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과잉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이환수(Hwansoo Lee),임동원(Dongwon Lim),조항정(Hangjung Zo)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지능정보연구 Vol.19 No.1

        최근 주목 받기 시작한 빅데이터 기술은 대량의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 수집, 저장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원하지 않는 민감한 정보까지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술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해당 기술의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표적 예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다양한 이점이 존재하는 서비스이지만, 사용자들은 자신이 올린 수많은 개인 정보로 인해 오히려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자신이 생성하거나 공개한 정보일 경우에도 이러한 정보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활용되거나 제3자를 의해 악용되면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환경에서 인지할 수 있는 개인정보의 과잉이 프라이버시 위험과 염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사용자 저항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설문과 구조방정식 방법론을 활용했다. 연구결과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개인정보 과잉 현상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위험 인식에 영향을 주어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을 증가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Big data refers to the data that cannot be processes with conventional contemporary data technologies. As smart devic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produces vast amount of data, big data attracts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There are strong demands form governments and industries for bib data as it can create new values by drawing business insights from data. Since various new technologies to process big data introduced, academic communities also show much interest to the big data domain. A notable advance related to the big data technology has been in various fields. Big data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access, collect, and save individual’s personal data. These technologies enable the analysis of huge amounts of data with lower cost and less time, which is impossible to achieve with traditional methods. It even detects personal information that people do not want to open. Therefore, people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or online services have some level of privacy concerns, and such feelings can hinder continued use of information systems. For example, SNS offers various benefits, but users are sometimes highly exposed to privacy intrusions because they write too much personal information on it. Even though users post their person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themselves, the data sometimes is not under control of the users. Once the private data is posed on the Internet, it can be transferred to anywhere by a few clicks, and can be abused to create fake identity. In this way, privacy intrusion happe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erceived personal information overload in SNS affects user’s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lso,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rns and user resistance behavior. A survey approa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are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contributes meaningful insights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who are planning to develop guidelines for privacy protection. The study shows that information overload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s can bring the significant increase of users’ perceived level of privacy risks. In turn, the perceived privacy risks leads to the increased level of privacy concerns. IF privacy concerns increase, it can affect users to from a negative or resistant attitude toward system use. The resistance attitude may lead users to discontinue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Furthermore, information overload is mediated by perceived risks to affect privacy concerns rather than has direct influence on perceived risk. It implies that resistance to the system use can be diminished by reducing perceived risks of users. Given that users’ resistant behavior become salient when they have high privacy concerns, the measures to alleviate users’ privacy concerns should be conceived. This study makes academic contribution of integrating traditional information overload theory and user resistance theory to investigate perceived privacy concerns in current IS contexts. There is little big data research which examined the technology with empirical and behavioral approach, as the research topic has just emerged. It also makes practical contributions. Information overload connects to the increased level of perceived privacy risks, and discontinued use of the information system. To keep users from departing the system,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 system in which private data is controlled and managed with ease. This study suggests that actions to lower the level of perceived risks and privacy concerns should be taken for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이환수(Hwansoo Lee),이나리(Nari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본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오프라인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효과가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이론적·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9479개 대량의 연구 샘플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이원 공분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 간에 정의 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서 더욱 강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을 강화한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면서, 온라인의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최근의 연구들을 확장시켜 오프라인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중·장·노년층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서 온라인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의 양적·질적 개선을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공동의 공간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online community activity influences soci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 between them. Hierarchical regression and two-way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9,479 samples. The results show that online community activity positively associated with off-line social capital, and it is observed that the effect in older people is stronger than younger people. This study extends previous perspective on the online community activity toward social capital and empirically proves that the activity have also an impact on off-line social capital.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mplies that activation plans of community for older people are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social capital.

      • KCI등재

        연극 융합 역사교육이 초등학생의 학습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영(Lee Sunyoung),이환수(Lee Hwansoo)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드라마(Drama)를 교육에 활용하는 연극 융합 교육은 교육과 연극을 하나로 통합하는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교수 방법이다. 그러나 다양한 교과에서 연극 융합 교육의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편이며, 연극이라는 미적 체험의 관점에서 교육적 효과를 논의하는 데에 다소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Dewey의 미적체험을 근거로 하여 역사 교육에서 연극적 체험이 학습의 인지적, 정서적, 상호작용 효과를 매개로 하여 학습자의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색한다. 수집된 119명의 데이터와 최소자승 계수법(PLS)을 사용하여 잠재변수들의 신뢰성 및 타당성에 관한 측정도구를 검증하였고, 제안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재표본(Bootstrap Resampling) 검사를 권고치 500개 기준으로 수행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연극적 체험은 인지적, 정서적, 상호작용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연극적 체험, 인지적, 정서적 효과는 학습 자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상호작용은 학습 자발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학습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직접적인 요인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연극 융합교육에서 학습 자발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이 원활이 일어나는 연극적 기법을 적절히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앞으로 연극 융합 역사수업을 설계함에 있어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는 연극적 기법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자발성을 촉진하는 역사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Drama-based education is a new learner-centric teaching method that integrates education and drama.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drama-education integration in various subjects. Further, there is a limit to discussing educational effects from the viewpoin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drama. Therefore, based on Dewey’s aesthetic experience theory,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cognitive, affective, and interactive effects of theatrical experience on learners’ self-motivational attitudes in a history class. Using 119 collected samples and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method, this study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latent variables, and tested the proposed hypothesis through the bootstrap re-sampling (500)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atrical experience had significant cognitive, affective, and interactive effects, but its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learners’ self-motivational attitudes.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atrical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arners’ self-motivational attitudes, indicating that interaction is important for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learning. This suggests that in drama-based education theatrical experience facilitates learner interaction, which promotes learners’ self-motivational attitudes. Self-motivation among learners can be promoted even in a history class if theatrical experience is utilized to facilitate learner interaction.

      • KCI등재

        마케팅 믹스를 활용한 저소득층의 문화예술 관람 결정 요인 연구

        박선희(Park, Seonhui),이환수(Lee, Hwansoo),김형수(Kim, Hyeong-s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통합문화이용권은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 복지 정책 중 하나이다. 이 정책의 목적은 저소득층의 다양한 문화 향유를 통한 문화 격차 해소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편중 이용 현상으로 인해 본래의 취지와 목적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외계층의 문화예술 관람 행태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편중 이용 현상의 원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마케팅 믹스 7P를 활용하여 공연예술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을 도출하고, 문화예술 공연 관람 의향에 미치는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유의한 수치를 보인 개인적 관심도와 작품성이 이용자들의 문화예술 공연 관람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공연 장소 또한 어느 정도 공연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통합문화이용권 이용자들의 편중 이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접근성이 용이한 공연장에서 그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수준의 작품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is one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low-income class. The purpose of this policy is to help the low-income class enjoy various art and culture performances and overcome their cultural gaps.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is goes against the purpose due to the biased use phenomenon in specific performance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s of the biased use phenomenon based on the discussions on the art and culture performance watching behaviors of the low-income class. The study identifi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watching behaviors of art and culture performances through the marketing mix 7P perspective and conduc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watch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personal interests and product affect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users’ intention of watching art and culture performances the most. It is estimated that the place element partially impacts users’ intention. To allevia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users’ biased use, good quality performances that interest the user and a nearby theater are needed.

      • KCI등재

        군가(軍歌)의 유형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김세훈(Kim Saehoon),이환수(Lee Hwansoo)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2

        군가는 군대라는 조직 내에서 공유하는 음악 형식을 넘어, 하나의 문화현상으로서 사회 및 역사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그 내용과 형태가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증대되는 군가연구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우리는 군가의 본질에 대한 고민과 탐색 없이 막연한 통념으로만 이해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역사적 맥락의 변곡점에서 대중음악과 상호작용하며 분화되어 온 군가의 특징적 사건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군가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최초의 군가인 독립군가는 전통음악 및 일본과 서양에서 유입된 근대음악의 차용과 재생산을 통해 그 내용과 형식의 체계를 갖추었다. 6·25전쟁 당시 전쟁이라는 국민적 정서와 공감을 통해 만들어진 전쟁가요는 병영 속에서 군가화 되어 많은 장병의 사랑을 받았으며, 이후 월남전 시기에는 파월장병을 격려하고 응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군가가 전 국민의 응원가이자 가요가 되기도 하였다. 한편, 전쟁의 기억이 희미해지기 시작한 1970년대에는 그동안 국가수호와 조국 통일을 위해 감내해 왔던 장병들의 억압된 욕구와 강압적 문화에 대한 저항감이 비공식 군가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최근 장병의 관심에서 멀어져 가는 군가의 중흥을 위해 시도된 병영가요는 대중가요 형식에 군 관련 표현이 사라진 범용(汎用)적 가사와 ‘부르는 노래’가 아닌 ‘듣는 노래’ 이자 ‘흥얼거리는 노래’라는 향유방식에서 기존의 군가와 차별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자신의 목소리를 자발적으로 표현한 병영가요는 곧 이 시대 국군장병 내면의 관심이며 욕망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도한 군가의 유형화는 공식 군가·비공식 군가·병영가요 등 세 가지의 큰 범주로 분류하였다. 추가로 군가와 끊임없는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끼친 대중음악의 역할을 발견하였다. 지금까지 막연한 통념으로만 인식되어 온 군가의 유형화를 최초로 시도하였으며, 대중음악과의 밀접한 관계를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차후 후속연구의 구체적인 이정표가 될 것이다. The contents and forms of military songs have evolved as a cultural phenomenon beyond the music for military organizations. But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for research, we have not been concerned about military songs. We just regarded military song as a vague concep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tegorize types of military songs that have changed through interaction with popular music in social and historical ev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dependence military songs, the first military songs, established its system of content and form through the borrowing and reproduction of traditional music and modern music from Japan and the West. During the Korean War, popular war songs that created based on the national sentiment and empathy of war were militarized and loved by many soldiers. During the Vietnam War, military songs that made to encourage and support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became popular song of the people. In the 1970s, when memories of war disappeared, the desire and resistance of the soldiers who had endured for the unification and peace of the homeland appeared through unofficial military song. New-age military songs which recently attempted to revive the military songs that are disappearing from the soldier`s interest,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existing military songs, such as a form of popular song and lyrics where the military mention is gone, from the ‘singing song’ to the ‘listening song’ and the ‘humming song’. New-age military songs that express his own voice is the honest interest and desire of the soldiers of tod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ypes of military song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official military song, unofficial military song, and military popular song. In addition, the role of popular music, which influenced through constant interaction with the military songs, was discovered. Military songs, which have been perceived as vague concepts, have changed in various w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of typology of military songs and revealed a close relationship with popular music. This study will be a specific guideline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특허침해소송에서 변리사의 역할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조명근(Myunggeun Cho),이환수(Hwansoo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특허 침해소송은 다른 소송들과는 다르게 그 특허기술의 실체파악 없이는 사안의 파악이 매우 힘든 소송이다. 변리사법은 제8조에서 변리사의 특허침해소송에 대한 소송대리권을 인정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전통적으로 헌법재판소와 법원은 특허 등 침해소송에 대하여 변리사의 소송대리권을 인정하지 않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서 변리사와 변호사간에 끊임없는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침해소송에서 소송대리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주요국의 특허침해소송에서 변리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합리적 대안을 도출한다. 그 결과 변호사의 변리사 자격자동취득을 제한하거나 변리사의 소송대리권과 관련하여 변리사법을 개정하는 방안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송당사자의 입장에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수정된 특허전문변호사 제도를 도입하고 소송당사자들이 합리적으로 소송대리인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Unlike other lawsuits,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is a very difficult case to grasp without expert knowledge of the patented technology. The Patent Agent Act seems to recognize the legal representation of patent agent in Article 8,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 have refused to recognize patent agent s legal representation right in the patent infringement suit. In this regard, constant controversy is taking place among patent agents and lawyers. This study examines the measur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professionalism of patent litigation in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patent attorneys in patent infringement lawsuits in major countries and derive rational alternatives. As a result, it is inappropriate to restrict the attorneys automatic acquisition of patent attorneys qualifications or revise the patent attorneys law in relation to the patent attorney s right of proxy. In the case of litigation parties, it is a desirable alternative to introduce a revised patent attorney system for the fundamental problem solving and to allow the litigants to reasonably choose the litigation agent.

      • KCI등재

        스마트 관광과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모델: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하리다(Reeda Ha),이환수(Hwansoo Lee)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1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1 No.3

        Smart tourism has begun using various forms of blockchain technology such as decentralized applications, smart contracts, cryptocurrencies, and decentralized ID. Despite their technological excellence, few popular blockchain-based smart tourism services can be actually experienced by tourists.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discusses the legal, technological, and ecosystem barriers to the adop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smart tourism.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it analyzes whether current blockchain-based smart tourism services adequately reflect the traveler lifecycle and behavior of tourists. Th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technology, enhancing the connectivity between tourism services, and regulatory flexibility would activate the use of smart tourism with blockchain technolog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scussion on regulatory uncertainty, lack of awareness and familiarity with blockchain, and low diversity of smart tourism services.

      • KCI등재후보

        아시아 주요 국가별 창업자들의 창업환경에 대한 인식과 창업태도에 대한 연구: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폴 비교 분석

        남정민 ( Jungmin Nam ),이환수 ( Hwansoo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9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바람직한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아시아 주요 4개국(한국, 중국, 일본, 싱가폴)의 실제 창업자들이 지각하는 창업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창업환경에 주요 구성요소인 법률·제도적 환경, 시장 환경, 금융환경, 창업인프라, 창업문화를 중심으로 창업환경에 대한 인식 차이가 창업자의 태도인 창업만족도, 재창업의지, 기회형 창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창업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창업환경에 대한 창업자들의 인식은 4개국 중 하위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기업의 세금적절성’, ‘투자수혜용이성’, ‘투자회수용이성’, ‘정부자금조달 용이성’, ‘국가사회안전장치수준’, ‘창업지원인력수준’ 등은 최하위에 머물고 있으며, ‘정부의 창업지원 효과성’, ‘창업 후 생존용이성’, ‘기술이전용이성’ 등은 중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환경에 대한 창업자의 인식은 창업만족도 및 재창업의지, 기회형 창업수준 등 창업 태도 및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시아 주요4개국의 창업환경 및 창업자들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정책수혜자 중심의 창업인프라 조성 및 창업정책의 질적 제고를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that has been perceived by Entrepreneurs in 4 major Asian countries(China, Japan, Korea, and Singapore) to find out the way of making proper entrepreneurial environment. By examining how difference of perceptions on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would affect entrepreneurial attitude such as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re-entrepreneurial will and opportunistic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market environment, financial environment, and entrepreneurial infrastructu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was identifi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level of entrepreneurial perception on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of Korea is at the lowest level (4th place) among the 4 Asian countries. The level of ‘tax adequacy of founding companies’, ‘ease of investment’, ‘ease of investment recovery’, ‘ease of government funding’, and level of ‘national social safety device’ are at the lowest level and ‘ease of survival after start-up’, and ‘ease of technology transfer’ remain in the middle level. The entrepreneur’s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intention such as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re-entrepreneurial will and opportunistic entrepreneurship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