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무모생쥐에서 국소 Tacrolimus 연고가 Diphenylcyclopropenone에 의한 접촉과민반응과 반복 도포에 의한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박현제 ( Hyun Je Park ),장호선 ( Ho Sun Jang ),장봉석 ( Bong Seok Jang ),김문범 ( Moon Bum Kim ),권경술 ( Kyung Sool Kwon ),오창근 ( Chang Keun Oh ) 대한피부과학회 200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5 No.8

        Background: Topical tacrolimus is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like atopic dermatitis, but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effect of topical tacrolimus fo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evelops in two phases, the clinically silent sensitization phase, and the clinically apparent elicitation phas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opical tacrolimus has an effect on both phases of murine contact hypersensitivity and dermatitis of repeated applications induced by diphenylcyclopropenone (DPCP). Methods: Hairless mice were treated with topical tacrolimus before and after DPCP challenging. The suppressive effect of topical tacrolimus was measured by skin erythema, ear swelling, weight change and cell numbers of local lymph nodes. In addition, a biopsy was carried out and epidermal hyperplasia was investigated microscopically. TNF-α mRNA on the mice which were treated with topical tacrolimus to one side of the ear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being chronically challenged with DPCP on both ears. Results: Topical tacrolimus pretreatment dramatically supressed inflammatory reactions in the sensitization phase, and treatment of topical tacrolimus after sensitization dramatically supressed inflammatory reactions in the elicitation phase. Topical tacrolimus also dramatically supressed inflammatory reactions in the repeated DPCP-induced dermatitis. Conclusion: The data revealed topical tacrolimus could effectively suppress murine contact hypersensitivity and dermatitis of repeated applications induced by DPCP.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topical tacrolimus can be very effective in not only the treatment but also the prevention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Larg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clinical relevance. (Korean J Dermatol 2007;45(8):761∼767)

      • SCOPUSKCI등재

        모즈 미세도식 수술의 수술 시간에 대한 분석: 단일 기관의 경험

        문제호 ( Je Ho Mun ),박현제 ( Hyun Je Park ),김수한 ( Su Han Kim ),정도상 ( Do Sang Jung ),고현창 ( Hyun Chang Ko ),김병수 ( Byung Soo Kim ),김문범 ( Moon Bum Kim ),김훈수 ( Hoon Soo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1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9 No.7

        Background: Mohs micrographic surgery (MMS) is a precise method of treating skin cance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MS. However, no study has yet been carried out regarding the length of surger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our experience with MMS for the treatment of skin cancers and to analyze the operative time of MMS. Methods: We analyzed 50 cases of skin cancers treated by MMS at the Dermatosurgery Clinic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2009 and November 2009. Results: The minimum and maximum operative times of MMS were 88 and 356 minutes, respectively, and the mean operative time was 171.4 minutes. The mean number of stages was 1.7 (range, 1~4). The mean operative time per stage was 93.9, 62.9, 57.2, and 53 minutes for the 1st, 2nd, 3rd, and 4th stages, respectively. The time percentages for a pathologic consult to the Department of Pathology per stage was 42%, 50%, 52%, and 57% for the 1st, 2nd, 3rd, and 4th stag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nsultation to the Department of Pathology occupied a high percentage of the operative time. The mean operative time of repair for surgical defects was 44.4 minutes. Limi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single surgical team in a single institu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reveal that MMS is a time-consuming operat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horten the operation time of MMS.

      • KCI등재

        강릉 남대천 부유입자유기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 비와 C/N 비의 시·공간 변동

        곽정현,박현제,Kwak, Jung Hyun,Park, Hyun Je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5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quantity, and quality of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SPOM) in the Gangneung Namdae Stream, Korea, we examine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lly a (Chl a),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nitrogen (PON), and carbon stable isotope (δ<sup>13</sup>C) of SPOM at six stations in June (pre-monsoon), July (monsoon), and September (post-monsoon) 2017. With increasing precipitation, the average POC and C/N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July than in June. In September, the values decreased with decreasing precipitation. The δ<sup>13</sup>C values showed irregular spatiotemporal fluctuations among the stations and periods, thereby suggesting a greater contribution of autochthonous organic matter to the pool of SPOM than that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derived from upstream. In addition, the large and irregular changes in POC, C/N ratio, C:Chl a, and δ<sup>13</sup>C compared to that of PON were observed for all periods among the stations, indicating a serial discontinuity of the stream.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Gangneung Namdae Stream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in freshwater discharge caused by heavy rainfalls during the summer monsoon and post-monsoon periods.

      • KCI등재

        탄소 및 질소안정동위원소 조성에 의한 남해안 진동만 양식 미더덕의 먹이원 평가

        문창호,박현제,윤성규,곽정현,Moon, Changho,Park, Hyun Je,Yun, Sung Gyu,Kwak, Jung Hyun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4

        To examine the trophic ecology of the ascidian Styela clava in an aquaculture system of Korea,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s were analyzed monthly in S. clava, coarse ($>20{\mu}m$, CPOM) and f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s ($0.7<<20{\mu}m$, FPOM). CPOM (means: $-18.5{\pm}1.2$‰, $9.3{\pm}0.7$‰) were significantly higher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than those ($-20.5{\pm}1.5$‰, $8.4{\pm}0.5$‰) of FPOM. S. clava had mean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18.9({\pm}1.7)$‰ and $11.6({\pm}0.7)$‰, respectively. S. clava were more similar to seasonal variations in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FPOM than those of CPOM, suggesting that they rely largely on the FPOM as a dietary source. In addition, our results display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CPOM and FPOM as dietary source for the ascidian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each component in ambient environment, probably reflecting their feeding plasticity due to non-selective feeding irrespective of particle size. Finally, our results suggest that dynamics of pico- and nano-size plankton (i.e., FPOM) as an available nutritional source to S. clava should be effectively assessed to maintain and manage their sustainable aquaculture production. 2008년 4월에서 2009년 1월 사이에 진동만 미더덕의 섭식 생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20{\mu}m$ 이상(coarse particulate organic matter, CPOM) 그리고 $0.7{\mu}m$ 이상 $20{\mu}m$ 이하(fine POM)의 크기가 나누어진 각각의 부유입자유기물과 미더덕에 대한 ${\delta}^{13}C$ 과 ${\delta}^{15}N$ 값의 월별 변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CPOM과 FPOM의 ${\delta}^{13}C$ 및 ${\delta}^{15}N$을 월별로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CPOM(평균 $-18.5{\pm}1.2$‰, $9.3{\pm}0.7$‰)이 FPOM(평균 $-20.5{\pm}1.5$‰, $8.4{\pm}0.5$‰)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미더덕의 ${\delta}^{13}C$과 ${\delta}^{15}N$ 값은 각각 평균 $-18.9({\pm}1.7)$‰과 $11.6({\pm}0.7)$‰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비값들은 CPOM 보다는 FPOM의 월별 변동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이들이 CPOM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FPOM에 더 높은 영양 의존도를 가진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해 주었다. 그러나 미더덕의 먹이원으로서 CPOM과 FPOM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시기에 따른 각 요소의 가용성(availability)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부유입자물질의 크기에 관계없이 미더덕에 의한 비선택적 먹이 섭식을 잘 반영하는 듯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더덕의 지속적인 양식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가용 먹이원으로서 식물플랑크톤과 함께 미소 부유입자유기물의 유용성을 고려해야함을 잘 나타내 주었다.

      • KCI등재

        퍼스널 모빌리티로서 마이크로 EV 디자인 연구

        이근 ( Lee Keun ),박현제 ( Park Hyun Je ),곽정환 ( Kwak Jung Hwan ),허혜령 ( Hur Hye Ryung ),윤정채 ( Yoon Jeong Ch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ICT, Io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공유와 연결을 근간으로 하는 미래 도시 교통 환경은 다양한 유형의 개인용 이동 수단을 요구한다. 도시의 집적화, 네트워크화가 진행되면 이런 요구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미래형 교통수단에 대한 새로운 요구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 도시 대중교통 인프라와 연계한 개인의 이동성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주목 받고 있으며 이는 삶의 질을 개선하는 복지 관점에서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이런 이유로 이미 고령 사회로 진입한 일본 및 구미 각국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개인용 이동수단을 연구해 왔다. 그러나 각국의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안정성, 법규만족, 시장규모 면에서 아직 본격적인 수요가 없는 실정이다. 마이크로 퍼스널 모빌리티는 도로를 주행한다는 점에서 일반 자동차와 동등한 법규가 적용될 수 있으며 크기, 성능, 중량, 속도 면에서는 다양한 제약 조건이 따른다.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중소 도시 및 농어촌에서 활발하게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량 구조의 마이크로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를 제안한다. 내연기관차보다 구조적으로 단순한 전기자동차는 모듈이 강조되고 역할을 나눈 회사 몇 개가 분담해 전기차를 만들 수 있다. 특히, 성장 한계에 직면한 국내 제조업과 전기자동차산업의 성장 동력원으로서 가치가 기대된다.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 모듈러 디자인(Modular Design), 스페이스 프레임(Space Frame)으로 정의되는 본 연구의 PM은 전통적인 자동차 설계, 생산 방식을 탈피하고 개발 프로세스, 구조, 소재 면에서 새로운 개념을 적용한다. PM은 대도시의 극심한 교통체증 및 주차 문제를 해소하고,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내연기관 운송수단을 대체할 무공해 교통수단으로도 의미가 있다. 경량 소재, 접합, 용접 방식 등으로 프레임만으로 소규모 조립 생산이 적합하도록 디자인을 단순화하여 다양한 외판 모듈의 옵션으로 기능별로 선택과 조합이 용이한 초소형 4륜 PM을 제안한다. Future urban transportation environment based on sharing and connection requires various types of personal mobility. As urban integration and networking progress, this demand is expected to be higher. In connection with urban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dividual mobility problems are becoming important social issues in term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welfare. In Japan and Europe, which have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various types of personal mobility have been studied. However, in spite of active researches in each country, there is no real demand yet in terms of stability, regulatory satisfaction, and market size. PM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as ordinary automobiles because it runs on the road. There are various restrictions on size, performance, weight and speed. This study suggests a lightweight structure personal mobility that is expected to actively increase demand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in an aging society. The PM of this study, which is defined as ‘Open Platform’, ‘Modular Design’, and ‘Space Frame’, breaks away from traditional automobile design and production methods and applies new concepts in terms of development process, structure, and material . It simplifies the design so that it is suitable for small scale assembly production by frame only by light material, welding method, etc., and proposes PM which is easy to select and combine by function as an option of various outer panel module.

      • SCOPUSKCI등재

        등에 발생한 원발성 피부 상피양 혈관내피세포종

        김원정 ( Won Jeong Kim ),박현제 ( Hyun Je Park ),김훈수 ( Hoon Soo Kim ),진현우 ( Hyun Woo Chin ),김수한 ( Su Han Kim ),고현창 ( Hyun Chang Ko ),김병수 ( Byung Soo Kim ),김문범 ( Moon Bum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1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9 No.3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EHE) is an uncommon vascular neoplasm that is considered to be a low-grade malignancy with a severity between an 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and an epithelioid hemangiosarcoma. The appearance of cutaneous EHE is extremely rare and only about 20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Korean and English literatures. A 70-year-old man presented with an approximately 1-year history of an isolated painful subcutaneous nodule of the back. 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nests and cords of epithelioid eosinophilic cells in hyalinized stroma with intracytoplasmic vacuoles. Tumor cells were strongly positive for the endothelial cell markers CD31 and CD34, and we didn`t find any metastatic lesions under radiologic examinat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diagnosis of primary cutaneous EHE was made. To our knowledge, cutaneous EHEs were reported in only 2 cases in the Korean literature, and that of the trunk has not been published previously. Moreover, there is no meta-analytic study about cutaneous EHE. So, we report here a rare case of EHE of the back and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Korean J Dermatol 2011;49(3):269∼273)

      • KCI등재

        ${\delta}^{13}C$ 분석에 의한 남해 연안 내만역 어류 영양원으로써 저서생산의 중요성 평가

        강창근,최은정,김영상,박현제,Kang, Chang-Keun,Choy, Eun-Jung,Kim, Young-Sang,Park, Hyun-Je 한국해양학회 2009 바다 Vol.14 No.1

        남해 연안의 3개 내만역을 대상으로 전체 어류군집이 이용하는 유기물의 기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잘피와 부착조류, 저서미세조류, 해조류, 습지식물, 부유입자유기물(식물플랑크톤), 습지식물(갈대) 그리고 육상기원 유기물 등 다양한 유래의 유기물에 대한 탄소안정동위원소 비(${\delta}^{13}C$) 값과 어류 체조직의 ${\delta}^{13}C$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채집된 총 31종의 어류들이 가지는 ${\delta}^{13}C$C 값은 -16.2${\sim}$-8.3‰의 범위를 나타내어 잘피(-8.3${\pm}$1.9‰), 부착조류(-12.4 ${\pm}$0.6‰), 저서미세조류(-15.4${\pm}$1.6‰) 그리고 해조류(-16.0${\pm}$1.8‰)가 가지는 ${\delta}^{13}C$ 값에 상당하는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구수역의 어류군집이 가지는 ${\delta}^{13}C$ 값(-12.9${\pm}$1.5‰)은 남해 외양역에서 채집된 어류(-17.3${\pm}$0.8‰)와 낙동강 수계에서 채집된 어류군집(-23.2${\pm}$1.6‰)이 가지는 값에 비하여 뚜렷히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 얻어진 ${\delta}^{13}C$ 분석 결과들은 조사가 수행된 3개 내만역 어류군집은 만 자체의 자생기원 저서생산에서 유래한 탄소원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Stable carbon isotope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utotrophic carbon sources supporting fisheries in three coastal bay systems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Carbon isotope ratios (${\delta}^{13}C$) of 31 fish species we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a range of potential primary food sources [e.g., seagrass (Zostera marina), seagrass epiphytes, benthic microalgae, macroalgae, mar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 (marine POM), marsh plant (Phragmites australis) and terrestrial POM]. ${\delta}^{13}C$ values (range, -16.2${\sim}$-8.3‰) of fishes from the coastal embayment systems were overlapped with those of seagrass (-8.3${\pm}$1.9‰), seagrass epiphytes (-12.4${\pm}$0.6‰), benthic microalgae (-15.4${\pm}$1.6‰) and macroalgae (-16.0${\pm}$1.8‰). In addition, fishes (-12.9${\pm}$1.5‰) from the study area had distinctly higher ${\delta}^{13}C$ values compared to those collected in offshore sites (-17.3${\pm}$0.8‰)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and Nakdong River (-23.2${\pm}$1.6‰). This result indicates that carbon supporting fish communities of these coastal bay systems is mainly derived from the local benthic producers.

      • KCI등재

        동위원소 분석에 의한 동해와 남해 연안의 상이한 해조류 군락에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 먹이원 평가

        강창근,최은정,송행섭,박현제,서인수,조규태,이근섭,Kang, Chang-Keun,Choy, Eun-Jung,Song, Haeng-Seop,Park, Hyun-Je,Soe, In-Soo,Jo, Q-Tae,Lee, Kun-Seop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4

        암반 해안의 해조 군락에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들에 의해서 이용되는 유기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하여 저서동물과 그들의 잠재 먹이원에 대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delta^{13}C$ 및 $\delta^{15}N$)값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부영양화된 반폐쇄성 내만인 남해안의 광양만 연안 암반 조간대와 상대적으로 빈영양의 외양에 노출된 환경 특성을 가지는 동해안의 대진(삼척)연안의 암반 조하대를 대상으로 2005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암반에서 노출되어 서식하는 부유물 섭식자들은 다른 섭식 양식을 가지는 동물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delta^{13}C$ 값을 가져 이들이 식물플랑크톤에서 유래하는 유기물을 주로 이용하여 표영먹이망과 강한 영양연결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암반틈 속에서 서식하는 일부 부유물 섭식자를 포함한 초식동물과 퇴적물 섭식자 및 육식성 포식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delta^{13}C$ 값을 가져 해조류에서 유래한 유기물을 주로 이용하여 저서먹이망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부유물 섭식자를 제외하고 해조 군락을 서식처로 하는 대부분의 동물들이 해조류에서 유래한 유기물을 이용하는 저서먹이망으로 강한 영양연결을 가져 연안 암반 생태계에서 생물생산과 생물 다양성의 유지에 대한 해조류의 중요성을 잘 나타내었다. 또한 광양만과 같은 부영양화된 연안에서 상대적으로 빈영양인 동해 연안 조하대의 저서동물과 해조류에 비하여 높은 $\delta^{15}N$ 값 분포는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영양염이 암반 조간대의 해조류 생산에 이용되고 이어서 이 특정 연안 생태계의 먹이망으로 편입되는 경로를 가지는 것을 시사하였다.축과 높은 정밀도 및 정확도로 반복적인 유기탄소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개월의 편차를 보였다. 이처럼 연령을 모르는 우리나라의 혼합치 열기 아동에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연령 추정시 위의 방정식을 사용한다면 비교적 정확하게 연령을 추정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강도의 비교에서 컴포머가 글라스 아이어노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소아 환자의 유구치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s were analyzed in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macroalgae and macrobenthic invertebrates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primary organic matter sources in supporting food webs of rocky subtidal and intertidal macroalgal beds in the Korean coasts.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t the inter tidal sites within Gwangyang bay, a semi-enclosed and eutrophicated bay, and the subtidal sites of the east coast, a relatively oligotrophic and open environment, in May and June 2005. Water-column suspension feeders showed more negative $\delta^{13}C$ values than those of the other feeding guilds, indicating trophic linkage with phytoplankton and thereby association with pelagic food chains. In contrast, animals of the other feeding guilds, including interface suspension feeders, herbivores, deposit feeders, omnivores and predators, displayed relatively less negative $\delta^{13}C$ values than those of the water-column suspension feeders and similar with that of macroalgae, indicating exclusive use of macroalgae-derived organic matter and association with benthic food chains. Most the macrobenthic species were considered to form strong trophic links with benthic food chain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higher $\delta^{15}N$ values in macrobenthic consumers and macroalgae at the intertidal sites of Gwangyang Bay than those at the subtidal sites of the east coast suggests that anthropogenic nutrients may enhance the macroalgal production at the intertidal sites and in turn be incorporated into the particular littoral food web in Gwangyag Bay. These results confirm the dominant role of macroalgae in supporting rocky subtidal and intertidal food webs in the Korean coasts.

      • SCOPUSKCI등재

        봉침요법 부위에 발생한 Mycobacterium chelonae 감염

        심우행 ( Woo Haing Shim ),박현제 ( Hyun Je Park ),김훈수 ( Hoon Soo Kim ),진현우 ( Hyun Woo Chin ),김수한 ( Su Han Kim ),고현창 ( Hyun Chang Ko ),김병수 ( Byung Soo Kim ),김문범 ( Moon Bum Kim ),권경술 ( Kyung Sool Kwon ) 대한피부과학회 201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9 No.4

        Mycobacterium chelonae is a rapidly growing atypical mycobacterium found in soil and water. In a healthy person, it causes cutaneous infection after an invasive procedure or surgery. Herein, we present a case of a 52-year-old man with multiple erythematous plaques and nodules on the back and left arm, and these occurred at the site of bee sting therapy by a herbal medical doctor. The histologic findings showed a granulomatous infiltration composed of numerous neutrophils, lymphocytes, eosinophils, histiocyte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Acid fast bacilli were detected by Ziehl-Neelsen stain and Mycobacterium chelonae infection was confirmed by an INNO-LiPA mycobacteria kit.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1 g of clarithromycin and 200 mg of doxycycline for 6 months and his condition improved considerably. (Korean J Dermatol 2011;49(4):374∼378)

      • KCI등재

        비시가화지역에서 비점오염물질과 입자성물질의 유출 상관성

        지영(Ji Young Park),배상호(Sang Ho Bae),윤영한(Young H. Yoon),임현만(Hyun Man Lim),재로(Jae Roh Park),현제(Hyun Je Oh),김원재(Weon Jae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11

        강우시 상당 부분의 비점오염물질은 입자성물질에 흡착된 형태로 유출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입자성물질과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강우시 오염물질별 유출 특성과 입도분포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사례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특히 도시화가 진전되지 않은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는 보고된 예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논, 밭 및 임야 등으로 구성된 소규모 비시가화지역(유역면적 52.8 ha)을 선정하여 다양한 규모의 강우사상별 유출특성을 조사하고, 오염물질의 유출특성과 입자성물질의 거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에 미치는 입자성물질의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소규모 강우에서도 초기유출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입자성물질이 영양염류 및 중금속의 유출과정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OD5와 TOC의 유기물항목, TN과 TP의 영양염류, Al, Cr, Cu, Fe, Hg 및 Zn의 중금속항목 등이 SS (total), VSS, SS (d < 20 μm) 및 SS (20 μm ? d < 80 μm)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 입자성물질과 유사한 유출거동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ODcr, Cd, Mn 및 Pb는 입자성물질의 유출거동과 뚜렷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비시가화지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과정은 입자성물질의 거동과 상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처리대상물질에 따라서도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고려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general, nonpoint pollutant of a watershed is drained out in the form of storm water runoff during rainfall events. As the bulk of the nonpoint pollutant is in adsorbed form on particulate matt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nonpoint pollutant it is essential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in rainfall runoff. Though, previous studi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are very rare. In this study, a small non-urbanized area (basin area of 52.8 ha) with various landuse types including paddy, dry fields and forest was selected and investigated in detail for the runoff properties of each pollutant during several rainfall events. The correlation and effects between particulate matters and nonpoint pollutant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the significant first flush was observed on each event and it became clear that fine particulate matters (80 μm or less) has contributed in the runoff process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Organic matters (BOD5, TOC), nutrients (TN, TP) and several heavy metals (Al, Cr, Cu, Fe, Hg and Zn) represented high correlations with SS (total), VSS, SS (d < 20 μm) and SS (20 μm ? d < 80 μm). On the other hand, CODcr, Cd, Mn and Pb did not show clear correlations with the behavior of particulate matters. Therefore, we have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mitigation facilities considering the facts that nonpoint pollutant runoff process has high correlation with the behavior of particulate matters and is changeable based on the target pollu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