필의 공식화, 도서관만의 해시태그 활용, 이용자와의 소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libraries are trying to communicate with users using various social media. Among them, Instagram is the most used SNS by users rec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library Instagram, we looked at how Instagram in the library is operated, what posts and contents people are interested in, and how the library can utilize it. By analyzing the Instagram operation status of Instagram, we tri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and activation plans.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on SNS and Instagram,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Next, for 82 domestic library accounts opened on Instagram, the library type, region, and Instagram account number of posts, 'followers', 'follows', images, etc. were collected, and the Text, hashtags, upload date, number of 'likes' and comm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followers, uploading user-customized posts, formalizing account profiles, using library-specific hashtags, and communication with users are necessary to activate library Instagram.

      • KCI등재
      •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공용 모빌리티를 위한 하차 안전 시스템 설계

        이정연(Jung Yeon Lee),김채은(Chae Eun Kim),정유경(Yoo Kyung Jeong),임덕신(Dokshin Lim),오유근(You Keun Oh)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10 No.2

        버스와 같은 공용 모빌리티에서 하차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해결을 위해 안전 센서의 정밀도 향상과 같은 제한적인 접근 방법이 있지만, 운전 기사가 존재하지 않는 미래 자율주행 공용 모빌리티에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용 모빌리티의 승객들의 불안함과 부정확한 상황 인식을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의 하차 안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하차 안전 시스템은 1. 시간 표시등(time light), 2. 바닥 표시등(projection), 3. 비전 센서(vision sensor), 4. 끼임 방지 장치(entrapment preventer)로 구성된다. 비전 센서의 딥러닝 기술로 각 정차 지점에서 하차하는 인원을 파악하여 하차 문이 열려 있는 시간을 조절하며, 하차 상황에 대한 정보를 승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승객들이 하차 상황을 인지하고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안된 하차 안전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평가하여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시사점까지 제안하였다. There has been improvements made on the precision of safety sensor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ring get-off from the public mobility, such as buses. Future self-driving public mobility where no driver exists, requires considerations when passengers get off. This study implements a deep learning-based drop-off safety system that takes care of passengers anxiety and poor situational awareness. The proposed public mobility get-off safety system consists of 1. Time light, 2. Projection, 3. Vision sensor, and 4. Entrapment preventer. Our system effectively delivers information on the exit door so that passengers can recognize the exit situation by themselves and get off safely. The deep learning model using a vision sensor predicts the number of people getting off at each stop and adjusts the exit door opening duration. Furthermore, a prototype was set to validate whether it is practical and useful by providing useful cognitive information to the user during the drop-off pro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